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4563B1 -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the computer - Google Patents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the compu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4563B1
KR100644563B1 KR1019990035842A KR19990035842A KR100644563B1 KR 100644563 B1 KR100644563 B1 KR 100644563B1 KR 1019990035842 A KR1019990035842 A KR 1019990035842A KR 19990035842 A KR19990035842 A KR 19990035842A KR 100644563 B1 KR100644563 B1 KR 10064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base
list
folders
f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19444A (en
Inventor
정의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563B1/en
Publication of KR20010019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4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56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친숙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을 개시한다.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친숙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은, (a)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파일들을 분류하는데 기준이 되는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를 미리 정의하여 데이타베이스 툴을 만드는 단계, (b) 사용자가 파일을 등록시키길 원할 경우에, 데이타베이스 툴에서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위 폴더들 및 그 브랜치 폴더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선택된 크라이테리어에 파일을 등록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in a computer. A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a computer includes the steps of (a) creating a database tool by defining a plurality of criterions that are used to classify files owned by a user, and (b) allowing a user to register files. If desired, displaying, in the database tool, a list of top-level folders and branch fold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ryterias, (c) selecting at least one list by the user from the displayed list, and (d ) Registering the file with the selected criterion.

Description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친숙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User friendly database managing method in computer} User friendly database managing method in computer

도 1은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친숙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user 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in a computer.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면에서 파일 끌어놓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ragging and dropping a file in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화면에서 파일 끌어놓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dragging and dropping a file on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2.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화면위에 새로 디스플레이된 데이타베이스 뱅크 윈도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llustrates a newly displayed database bank window on the screen shown in FIG. 2.

도 6은 데이타베이스 뱅크 윈도우에서의 선택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lection in the database bank window.

도 7은 데이타베이스 뱅크 윈도우에서의 다른 선택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selection in the database bank window.

도 8은 데이타베이스 뱅크 윈도우에서 인에이블된 크라이테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iterion enabled in the database bank window.

본 발명은 데이타베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친근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b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a computer.

일반적으로 데이타를 관리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 툴(tool)들은 사용법의 복잡성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일반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적은 크기에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간편하면서 사용 목적에 맞도록 데이타베이스 관리 툴을 만들 필요가 있다.In general, database management tools that manage data are difficult for ordinary personal computer users to access due to the complexity of usage and the high cost. You need to create a database management tool that fits your needs while still being simple to use and small enough to meet your needs.

데이타베이스는 주로 단체나 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방대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편리하게 분류하여 저장한 자료의 집합이며, 필요한 시기에 빨리 검색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의 보조 기억 장치의 용량이 늘어나고, 가격이 내려감에 따라 일반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들도 수 기가에서 수십 기가 바이트에 이르는 기억 공간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다시 말해 일반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들도 방대한 데이타를 개인적인 필요에 의해 저장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일반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대부분의 용량을 차지하는 데이타는 주로 오락을 위한 영화, 비디오 칩, 음악 파일등의 멀티미디어 내용들이다. A database is a collection of data that is organized and conveniently classified and stored largely by a group or a company. It is a tool developed to search quickly when needed. Recently, as the capacity of the auxiliary storage device of a personal computer increases and the price decreases, general personal computer users also have a storage space ranging from several gigabytes to several tens of gigabytes. This means that even ordinary personal computer users can store vast amounts of data for personal needs. For the average user, most of the data comes from multimedia contents such as movies, video chips, and music files for entertainment.

