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181B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3181B1 KR100643181B1 KR1020050031457A KR20050031457A KR100643181B1 KR 100643181 B1 KR100643181 B1 KR 100643181B1 KR 1020050031457 A KR1020050031457 A KR 1020050031457A KR 20050031457 A KR20050031457 A KR 20050031457A KR 100643181 B1 KR100643181 B1 KR 1006431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contact
- support
- connector
- c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06 Liquid cryst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7 Liquid-crystal polymers (LCP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KUNSUQLRTQLHQQ-UHFFFAOYSA-N copper tin Chemical compound [Cu].[Sn] KUNSUQLRTQLH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DPYDILFQYARBK-UHFFFAOYSA-N 7-thiabicyclo[4.1.0]hepta-1,3,5-triene Chemical compound C1=CC=C2SC2=C1 ODPYDILFQYAR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06 Bronz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532 C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755 Cu-S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482 Cu–N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927 Cu—S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945 Cu—T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NPSSFBOAGDEEL-UHFFFAOYSA-N albutero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CC(C)(C)NCC(O)C1=CC=C(O)C(CO)=C1.CC(C)(C)NCC(O)C1=CC=C(O)C(CO)=C1 BNPSSFBOAGDE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MFGNRRURHSENX-UHFFFAOYSA-N beryllium copper Chemical compound [Be].[Cu] DMFGNRRURHSE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4 bronz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58 co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IUYOGGFTLHZHEG-UHFFFAOYSA-N copper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Cu] IUYOGGFTLHZHE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REBDLICKHMUKA-CXSFZGCWSA-N dexamethasone Chemical compound C1CC2=CC(=O)C=C[C@]2(C)[C@]2(F)[C@@H]1[C@@H]1C[C@@H](C)[C@@](C(=O)CO)(O)[C@@]1(C)C[C@@H]2O UREBDLICKHMUKA-CXSFZGCW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QBJWKCYZGMFEV-UHFFFAOYSA-N lead tin Chemical compound [Sn].[Pb] LQBJWKCYZGMF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05 multipol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커넥터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케이블을 끼웠다 뺐다 하는 커넥터 본체와, 케이블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스프링부, 그리고 지지부 및 스프링부를 서로 접속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커넥터 본체에 보유된 컨택트와, 커넥터 본체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보유된 조작자를 구비하며, 조작자에는 지지부의 선단부 또는 스프링부의 선단부와 연결부와의 사이에서 스프링부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조작자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스프링부를 지지부측으로 누르는 캠부가 구비되고, 조작자를 회전운동시켜 스프링부를 지지부측으로 탄성 변위시킴으로써, 지지부의 선단부 또는 스프링부의 선단부와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that can realize low magnification and can be miniaturized by reducing the area occupied by the connector. A connector body for plugging and unplugging the cable, a support portion and a spring portion extend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abl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pring portion to each other, the contact retained in the connector body, and a rotatabl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body; A manipulator, which is arranged to abut against the spring portion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or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 cam portion that presses the spring portion toward the support portion side by rotating the manipulator. By elastically displacing the part toward the support part side, the cable is brought into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ip part of the support part or the tip part of the spring part.
커넥터, 컨택트 Connector, Cont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조작자(操作子)를 회전운동시켜 커넥터를 닫았을 때의 조작자와 커넥터 본체의 맞물림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그 저면도이다.FIG. 2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operator and the connector main body when the operator closes the connector by rotating the operat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lso.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작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그 평면도, 도 3의 (c)는 그 저면도이다.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per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plan view thereof, and FIG. 3C is a bottom view thereof.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a)의 IVA-IV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고 컨택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의 (c)는 케이블이 삽입된 컨택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IVA-IVA line | wire of (a) of FIG. 1 (a) which shows the open state in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the 1st Example of this invention, and FIG. 4 (b) is a cable This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contact was closed without being inserted, and FIG.4 (c)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contact which inserted the cable was closed.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와 종래의 컨택트를 병용한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using a contact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contact.
