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714B1 - Chip separator - Google Patents
Chip sepa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3714B1 KR100643714B1 KR1020050015510A KR20050015510A KR100643714B1 KR 100643714 B1 KR100643714 B1 KR 100643714B1 KR 1020050015510 A KR1020050015510 A KR 1020050015510A KR 20050015510 A KR20050015510 A KR 20050015510A KR 100643714 B1 KR100643714 B1 KR 100643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ip
- tape
- wafer
- separated
- adsorp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36 epoxy molding compoun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칩으로 절삭된 웨이퍼에서 각 칩이 부착된 테이프로부터 칩을 분리시키기 위한 칩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칩으로 분리되어 하면에 테이프가 부착된 웨이퍼가 안착되며, 칩의 외형에 대하여 다소 확장된 형상의 적출홈이 형성되는 테이블이 마련되며, 웨이퍼의 상측에 위치하여 칩과 칩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테이프를 분리시키고, 상기 칩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픽업헤드가 마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p separating apparatus for separating chips from a tape to which each chip is attached in a wafer cut into individual chips.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separated into each chip is a wafer with a tap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is seated, the table is provided with an extraction groove of a somewhat expanded shape with respect to the outer shape of the chip is provided,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fer and The pickup head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hips to separate the tape, and the suction and movement of the chips is provid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칩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hip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칩 분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hip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칩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작동도이다.3A to 3C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hip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분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hip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웨이퍼1: wafer
2 : 칩2: chip
3 : 테이프3: tape
100 : 칩 분리장치100: chip separator
120 : 테이블120: table
122 : 적출홈122: extraction home
140 : 픽업헤드140: pickup head
142 : 칩 흡착콜릿142: chip adsorption collet
144 : 흡착헤드144: adsorption head
146 : 테이프 분리툴146: Tape Separation Tool
148 : 칼럼148: column
본 발명은 칩 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칩본딩을 수행하기 위해서 개별 칩으로 절삭된 웨이퍼에서 각 칩이 부착된 테이프로부터 칩을 분리시키기 위한 칩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은 크게 웨이퍼(Wafer)의 표면에 집적회로(IC ; Integrated Circuit)를 형성하는 전공정(Fabrication)과 각 집적회로를 패키지(Package)와 같은 개개의 소자로 조립하는 후공정(Assembly)으로 구분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is largely a fabrication process for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IC) on the surface of a wafer and a post-process for assembling each integrated circuit into individual elements such as a package. It can be divided into (Assembly).
후공정은, 다시 칩을 리드프레임 등과 같은 부재 위로 부착하는 다이 본딩(Die bonding) 공정과, 각 칩과 리드프레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공정, 및 칩을 포함한 전기적 연결 영역을 에폭시 몰딩 컴파운드(EMC ; Epoxy Molding Compound)와 같은 성형수지(Molding resin)로 밀봉하는 몰딩(Molding)공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post-process includes a die bonding process of attaching the chip onto a member such as a lead frame, a wire bonding process of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chip and the lead frame,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area including the chip. It may be classified into a molding process of sealing with a molding resin such as an epoxy molding compound (EMC).
한편, 상술한 공정 중 다이 본딩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웨이퍼 상태의 칩을 각각의 칩으로 분리하는 절삭공정을 거친다. 이후, 각각의 칩으로 분리된 각 칩을 고정하고 있는 테이프에서 선택된 칩을 분리하는 칩 분리 공정을 거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die bonding step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a cutting step of separating the chip of the wafer state into each chip. Thereafter, a chip separation process of separating the selected chip from the tape fixing each chip separated into each chip is performed.