이들 데이타들이 수 기가에서 수십 기가 바이트나 될 때에는 아무리 각각의 멀티미디어 내용들의 용량이 크다 할지라도 그들 데이타의 수는 역시 적지않을 것이다. 특히, MP3와 같은 음악 파일은 크기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수백곡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 많은 수의 데이타의 파일명들을 일반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들이 모두 기억하거나, 곡명이나 영화제목을 기억하여 모든 하드 드라이브 디렉토리를 직접 검색하여 원하는 파일명을 찾는다는 것은 사용자를 불편하게 만들 수도 있다.When these data range from a few gigabytes to tens of gigabytes, no matter how large each multimedia content is, the number of their data will also be small. In particular, music files such as MP3 are not very large and can store hundreds of songs. It can be inconvenient for the average personal computer user to remember all of these file names for a large amount of data, or to search the entire hard drive directory directly by remembering the song name or movie title to find the desired file name.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들은 윈도우즈 환경에서 탐색기의 폴더를 이용하여 자신의 하드 디스크에 있는 파일들을 관리한다. 이때, 사용자 자신이 만든 파일을 관리할 경우에 파일명을 쉽게 기억할 수 있겠지만, MP3와 같은 음악 파일이나 AVI등과 같은 동영상 칩과 같이 인터넷이나 그 밖의 외부 소스로 부터 얻은 파일인 경우에 모든 파일명을 기억하기는 어렵다. 특히, MP3와 같은 음악 파일인 경우에, 그 크기가 그리 크지않고, 매일 같이 여러 아티스트들로 부터 많은 곡들이 쏟아져 나오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좋아하는 곡들을 계속적으로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한다면 MP3 파일의 수는 적지않게 된다. Typically, personal computer users use Windows Explorer's folders to manage files on their hard disks. In this case, you can easily remember the file name when managing the file you created, but remember all the file names when the file is obtained from the Internet or other external sources such as music files such as MP3 or video chips such as AVI. Is difficult. Especially in the case of music files such as MP3, the size is not so big, and many songs are poured out from various artists every day, so if users keep their favorite songs on their personal computer continuously, The number is not small.

따라서, 이들 MP3 음악 파일들을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가 자신이 정한 폴더에 나누어 정리한다 해도 차후에 원하는 곡의 위치와 제목을 정확히 기억하지 못한다거나 혹은 어느 폴더에 곡이 있는지를 기억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찾고자 하는 곡을 찾기 위해 예상되는 폴더에서 아마도 수백개의 MP3 파일을 모두 스캔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사용자가 윈도우즈의 탐색기의 폴더를 이용하여 파일을 정리하는데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Thus, even if the MP3 music files are divided into folders defined by the personal computer user, they may not remember the location and title of the desired song later, or may not remember which folder contains the song. Also, the user will have to scan all of the hundreds of MP3 files in the expected folder to find the song he is looking for. As a result, it can be difficult for users to organize their files using Windows Explorer's folders.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종의 데이타를 관리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 툴이 필요하다. 그러나, 오라클(Oracle)이나 윈도우즈(Windows)사에서 제공하는 상용화된 데이타베이스 관리 툴들은 가격면에서, 사용상의 복잡성 측면에서 일반 사용자들에게 접근하기가 무척 어렵다. 따라서, 단순히 꼭 필요한 기능만을 가지고 사용자가 어떠한 스크립트 언어의 사용이나 기술적인 배경없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 스(GUI:Graphical User Interface)상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관리 툴이 필요하다. To solve this, you need a database management tool that manages some kind of data. However, commercially available database management tools provided by Oracle and Windows are very difficult to reach users in terms of price and complex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anagement tool that can be easily accessed from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ithout any scripting language or technical backgroun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데이타베이스 관리 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등록시킨 파일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친근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a computer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manage a file registered by a user using a simple database management tool.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친숙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in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파일들을 분류하는데 기준이 되는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를 미리 정의하여 데이타베이스 툴을 만드는 단계, (b) 사용자가 파일을 등록시키길 원할 경우에, 데이타베이스 툴에서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위 폴더들 및 그 브랜치 폴더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선택된 크라이테리어에 파일을 등록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edefining a plurality of cryterias that are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files owned by a user to create a database tool; and (b) in case the user wants to register a file, Displaying a list of top-level folders and branch folders corresponding respectively to (c) selecting at least one list from the displayed list by the user, and (d) registering a file with the selected criterion.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파일들을 분류하는데 기준이 되는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를 미리 정의하여 데이타베이스 툴을 만드는 단계, 사용자가 파일을 등록시키길 원할 경우에, 상기 데이타베이스 툴에서 상기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위 폴더들 및 그 브랜치 폴더들의 리 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크라이테리어에 상기 파일을 등록시키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ther task, a database tool is defined by defining a plurality of criterions that are used as a basis for classifying files owned by a user, and when the user wants to register a file, the database tool includes: Displaying at least one list of top-level folders and branch folder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riterions, the user selecting at least one list from the displayed list, and registering the file with the selected criterion. A recording medium storing executable program cod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친숙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f a 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은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친숙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user 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in a computer.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파일들을 분류하는데 기준이 되는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criteria)를 미리 정의하여 데이타베이스 툴을 만든다(제100단계).Referring to FIG. 1, first, a database tool is created by predefining a plurality of criterias which are criteria for classifying files owned by a user (step 100).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최근 인기가 있는 음악 전용 파일인 MP3 파일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수백곡 정도의 MP3 파일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자. 이 곡들은 일정 시간을 단위로 계속적으로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한 곡들일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향상 즐겨 찾는 몇몇 곡들의 경우는 예외겠지만, 이 곡들의 이름을 모두 외운다는 것은 아마도 불가능할 것이다.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 MP3 file, which is a music-only file, which is recently popular, is described as an example. Suppose a user has hundreds of MP3 files. These songs will be songs that you have stored on your personal computer over time. Thus, the user may be able to memorize all the names of the songs, except in the case of some songs he likes to enhance.

