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4895B1 - 자기정렬방식에 의한 양방향문턱전압 특성을 갖는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정렬방식에 의한 양방향문턱전압 특성을 갖는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895B1
KR100644895B1 KR1020040106641A KR20040106641A KR100644895B1 KR 100644895 B1 KR100644895 B1 KR 100644895B1 KR 1020040106641 A KR1020040106641 A KR 1020040106641A KR 20040106641 A KR20040106641 A KR 20040106641A KR 100644895 B1 KR100644895 B1 KR 100644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substrate
zener diode
diffusion mask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743A (ko
Inventor
송기창
김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895B1/ko
Priority to US11/295,453 priority patent/US7582537B2/en
Priority to EP05292598A priority patent/EP1672701B1/en
Priority to JP2005357036A priority patent/JP2006186354A/ja
Priority to CNA2005101318154A priority patent/CN1812059A/zh
Publication of KR2006006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89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00Diodes
    • H10D8/20Breakdown diodes, e.g. avalanche diodes
    • H10D8/25Zener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35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48137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e.g. on a common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30Technical effects
    • H01L2924/301Electrical effects
    • H01L2924/3011Impedance

Landscapes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기판에 확산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확산마스크층이 형성된 기판에 불순물을 확산시키는 단계; (c) 상기 불순물이 확산된 기판을 건식 또는 습식 식각하여, 변성된 확산마스크 층과 확산마스크가 제거된 부분에 형성된 절연층을 함께 제거하는 단계; (d) 콘택홀이 형성된 기판에 금속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너다이오드, 자기정렬

Description

자기정렬방식에 의한 양방향문턱전압 특성을 갖는 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Fabrication Method of Zener Diode with the Property of Bidirectional Threshold Voltage by Self-Assembly Method}
도 1은 종래 제1측면에 따른 제너다이오드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는 종래 제2측면에 따른 제너다이오드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너다이오드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너다이오드에 솔더금속을 적용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너다이오드에 내전압 특성이 취약한 소자를 플립칩 본딩에 의해 접합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발광소자와 정전압 소자의 등가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정전압소자로 사용하는 양방향 문턱전압특성을 갖는 제너다이오드 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홀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자기정렬방식을 적용하여 제너다이오드의 제조공정 중에서 통상적으로 요구되어 오던 포토마스크 공정 및 층간 절연막 증착공정을 각각 1회 제거함으로써 전체 공정의 단순화를 가능하게 하는 제너다이오드의 신규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 중 내전압 특성이 약한 소자는 측정이나 패키징 작업을 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나 서지 전압으로 소자가 죽어버리는 문제점을 내포하므로 정전기 보호용 소자로 일반적으로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PN 다이오드의 역방향 브레이크 다운은 두 가지 기구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낮은 임계 전압에서 발생하는 제너 브레이크 다운과 높은 임계 전압에서 발생하는 애벌런치 브레이크 다운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제너 