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5013B1 -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013B1
KR100645013B1 KR1020050007257A KR20050007257A KR100645013B1 KR 100645013 B1 KR100645013 B1 KR 100645013B1 KR 1020050007257 A KR1020050007257 A KR 1020050007257A KR 20050007257 A KR20050007257 A KR 20050007257A KR 100645013 B1 KR100645013 B1 KR 100645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all connec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ion control
vo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86248A (en
Inventor
박종도
배상휴
이용국
Original Assignee
박종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도 filed Critical 박종도
Priority to KR102005000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013B1/en
Publication of KR2006008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2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01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한다 판단된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 동안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요청되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 처리하도록 구현하여 시험장 등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타 호(Call) 연결을 강제로 통제할 수 있어 입시 부정 등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각종 부정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in a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after the control message for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Implement to block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request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cheating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dmission denial And to prevent the kite.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기반, 호(Call) 연결 통제 Mobile terminal, location based, call connection contro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connection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mobile phones}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ll connec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의 개요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방법의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connection control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호 연결 통제 시스템 110 : 사용자용 메시지 전송부100: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10: user message transmission unit

120 : 호 연결 통제부 130 : 데이타베이스120: call connection controller 130: database

140 : 위치 감시부 150 : 발신자용 메시지 전송부140: location monitoring unit 150: sender message transmission unit

200 : 이동통신 단말기2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험장 등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타 호(Call) 연결을 강제로 통제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connection control technology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force the control.

종래의 경우 극장, 공연장, 종교 집회장, 학교 등 호 통제할 필요가 있는 공공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문자메시지 수신음, 알람, 진동음 등의 각종 음향출력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음향출력 통제 기술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case,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various sound outputs such as a ringtone, a text message reception sound, an alarm, a vibration sound, etc.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ublic place that needs to be controlled such as a theater, a performance hall, a religious assembly hall, a school, etc. There was a sound output control technology based.

휴대폰,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향출력 방지 기술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Sound output prevention technologi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하나는, 등록특허공보 제 10-355750 호(2002. 09. 25)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극장, 공연장, 종교 집회장, 학교 등 호 통제할 필요가 있는 공공장소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를 제어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를 설치하여 방지하는 방법이다.One, 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355750 (September 25, 2002), can control a ring t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ublic place that needs to control a call such as a theater, a performance hall, a religious assembly hall, or a school. There is a way to prevent this by installing a special device.

다른 하나는, 공개특허공보 제 2004-12038 호(2004. 02. 11)에서 제시한 것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해 극장, 공연장, 종교 집회장, 학교 등 호 통제할 필요가 있는 공공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를 제어하는 방법이다.The other is a public place which needs to control a call such as a theater, a performance hall, a religious assembly hall, a school, etc.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12038 (February 11, 2004).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ringt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공개특허공보 제 2004-12038 호에서 제시한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이와 교신하는 기지국을 통해 파악하여, 단말기가 일반지역에서 매너모드 지역으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벨소리를 매너모드로 절환하고, 매너모드 지역에서 일반지역으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벨소리를 원래로 절환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12038, the position of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through a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it, and when the terminal moves from the general area to the silent mode, the ringtone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ilent mode. In addition, the technical gist is to automatically switch the ringtone to its original state when moving from the silent mode to the general area.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입시 부정 문제가 사회적으로 커다란 충격을 주고 있다.Recently, the problem of entrance examin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great social impact.

그러므로, 위에서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측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수행되는 위치를 기반으로한 벨소리 차단 기술과는 달리, 시험장 등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타 호(Call) 연결을 서버측에서 강제로 통제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Therefore, unlike the ringtone blocking technology based on the location performed by software on the mobile terminal, the voice and data call of the mobile terminal in the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test site, is required. There is a need for new technologies that allow server-side control of connections.