사용자에 친숙한 데이타베이스 관리 툴은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에 의해 구성되어진다. 음악 파일의 경우에, 도 1과 같이 미리 정의된 크라이테리어에 의해 곡들을 분류할 수 있다. A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too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riterions. In the case of a music file, the songs can be classified by a predefined criterion as shown in FIG.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데이타베이스 관리자를 나타낸다. 좌측은 일반적인 윈도우즈 탐색기 형태의 윈도우를 나타내고, 우측은 데이타베이스 윈도우를 나타낸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hows a database manager. The left side shows a general Windows Explorer type window, and the right side shows a database window.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로서 Album, Artist, Class, Mood, Situation 등이 가장 우측에 배열되어 있고, 선택 버튼이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크라이테리어를 선택할 수 있다. 각 선택 버튼을 누르면, 데이타베이스 윈도우의 오른쪽 위측에 있는 상위 폴더의 이름이 선택된 크라이테리어로 바뀐다. 도 2는 Album이 선택된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2, Album, Artist, Class, Mood, Situation, etc. are arranged on the far right as a plurality of cryterias, and a selection button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cryterrier. Pressing each select button changes the name of the parent folder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database window to the selected criterion.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album is selected.

또한, 하나의 크라이테리어에는 여러 종류의 서브 크라이테리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최상위 폴더인 Album에 대해 브랜치 폴더들로서 Promise, Tears in heaven, Unforgettable 등이 나타나있다. 사용자가 그 브랜치 폴더들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폴더에 등록된 모든 MP3 음악 파일의 제목이 도 4과 같이 디스플레이된다.In addition, one cryterrier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ubcriteries. Referring to FIG. 2, Promise, Tears in heaven, Unforgettable, and the like are shown as branch folders for the album, which is a top-level folder.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branch folders, the titles of all MP3 music files registered in the selected folder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데이타베이스를 관리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자의 초기 상태에서 우측 데이타베이스 윈도우의 트리 폴더의 구조에서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최상위 폴더는 사용자가 데이타베이스 관리자를 인스톨할 때 지정한 개인용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내의 한 디렉토리를 가리킨다. 물론, 최상위 폴더의 이름은 디폴트로 미리 정의되기도 하고, 사용자가 정의할 수도 있다. In the initial state of the database manager who manages the database, the top-level folder visible to the user in the tree folder structure of the right database window points to a directory on the hard disk of the personal computer that the user specified when installing the database manager. . Of course, the name of the top-level folder is either predefined by default or user-defined.

