[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5694B1 - 유기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694B1
KR100645694B1 KR1020050127232A KR20050127232A KR100645694B1 KR 100645694 B1 KR100645694 B1 KR 100645694B1 KR 1020050127232 A KR1020050127232 A KR 1020050127232A KR 20050127232 A KR20050127232 A KR 20050127232A KR 100645694 B1 KR100645694 B1 KR 100645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circuit board
light emitting
bezel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7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6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8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two independent displays, e.g. for emitting information from two major sides of the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패널에 서브 패널이 용이하게 장착되는 듀얼타입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PCB);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 1 표시패널; 상기 제 1 표시패널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면에 구비되는 베젤;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구비되는 제 2 표시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젤에는 상기 제 2 표시패널이 장착되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타면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돌기부가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 베젤, 듀얼타입, 서브 표시장치, 메인 표시장치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듀얼타입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서브패널 장착방식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타입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업타입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서브패널 장착방식을 보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쇄회로기판 15, 15' : 관통홀
20 : 베젤 27, 27' : 돌기부
30 : 프레임 40 : 메인표시패널
50 : 서브표시패널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타입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전극 사이에 유기발광층을 위치시켜, 양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한 쪽 전극에서 주입된 전자와 다른 쪽 전극에서 주입된 정공이 유기발광층에서 결합하고, 이때의 결합을 통해 발광층의 발광분자가 일단 여기된 후 기저상태로 돌아가면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빛으로 발광시키는 평판표시장치의 하나이다.
이러한 발광 원리를 가지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시인성이 우수하고, 경량화, 박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저전압으로 구동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데, 특히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다. 휴대폰에 적용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통상 듀얼타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인쇄회로기판을 중심으로 양면에 모두 발광 패널이 구비되는 형태이다.
즉, 듀업타입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의 서로 다른 면에 장착되는 메인 표시패널과 서브 표시패널을 구비하는데, 양 면에 있는 발광패널을 각각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결합할 경우, 양 패널을 정확히 정열시켜 제조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양 패널을 정열하는 수단으로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에 표시된 실크를 사용하여 이에 맞추어 서브 표시패널을 장착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데, 도 1은 실크(3)가 형성된 연성회로인쇄기판(FPCB, 1) 상에 서브 표시패널(2)을 장착하는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로 서브 표시패널(2)을 연성회로기판(1)에 장착할 경우, 정확한 위치에 서브 표시패널(2)을 장착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불량이 증가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타입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서브 표시패널의 장착이 용이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PCB);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 1 표시패널: 상기 제 1 표시패널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면에 구비되는 베젤: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구비되는 제 2 표시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젤에는 상기 제 2 표시패널이 장착되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타면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돌기부가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 1 표시패널과 베젤 사이에는 상기 제 1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프레임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기부는 장착되는 상기 제 2 표시패널의 테두리라인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표시패널은 사각형이고, 상기 돌기부는 적어도 장착되는 상기 제 2 표시패널의 적어도 한 모서리에서 가로 및 세로 라인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베젤의 일구간을 "ㄷ"자 형으로 절단하고, 절단되지 않은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젤은 STS(STAINLESS STEEL), 냉간압연강판(SPCC), 알루미늄(ALUMINUM), 및 니켈-은(NI-Ag)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타입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10), 메인 표시패널(40), 베젤(20), 프레임(30), 서브 표시패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쇄회로기판(PCB, 10)은 통상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이 적용되며, 메인표시 패널(40) 및 서브 표시패널(50)의 구동집적회로와 접속된다. 인쇄회로기판(10)은 후술할 베젤(20)상에 형성되는 돌기부(27, 27')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15, 15')을 구비한다. 이 때, 관통홀(15, 15')은 돌기부(27, 27')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표시패널(40)은 유기발광소자가 구비된 패널로서, 인쇄회로기판(10)의 일면에 장착되며, 화소부 및 구동집적회로부를 구비한다. 화소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발광원리를 가지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집적회로부는 주사선 또는 데이터라인으로 화소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베젤(20)은 메인 표시패널(40)을 수납 지지하는 지지체이고, 프레임(30)은 메인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일종의 샤시이다. 베젤(20)과 프레임(30)은 서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는데, 예컨데, 프레임(30)에 탄성돌기(35)를 형성하고, 베젤(20)에 홈(23)을 형성하므로써, 프레임(30)이 베젤(2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표시패널(40)은 프레임(30)에 고정테이프(45)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베젤(20)은 서브 표시패널(5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7, 27')를 구비한다. 돌기부(27, 27')는 장착되는 서브 표시패널(50)의 테두리라인을 따라서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7, 27')를 형성하는 것은 종래 회로기판 상의 단순 표시(silk)를 따라 서브 표시패널(50)을 장착하던 방식을 입체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7, 27')를 따라 서브 표시패널(50)을 장착할 수 있도록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함이다.
예컨데, 통상 표시패널은 사각형으로 이를 기준으로 돌기부(27, 27')의 형성방법을 설명하면, 돌기부(27, 27')가 장착되는 서브 표시패널(50)의 적어도 한 모서리에서 가로 및 세로 라인과 일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젤(20)의 재질은 돌기부 형성이 용이한 STS(STAINLESS STEEL), 냉간압연강판(SPCC), 알루미늄(ALUMINUM), 및 니켈-은(NI-A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돌기부(27, 27')를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해서 별도로 돌기부를 장착하는 등의 방법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돌기부(27, 27')를 형성하고자 하는 베젤의 일구간을 "ㄷ"자 형으로 절단하고, 절단되지 않은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상에는 돌기부(27, 27')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홈(15, 15')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메인 표시패널(40)을 고정테이프(45)로 프레임(30)에 부착하고, 메인 표시패널(40)이 부착된 프레임(30)을 프레임에 형성된 탄성돌기(35)를 이용하여 베젤(20)에 결합한다. 이 때, 탄성돌기(35)는 베젤(20)의 홈(23)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레임(30) 및 베젤(20)로 지지된 메인 표시패널(40)을 인쇄회로기판(10)의 일면에 테이프로 고정한다. 이 때, 베젤(20)의 돌기부(27, 27')가 인쇄회로기판(10)의 관통홈(15, 15')에 끼워지도록 위치를 설정하여 고정하며, 돌기부(27, 27')는 인쇄회로기판(10)을 관통하여 인쇄회로기판(10)의 타면상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이어서, 인쇄회로기판(10)의 타면에 돌출된 베젤(20)의 돌기부(27, 27')에 테두리를 일치시키면서 서브 표시패널(50)을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테이프(55)로 장착한다. 이 때, 테두리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서브 표시패널도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테이프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돌기부가 돌출된 연성인쇄회로기판(10,FPCB) 상에 서브 표시패널(50)을 장착하는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27, 27')가 서브 표시패널(50)의 테두리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쉽게 서브 표시패널(50)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을 기준으로 주로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베젤의 돌기부는 핀형, 또는 판형등 여러가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의 고정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듀얼타입의 유기발광 소자는 다양한 지지체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서브 표시패널상으로 돌출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데, 프레임 상에 돌기부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제거방법에 따르면, 보조전극의 성막 및 제거 과정에서 생기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조전극의 성막을 원하지 않는 부분에는 보호막을 형성한 후 보조전극을 형성하고, 보조전극의 형성후에는 보조전극의 잔유물이 포함된 보호막을 제거함으로써 보조전극의 잔유물을 완벽히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7)

