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5620B1 - 전동마스카라 - Google Patents

전동마스카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620B1
KR100645620B1 KR1020060014615A KR20060014615A KR100645620B1 KR 100645620 B1 KR100645620 B1 KR 100645620B1 KR 1020060014615 A KR1020060014615 A KR 1020060014615A KR 20060014615 A KR20060014615 A KR 20060014615A KR 100645620 B1 KR100645620 B1 KR 10064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ascara
switch
control
main body
motor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경
이칠성
박경신
우상민
최동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620B1/ko
Priority to US11/381,400 priority patent/US20070186948A1/en
Priority to TW095116219A priority patent/TW200730107A/zh
Priority to CNA200610078400XA priority patent/CN101019715A/zh
Priority to EP06290849A priority patent/EP1820419A1/en
Priority to JP2006215824A priority patent/JP2007215987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62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Brushes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동마스카라(100)는 내부에 배터리(171)가 보관되는 주본체(110)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주본체(11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솔대(162)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조립체(150)와, 주본체(11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130)와, 회전체(13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모터조립체(1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140)과, 제어기판(140)에 설치되어 모터조립체(150)의 회전방향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램프(149a,149b)를 포함한다.
마스카라, 전동, 모터, 솔대, 제어기판, 작동스위치, 표시램프, 작동

Description

전동마스카라{Auto mascar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마스카라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전동마스카라의 주본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동마스카라의 부본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전동마스카라의 회전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전동마스카라의 제어기판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전동마스카라의 모터조립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7은 도 5의 제어기판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동마스카라 110 : 주본체
111 : 제1원통부 112 : 제1회전체결합부
113 : 덮개결합부 114 : 접촉핀
120 : 부본체 121 : 제2원통부
122 : 제2회전체결합부 130 : 회전체
140 : 제어기판 141 : 환형의 접속부
142 : 판형의 스위치/램프부 144~147 : 제1~제4접속단자
149a,149b : 표시램프 150 : 모터조립체
152 : 회전축 160 : 솔대보관용기
162 : 솔대 171 : 배터리
본 발명은 마스카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썹을 손질하는 솔대가 자동으로 구동되는 전동마스카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속눈썹을 길고 짙게 보이도록 꾸미는 데 사용되는 화장품의 하나로 예전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손목을 사용하여 마스카라를 원하는 방향으로 돌리면서 눈썹을 손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마스카라는 화장이 익숙한 사용자도 한번에 완벽하게 마스카라를 바르는 것이 쉽지 않았을 뿐더러, 아직 마스카라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메이크업 초보자들이 마스카라를 깔끔하게 바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솔대가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마스카라를 바를 수 있는 전동마스카라가 선보여 사용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이러한 전동마스카라의 일례가 일본특개 제2005-9553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마스카라는 전동마스카라브러시와 마스카라제용기로 구성 되며, 전동마스카라브러시는 브러시헤드, 브러시가 고정되고 심이 되는 브러시축, 중공의 손잡이를 갖는다. 또한, 손잡이 내부에 설치되는 기어조립체에 의해 모터의 회전력이 원하는 회전수까지 감속되어 브러시축과 브러시헤드가 회전된다. 또한, 손잡이 외부에 마련된 슬라이드식스위치에 의해 모터의 작동개시, 정지 및 회전방향이 제어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의 전동마스카라는 솔대의 회전방향, 즉 모터의 회전방향을 외부로 표시하는 수단이 없이 사용자가 눈썹을 손질하기 전에 전동마스카라를 미리 작동시켜 솔대의 회전방향을 확인한 후 손질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스위치가 켜져 솔대가 회전하는 상태에서도 마스카라제용기를 열지 않는 한 전동마스카라의 작동여부를 쉽게 확인 활 수 없어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대의 회전방향, 즉 모터의 회전방향을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전동마스카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의 작동을 2단계, 즉 회전방향선택 후 작동선택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 등에 의해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방지할 수 있는 전동마스카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솔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며 구동수단의 회전방향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작동수단은 표시수단의 표시 후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수단은 돔형의 스위치이며, 표시수단은 발광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마스카라는 구동수단 및 제어수단과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마스카라는 내부에 배터리가 보관되는 주본체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주본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솔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조립체와, 주본체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모터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과, 제어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조립체의 회전방향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전동마스카라는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주본체와 결합되는 부본 체를 더 포함하며, 부본체에는 솔대를 보관하기 위한 솔대보관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체의 단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탄성핀을 더 포함하며, 탄성핀은 회전체의 회전시 주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마스카라는 제어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작동스위치는 표시램프의 표시 후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동스위치는 돔형이며, 표시램프는 발광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동마스카라는 모터조립체 및 제어기판과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마스카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마스카라(100)는 주본체(110), 부본체(120), 회전체(130), 제어기판(140), 모터조립체(150) 및 솔대보관용기(160)를 포함한다.