여기서, 웨이퍼 상태로는 칩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테이프가 부착된 웨이퍼 링에 웨이퍼를 부착한 상태로 웨이퍼는 취급된다.Here, since the chip is not easily handled in the wafer state, the wafer is usually handled in a state where the wafer is attached to the wafer ring on which the tape is attach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칩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hip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칩 분리장치(10)는, 개별 칩(2)으로 분리된 웨이퍼(1)가 안착되는 테이블(미도시)과, 상기 테이블에 안착된 상기 웨이퍼(1)에서 적출할 칩(2)을 승강시키는 플런저 핀홀더(13)와, 상기 플런저 핀홀더(13)에 의해 승강된 칩(2)을 이송시키는 칩 흡착콜릿(11)과, 상기 웨이퍼(1)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3)를 흡착하여 플런저 핀홀더(13)가 승강할 때 칩(2)에 부착된 테이프(3)를 흡착하는 테이프 흡착블록(15)이 마련된다.As illustrated, the
여기서, 상기 플런저 핀홀더(13)의 상측에는 칩(2)의 하면에 접하여 칩(2)을 승강시키는 플런저 핀(14)이 마련된다. 상기 칩 흡착콜릿(11)의 단부에는 칩(2)에 접하여 상기 칩 흡착콜릿(11)의 진공압력에 의해 칩(2)을 흡착시키는 흡착헤드(12)가 마련된다. 상기 테이프 흡착블록(15)에는 상기 테이블에 안착된 상기 웨이퍼(1)의 테이프(3)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흡착홀(16)이 마련된다. Here, the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칩 분리장치(1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먼저 개별 칩(2)으로 절삭되어진 상기 웨이퍼(1)가 상기 플런저 핀홀더(13)의 상측에 위치하면, 상기 플런저 핀홀더(13)가 상승하여 상기 웨이퍼(1)로부터 하나의 칩(2)을 분리한다. First, when the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플런저 핀홀더(13)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플런 저 핀홀더(13)의 상기 플런저 핀(14)이 분리할 칩(2)의 테이프(3) 부분을 밀어 올린다. 동시에 상기 테이프 흡착블록(15)의 상기 흡착홀(16)을 통하여 진공 흡입력으로 칩(2) 아래의 테이프(3) 부분을 흡착하여 칩(2)으로부터 테이프(3)를 분리시킨다.In more detail, when the
이후, 칩 흡착콜릿(11)에 마련된 흡착헤드(12)의 진공 흡입력으로 플런저 핀(14)에 의해 분리된 칩(2)을 흡착하여 다음 공정이 이루어질 장소로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칩 분리 장치(10)는, 플런저 핀(14)들이 칩(2)의 특정 부분에 점 접촉하여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밀어 올리는 방식이다. 즉, 플런저 핀(14)들과 접촉되는 칩(2)에 국부적인 응력집중이 발생한다. 따라서 칩(2)에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져 칩(2)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최근 칩(2)의 형태가 경박단소(輕薄短小)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칩(2)의 파손이 심각하게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그리고, 웨이퍼(1) 상의 칩(2)들을 순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테이블 혹은 플런저 핀홀더(13)가 별도의 구동부(미도시)를 가져야 하며, 테이블 밑면이 관통되어야 하므로 테이블의 형상, 구동의 제한 등 기구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equentially separate the
또한, 플런저 핀(14)으로 밀어 올려지는 부분에 대응되는 칩(2)의 밑면에 플런저 핀(14)에 의한 압력에 의해 테이프(3)의 접착제가 묻어나와 칩(2)의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웨이퍼에서 칩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칩의 특정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to the chip due to the concentration of stress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chip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hip from the waf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런저 핀 및 테이블의 구동부분을 없앰으로써 장비의 단순, 소형화 구현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and miniaturize the equipment by eliminating the driving portion of the plunger pin and the tabl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이퍼에서 칩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테이프의 접착제에 의해 칩의 밑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chip is contaminated by the adhesive of the tap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hip from the waf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칩 분리장치는, 각각의 칩으로 분리되어 하면에 테이프가 부착된 웨이퍼가 안착되며, 상기 칩의 외형에 대하여 다소 확장된 형상의 적출홈이 형성되는 테이블과, 상기 웨이퍼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칩과 칩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테이프를 분리시키고, 상기 칩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픽업헤드가 마련된다. In the chip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able is separated into each chip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fer with a tape attached, the extraction groove of the shape is somewhat extended with respect to the outer shape of the chip is formed table And a pickup head positioned above the wafer and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chip and the chip to separate the tape and adsorb and move the chip.