따라서, 본 발명자는 시험장 등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타 호(Call) 연결을 강제로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이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 technology capable of forcibly controlling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test site. .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시험장 등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타 호(Call) 연결을 강제로 통제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under the above-mentioned purpos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forcibly controlling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test sit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abov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한다 판단된 경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 동안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요청되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exists, the control message for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Blocking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s that are request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타 호(Call) 연결을 강제로 통제할 수 있어 입시 부정 등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각종 부정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cibly control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be preven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에 연동되는 서버상에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로부터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한다 판단된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 동안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해 요청되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ftware executable on a server linked to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exists in the form, it is determin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exist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s a voice and data call If it is determined that it exists in the connection control area, after transmitting a user control guidance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exist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Function to block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s request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erformed.

이 때, 상기한 음성 및 데이타 호는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등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음성 및 데이타 신호 모두를 포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oice and data call encompass both voice and data signal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voice call, a short message (SMS) and a multimedia message (MMS).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은 사용자용 메시지 전송부(110)와, 호 연결 통제부(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message transmission unit 110 and a call connection control unit 120.

상기 사용자용 메시지 전송부(110)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로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The user message transmitter 110 transmits a user control guide messag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xisting in a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통제할 통제지역 예컨데, 시험장, 극장, 공연장, 종교 집회장, 학교 등 호 통제할 필요가 있는 공공장소에 진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용 메시지 전송부(110)를 통해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으로 진입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When a user posses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s a control area to control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for example, a test site, a theater, a performance hall, a religious assembly hall, a school, etc., a public place needs to be controlled.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s a control guide message for the us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tered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through the user message transmitter 110.

이 때, 만일 통제 시간이 지정되어 있다면 상기 사용자용 메시지 전송부(110)는 통제 시간이 시작되는 시점 또는 그 바로 전에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 제지역내에 존재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로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At this time, if a control time is specified, the user message transmitter 110 controls the user for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xisting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at or before the control time starts. Send a guide message.

상기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는 예컨데, "본 장소는 호 통제를 요하는 곳이니 부득이 귀하의 휴대폰으로 걸려오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하겠습니다."와 같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형태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message for the user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such as, "This place requires call control, so we will block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to your mobile phone." desirable.

상기 호 연결 통제부(120)는 상기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 전송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요청되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 처리한다.The call connection controller 120 blocks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requested for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ransmitting the control guide message for the user.

즉, 상기 사용자용 메시지 전송부(110)를 통해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제지역내에 위치하는 동안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요청되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하도록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MSC)에 요청하여 통제지역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이 차단되도록 한다.That is, after transmitting the user control guide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through the user message transmission unit 11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may request an MSC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block a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control area, and to loc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ontrol area.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locked.

만일, 통제 시간이 지정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제시간 동안 통제지역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에 대해 요청되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하도록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MSC)에 요청하여 통제지역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이 차단되도록 한다.If the control time is specified,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are located in the control area during the control time. It requests the MS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block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s, so that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ed in the control area are block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은 시험장 등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타 호(Call) 연결을 강제로 통제할 수 있어 입시 부정 등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각종 부정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voice and data call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test site. It can be forcibly controlled to prevent various kinds of cheating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dmission fraud.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이 데이타베이스(130)와, 위치 감시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atabase 130 and a location monitoring unit 140. It is preferable.

상기 데이타베이스(130)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저장한다.The database 130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즉,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통제할 통제지역 예컨데, 시험장, 극장, 공연장, 종교 집회장, 학교 등 호 통제할 필요가 있는 공공장소에 대한 온/오프 라인을 통한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 요청에 따라, 해당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130)에 저장하게 되는데, 상기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는 해당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위치한 기지국 또는 중계기 위치를 이용해 산출되거나, GPS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GPS 시스템에 의해 산출되거나, 이외에도 다양한 위치정보 검출방법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area to control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request for controlling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through on / off line to public places that need to control call such as test room, theater, performance hall, religious meeting place, school, etc.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 area is detec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3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 area is calculated using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or repeater located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GPS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it may be calculated by a GPS system, or may be calculated by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methods.

한편, 데이타베이스(130)가 통제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호 연결 통제부(120)가 통제시간 동안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요청되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database 130 may further include control time informa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ll connection controller 120 blocks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requested for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control time.