주본체(110)는 전동마스카라(100) 사용시 손잡이가 되는 부분으로, 도 2의 사시도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원통부(111), 제1회전체결합부(112) 및 덮개결합부(113)를 구비한다.
원통부(111)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제1회전체결합부(112)가 형성된 측면에 접촉핀(114)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2개의 삽입홈(115)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핀(114)으로 핀부가 몸체에 대해 들고 날 수 있는 포고핀을 사용하였다.
제1회전체결합부(112)는 원통부(111)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단측에 2개의 결합홈(116)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다.
덮개결합부(113)는 원통부(111)와 제1회전체결합부(112)의 중간의 직경을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117)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주본체(110)에는 모터조립체(1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배터리(171)가 원통부(111)와 덮개결합부(113)에 걸쳐 보관되며, 배터리(171)와 모터조립체(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어하는 배터리기판(172)이 원통부(111) 안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배터리(171)가 보관된 덮개결합부(113)에는 배터리(171)의 이탈을 막기 위한 덮개(118)가 나사결합된다.
부본체(120)는, 도 3에 사시도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원통부(121)와 제2회전체결합부(122)를 구비한다.
제2원통부(121)는 제1원통부(111)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솔대보관용기(16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123)이 형성된다. 또한, 제2원통부(121)의 내측면에는 모터조립체(150) 및 제어기판(140)을 전원인 배터리(171)와 전기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누름스위치와 같은 개폐스위치(176)가 설치된다. 개폐스위치(176)는 솔대보관용기(160)가 닫혀 접촉하였을 때 열린 상태가 되고 솔대보관용기(160)가 열려 비접촉하였을 때 닫힌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동마스카라(100)는 솔대보관용기(160)를 열지 않고서는 원천적으로 작동될 수 없다.
제2회전체결합부(122)는 제1회전체결합부(112)와 거의 동일한 직경의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단측에 제1회전체결합부(112)의 결합홈(116)에 결합되는 2개의 결합돌기(124)가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다.
회전체(130)는, 도 4에 사시도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안쪽에 제1회전체결합부(112)와 제2회전체결합부(122)가 삽입 결합된다. 이때, 회전체(130)는 제1,제2회전체결합부(112,12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회전체(130)의 내경은 제1회전체결합부(112) 및 제2회전체결합부(122)와 거의 같으며, 이 내경은 모터조립체(150)의 외경과 거의 같게 형성된다.
또한, 회전체(130)는 외주면에 평탄면(131)을 가지며, 단측에 길이방향으로 1개의 납작공(132)과 1개의 납작홈(133)이 형성된다. 납작홈(133)에는 주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편(173)이 고정되게 삽입되는 데, 탄성편(173)은 일단에 형성된 돌기(174)가 주본체(110)의 내주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홈(118)에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홈(118)간의 거리는 제1,제3접속단자(144,146) 또는 제2,제4접속단자(145,147) 사이의 거리와 대응한다. 따라서, 회전체(130)가 축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접속단자(144,145,146,147)가 접촉핀(114)과 접촉될 때마다 돌기(174)가 홈(118)에 삽입되며 '딸깍'하는 소리가 남으로써 사용자 가 접속단자(144,145,146,147)의 단락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어기판(140)은 제어수단으로, 도 5에 사시도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성기판으로 형성되고, 환형의 접속부(141)와 판형의 스위치/램프부(142)를 가지며, 모터조립체(150)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143)가 구비된다.