또한, 상기 적출홈은 상기 칩과 상기 칩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삭공간보다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xtraction groove is preferably extended to the cutting space formed on the chip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hip.
또한, 상기 적출홈의 하면에서 연장 돌출되어 상기 웨이퍼의 칩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xtraction groove to support the chip of the wafer is formed.
또한, 상기 픽업헤드는, 상기 칩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칩 흡착콜릿과, 상 기 칩 흡착콜릿에 결합되어 상기 칩에 부착된 테이프를 분리하는 테이프 분리툴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ickup hea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hip adsorption collet for adsorbing and moving the chip, and a tape separation tool coupled to the chip adsorption collet to separate the tape attached to the chip.
또한, 상기 칩 흡착콜릿은 진공압 형성수단에 의해 진공압이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칩의 상면에 접하여 상기 칩을 흡착하는 흡착헤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hip adsorption collet is vacuum pressure is formed by the vacuum pressure forming means, it is preferable that the adsorption head for adsorbing the chip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hip at the end.
또한, 상기 테이프 분리툴의 하면에 상기 칩과 칩의 사이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칩에 부착된 테이프를 분리하는 다수의 칼럼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tape separation tool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lumn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hip and the chip to separate the tape attached to the chi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칩 분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hip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defined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us, limit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칩 분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hip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칩 분리장치(100)는, 테이프(3) 상에 부착되어 개별 칩(2) 상태로 분리되는 웨이퍼(1)와, 상기 웨이퍼(1)가 안착되는 테이블(120)과, 상기 테이블(120)에 안착된 상기 웨이퍼(1)에서 상기 칩(2)을 분리하는 픽업헤드(140)가 마련된다.As shown, the
상기 웨이퍼(1)는, 칩 절삭공정에 의해 각각의 칩(2)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칩(2)의 관리를 위하여 웨이퍼(1) 및 칩(2)의 하면에 테이프(3)가 붙여진 상태로 취급된다. The
상기 테이블(120)에는, 상기 테이블(120)에 안착되는 상기 칩(2)의 외형에 대하여 다소 확장된 형상의 적출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적출홈(122)은 상기 칩(2)과 상기 칩(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삭공간보다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able 120, an
상기 픽업헤드(140)는, 절삭되어 분리된 상기 칩(2)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칩 흡착콜릿(142)이 마련된다. 상기 칩 흡착콜릿(142)은 별도의 진공압 형성수단(미도시; 예를 들어, 진공펌프 등)에 의해 진공압이 형성된다. 상기 흡착콜릿(142)의 단부에는 상기 칩(2)의 상면에 접하여 형성된 진공압에 의해 상기 칩(2)을 흡착하는 흡착헤드(144)가 마련된다.The
상기 칩 흡착콜릿(142)에는 분리된 상기 칩(2)에 부착된 테이프(3)를 분리시키는 테이프 분리툴(146)이 마련된다. 상기 테이프 분리툴(146)은 상기 흡착헤드(144)의 상측 상기 칩 흡착콜릿(142)에 장착된다. 상기 테이프 분리툴(146)은 별도의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칩 흡착콜릿(142)에 대하여 이동가능 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The
상기 테이프 분리툴(146)의 하면에는 상기 칩(2)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3)를 하향 가압하여 분리하는 칼럼(148)이 형성된다. 상기 칼럼은 상기 칩(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절삭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칩(2)의 하면에 부착된 상기 테이프(3)를 분리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칼럼(148)은 상기 칩(2)의 양측 또는 상기 칩(2)의 사방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칩 분리장치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 다.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the chip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칩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작동도이다.3A to 3C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hip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각각의 칩(2)으로 절삭되어 분리된 상기 웨이퍼(1)가 웨이퍼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이동되면서 상기 웨이퍼(1)에서 적출될 칩(2)이 테이블(120)에 형성된 적출홈(122)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First, the
이때, 상기 적출홈(122)에 위치한 상기 칩(2)은 상기 칩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3)가 상기 적출홈(122)의 상부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적출홈(122)의 하면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At this time, the