그리고, 데이타베이스 윈도우에서 나타나는 최상위 폴더에 포함되는 브랜치 폴더들의 일부는 디폴트로 사용자가 지정한 디렉토리내에 미리 정의된 이름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이름을 지정하여 생성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미리 정의된 폴더들을 데이타베이스 관리자가 채택하는 것은 크라이테리어에 의한 분류를 위한 것이므로, 기본 폴더가 된다.In addition, some of the branch folders included in the top-level folder displayed in the database window may be created with a predefined name in a directory designated by the user by default, or may be created by a user's arbitrary name. However, since the database manager adopts predefined folders for classification by criterion, it becomes the default folder.

이렇게 정해진 폴더들은 데이타베이스 툴을 개인용 컴퓨터상에 인스톨할 때 이미 생성되어 진다. 기본적으로, 도 2와 같이 좌측에 있는 윈도우즈 탐색기 형태의 윈도우는 개인용 컴퓨터내의 모든 디렉토리를 트리 폴더 형식으로 나타낸 것이며, 우측에 있는 데이타베이스 윈도우는 위에서 설명한 사용자 정의 디렉토리내의 트리 폴더의 구조이다. These folders are already created when you install the database tools on your personal computer. Basically, as shown in Fig. 2, the Windows Explorer-type window on the left shows all the directories in the personal computer in the form of a tree folder, and the database window on the right is the structure of the tree folder in the user-defined directory described above.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00단계 후에, 사용자가 파일을 등록시키길 원할 경우에(제102단계), 데이타베이스 툴에서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위 폴더들 및 그 브랜치 폴더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제104단계).Referring back to FIG. 1, after step 100, if the user wants to register a file (step 102), the database tool displays a list of top folders and branch fold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ryterias, respectively. (Step 104).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좌측에 있는 임의의 파일 예컨대, 곡명이 "Wonderful tonight"인 파일을 등록시키길 원할 경우에, 원하는 크라이테리어 또는 그 서브 크라이테리어에 대응하는 폴더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면, 도 3과 같이 해당 폴더를 선택하여 끌어놓기(drag & drop)를 행한다. Specifically, in the screen shown in Fig. 2, when the user wants to register any file on the left side, for example, a file whose song name is "Wonderful tonight", the folder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criterion or sub-criteria is displayed on the screen. If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rresponding folder is selected and dragged as shown in FIG. 3.

만일, 도 4에서 사용자가 좌측에 있는 임의의 파일을 등록시키길 원할 경우에, 원하는 크라이테리어 또는 그 서브 크라이테리어에 대응하는 폴더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있지 않으면, 최상위 폴더에 끌어놓기를 행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화면위에 새로운 윈도우인 데이타베이스 뱅크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된다. 새로운 윈도우는 데이타베이스 툴에서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위 폴더들 및 그 브랜치 폴더들의 리스트를 모두 디스플레이한다.If the user wants to register any file on the left side in Fig. 4, if the folder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criterion or its sub-criteria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dragging to the top folder is performed. Then, a database bank window, which is a new window, is displayed on the screen shown in FIG. The new window displays a list of all the top-level folders and their branch folders, each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riterions, in the database tool.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104단계 후에 디스플레이된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스트를 선택한다(제106단계). Referring back to FIG. 1, the user selects at least one list from the list displayed after step 104 (step 106).

도 6은 데이타베이스 뱅크 윈도우에서의 선택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election in the database bank window.

도 6과 같이 사용자가 등록시키고자 하는 파일에 해당한 곡명 예컨대 "Wonderful tonight"이 좌측 상단에 디스플레이된다. 각각의 6개의 크라이테리어들의 내용중에서 사용자가 곡명이 속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브랜치 폴더들의 리스트를 클릭하여 선택한다. 만일, 사용자가 6개의 크라이테리어중에서 해당 리스트를 클릭하지 않고 선택을 스킵할 경우에 이 곡은 해당 크라이테리어에 등록되지 않는다. 따라서, 등록된 파일을 이후에 검색할 시에, 선택되지 않은 크라이테리어의 어떠한 리스트를 선택하여도 곡명을 볼 수 없다. As shown in FIG. 6, a song name corresponding to a file to be registered by the user, for example, "Wonderful tonight" is displayed on the upper left. From the contents of each of the six criterions, the user clicks to select a list of branch folders that he thinks is appropriate for the song name. If the user skips the selection among six criterions without clicking the list, the song is not registered in the criterion. Therefore, when searching for a registered file later, no song name can be viewed even if any list of non-selected criterions is selected.