도 6의 (a)는 도 5의 (a)의 VIA-VI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고 컨택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6의 (c)는 케이블이 삽입된 컨택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6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A-VIA of FIG. 5A, and FIG. 6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ntact is closed without a cable inserted. c)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ble-inserted contact is closed.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고 컨택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7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ontact is opened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ontact is closed without a cable inserted. .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a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9의 (b)는 케이블이 삽입된 컨택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9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tact is opened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tact into which a cable is inserted is clos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작자를 회전운동시켜 커넥터를 닫았을 때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when the connector is closed by rotating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케이블이 삽입된 컨택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 10의 XIB-XI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FIG. 11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ct open state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B shows a XIB of FIG. 10 showing a closed contact state in which a cable is insert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XIB.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12의 (b)는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았을 때에 컨택트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FIG. 12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tact is open in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ntact is closed when a cable is not inserted. to be.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설명****** Description of Major Reference Code ***
10: 커넥터 12: 케이블10: connector 12: cable
20: 커넥터 본체 30: 조작자20: connector body 30: operator
33: 캠부 50: 컨택트33: cam portion 50: contact
52: 지지부 54: 스프링부52: support portion 54: spring portion
55: 연결부 56: 받침부55: connecting portion 56: supporting portion
58: 접점부 60: 맞닿음부58: contact portion 60: contact portion
110: 커넥터 120: 커넥터 본체110: connector 120: connector body
130: 조작자 133: 캠부130: operator 133: cam portion
150: 대략 工자형의 컨택트 152: 지지부150: approximately engineering contact 152: support
154: 스프링부 155: 연결부154: spring portion 155: connection portion
210: 커넥터 230: 조작자210: connector 230: operator
233: 캠부 250: 컨택트233: cam portion 250: contact
252: 지지부 280: 보유부재252: support portion 280: retaining member
310: 커넥터 330: 조작자310: connector 330: operator
333: 캠부 410: 커넥터333: cam portion 410: connector
420: 커넥터 본체 425: 쉘(shell)부420: connector body 425: shell portion
510: 커넥터 520: 커넥터 본체510: connector 520: connector body
524: 하벽 550: 컨택트524: Bottom wall 550: Contact
552: 지지부 554: 스프링부552: support portion 554: spring portion
본 발명은 케이블(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 또는 플렉시블 플랫트 케이블 (FFC))을 보유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holding a cabl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 or flexible flat cable (FFC)).
FPC 또는 FFC를 보유하는 커넥터로서 일본 특허공개 평9-9241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커넥터에서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며 커넥터 본체에 보유된 컨택트의 지지부와 스프링부의 사이에 FPC 또는 FFC를 삽입한 후,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조작자(actuator)를 슬라이드 또는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스프링부의 탄성력을 사용하여 조작자와 지지부로 FPC 또는 FFC를 압착 협지하여 FPC 또는 FFC에 대한 접촉 압력을 얻었다.As a connector having FPC or FFC, there is on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92411. In this connector,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portion is used by inserting an FPC or FFC between the support portion of the contact held in the connector body and the spring portion, and then sliding or rotating the actuator made of an insulator. The press and clamp of the FPC or FFC with the operator and the support to obtain contact pressure to the FPC or FFC.
하지만, 상술한 커넥터에서는 FPC 또는 FFC를 압착 협지하여 접촉 압력을 얻는 부분에 있어서, 커넥터의 높이 방향(지지부와 수직한 방향)으로 커넥터 본체의 바닥벽, 컨택트의 지지부, 조작자, FPC 또는 FFC, 컨택트의 스프링부, 및 커넥터 본체의 상벽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로서의 저배화에 대한 요청을 따르기가 어려웠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connector, the bottom wall of the connector body, the support of the contact, the operator, the FPC or the FFC, the contact in the height direc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of the connector in the portion where the contact pressure is obtained by crimping the FPC or the FFC. Since the spring part and the upper wall of the connector main body were provided in order, it was difficult to comply with the request for low magnification as a connector.