이후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출홈(122)에 안착된 칩(2)의 상면에서 상기 픽업헤드(140)가 하강한다. 이때 하강하는 픽업헤드(140)의 테이프 분리툴(146)에 의해 칩(2)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3)가 분리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3A, the
자세하게는 테이프 분리툴(146)의 하면에 형성된 칼럼(148)이 칩을 절삭하면서 형성된 절삭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칩(2)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3)를 분리하기 시작한다. In detail, the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헤드(140)가 더욱 하강함에 따라 상기 테이프 분리툴(146)의 상기 칼럼(148)에 의해 칩(2)의 하부에 부착된 테이프(3)가 점차 분리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3B, the
또한, 상기 분리툴(146)과 같이 하강하는 상기 픽업헤드(140)의 상기 칩 흡착콜릿(142)이 상기 적출홈(122)에 위치하는 칩(2)의 상면을 흡착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칩 흡착콜릿(142)의 단부에 마련된 상기 흡착헤드(144)가 상기 칩 흡착콜릿(142)에 형성된 진공압에 의해 칩(2)의 상면에 흡착된다. In addition, the
이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칩 흡착콜릿(142)에 칩(2)이 흡착되면 상기 픽업헤드(140)가 승강한다. 상기 픽업헤드(140)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픽업헤드(140)의 상기 칩 흡착콜릿(142)에 흡착된 칩(2)이 승강된다.Thereafter, as illustrated in FIG. 3C, when the
이때, 승강되는 칩(2)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3)는 상기 흡착콜릿(142)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칩(2)의 하면에 부착된 상기 테이프(3)의 나머지 부분이 분리된다.At this time, the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분리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적출홈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chip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and the extraction groove, which is a main part of the other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분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hip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칩 분리장치(100)의 적출홈(122a)은 상기 적출홈(122a)의 하면에서 연장 돌출되어 상기 테이블(120)에 안착된 상기 웨이퍼(1)의 칩을 지지하는 지지돌기(124)가 형성된다.As shown, the
상기 지지돌기(124)는 상기 칩(2)의 하면 중심에 접하는 돌기 또는 상기 칩(2)의 하면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접하는 리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상기 지지돌기(124)의 상면에는 별도의 진공압 형성수단(미도시; 예를 들어, 진공펌프 등)에 연결되어 흡착력을 형성하는 테이프 흡착홀(126)이 형성된다. 상기 흡착홀(126)은 상기 적출홈(122a)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칩(2)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3)를 흡착하여 고정도록 마련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이에 따라, 테이프 분리툴(146)의 하면에 형성된 칼럼(148)이 칩(2)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3)를 분리할 때 상기 지지돌기(124)가 상기 칩(2)의 하면을 지지하여 상기 칩(2)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테이프(3)의 분리를 보조한다. Accordingly, when the
또한, 상기 칩 흡착콜릿(142)이 상기 적출홈(122a)에 안착된 칩(2)의 상면을 흡착한 후, 승강할 때 상기 칩(2)의 하면에 부착된 테이프(3)는 상기 지지돌기(124)에 형성된 상기 흡착홀(126)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칩(2)의 하면에서 분리된다. In addition, after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invention. Therefore, changes in the futu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칩 분리장치에 따르면, 웨이퍼에서 칩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칩의 특정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웨이퍼에서 칩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테이프의 접착제에 의해 칩의 밑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ip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ress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chip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hip from the wafer, thereby preventing the chip from being damaged.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chip from the waf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hip by the adhesive of the tap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5510A KR100643714B1 (en) | 2005-02-24 | 2005-02-24 | Chip sepa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15510A KR100643714B1 (en) | 2005-02-24 | 2005-02-24 | Chip sepa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4387A KR20060094387A (en) | 2006-08-29 |
KR100643714B1 true KR100643714B1 (en) | 2006-11-10 |
Family