브레이크 다운은 반도체 막에 고농도의 불순물을 첨가하면 작은 폭의 전하 공핍층이 형성되어 낮은 전압으로도 높은 전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즉, 고농도의 불순물을 첨가하면 역방향으로 바이어스된 경우 낮은 전압에서도 에너지 대역이 서로 엇갈리게 되어 p형 반도체층의 가전자대역의 에너지 대역이 n형 반도체 층의 전도대층보다 높은 에너지 준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전하 공핍층의 폭이 좁다면 p형의 가전자 대역에 가득찬 전자는 n형의 전도대역으로 양자역학적인 터널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다이오드 소자의 저항 값이 극히 낮고 큰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제너 항복이 발생하도록 제작한 소자를 제너 다이오드라고 하며, 다이오드에 걸리는 역방향 전압이 제너 항복 전압에 이르게 되면 갑자기 역방향 전류가 크게 증가하나, 단자 전압은 거의 불변이므로 정전압 소자로 사용되게 된다. 내전압 특성이 취약한 소자의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에 역방향의 서지 전압이 발생하게 되면 과도한 전하가 반도체 층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서 발광 소자를 파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절연성 기판 위에 소자를 제작할 경우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되는데, 서지 전압이 발생할 경우 수천 볼트까지도 오를 수 있으므로 소자의 내전압(허용 전압)이 작은 경우 보호 소자를 별도로 장착하여야 한다. 이러한 소자에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할 경우 PN 제너 다이오드(역방향 에서만 제너 항복 발생)의 형태로 사용하거나, 제너 다이오드 두개를 같은 극성끼리 직렬로 연결(PNP 또는 NPN)하여 순방향과 역방향의 양쪽 영역에서 제너 항복이 발생하도록 하는 양방향 문턱 전압 특성을 갖는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양방향 문턱 전압 특성을 갖는 제너 다이오드를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소자에 연결할 경우는 제너 다이오드 두 단자의 극성이 같으므로 내전압을 향상시키려는 소자와 병렬로 극성에 관계 없이 연결할 수 있다. 내전압 특성이 취약한 소자에 서지 전압이 발생하게 되면 과전류가 정전기에 취약한 소자쪽으로 흐르지 않고 제너 전압 근처에서 제너 항복이 발생하여 저항 값이 작게 된 제너 다이오드 쪽으로 과전류가 바이패스하게 되어 소자를 보호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제1측면에 의한 PNP(또는 NPN) 제너 다이오드(200)의 제조 공정 흐름도로서 공정순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절한 농도의 불순물이 포함된 기판(201)에 선택적 확산을 위하여 확산마스크(202)를 패터닝하여 선택적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단계 a,b). 확산 마스크(202)를 통하여 확산공정 (단계c)을 실시하면 확산 소스가 확산마스크가 제거된 기판 영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확산 소스는 확산마스크가 제거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확산 마스크의 윗 부분(202-1)의 일정 부분까지만 확산하고 기판 영역까지는 도달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확산 마스크가 제거된 부분은 확산 소스가 기판 안으로 확산되고 고온에서 공정을 실시하므로 실리콘 기판에 절연층(203)을 형성하게 된다(붕소 확산 소스인 경우 보론 글라스). 확산마스크(202)를 제거하면(단계d) 소자 당 두 부분의 확산 영역(201-1)이 형성된다. 확산 마스크(202) 제거 공정이 끝나면 층간 절연막(204)을 형성하고 콘택 홀을 실시한 후 금속 공정(205)을 실시하여 제너 다이오드를 제작한다(단계 e~g 참조).
상기 방법은 확산 마스크를 제거하고 층간 절연막을 새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확산 마스크를 층간 절연막으로 재 사용하는 제2측면에 따른 종래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나타내었다.
적절한 농도의 불순물이 포함된 기판(201)에 선택적 확산을 위하여 확산마스크(202)를 패터닝하여 선택적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단계a,b). 확산 마스크(202)를 통하여 확산공정 (단계c)을 실시하면 확산 소스가 확산마스크가 제거된 기판 영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단계d는 확산 공정이 끝난 후의 기판 상태로 부호 202-1은 확산 마스크 중 확산 공정에 의하여 변성된 확산 마스크 층을 나타내며, 부호 203은 확산이 이루어진 기판의 윗부분에 형성된 절연층을 나타내며 확산이 이루어진 기판 부분은 부호 201-1로 나타내었다. 확산 공정이 끝난 기판에 사진 식각 공정을 실시하여 콘택 홀이 이루어질 부분을 정의하고, 식각 방법에 의하여 절연층(203)을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하고 금속 공정(205)을 실시하여 제너 다이 오드를 제작한다(단계e~f 참조). 