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3650B1 -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650B1
KR100643650B1 KR1020050037973A KR20050037973A KR100643650B1 KR 100643650 B1 KR100643650 B1 KR 100643650B1 KR 1020050037973 A KR1020050037973 A KR 1020050037973A KR 20050037973 A KR20050037973 A KR 20050037973A KR 100643650 B1 KR100643650 B1 KR 100643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cooking vessel
rim
pot
fitti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5507A (ko
Inventor
양성원
Original Assignee
양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원 filed Critical 양성원
Priority to KR102005003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650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65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21D51/2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pots, e.g. for co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와 링 모양의 테두리를 각각 제작하여 몸체에 테두리를 끼우고 한번의 프레스 작업만으로 테두리가 몸체 중간에 견고히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부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의 하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삽입홈에 상단부가 끼워지는 이격고정부가 끼움공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테두리 부재와; 상기 몸체를 끼움공에 끼워 이격고정부의 상단부가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테두리 부재의 하단 부위로 부터 외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프레스 작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조리용기, 솥 형태

Description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 제조공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절곡부
12 : 삽입홈 20 : 테두리 부재
21 : 끼움공 22 : 이격고정부
본 발명은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와 링 모양의 테두리로 각각 제작하여 몸체에 테두리를 끼우고 한번의 프레스 작업만으로 테두리가 몸체 중간에 견고히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몸체의 외주연부에 링모양의 테두리가 형성된 조리용기는 형틀에 쇳물을 부어 주조하는 방식의 주물로 제작되었으나 이것은 주조 기술의 특성상 주물의 두께가 두껍고 완성된 조리용기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법랑 코팅 작업을 할 수 없었으며, 별도의 작업후 법랑 코팅을 하였다고 하여도 주물 조리용기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아 가열시 코팅된 법랑이 쉽게 벗겨지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종래에도 이러한 주물 방식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와 링 모양의 테두리를 각각 제작하여 몸체에 테두리를 끼운 상태에서 이를 용접하여 일체화 시키거나 테두리가 끼워진 부위의 몸체를 성형하여 테두리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안이 제안되었다.
그러한 테두리를 몸체에 용접하는 방식은 작업이 번거롭고 소형 용기에는 적용할 수 없었으며, 몸체에 테두리를 고정시키는 방식은 조리용기를 대량 생산하는 방식에는 적용할 수 없는 이론적이고 도식적인 제안으로 테두리 아랫부분이 불룩한 솥 본래의 형태를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몸체와 링 모양의 테두리를 각각 제작하여 몸체에 테두리를 끼우고 한번의 프레스 작업만으로 테두리가 몸체 중간에 견고히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부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의 하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삽입홈에 상단부가 끼워지는 이격고정부가 끼움공으로부터 돌출형성된 테두리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끼움공에 끼워 이격고정부의 상단부가 삽입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테두리부재의 하단 부위로부터 외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우레탄 프레스 작업하여 테두리부재의 끼움공 부위가 몸체에 걸려 빠지지 않게 하는 부분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용기는 상부에 절곡부(11)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11)의 하부에는 삽입홈(12)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삽입홈(12)에 상단부가 끼워지는 이격고정부(22)가 끼움공(2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테두리 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격고정부(22)는 끼움공(2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삽입홈(12)에 끼워짐으로써 테두리 부재(20)의 링(솥전)부분이 몸체(10)의 중간에 놓이도록 하는 역활을 하며, 절곡부(11)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12)은 상기 이격고정부(22)를 잡아줌으로써 테두리 부재(20)가 몸체(10)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테두리 부재(20)의 끼움공(21)은 몸체(10)에 억지로 끼워지는 공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를 끼움공(21)에 끼워 이격고정부(22)의 상단부가 삽입홈(12)에 끼워지도록 결합한후 상기 몸체(10)가 테두리 부재(20)의 하단 부위로 부터 외향으로 볼록하게 형성 되도록 프레싱 작업하여 테두리 부재(20)의 끼움공(21) 부위가 몸체(10)에 걸려 빠지지 않게 하는 부분(13)을 자연스럽게 형성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리용기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싱 작업에 사용되는 프레스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내부를 가압하는 상형(31)이 우레탄 재질로 프레싱력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공지의 것으로 일정한 직경의 몸체(10)를 볼록한 하형(32)에 따라 프레스 함으로써 몸체(10)는 솥전 하부가 볼록한 솥과 같이 형성되고 이에따라 테두리 부재(20)가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잡아 주는 부분(13)도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조리용기는 주물로 제작된 솥과 같이 하부가 볼록한 형태를 갖게 되며 몸체(10)에 결합된 테두리 부재(20)는 이격고정부(22)가 삽입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부분(13)에 걸리는 상태로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용기 제조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정한 직경을 갖는 몸체(10)의 상부에 절곡부(11)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11)의 하부에는 삽입홈(12)을 형성하는 몸체 성형 단계; 끼움공(21)으로 부터 상 기 삽입홈(12)에 끼워지는 이격고정부(22)를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 성형 단계; 상기 몸체(10)를 끼움공(21)에 끼워 이격고정부(22)의 상단부가 삽입홈(12)에 끼워지도록 하는 결합 단계; 결합된 테두리 부재(20) 하부의 몸체(10)를 우레탄 프레스에 의해 볼록하게 프레싱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몸체 성형 단계와 테두리 부재 성형 단계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0)와 테두리 부재(20)는 별도로 보관 및 운송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부재(20)는 몸체(10)에 억지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이격고정부(22)의 높이만큼 몸체(10)의 상부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하부를 볼록하게 프레싱하는 프레스 장치는 상형(31)이 우레탄 재질로 외력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원래상태로 복원되는 것이고 하형(32)은 프레싱될 몸체(10)의 볼록한 형상을 갖고 있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내용물이 담기는 조리용기의 몸체와 손잡이 역활을 하는 테두리 부재를 별도로 제작한후 몸체에 테두리 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몸체의 하부를 볼록하게 프레싱하여 완성된 조리용기가 주물로 제작된 솥과 같이 아랫 부분이 볼록한 형태를 갖도록 함은 물론 한 번의 프레싱 작업으로 테두리 부재가 몸체에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게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해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범위내에서 당해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상부에 절곡부(11)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11)의 하부에는 삽입홈((12)이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삽입홈(12)에 상단부가 끼워지는 이격고정부(22)가 끼움공(21)으로부터 돌출형성된 테두리부재(20);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를 끼움공(21)에 끼워 이격고정부(22)의 상단부가 삽입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10)가 테두리부재(20)의 하단 부위로부터 외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우레탄 프레스 작업 하여 테부리부재(20)의 끼움공(21)부위가 몸체(10)에 걸려 빠지지 않게 하는 부분(1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
  2. 삭제
KR1020050037973A 2005-05-06 2005-05-06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 Expired - Lifetime KR100643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973A KR100643650B1 (ko) 2005-05-06 2005-05-06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973A KR100643650B1 (ko) 2005-05-06 2005-05-06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507A KR20060115507A (ko) 2006-11-09
KR100643650B1 true KR100643650B1 (ko) 2006-11-14