상기 위치 감시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타베 이스에 저장된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감시한다.The location monitoring unit 140 monitors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stored in the databas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기지국 또는 중계기 위치를 이용해 산출되거나, GPS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GPS 시스템에 의해 산출되거나, 이외에도 다양한 위치정보 검출방법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alculated by using a location of a base station or a repea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GPS, or may be calculated by a GPS system, or may be calculated by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methods.

예컨데,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대기 상태에서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을 통해 주변의 기지국(BS : Base Station)중 주파수가 제일 큰(수신감도가 좋은) 기지국과 주기적으로 교신하며, 인접 셀(Cell)로 이동(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이동하여 주파수가 제일 큰 새로운 기지국이 위치한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핸드 오프(Hand Off) 절차를 수행하여 새로운 기지국과 주기적으로 교신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어느 지역에 위치하는지에 대해서 상기 기지국 식별정보 및 이 식별정보에 연동된 위치정보로부터 알 수 있다.For examp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good reception sensitivity) among neighboring base stations (BS) through a pilot channel in a call waiting state, and adjacent cells. If the mobile station moves to the area where the new base station with the highest frequency is located, it performs a hand off procedure and periodically communicates with the new base station.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know from which base st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linked to thi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which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is located.

즉, 상기 위치감시부(140)는 소정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또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으로 진입하였는지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에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위치감시부(1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위치감시부(140)는 수신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타베이스(130)에 저장된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 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상기 위치감시부(140)와 이동통신 시스템간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또는 장치고유번호(ESN : Electric Serial Number) 등에 의해 가능하다.That is, the location monitoring unit 140 monitors whether the predetermi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or enters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monitoring unit 140. Then, the location monitoring unit 140 refers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stored in the database 130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 if you are in a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between the position monitoring unit 14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performed by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and / or a device unique number (ESN: Electric Serial Number)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의 상기 호 연결 통제부(120)가 상기 위치감시부(140)에 의해 호 연결 차단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외로 벗어났다 판단된 경우, 호 연결 차단을 해제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connection control unit 120 of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osition monitoring unit 14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locked by the call connection is out of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call connection blocking.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이 상기 위치감시부(140)를 통해 호 연결 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외로 벗어나는지를 감시하여, 벗어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은 상기 호 연결 통제부(120)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에 호 연결 차단을 해제하도록 요청하여 통제지역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이 차단 해제되도록 한다. That is,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utside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where the call connection contro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position monitoring unit 140 If the call is monitored,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release the call connection blocking through the call connection controller 120. Ensure that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s are unblocked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located in the controlled area.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을 벗어날 경우 효율적으로 호 연결 통제에 대한 해제가 가능하다.Therefore, by doing the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lease the call connection control when it leaves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의 호 연결 통제부(120)가 호 연결 차단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 요청된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호 연결 차단 해제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connection control unit 120 of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locking the call connection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requested short message (SMS) or multimedia message (MMS)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unblocking the call connection.

또한, 상기 호 연결 통제부(120)가 호 연결 차단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 요청된 전화 요청 내역을 호 연결 차단 해제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all connection controller 120 transfers the call request history reques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blocking call connection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canceling the call connection blocking.

즉, 이 경우는 호 연결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호 연결이 통제되는 동안에는 음성 또는 데이타 통신이 불가능하므로,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수신할 수 없고, 걸려오는 전화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이 이동통신 시스템에 요청하여 호 연결 차단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 요청된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와, 호 연결 차단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걸려온 전화 요청 내역을 호 연결 차단 해제 후에 전송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call connection control cannot receive a short message (SMS) or a multimedia message (MMS) while the call connection is controlled and thus cannot receive an incoming call. Since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a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ends a short message (SMS) or a multimedia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blocking the call connection (MMS) and the call request histor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blocking the call connection is to be transmitted after the call connection is released.

따라서, 사용자가 호 연결 통제지역에 위치한 동안 시도된 호 연결 정보를 사용자가 호 연결 통제지역을 이탈하거나 호 연결 통제시간이 지나면 알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call connection information attempted while the user is located in the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can be known when the user leaves the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or passes the call connection control time.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이 발신자용 메시지 전송부(15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der message transmitter 150.