ID=3760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55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3714B1 (en) | 2005-02-24 | 2005-02-24 | Chip sepa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371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0525B1 (en) * | 2015-01-12 | 2016-07-19 |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 Pick and placement device |
KR101675915B1 (en) * | 2016-02-26 | 2016-11-14 | (주) 에스에스피 |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picking up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 pick and place including guiding means, and a method using it. |
KR102130475B1 (en) * | 2019-11-21 | 2020-07-06 | 제너셈(주) | Picker structure and package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2531B1 (en) * | 2012-05-21 | 2013-10-28 | 세메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icking up semiconductor devices |
JP6341641B2 (en) * | 2013-08-09 | 2018-06-13 | ファスフォードテクノロジ株式会社 | Die bonder |
KR102467355B1 (en) * | 2021-03-25 | 2022-11-16 | 주식회사 디플랫 | loading method of micro LE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0820U (en) * | 1996-10-16 | 1998-07-15 | 김영환 | Bad Tape Carrier Package Remover |
KR20010019114A (en) * | 1999-08-25 | 2001-03-15 | 윤종용 | Apparatus for separating chip |
-
2005
- 2005-02-24 KR KR1020050015510A patent/KR1006437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20820U (en) * | 1996-10-16 | 1998-07-15 | 김영환 | Bad Tape Carrier Package Remover |
KR20010019114A (en) * | 1999-08-25 | 2001-03-15 | 윤종용 | Apparatus for separating chip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020010019114 *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0525B1 (en) * | 2015-01-12 | 2016-07-19 |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 Pick and placement device |
KR101675915B1 (en) * | 2016-02-26 | 2016-11-14 | (주) 에스에스피 |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picking up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multi pick and place including guiding means, and a method using it. |
KR102130475B1 (en) * | 2019-11-21 | 2020-07-06 | 제너셈(주) | Picker structure and package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4387A (en) | 2006-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6512B1 (en) | Method and device of peeling semiconductor device | |
US8499813B2 (en) | System for separating a diced semiconductor die from a die attach tape | |
KR20070120319A (en) | Disclosed is a semiconductor chip detachment device having a pair of ejectors and a method of detaching and attaching a semiconductor chip using the same | |
CN10497924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aching chip | |
KR20180112489A (en) | Substrate supporting member and method of de-chucking substrate thereof | |
KR100643714B1 (en) | Chip separator | |
CN107731723B (en) | Bare core liftout attachment | |
KR101322516B1 (en) | Method of ejecting a die from a wafer, die ejecting unit and die bon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20200042329A (en) | A die ejecting apparatus | |
KR102068358B1 (en) | Semiconductor die detachment apparatus | |
KR20150021599A (en) | Phosphor Film Pick-up Apparatus for LED Chip | |
US20240128098A1 (en) | Expander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 |
KR101395536B1 (en) | Collet module for pick-up semiconductor die | |
CN116457926B (en) | Pick-up device for semiconductor bare die | |
KR102336914B1 (en) | Die ejector and die transf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1435253B1 (en) | Method of ejecting a die from a wafer, die ejecting unit and apparatus of picking up a die | |
KR20010019114A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chip | |
KR101758697B1 (en) | Pick-up Apparatus for semiconductor chip | |
KR100505340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ick up semiconductor chip | |
KR101015027B1 (en) | Chip picking up method | |
KR100933461B1 (en) | Semiconductor chip bonding equipment including leaf spring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1033771B1 (en) | Die bonding equipment and pick-up method by sequential vacuum adsorption method | |
KR20200048995A (en) | Method of setting height of die ejector | |
KR102786132B1 (en) | Die ejector | |
CN220341197U (en) | Wafer adsorption device and wafer process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