이에 대하여,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부재를 길이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서 연결하여 工자형으로 한 컨택트를 구비한 커넥터가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4-221067호 공보). 이 커넥터의 컨택트는 상술한 2개의 부재 중 한 쪽이 지지부이고, 다른 쪽 부재는 연결부를 경계로 하여 스프링부와 안정장치(stabilizer)를 구성하고 있다. 이 커넥터에서는 지지부와 스프링부 사이에 FPC 또는 FFC를 삽입하고, 지지부와 안정장치 사이에 조작자의 캠부를 삽입하여 이 캠부를 안정장치에 걸어맞추어, 이 캠부를 중심으로 조작자를 회전운동시켜 안정장치를 들어올림으 로써, 스프링부를 지지부측으로 변위시키고, 이에 의해 스프링부가 FPC 또는 FFC를 압착하여 접촉 압력을 얻는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onnector having two contacts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t an approximately cent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contact made in the shape of an enginee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221067). One of the two members mentioned above is a support part of the contact of this connector, and the other member comprises a spring part and a stabilizer with the connection part as a boundary. In this connector, an FPC or FFC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pring, and the operator's cam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tabilizer to engage the cam with the stabilizer, and the operator rotates about the cam to rotate the stabilizer. By lifting, the spring portion is displaced toward the support portion, whereby the spring portion compresses the FPC or FFC to obtain a contact pressure.
이 구성에 따르면, FPC 또는 FFC를 압착 협지하여 접촉 압력을 얻는 부분으로부터 조작자를 빼낼 수 있어, 이 부분에서 커넥터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부재를 커넥터 본체의 바닥벽, 컨택트의 지지부, FPC 또는 FFC, 컨택트의 스프링부, 및 커넥터 본체의 상벽의 5가지로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일본 특허공개 평9-92411호 공보에 기재된 커넥터와 비교하여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or can be pulled out from the part where the contact pressure is obtained by crimping and holding the FPC or FFC, so that the member dispo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or is formed by the bottom wall of the connector body, the support of the contact, the FPC or FFC, The spring portion of the contact and the top wall of the connector body can be reduced to five types. That is, compared with the connector of the said Unexamined-Japanese-Patent No. 9-92411, the reduction can be aimed at.
하지만, 이 구성에서는, 스프링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장치를 연장 설치하는 동시에, 조작자를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커넥터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성 향상을 위하여 조작자의 조작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안정장치 및 조작자를 길게 할 필요가 있어, 커넥터의 점유면적이 더욱 커져 버린다.However, this configuration has a problem that the connector occupies a large area because the stabilizer must be exte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ring portion and the operator must be disposed.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operating force of the operator for improving workability, it is necessary to lengthen the stabilizer and the operator, and the occupied area of the connector is further increased.
또한, FPC 또는 FFC를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자를 회전운동시키면(이하, 공삽탈이라고 한다), 스프링부가 과잉으로 변위됨으로써 연결부가 소성(塑性) 변형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스프링부가 과잉 변위하여도 유연하게 따르도록 연결부를 가늘게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FPC 또는 FFC를 끼웠다 뺐다 할 때의 스프링부의 개폐시에, 또는 개폐를 반복한 후에, 연결부가 파단되기 쉬워진다.In addition, if the operator rotates in the state in which the FPC or FFC is not inser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empty insertion), the spring portion may be excessively displaced, which may cause plastic deform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contrary, the connecting part may be thinly formed so as to flexibly follow the spring part excessively displaced. In this case, however, the connecting portion easily breaks when the spring portion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FPC or FFC is inserted or removed, or after repeated opening and closing.