환형의 접속부(141)는 회전체(130)의 단측에 설치되며, 판형의 스위치/램프부(142)는 회전체(130)의 납작공(132)을 관통하여 평탄면(13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접속부(141)는 제1,제2접속단자(144,145)와 제3,제4접속단자(146,147)가 쌍을 이루어 서로 마주하게 구비되며, 스위치/램프부(142)는 모터조립체(150)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작동스위치(148)와 모터조립체(130)의 회전방향, 즉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2개의 표시램프(149a,149b)가 구비된다. 이때, 제1,제2접속단자(144,145) 및 제3,제4접속단자(146,147)는 주본체(110)에 설치된 2개의 접촉핀(114)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제1,제2접속단자(144,145)와 제3,제4접속단자(146,147) 각각은 2개의 분리된 단자들로 구성되며 회전체(130)의 회전에 의해 접속단자(144,145,146,147)가 주본체(110)에 설치된 접촉핀(114)과 접촉되었을 때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스위치/램프부(142)는 모터조립체(130)를 작동하는 작동스위치(148)와 모터조립체(130)의 작동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램프(149a,149b)를 가지며, 작동스위치(148)와 표시램프(149a,149b)는 제어기판(140)에 구비된 회로(143)를 통해 제1,제2,제3,제4접속단자(144,145,146,14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램 프(149a,149b)는 표시수단으로 발광램프나 발광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스위치(148)는 작동수단으로 스틸재료의 돔형의 스위치를 사용하며, 스위치/램프부(142)는 탄성을 갖는 박형의 투명덮개(175)에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표시램프(149a,149b)는 사용자가 작동방향을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게 한다. 이에 더하여 각 표시램프(149a,149b)의 상단 또는 하단에 인쇄 등의 방법으로 작동방향을 추가로 표시해 놓을 수 있다.
모터조립체(150)는 구동수단으로, 도 6에 사시도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몸체(151)와 회전축(152)을 구비한다.
원통형몸체(151)는 제1회전체결합부(112), 제2회전체결합부(122) 및 회전체(130)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제1회전체결합부(112), 제2회전체결합부(122) 및 회전체(130)에 고정되게 삽입 결합된다.
또한, 원통형몸체(151)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 모터와 다수의 유성기어가 설치되어 있어 솔대에 회전에 필요한 적당한 회전력과 회전수를 얻을 수 있다.
회전축(152)은 부본체(120)의 안쪽에 돌출되게 위치하며, 솔대(162)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솔대보관용기(16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외주면에 부본체(120)와 결합되도록 나사산(161)이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동마스카라(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사용자가 회전체(130)를 축방향에 대해 '딸깍'하는 소리가 날 때까지 오른쪽 이나 왼쪽으로 돌리면, 회전체(130)에 탑재된 제어기판(140)의 접속부(141)도 같은 방향으로 돌아간 후 제1,제2접속단자(144,145) 또는 제3,제4접속단자(146,147)가 접촉핀(114)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2개의 표시램프(149a,149b) 중 어느 하나에 불이 들어오게 되며, 사용자는 표시램프(149a,149b)를 통해 솔대(162)의 회전방향을 확인한 후 작동스위치(148)를 누르면 모터조립체(150)가 구동되어 솔대(162)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도 7의 회로도와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회로도에서 "개폐스위치"는 도 1에서 개폐스위치(176)와 대응하고, "스위치1", "스위치2", "스위치3" 및 "스위치4"는 개폐는 각각 도 5의 제어기판(140)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144), 제2접속단자(145), 제3접속단자(146) 및 제4접속단자(147)가 접촉핀(114)과 비접촉/접촉되는 것과 대응하며, "작동스위치"의 개폐는 스위치/램프부(142)의 작동스위치(148)를 작동시키는 것과 대응한다.
먼저, 사용자가 솔대보관용기(160)를 열면 개폐스위치(176)가 복원되면서 모터조립체(150)와 제어기판(140)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회전체(130)를 도 4의 "A"방향으로 돌리면, 도 5의 제어기판(140)도 같은 방향인 "A"방향으로 돌아가게 되어, 제1접속단자(144)와 제2접속단자(145)가 주본체(110)에 설치된 2개의 접촉핀(114)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는 회로도에서 "개폐스위치"가 닫히고 "스위치1"과 "스위치2"가 닫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의미한다. 이때, "램프1"에 불이 들어와 솔대(162)가 정방향인 시계방향으로 돌아갈 것을 알려준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스위치(148)를 누르면 모터조립체(150)가 정방향으로 작동되면서 솔대(16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는 회로도에서 "작동스위치"가 단락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솔대보관용기(160)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체(130)를 도 4의 B방향으로 돌리면, 도 5의 제어기판(140)도 같은 방향인 "B"방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제3접속단자(146)와 제4접속단자(147)가 주본체(110)에 설치된 2개의 접촉핀(114)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이는 회로도에서 "개폐스위치"가 닫히고 "스위치3"과 "스위치4"가 닫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의미한다. 이때, "램프2"에 불이 들어와 솔대(162)가 역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갈 것을 알려준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스위치(148)를 누르면 모터조립체(150)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면서 솔대(16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는 회로도에서 "작동스위치"가 단락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가 작업을 마치고 솔대보관용기(160)를 닫으면, 개폐스위치(176)가 눌리면서 모터조립체(150)와 제어기판(140)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는 회로도에서 "개폐스위치"가 열려 전기적으로 단절됨을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전동마스카라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전동마스카라에 따르면,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솔대의 회전방향을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눈썹을 손질하는 작업이 보다 쉬워진다.