  1. 인쇄회로기판(PCB);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 1 표시패널;
    상기 제 1 표시패널이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면에 구비되는 베젤; 및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에 구비되는 제 2 표시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젤에는 상기 제 2 표시패널이 장착되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타면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돌기부가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패널과 베젤 사이에는 상기 제 1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장착되는 상기 제 2 표시패널의 테두리라인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시패널은 사각형이고, 상기 돌기부는 적어도 장착되는 상기 제 2 표시패널의 적어도 한 모서리에서 가로 및 세로 라인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베젤의 일구간을 "ㄷ"자 형으로 절단하고, 절단되지 않은 부분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은 STS(STAINLESS STEEL), 냉간압연강판(SPCC), 알루미늄(ALUMINUM), 및 니켈-은(NI-Ag)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050127232A 2005-12-21 2005-12-21 유기발광 표시장치 Active KR100645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232A KR100645694B1 (ko) 2005-12-21 2005-12-21 유기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232A KR100645694B1 (ko) 2005-12-21 2005-12-21 유기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694B1 true KR100645694B1 (ko) 2006-11-15

Family

ID=3765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232A Active KR100645694B1 (ko) 2005-12-21 2005-12-21 유기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69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674B1 (ko) 2006-07-0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59673B1 (ko) * 2006-07-0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59675B1 (ko) 2006-07-12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857689B1 (ko) * 2007-05-23 2008-09-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US8013520B2 (en) 2007-05-30 2011-09-0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a bezel and rib and a secure interconnection there between
KR101474222B1 (ko) * 2008-06-10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EP2375862A3 (en) * 2010-04-07 2017-11-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Organic EL module and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674B1 (ko) 2006-07-0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59673B1 (ko) * 2006-07-0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59675B1 (ko) 2006-07-12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857689B1 (ko) * 2007-05-23 2008-09-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US8350979B2 (en) 2007-05-23 2013-01-0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8013520B2 (en) 2007-05-30 2011-09-0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 a bezel and rib and a secure interconnection there between
KR101474222B1 (ko) * 2008-06-10 2014-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EP2375862A3 (en) * 2010-04-07 2017-11-2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Organic EL module and illumination device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005B1 (ko) 탑 샤시,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EP210914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029890B2 (ja) 表示装置
US20110063265A1 (en) Flat panel display
KR1017920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WO2010021200A1 (ja) 電子パッケージ、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170691A (ja) 液晶表示装置
US20120293960A1 (en) Display device
KR10239549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86846A (ko) 평판표시장치
KR10064569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EP2042914A3 (en) Bezel attachment schem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CN109817835B (zh)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JP2004309699A (ja) 表示装置及びそのホルダ
KR102109752B1 (ko)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1010388B1 (ko) 인쇄회로기판의 고정구조 및 그 고정방법
KR1008793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67846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3843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1805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0089226A (ja) El付液晶表示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携帯用電子機器
US2014006341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9008673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20101641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7293084A (ja) 配線基板、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2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