또한, 저배화를 위하여 지지부의 높이를 낮추면, FPC 또는 FFC를 끼웠다 뺐다 할 때 연결부에 강한 응력이 걸리기 때문에, 이 연결부와 지지부의 접합부분이 들어올려져 변형되기 쉽다. 이에 의해 FPC 또는 FFC를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는 도중에, 소정의 접촉 압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f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is lowered for low magnification, a strong stress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when the FPC or FFC is inserted and detached, so that the joint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is easily lifted and deformed. Thereby, there exists a problem that a predetermined contact pressure cannot be obtained in the middle of repeatedly inserting and unplugging FPC or FFC.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는 케이블을 끼웠다 뺐다 하는 커넥터 본체와, 케이블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스프링부, 그리고 지지부 및 스프링부를 서로 접속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커넥터 본체에 보유된 컨택트와, 커넥터 본체에 대하여 회전운동 가능하게 보유된 조작자를 구비하며, 조작자에는 지지부의 선단부 또는 스프링부의 선단부와 연결부와의 사이에서 스프링부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조작자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스프링부를 지지부측으로 누르는 캠부가 구비되고, 조작자를 회전운동시켜 스프링부를 지지부측으로 탄성 변위시킴으로써, 지지부의 선단부 또는 스프링부의 선단부와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main body which plugs and unplugs a cable, a support part and a spring part extend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abl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upport part and the spring part to each other, And a manipulator held in a rotatable manner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body, the manipulator being arranged to abut against the spring portion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or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nd by rotating the manipulator, the spring portion is moved toward the support portion side. A pressing cam portion is provided, and the cable is electrically contacted with the tip of the support or the tip of the spring by rotating the operator to elastically displace the spring toward the support.
상기 지지부의 선단부 및 스프링부의 선단부 중 어느 한 쪽에는, 커넥터 본체의 하벽측으로 돌출하는 접점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의 선단부 및 스프링부의 선단부 중 다른 한 쪽에는, 접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받침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받침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접점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of the tip part of the said support part and the tip part of a spring part is provided with the contact part which protrudes to the lower wall side of a connector main body.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art should just be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opposes a contact part in the other of the tip part of the said support part, and the tip part of a spring part. The supporting portion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nector body.
상기 지지부에 있어서, 스프링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캠부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보유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upport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taining member is provided to extend toward the spring portion and has a 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cam portion.
상기 스프링부의 윗면은, 상기 캠부가 맞닿는 부분 쪽이 접점부쪽의 윗면보 다 지지부측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스프링부의 윗면은, 캠부가 맞닿는 부분 쪽이 연결부쪽의 윗면보다 지지부측에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portion where the cam portion abuts is on the support portion side than the upper surface on the contact portion sid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such that the portion where the cam portion abuts on the support portion side rat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side.
상기 케이블은 스프링부와 대략 평행해질 때까지 조작자를 회전운동시켜, 스프링부를 지지부측으로 탄성 변위시킴으로써 지지부의 선단부 또는 스프링부의 선단부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며, 캠부의 선단에는 조작자가 스프링부와 대략 평행해진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의 상벽과 스프링부의 윗면과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The cable rotates the operator until it is approximately parallel with the spring part, and electrically conducts the tip of the support part or the tip of the spring part by elastically displacing the spring part toward the support part, and the operator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pring part at the tip of the cam part. In this case, it is sufficient that a convex portion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upper wall of the connector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portion is formed.
상기 케이블은 스프링부와 대략 평행해질 때까지 조작자를 회전운동시켜, 스프링부를 지지부측으로 탄성 변위시킴으로써 지지부의 선단부 또는 스프링부의 선단부와 전기적으로 도통하며, 커넥터 본체의 상벽에는, 조작자가 스프링부와 대략 평행해진 상태에서, 캠부의 선단을 스프링부의 윗면과의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ble rotates the operator until it is approximately parallel with the spring portion, and electrically conducts the tip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or the tip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by elastically displacing the spring portion toward the support portion, and on the upper wall of the connector body, the operator is approximately parallel with the spring portion. In the lowered state, it is preferable that a shell portion is formed to sandwich the tip of the cam portion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pring portion and fix it.
상기 접점부는 스프링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는 지지부에 설치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may be installed in the spring portion, the support portion may be installed in the support portion.