상기 발신자용 메시지 전송부(150)는 호 연결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The caller message transmitter 150 transmits a caller control guide message to the ca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call connection control.

예컨데,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호 연결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걸었을 경우 호 연결 차단이 되어 전화가 연결되지 않는다. 이럴 경우 발신자는 호 연결 통제 중인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몇번이고 전화를 다시 걸 가능성이 있다.For example, when a caller makes a cal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call connection contro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is blocked and the call is not connected. In this case, the caller does not know that the call is under call control and is likely to redial the call again and again.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은 상기 발신자용 메시지 전송부(150)를 통해 호 연결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a call conne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call connection control through the caller message transmitter 150. Sends a control guide message for the caller to the requested ca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발신자용 안내메시지는 "현재 해당 고객은 호 연결 통제지역에 있습니다. 나중에 다시 걸어주시기바랍니다." 와 같은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형식으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The caller's message is "Current customer is in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Please try again later."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d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form of a short message (Short Message).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의 호 연결 통제부(120)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긴급통화 요청에 따라 해당 호 연결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긴급 통화 요청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긴급 호 연결을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l connection control unit 120 of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an emergency call from the ca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an emergency call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all connection control and the ca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king the emergency call request.

즉, 이 경우는 때에 따라 긴급을 요하는 통화가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이 호 연결 통제부(120)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에 호 연결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긴급 통화 요청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긴급 호 연결을 요청하여 호 연결되도록 한다.That is, in this case,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may be an urgent call from time to time, in this case,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all connection control unit 120. By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call connection control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a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the call is connected.

이러한 긴급통화 요청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은 통화를 요청하는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발신자용 안내메시지에 긴급통화 요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고, 발신자는 이 긴급통화 요령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소정의 버튼을 누른다거나 함에 의해 긴급통화 요청이 이루어지게 된다.For such an emergency call request,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emergency call tips to the caller guide message sent to the ca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a call.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the caller makes an emergency call request by pressing a predetermined button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call tips.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의 호 연결 통제부(120)가 등록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는 해당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더라도 예외적으로 정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더 포함할 수 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gistered with the call connection control unit 120 of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in a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not blocking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so that normal call can be made.

즉, 이 경우는 시험장의 감독관 같이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 지역에 있더라도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정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is case, even if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such as the test site supervisor, is in place, the normal call can be made to a specific user,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이를 위해서는 미리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 지역에 있더라도 예외적으로 정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에 등록해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은 이 등록정보에 등록된 이동통 신 단말기에 대해서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 지역에 있더라도 예외적으로 정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 지역에 있더라도 예외적으로 정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미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에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기존의 통상적인 회원등록 절차에 준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o this end, it is desirable to regis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n exceptionally normal call in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in a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region in advanc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allow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egistered in this registration information to be able to make normal calls, even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regions. Even if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is located, the existing general membership registration is a process for registering an exceptionally norm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procedure is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의 동작 효과를 알아본다.The operation effect of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방법의 흐름도의 일예이다.3 is an example of a flowchart of a call connection control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이 위치감시단계(S11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와 교신하는 기지국의 위치정보로부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감시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rst stored in the databas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position monitoring step (S11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is referred to to monitor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만일, 상기 위치감시단계(S110)에 의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한다 판단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이 사용자용 메시지 전송단계(S120)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한다.If it is determined by the location monitoring step S110 that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with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for the user. In step S120, the control guide message for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 다음, 상기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이 호 연결 통제단계(S130)에서 해 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요청되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 처리한다.Then, when the control information message for the user is transmitted,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quest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tep (S130) and Block data call connections.

따라서, 시험장 등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타 호(Call) 연결을 강제로 통제할 수 있어 입시 부정 등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각종 부정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cibly control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laces whe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test site, thereby preventing various cheating behaviors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entrance exam denial. You can do it.