또한, 회전체를 돌려 표시램프가 켜진 이후에 작동스위치를 눌러야만 모터가 작동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스위치가 켜져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될 우려가 없게 된다.
또한, 솔대보관용기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개폐스위치가 항상 열리게 되어 모터조립체와 제어기판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솔대보관용기를 열지 않고는 마스카라를 사용할 수 없어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스위치가 켜져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될 우려가 또한 없게 된다.

Claims (12)

  1. 솔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되며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방향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 후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돔형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발광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과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6. 내부에 배터리가 보관되는 주본체;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주본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솔대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조립체;
    상기 주본체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
    상기 제어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조립체의 회전방향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주본체와 결합되는 부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본체에는 상기 솔대를 보관하기 위한 솔대보관용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단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탄성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핀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주본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스위치는 상기 표시램프의 표시 후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는 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11.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램프는 발광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12.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조립체 및 상기 제어기판과 상기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마스카라.
KR1020060014615A 2006-02-15 2006-02-15 전동마스카라 Expired - Fee Related KR10064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615A KR100645620B1 (ko) 2006-02-15 2006-02-15 전동마스카라
US11/381,400 US20070186948A1 (en) 2006-02-15 2006-05-03 Electric mascara application apparatus
TW095116219A TW200730107A (en) 2006-02-15 2006-05-08 Electric mascara application apparatus
CNA200610078400XA CN101019715A (zh) 2006-02-15 2006-05-19 电睫毛膏涂抹装置
EP06290849A EP1820419A1 (en) 2006-02-15 2006-05-24 Electric mascara application apparatus
JP2006215824A JP2007215987A (ja) 2006-02-15 2006-08-08 電動マスカ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615A KR100645620B1 (ko) 2006-02-15 2006-02-15 전동마스카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620B1 true KR100645620B1 (ko) 2006-11-15

Family

ID=3765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6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5620B1 (ko) 2006-02-15 2006-02-15 전동마스카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86948A1 (ko)
EP (1) EP1820419A1 (ko)
JP (1) JP2007215987A (ko)
KR (1) KR100645620B1 (ko)
CN (1) CN101019715A (ko)
TW (1) TW2007301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3217A1 (en) * 2007-07-30 2010-04-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trol surfaces for applicator with moveable applicator head
EP2190316A4 (en) * 2007-08-15 2011-08-03 Barbara Carey Stachowski APPLICATOR AND DISTRIBUTOR OF MASCARA
KR101238653B1 (ko) 2010-10-21 2013-02-28 한경희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KR200469849Y1 (ko) 2012-01-31 2013-11-11 (주)아모레퍼시픽 브러쉬 가열 구조 및 모터 회전구조를 갖는 전동식 마스카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2269B2 (en) 2005-06-02 2010-07-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applicator
US20060272668A1 (en) * 2005-06-02 2006-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applicator
US7654271B2 (en) * 2005-06-02 2010-02-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applicator
US8485201B2 (en) * 2007-02-21 2013-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applicator with torque limiter