상기 커넥터는 케이블의 삽입방향에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부재를, 그 길이방향 대략 중앙 부분에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제 2 컨택트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nector may have a second contact formed by connecting two members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cable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조작자는 커넥터 본체에 케이블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 스프링부와 대략 평행해질 때까지 회전운동한 상태에서 스프링부의 길이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 향으로 변위 가능하면 좋다.When the cable is not inserted into the connector body, the operator may be displac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ring portion in a rotational motion until it is approximately parallel with the spring por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1 실시예)(도 1~ 도 4)(1st Example) (FIGS. 1-4)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커넥터 본체(인슐레이터)(20)와, 조작자(actuator)(30)와 컨택트(50)를 가진다.The
FPC, FFC, 그 밖의 케이블(12)이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20)는, 절연성 부재(예를 들어, 9T 나일론, 66 나일론 및 46 나일론, 그 밖의 나일론(PA), 액정폴리머(LC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를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커넥터 본체(20)의 측벽(21,22)에는, 그 깊이방향(도 2에서 D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선단이 안쪽으로 돌출한 형상의 맞물림 팔부재(25,2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2).The
도 3에 나타내는 조작자(30)는 그 길이방향(도 3의 (a)에서 L방향)의 양단면(31,32)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각각 설치된 축부(35,36)를 구비한 긴 판모양 부재이다. 이 조작자(30)는 축부(35,36)를 맞물림 팔부재(25,26)에 걸어맞춤으로써 커넥터 본체(20)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보유된다. 또한, 축방향(도 3의 (a)에서 W방향)의 일단부(선단)에는 캠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부(33)는 캠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면, 길이방향의 직교 단면을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타원, 직사각형, 사다리꼴로 할 수 있다. 또한, 축부(35,36)는 조작자(30)의 길이방향 양단면 위에서 이동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The
조작자(30)는 커넥터 본체(20)와 마찬가지로 절연성 부재(예를 들어, 9T 나일론, 66 나일론 및 46 나일론, 그 밖의 나일론(PA), 액정 폴리머(LCP), 폴리페닐 렌설파이드(PSS))를 사출성형함으로써 구성된다.The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0)에 압입·보유되는 컨택트(50)는, 대략 수평방향(도 4에서 좌우방향)(케이블(12)의 삽입방향)에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부(52) 및 스프링부(54)를 구비한다. 지지부(52) 길이방향의 한 쪽 단부(52a)와, 이 단부(52a)와 마주보는 스프링부(54) 길이방향의 한 쪽 단부(54a)는 연결부(5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컨택트(50)는 대략 ㄷ자형이 된다. 지지부(52)의 길이방향 다른 쪽의 단부(선단부)(52b)와, 스프링부(54)의 길이방향 다른 쪽의 단부(선단부)(54b)는 서로 마주보며, 단부(54b)에는 지지부(52) 측으로(커넥터 본체(20)의 하벽(24)측으로) 돌출하는 접점부(58)가 설치되고, 지지부(52)에는 스프링부(54)를 지지부(52)측으로 눌렀을 때 접점부(58)가 맞닿는 부분에 받침부(5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컨택트(50)를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연결부(55)의 탄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공삽탈에 의한 소성 변형이나 케이블(12)을 끼웠다 뺐다 할 때의 스프링부(54)의 개폐에 의한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컨택트(50)는 지지부(52)의 윗면(52c)으로부터 돌출한 걸어맞춤부(52d)를 커넥터 본체(20)에 걸어맞춤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지지부(52)로부터는 꼬리부(59)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꼬리부(59)는 커넥터 본체(20)에 컨택트(50)를 눌러넣었을 때 커넥터 본체(20)의 하벽(24)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회로기판에 납땜된다.By forming the