한편, 호 연결 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외로 벗어났다 판단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100)이 호 연결 통제 해제단계(S140)에서 해당 호 연결 차단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연결 차단을 해제 처리하여 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connection contro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ut of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he call connection control release step (S140). In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call connection block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locking the call connection to enable the call connection.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상기에서 제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the abov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sented abo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 및 방법은 시험장 등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및 데이타 호(Call) 연결을 강제로 통제할 수 있어 입시 부정 등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각종 부정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ice and data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place whe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test site. ) It can control the connection forcibly, and it has a useful effect to prevent various cheating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dmission denial.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referred to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in the scope covered by the following claims from this description. .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와;A database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s;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지 감시하는 위치감시부와;A location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stored in the database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들로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사용자용 메시지 전송부와;A user messag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user control guide message to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상기 사용자용 통제 안내메시지 전송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요청되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 처리하고, 상기 위치감시부에 의해 호 연결 차단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외로 벗어났다 판단된 경우 호 연결 차단을 해제 처리하되, 호 연결 차단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 요청된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호 연결 차단 해제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고, 호 연결 차단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 요청된 전화 요청 내역을 호 연결 차단 해제 후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 처리하는 호 연결 통제부를;After transmission of the control guide message for the user,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request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block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locked by the location monitoring unit is out of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connection is blocked, the call connection is canceled, and the short message (SMS) or multimedia message (MMS) requested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blocking the call connection is cancel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all connection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and process the call request history of the call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blocking connection to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fter the call connection is released;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호 연결 통제 시스템이:The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호 연결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로 호 연결을 요청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자용 통제 안내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자용 메시지 전송부를;A caller message transmitter configured to transmit a caller control guide message to a call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a call connec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call connection control;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데이타베이스가 통제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 연결 통제부가 통제시간 동안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 요청되는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The database further includes control time information, and the call connection controller blocks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s request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the control tim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호 연결 통제부가:The call connection controller: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긴급통화 요청에 따라 해당 호 연결 통제중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긴급 통화 요청한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긴급 호 연결을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an emergency call connection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all connection control and the calling mobile terminal requesting an emergency call according to the emergency call request from the calling mobile terminal.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호 연결 통제부가:The call connection controller: 등록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해서는 해당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가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 통제지역내에 존재하더라도 예외적으로 정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음성 및 데이타 호 연결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 시스템.The registered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the mobile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ing not blocking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so that a normal call is possible even if the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ists in the voice and data call connection control area.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0007257A 2005-01-26 2005-01-26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pired - Fee Related KR100645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257A KR100645013B1 (en) 2005-01-26 2005-01-26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257A KR100645013B1 (en) 2005-01-26 2005-01-26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248A KR20060086248A (en) 2006-07-31
KR100645013B1 true KR100645013B1 (en) 2006-11-10

Family

ID=37175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2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5013B1 (en) 2005-01-26 2005-01-26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0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461B1 (en) * 2009-01-29 2010-01-06 주식회사 무한비트 Method and apparatus for for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based on lb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248A (en) 200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61722T3 (en) A method of remotely chang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KR20040101497A (en) Disaster and emergency mode for mobile telephones
JP4043775B2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system
KR100645013B1 (en) Call conne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30244639A1 (en)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device
KR101579971B1 (en) Mobile terminal for processing call using status information by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additional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and call process thereof
KR1008006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uard service using caller information
KR100692794B1 (en) Voice call system, voice call terminal and voice call method
KR100895157B1 (en) How to notify the absence status of the mobile phone
KR20010048639A (en) Method for waitng an incomming ca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et
KR100645011B1 (en) Sound output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324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bile Phone Disappearance with Authentication
KR20060059654A (en) Incoming mod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21835A (en) Mobile station having alarm means for call state of mobile station with reserved cal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455772B1 (en) Method of responding auto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phone
KR100620582B1 (en) Automatic Call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KR20030025103A (en) Method to register information message when power off for mobile phone
JPH09261308A (en) Cordless telephone equipment
JP2954117B2 (en) Used base station history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mobile telephone switching system
JP5302370B2 (en) Method for remotely chang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 device
JP2002152839A (en) Terminal used for positional information confirmation system at loss of mobile phone and its position specification method
JP2005168037A (en) Mobile terminal and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KR20050105025A (en) Method for call rej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0174905A (en) Message transmitter and message transmitting method
JPH09163457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1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10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