Family

ID=3765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973A Expired - Lifetime KR100643650B1 (ko) 2005-05-06 2005-05-06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46B1 (ko) * 2021-03-12 2021-12-21 원소정 싱크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10U (ko) * 1997-05-30 1998-12-05 은금자 솥전이 분리가공된 솥
KR20000015749U (ko) * 1999-01-07 2000-08-05 임경한 취사용 솥
KR200249195Y1 (ko) 2001-07-13 2001-10-19 정영만 조리용 솥의 윤곽테 결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10U (ko) * 1997-05-30 1998-12-05 은금자 솥전이 분리가공된 솥
KR20000015749U (ko) * 1999-01-07 2000-08-05 임경한 취사용 솥
KR200249195Y1 (ko) 2001-07-13 2001-10-19 정영만 조리용 솥의 윤곽테 결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507A (ko)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99196A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CN102149608B (zh) 生产金属-塑料产品或双塑料产品的方法
KR100643650B1 (ko) 솥 형태를 갖는 조리용기
CN210216022U (zh) 纸塑杯盖上成型内凹弧之制造模具
JP2010105962A (ja) 化粧料の成型装置および成型方法
KR101005263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628111B1 (ko) 식품 포장용 종이관 용기 제작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종이관 용기
JP3758974B2 (ja) 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WO2018137620A1 (zh) 复合底电磁锅的制作方法、专用装置和电磁锅
JP2010228256A (ja) 樹脂成形金型
KR20170032611A (ko) 브랜드 표시가 가능한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698685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uper-thin advertising and decorative zipper tab
JP2006062743A (ja) 容器の蓋部材
CN201883017U (zh) 玻璃制品一次成型模具
JP3009983U (ja) 茶漉し器
KR100871450B1 (ko) 공간부가 형성된 음식용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적합한 프레스 기기
US20100230853A1 (en) Method for printing plastic injection molding
JP4260559B2 (ja) 金属缶の側壁に模様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金型
KR101518608B1 (ko) 분리형 금형을 구비한 프레스 성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프레스 성형방법
KR960013286B1 (ko) 주전자의 몸체 성형방법
JP3155820U (ja) 立体装飾図案を備えたゴルフクラブのグリップ及びその成型金型
JP3847243B2 (ja) ゴム製ブレスレットの成形金型およびゴム製ブレスレットの成形方法
KR200258462Y1 (ko) 이중벽을 가진 음식용기
JP6383206B2 (ja) 粉末成形体の製造用型
KR100465370B1 (ko) 테두리 무늬가 형성된 멜라민 수지 용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