US20080196736A1 (en) * 2007-02-21 2008-08-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Applicator with Torque Limiter
FR2915064B1 (fr) 2007-04-23 2009-07-24 Oreal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produit cosmetique et/ou de soin
GB2452495A (en) * 2007-09-05 2009-03-11 Aaron Agates Mascara wand
US8079373B2 (en) * 2007-09-18 2011-12-2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pplicator with helical applicator surface
FR2929495B1 (fr) * 2008-04-08 2011-12-09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DE102009011589B4 (de) * 2009-03-06 2015-02-12 Rusi Cosmetic Gmbh & Co. Kg Applikator zum Auftragen einer Flüssigkeit
CN101874680B (zh) * 2009-04-30 2012-02-29 苏州洽兴塑胶有限公司 可调电动睫毛刷
US8021065B2 (en) * 2009-08-05 2011-09-20 Jia Hsing Enterprise Co., Ltd. Electrical mascara brush structure with variable speeds
USD617050S1 (en) 2009-10-15 2010-06-01 Jia Hsing Enterprise Co., Ltd. Mascara container
US20110180095A1 (en) * 2010-01-25 2011-07-28 George Chen Electric eyelash brush
KR101192182B1 (ko) 2010-08-13 2012-10-17 한경희 전동식 마스카라
US8522795B2 (en) * 2011-05-04 2013-09-03 Elc Management, Llc Universal docking station compact
US20120310124A1 (en) * 2011-06-03 2012-12-06 Chuen Chern Co., Ltd. Liquid dispensing massage device with double switch
JP5553274B2 (ja) * 2012-10-26 2014-07-16 本房 瞳 電動睫毛ブラシ
US9427065B2 (en) * 2013-07-12 2016-08-30 Herman David Palmieri Reciprocating rotating vibrating bidirectional electric cosmetic applicator
KR101474324B1 (ko) * 2013-07-22 2014-12-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동 마스카라
CN108577142A (zh) * 2018-05-23 2018-09-28 吴玉婷 一种可旋转睫毛膏涂布工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0984A (en) * 1974-01-23 1975-06-24 Alexander C Lesetar Hair dryer with rotary brush
FR2345964A1 (fr) * 1976-03-30 1977-10-28 Moulinex Sa Applicateur de produit cosmetique, en particulier pour le maquillage des cils
AT3160U1 (de) * 1998-11-06 1999-11-25 Kanz Gerhard Dr Mascara - bürste
US6565276B1 (en) * 2002-05-10 2003-05-20 Lina Faye Howard Diaz Electrically driven hand-held device for eyelash mascara application
US7465114B2 (en) * 2004-08-11 2008-12-16 Elc Management Llc Vibrating mascara applicator, suitable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FR2882506B1 (fr) * 2005-02-25 2007-05-18 Oreal Procede de maquillage au moyen d'un applicateur vibrant
US20060272668A1 (en) * 2005-06-02 2006-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applica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73217A1 (en) * 2007-07-30 2010-04-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trol surfaces for applicator with moveable applicator head
CN102123631A (zh) * 2007-07-30 2011-07-13 宝洁公司 用于具有活动施用头的施用装置的控制表面
EP2190316A4 (en) * 2007-08-15 2011-08-03 Barbara Carey Stachowski APPLICATOR AND DISTRIBUTOR OF MASCARA
KR101238653B1 (ko) 2010-10-21 2013-02-28 한경희 속눈썹 고데 겸용 전동 마스카라 도포장치
KR200469849Y1 (ko) 2012-01-31 2013-11-11 (주)아모레퍼시픽 브러쉬 가열 구조 및 모터 회전구조를 갖는 전동식 마스카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9715A (zh) 2007-08-22
TW200730107A (en) 2007-08-16
EP1820419A1 (en) 2007-08-22
JP2007215987A (ja) 2007-08-30
US20070186948A1 (en)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620B1 (ko) 전동마스카라
CN102381670B (zh) 旋转开罐器
JP6768751B2 (ja) 電動工具
KR100733235B1 (ko) 전동립스틱
CN113808500A (zh) 一种口腔清洁器具的显示面板组件及口腔清洁器具
CN102009407B (zh) 电动工具的手柄防水结构
KR100733257B1 (ko) 양방향 전동립스틱
CN218468862U (zh) 一种旋转控制的照明装置
KR200440625Y1 (ko) 전동 마스카라
JP2001062165A (ja) 小型電気機器
JP3111819U (ja) 残像表示機能を備えた携帯用扇風機。
JP6567598B2 (ja) コネクタカバー
JP5948586B2 (ja) 携帯電灯
JP2016136540A (ja) 携帯電灯
JP3165582U (ja) 誤接触防止簡易スイッチを具備する電動マスカラブラシ
CN215777216U (zh) 机体和烹饪器具
CN219267532U (zh) 一种可一键开机调压的电子雾化装置
JP2010243587A (ja) バックライト付き鏡
CN217799137U (zh) 一种带跑马灯的电钻
KR100383544B1 (ko) 리모콘 내장형 발전기 구동용 내접마찰식 래칫기어
CN219613248U (zh) 遮阳伞的伞面自动开合结构及具有该结构的遮阳伞
CN216365140U (zh) 一种电动腔镜切割吻合器及其摆头开关结构
JP3126886U (ja) スマート型充電式刺青彫機
GB2452495A (en) Mascara wand
KR200407803Y1 (ko) 회전저항 저감 구조를 갖는 자가발전 손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