컨택트(50)의 접점부(58)와 받침부(56)에 대해서는, 지지부(52)의 단부(52b)에 접점부(58)를, 스프링부(54)의 단부(54b)에 받침부(56)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 여도 좋다. 즉, 케이블(12)의 접촉면을 지지부(52)측으로 하여 도통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부(55)는 지지부(52)의 단부(52a)보다 받침부(56)측으로, 또한/및 스프링부(54)의 단부(54a)보다 접점부(58)측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즉, 컨택트(50)의 형상은 상술한 ㄷ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ユ모양이나 工자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55)를 지지부(52) 및 스프링부(54)에 수직한 판모양 또는 막대모양으로 하면 컨택트(50)는 상술한 대략 ㄷ자형이 되는데, 이 대신에 연결부(55)를 만곡시켜 컨택트(50)의 형상을 대략 U자형으로 할 수도 있다.As for the
스프링부(54)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는, 조작자(30)를 회전운동시켜 컨택트(50)를 닫았을 때 조작자(30)의 캠부(33)가 맞닿는 맞닿음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60)의 윗면(60a)(지지부(52)에서 먼 쪽 면)은, 스프링부(54)의 접점부(58)측의 윗면(54e) 및 연결부(55)측의 윗면(54f)보다 지지부(52)측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60)로부터는 접점부(58)측으로 향해감에 따라 지지부(52)로부터 서서히 이간하는 굴곡부(54g)가 연장되며, 열린 상태의 컨택트(50)에 있어서 스프링부(54)는 이 굴곡부(54g)로부터 단부(54b)에 있어서 지지부(52)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즉, 맞닿음부(60)의 윗면(60a)은 맞닿음부(60) 이외의 부분의 윗면(스프링부(54)의 접점부(58)측의 윗면 및 연결부(55) 측의 윗면)보다 지지부(52) 측에 있다. 스프링부(54)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맞닿음부(60)에 닿는 조작자(30)를 낮은 위치(지지부(52)측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커넥터(10)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54)의 연결부(55)측 부분의 윗면(54f)을 맞닿음부(60)의 윗면(60a)보다 높게 함으로써, 연결부(55)를 크게 할 수 있게 되어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성 변형이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맞닿음부(60)는 접점부(58) 또는 연결부(55)의 윗쪽만 아니면, 스프링부(54)의 어느 위치에나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맞닿음부(60)의 윗면(60a)은 접점부(58)측의 윗면(54e) 및 연결부(55) 측의 윗면(54f)의 어느 한 쪽보다도 지지부(52) 쪽에 있으면, 다른 쪽과 높이가 같아도 좋다.The
컨택트(50)는 예를 들어, 인청구리(Cu-Sn계 구리합금), 베릴륨구리(Cu-Be계 구리합금), 티탄구리(Cu-Ti계 구리합금), 코르손계 구리합금(Cu-Ni-Si계 구리합금), 그 밖의 구리합금의 순송(順送) 금형에 의한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하며, 그 표면에 예를 들어, 금, 구리-주석, 또는 주석-납에 의한 도금 처리를 실시한다. 한편, 맞닿음부(60)는 성형후에 굴곡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The
조작자(30)는 캠부(33)가 스프링부(54)의 맞닿음부(60) 윗면(60a)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커넥터 본체(20)에 걸어맞추어진 조작자(30)를 회전운동시키면, 맞닿음부(60)에 맞닿는 캠부(33)의 형상에 따라 스프링부(54)가 탄성 변위한다. 즉, 조작자(30)가 컨택트(50)의 스프링부(54)와 대략 수직한 상태에서는, 컨택트(50)는 열림 상태가 되고(도 4의 (a)), 열림 상태로부터 조작자(30)를 컨택트(50)의 스프링부(54)와 대략 평행한 상태까지 회전운동시키면, 컨택트(50)는 닫힘 상태가 된다(도 4의 (b)). 이 닫힘 상태에서는 커넥터 본체(20) 상벽(23)의 윗면과 캠부(33) 선단과의 거리가 H1이 된다.The