이렇게 제작된 제너 다이오드는 층간 절연막 증착 공정이 없으나, 층간 절연막으로 사용하려는 확산 마스크의 윗부분이 변성되어 금속 공정 후 금속 라인 간의 누설 전류가 발생하여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너다이오드의 제조공정 중에서 통상적으로 요구되어 오던 포토마스크 공정 및 층간 절연막 증착공정을 각각 1회 제거함으로써 수율을 높이고 공정 단가를 최소화 하며 소자 특성을 향상시키는 제너다이오드의 신규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기정렬방식을 적용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a) 기판에 확산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확산마스크층이 형성된 기판에 불순물을 확산시키는 단계; (c) 상기 불순물이 확산된 기판을 건식 또는 습식 식각하여, 변성된 확산마스크 층과 확산마스크가 제거된 부분에 형성된 절연층을 함께 제거하는 단계; 및 (d) 콘택홀이 형성된 기판에 금속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불순물은 N 형 또는 P형일 수 있으며, 기판의 재질은 특별한 한정을 요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제너다이오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 재질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정전압 회로용 제너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은 확산 공정이 진행된 기판의 전면을 사진 식각 공정 없이 습식 또는 건식 식각 공정을 실시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이에 의하면, 절연층을 제거하고 확산 마스크로 사용된 막의 확산 로에 노출이 되어 오염된 부분의 확산 마스크도 함께 제거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오염 되지 않은 부분의 확산 마스크를 절연막으로 사용함으로써 확산 층과 금속 라인과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필요한 절연막을 추가로 증착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오염된 부분의 확산 마스크도 식각에 의하여 제거함으로써 절연 특성도 향상시켜 PNP(또는 NPN) 양방향 문턱 전압 특성을 갖는 제너 다이오드 소자를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공정은 종래 제너 다이오드 제작을 위하여 필요한 확산 공정 후 확산층과 외부 회로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필요한 콘텍 홀을 형성함에 있어서 사진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선택적인 위치에 감광막을 이용하여 콘텍 홀이 형성될 위치를 정의하고, 감광막을 마스크로 하여 확산 층 위에 형성된 절연층을 건식 또는 습식 식각 방법을 이용하여 콘텍 홀을 형성하는 공정에 비하여 공정이 한층 단순화되고 있음을 확인할시켜 준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자기정렬방식을 적용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너 다이오드(200)의 전체 공정 흐름도이다. 먼저 적절한 농도의 불순물이 포함된 기판(201)에 선택적 확산을 위하여 확산마스크(202)를 패터닝하여 선택적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단계a,b). 확산 마스크(202)를 통하여 확산공정 (단계c)을 실시하면 확산 소스가 확산마스크가 제거된 기판 영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확산 소스는 확산마스크가 제거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확산 마스크의 윗 부분(202-1)의 일정 부분까지만 확산하고 기판 영역까지는 도달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확산 마스크가 제거된 부분은 확산 소스가 기판 안으로 확산되고 고온에서 공정을 실시하므로 실리콘 기판에 절연층(203)을 형성하게 된다(예를 들어, 붕소 확산 소스인 경우 B2O3). 확산 공정의 다음 공정으로는 확산 공정 후 변성된 확산마스크의 윗부분(202-1)과 확산층 위에 형성된 절연층(203)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리콘 기판(201) 전체를 감광막을 패턴함이 없이 건식 식각이나 습식식각을 실시하여 절연층(203)과 변성된 확산마스크(202-1)를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식각은 확산 실리콘 층과 절연층(203)의 선택비가 큰 방법을 선택하여 확산 실리콘 영역이 제거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단계d). 이러한 공정은 사진 식각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기판 전면을 식각하므로 콘택 홀 영역은 확산 영역과 완전히 일치하게 형성되고 확산 공정은 기판의 깊이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횡 방향으로도 확산되므로 확산층의 콘택홀이 형성된 부분의 경계부분은 확산마스크로 보호받게 되고, 이후의 공정에서 형성될 금속 소자는 확산이 이루어진 부분의 실리콘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 은 실리콘 기판은 확산 마스크인 절연층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게 된다 (단계e). 이러한 자기 정렬 방식에 의하여 콘택 홀을 형성한 다음 금속 공정(205)을 실시하여 제너 다이오드를 제작한다(단계f).