제106단계 후에, 선택된 크라이테리어에 파일을 등록시킨다(제108단계). 이후에, 사용자가 등록시킨 파일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에,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중 해당하는 크라이테리어를 모두 선택하여 다중 검색할 수 있다(제110단계).After step 106, the file is registered in the selected criterion (step 108). Subsequently, when a user wants to search for a file registered by the user, all of the corresponding cryterias may b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cryterors and searched in multiple times (step 110).

전술한 바에 의하면, 도 2에서 사용자가 크라이테리어를 나타내는 가장 우측의 선택 버튼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데이타베이스 윈도우의 트리 폴더의 최상위 폴더가 선택된 크라이테리어가 된다. 또한, 그 크라이테리어의 내부 내용을 나타내는 브랜치 폴더들이 나타난다. 이때, 사용자가 그들 폴더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내용에 등록된 모든 음악 파일들의 리스트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만일 사용자가 좌측의 탐색기 형태의 윈도우에서 트리 폴더내의 음악 화일을 바로 우측의 크라이테리어에 대응한 폴더에 끌어놓기를 할 경우에, 도 3의 크라이테리어의 내용을 선택하는 윈도우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파일을 드롭한 크라이테리어의 내용만이 도 7 및 도 8과 같이 인에이블되고, 나머지 부분은 디스에이블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when the user selects the rightmost selection button representing the criterion in Fig. 2, the top folder of the tree folder of the database window becomes the selected criterion. In addition, branch folders appear that represent the internal contents of the Criteria. At this time, if the user selects one of those folders, a list of all music files registered in the contents is displayed. In addition, in FIG. 2, if a user drags and drops a music file in a tree folder to a folder corresponding to the right Cryterrier in the Explorer window on the left side, in the window for selecting the content of the Critery in FIG. Only the contents of the criterion in which the user has dropped the selected file are enabled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the remaining parts are disabled.

만일, 사용자가 좌측 윈도우에서 선택된 파일을 우측 윈도우에서의 크라이테리어의 내용중 하나를 나타내는 브랜치 폴더에 끌어놓기 한다면, 선택된 파일을 바로 드롭한 크라이테리어의 내용에만 등록된다. If the user drags a file selected in the left window to a branch folder representing one of the contents of the cry terrier in the right window, it is registered only in the contents of the cry terrier that immediately dropped the selected fi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에 친숙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은, 갈수록 늘어가는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간단한 데이타베이스 관리 툴을 이용하여 손쉽게 관리할 수 있고, 차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크라이테리어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찾는 곡이나, 사용자가 원하는 상황에 어울리는 곡들의 리스트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컴퓨터상에 중복적으로 같은 파일을 저장하는 것을 막아 메모리 용량측면에서 이익을 가져다 주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anage the ever-increasing multimedia files using a simple database management tool, and by selecting the desired criterion later, It is easy to select a song or a list of songs to suit the user's desired situation,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erms of memory capacity by preventing the user from repeatedly storing the same file on the computer.