케이블(12)은 열림 상태의 컨택트(50)에 지지부(52)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며, 커넥터 본체(20)에서 서로 병렬로 배치된 컨택트(50)의 사이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27)에 대하여 선단을 맞닿게 함으로써 위치결정되며, 조작자(30)를 회전운동시켜 컨택트(50)를 닫힘 상태로 함으로써 끼워져 고정된다(도 4의 (c)). 여기서, 스프링부(54)의 굴곡부(54g)는 케이블(12)의 삽입방향에 있어서 위치결정부(27)보다 연결부(55)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부(58) 이외의 부분에서 스프링부(54)와 케이블(12)이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택트(50)를 닫음으로써 접점부(58)와 받침부(56)에 의한 접촉 압력으로 케이블(12)을 압착하여 전기적 도통(전기적 접촉)을 얻을 수 있다. 케이블(12)이 삽입된 경우의 닫힘상태(도 4의 (c))에서, 커넥터 본체(20) 상벽(23)의 윗면과 캠부(33) 선단의 거리는 H2가 된다. 이 거리 H2는 H1보다 작다. 즉, 축부(35,36)를 맞물림 팔부재(25,26)로 걸어맞추어 조작자(30)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의해, 조작자(30)는 공삽탈시의 닫힘 상태에서도 상하방향으로 변위가능하기 때문에, 연결부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부(54)의 맞닿음부(60)의 형상과, 이 맞닿음부(60)에 맞닿는 캠부(33)의 형상을 상술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컨택트(50)의 개폐가 안정되며, 조작자(30)를 개폐 동작시켜 케이블(12)을 압착할 때의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작자(30)가 어중간한 위치에 있을 때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 중 어느 한 위치까지 복원 또는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접점부(58)와 받침부(56)의 간격은 케이블(12)의 두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열린 상태인 컨택트(50)의 접점부(58)와 받침부(56)의 간격을, 케이블(12)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설정하면, 조작자(30)를 동작시켜 스프링부(54)를 지지부(52)측으로 누르지 않아도, 케이블(12)을 가보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12)을 컨택트(50)에 삽입하기 위한 힘(삽입력)이 약간 생기지만(LIF(Low Insertion Force)), 작업성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접점부(58)와 받침부(56)의 간격을 설정한다. 또한, 열림 상태인 컨택트(50)의 접점부(58)와 받침부(56)의 간격을 케이블(12)의 두께보다 크게 하였을 경우에는 삽입력을 거의 제로(ZIF(Zero Insertion Force)로 할 수 있어, 요구 사양에 맞추어 여러가지 설정이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제 1 실시예의 대략 ㄷ자형의 컨택트(50)는 길이방향이 서로 대략 평행해지도록 커넥터 본체(20)에 배치하여 사용되는데, 이 컨택트(50)와 더불어 상술한 일본 특허공개 2004-221067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대략 工자형의 컨택트(제 2 컨택트)(150)(도 6)를 교차로 배치할 수도 있다(도 5). 이 경우의 커넥터(110)에 사용하는 조작자(130)는, 상술한 조작자(30)의 캠부(33) 중 대략 工자형 컨택트(150)가 배치되는 위치에, 안정장치(170)에 걸어맞추는 형상의 종래의 캠부(133)가 형성된 것이다. 대략 ㄷ자형인 컨택트(50)와 대략 工자형인 컨택트(150)는 커넥터 본체(120)에 보유된다.The approximately
이와 같이 배치되는 대략 ㄷ자형의 컨택트(50) 및 대략 工자형의 컨택트(150)는 다음과 같은 탄성 특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삽탈시에 조작자(130)를 회전운동시켜 두 컨택트(50,150)를 닫으려고 할 때, 대략 ㄷ자형의 컨택트(50)의 스프링부(54)를 지지부(52)측으로 눌러내리는데 필요한 힘(F1) 및 이 때 대략 工자형 컨택트(150)의 안정장치(170)를 위로 들어올리는데 필요한 힘(F2)을 F1>F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하면, 대략 工자형의 컨택트(150) 보다 대략 ㄷ자형의 컨택트(50)가 변위되기 쉽기 때문에, 공삽탈을 하면 대략 ㄷ자형 컨택트(50)가 조작자(30)에 의해 변위되는 동시에 조작자(30)가 안정장치(170)에 의해 지지부(52)측으로 눌려내려간다. 즉, 공삽탈시에 안정장치(170)가 들려올라감으로써 스프링부(154)가 과잉 변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연결부(155)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 approximately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커넥터(110)에서는, 케이블(12)을 삽입하면 대략 ㄷ자형의 컨택트(50)에 맞닿는 캠부(33)에 대하여, 지지부(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증대된다. 이에 따라, 대략 工자형 컨택트(150)의 안정장치(170)에 대하여 지지부(1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도 증대된다. 