이렇게 제작된 제너 다이오드는 정전기에 보호를 받으려는 소자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을 이루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공정으로는 솔더 금속을 형성하는 방법과 금 스터드(Au stud)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솔더 금속을 이용하는 방법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 공정이 진행된 기판에 솔더 금속이 용융될 때 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솔더 댐(206)을 형성하고 솔더 금속(207)을 원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제작한다. 솔더 금속이나 다른 접합 물질을 형성한 다음 제너 다이오드가 형성된 서브마운트(200) 위에 정전기에 취약한 소자(100)를 정렬하고 솔더 금속이 용융되는 온도까지 온도를 올려서 두 소자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300)시킨 구조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정전기에 취약한 발광 다이오드를 예로 하여 양방향 문턱 전압을 갖는 제너 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의 회로도는 도 6에 나타내었다. 상기 회로도의 예는 N형 실리콘 기판에 P형 물질을 확산시켜서 제작한 구조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 문턱전압 특성을 갖는 제너다이오드의 제조 공정 중, 콘택 홀 형성시에 사진 식각 공정을 요구하지 않아 포토마스크 공정을 1회 제거할 수 있고, 확산마스크로 사용된 절연막을 금속 층 사이의 층간 절연막으로 재 사용함으로써 층간 절연막 증착공정을 1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확산로에 노출되어 오염된 부분의 절연막을 식각공정에 의하여 제거하고 오염되지 않은 부분의 확산마스크를 절연막으로 사용함으로써 확산층과 금속라인과의 전기적 절연특성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a) 기판에 확산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확산마스크층이 형성된 기판에 불순물을 확산시키는 단계; (c) 상기 불순물이 확산된 기판을 건식 또는 습식 식각하여, 변성된 확산마스크 층과 확산마스크가 제거된 부분에 형성된 절연층을 함께 제거하는 단계; (d) 콘택홀이 형성된 기판에 금속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불순물은 N 형 또는 P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기판은 실리콘 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1020040106641A 2004-12-15 2004-12-15 자기정렬방식에 의한 양방향문턱전압 특성을 갖는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44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641A KR100644895B1 (ko) 2004-12-15 2004-12-15 자기정렬방식에 의한 양방향문턱전압 특성을 갖는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
US11/295,453 US7582537B2 (en) 2004-12-15 2005-12-07 Zener diode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nd packaging same
EP05292598A EP1672701B1 (en) 2004-12-15 2005-12-07 Method for fabricating and packaging Zener diodes
JP2005357036A JP2006186354A (ja) 2004-12-15 2005-12-09 ジェナーダイオード、その製造方法及びパッケージング方法
CNA2005101318154A CN1812059A (zh) 2004-12-15 2005-12-15 齐纳二极管及其制造和封装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641A KR100644895B1 (ko) 2004-12-15 2004-12-15 자기정렬방식에 의한 양방향문턱전압 특성을 갖는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43A KR20060067743A (ko) 2006-06-20
KR100644895B1 true KR100644895B1 (ko) 2006-11-15

Family

ID=3684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641A Expired - Lifetime KR100644895B1 (ko) 2004-12-15 2004-12-15 자기정렬방식에 의한 양방향문턱전압 특성을 갖는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44895B1 (ko)
CN (1) CN18120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66B1 (ko) * 2005-07-29 2006-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너 다이오드 제조 및 패키징 방법
CN117012860A (zh) * 2023-10-07 2023-11-07 青岛旭芯互联科技研发有限公司 光电二极管的制备方法及光电二极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839A (ja) 2000-01-28 2001-08-03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0839A (ja) 2000-01-28 2001-08-03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43A (ko) 2006-06-20
CN1812059A (zh)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7203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JP2006528435A (ja) イオン・インプラント・アイソレーションによるled製作
CN103077942B (zh) 半导体装置
JP2013073992A (ja) 半導体装置
CN102468246A (zh) 半导体元件及其制作方法
JP2010045216A (ja) 半導体装置
CN111697057A (zh) 半导体结构及其制造方法
KR101544974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644895B1 (ko) 자기정렬방식에 의한 양방향문턱전압 특성을 갖는제너다이오드의 제조방법
CN110911397B (zh) 半导体晶体管设备及其制造方法
TW201324729A (zh) 半導體裝置
JP7257982B2 (ja) 半導体装置
EP1672701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nd packaging Zener diodes
JP2007305906A (ja) ダイオード
KR100344707B1 (ko) 동작이 안정화된 반도체 장치의 보호회로
KR100617866B1 (ko) 제너 다이오드 제조 및 패키징 방법
US8580627B2 (en)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907341B2 (ja) サイリスタ
JP2549679B2 (ja) 半導体装置のパッド構造
TWI753751B (zh) 靜電放電保護裝置及其操作方法
TW201511225A (zh) 暫態電壓抑制元件及其製造方法
JPH0430194B2 (ko)
KR19980016287A (ko) 브레이크다운 전압증가시 보호회로의 제조방법
JPH05275687A (ja) プレ−ナ型二端子双方向性サイリスタ
JP4423855B2 (ja) 複合型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