Claims (5)

컴퓨터에서의 사용자에 친숙한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에 있어서,In a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a computer, (a) 파일들을 분류하는데 기준이 되는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를 미리 정의하여 데이타베이스 툴을 생성하는 단계;(a) creating a database tool by defining a plurality of cryterias which are criteria for classifying files in advance; (b) 상기 데이타베이스 툴에서 상기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위 폴더들 및 그 브랜치 폴더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b) displaying, in the database tool, a list of top-level folders and branch folde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ryterias, respectively; (c)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c) selecting at least one list from the displayed lists; And (d) 상기 선택된 크라이테리어에 상기 파일을 등록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d) registering the file with the selected criter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에,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fter step (d), 사용자가 등록시킨 파일을 찾고자 할때,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중 해당하는 크라이테리어를 모두 선택하여 다중 검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When searching for a file registered by the user, the databas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search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all of the corresponding criterion of the plurality of criter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a), (a1) 데이타베이스를 관리하는 소정의 데이타베이스 관리자를 인스톨할때, 기본적으로 소정수의 크라이테리어를 미리 정의하는 단계; 및(a1) when installing a predetermined database manager for managing a database, basically defin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criterions in advance; And (a2) 임의의 크라이테리어를 추가적으로 미리 정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 (a2) A method for managing a database, comprising the step of additionally defining an arbitrary cryterr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b), (b1) 컴퓨터 화면상에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분류되지않은 파일들을 보여주는 일반적인 윈도우즈 탐색기 형태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b1) displaying a window in the form of a general Windows Explorer showing unclassified files possessed by a user on a computer screen; And (b2) 상기 윈도우와 함께, 상기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최 상위 폴더들 및 그 브랜치 폴더들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새로운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베이스 관리방법.and (b2) displaying, together with the window, a new window showing a list of the highest folders and branch folder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ryterias. 파일들을 분류하는데 기준이 되는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를 미리 정의하여 데이타베이스 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타베이스 툴에서 상기 복수개의 크라이테리어에 각각 대응하는 최상위 폴더들 및 그 브랜치 폴더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스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크라이테리어에 상기 파일을 등록시키는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Creating a database tool by predefining a plurality of criterions that are used to classify files, and displaying a list of top-level folders and branch folder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riterions, respectively, in the database tool; And storing program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to select at least one list from among the displayed lists and to register the file with the selected criterion.
KR1019990035842A 1999-08-27 1999-08-27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the computer Expired - Fee Related KR100644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842A KR100644563B1 (en) 1999-08-27 1999-08-27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the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5842A KR100644563B1 (en) 1999-08-27 1999-08-27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the compu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444A KR20010019444A (en) 2001-03-15
KR100644563B1 true KR100644563B1 (en) 2006-11-13

Family

ID=1960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8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4563B1 (en) 1999-08-27 1999-08-27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the compu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5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208274B2 (en) * 2003-01-28 2007-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edia file databa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443A (en) * 1998-01-13 1999-08-05 윤종용 How to Manage Files and Directories on Your Compute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5443A (en) * 1998-01-13 1999-08-05 윤종용 How to Manage Files and Directories on Your Comput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444A (en)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8750B2 (en)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toring, searching, navigating, and retrieving electronic information
US7162488B2 (en)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toring, searching, navigating, and retrieving electronic information
JP4685186B2 (en) A file system for displaying items from different types and different physical locations
Cutrell et al. Fast, flexible filtering with phlat
RU2424567C2 (en) Round-robin type control for navigating and assigning metadata
KR101137057B1 (en) Property metadata navigation and assignment
US20060242122A1 (en)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toring, searching, navigating, and retrieving electronic information
TWI363295B (en) File system shell
KR100996763B1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virtual folders
US91587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mposing album and managing cover image of album
JP2006514377A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nd organizing items based on common elements
MXPA04006410A (en) File system shell.
US20110138330A1 (en) Display of relational datasets
US7720882B2 (en) Data file management and search method and system based on file attributes
KR100644563B1 (en) User-friendly database management method on the computer
KR100608066B1 (en) How to Retrieve Audio Data Files
JP2006502492A (en)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torage device that allow user to operate user interface
Eagle Media Manager
KR20070072356A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content and display method and device
Otnes Checking Out Libraries
Moran et al. Working with Files and Folders
Robbins et al. Fast, Flexible Filtering with Phlat—Personal Search and Organization Made Easy
Mayers et al. Using the Finder
HK1186267B (en) System for filtering and organizing items based on common elements
HRP20040440A2 (en) File system sh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