하지만, 대략 ㄷ자형의 컨택트(50)는 케이블(12)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변위량이 규제되며, 이에 의해 조작자(30)는 공삽탈시에 비하여 지지부(52)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지점에서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안정장치(170)가 들려올라가기는 하지만, 스프링부(154)가 과잉 변위하지 않고, 연결부(155)의 탄성을 보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예의 컨택트(50)와 병용함으로써, 공삽탈시와 케이블(12) 삽입시 모두 스프링부(154)가 과잉 변위하지 않아, 종래의 工자형 컨택트(150)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제 2 실시예)(도 7, 도 8)(2nd Example) (FIG. 7, FIG. 8)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제 2 실시예의 커넥터(210)는 컨택트(250)의 지지부(252)에 보유부재(280)를 구비하고(도 8), 조작자(230)의 캠부(233)의 걸어맞춤 구멍부(233a)를, 보유부재(280)의 선 단에 설치한 걸어맞춤부(281)와 걸어맞추는 형상으로 하고 있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10)의 컨택트(250)에서는, 지지부(252)로부터 스프링부(54)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선단에 캠부(233)의 선단에 설치된 걸어맞춤 구멍부(233a)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281)를 구비한 보유부재(2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유부재(280)는 지지부(252) 및 스프링부(54)와 같은 재료에 의해, 지지부(252) 및 스프링부(54)와 함께 스탬핑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된다. 한편, 이 보유부재(280)는 미리 형성한 지지부(252)를 굴곡시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보유부재(280)에 맞물림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 맞물림부를 커넥터 본체(20)로 눌러넣음으로써 보유부재(280)를 커넥터 본체(20)에 보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250)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택트(250)를 병렬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보유부재(280)의 걸어맞춤부(281)는 걸어맞춤 구멍부(233a)와 서로 걸어맞추어지는 단면 형상 대략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걸어맞춤부(281)의 선단에는, 지지부(252)측으로 돌출된 갈고리부(281a)가 구비되어 있다. 걸어맞춤부(281)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구멍부(233a)의 측면에는 단부(233a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유부재(280)와 캠부(233)는 걸어맞춤 구멍부(233a)에 삽입된 갈고리부(281a)가 단부(233a1)에 맞물림으로써 서로 걸어맞추어진다. 이와 같이 걸어맞추어 조작자(230)를 컨택트(250)로 보유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210)를 다극으로 했을 경우 에도, 조작자(230)가 뜨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작자(230)를 안정적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보유부재(280)는 금속재료로 지지부(252) 및 스프링부(54)와 함께 일체 형성되기 때문에, 정밀도 좋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컨택트(250)의 강도가 향상되며, 조작자(230)의 회전운동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The engaging
한편, 그 밖의 작용, 효과, 변형예는 제 1 실시예와 같다.In addition, the other effect | action, an effect, and a modification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xample.
(제 3 실시예)(도 9)(Third Embodiment) (Fig. 9)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제 3 실시예의 커넥터(310)에서는, 캠부(333)의 선단에 조작자(33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333a)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부재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제 1 실시예에서는 컨택트를 닫도록 조작자(330)를 회전운동시켜 스프링부와 대략 평행해진 상태에서, 캠부(333)의 윗쪽에는 커넥터 본체의 상벽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제 3 실시예의 조작자(330)에는 캠부(333)의 선단에, 조작자(330)의 길이방향 길이를 더욱 연장시키는 볼록부(33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볼록부(333a)는 조작자(330)의 선단을 향할 수록 좁아지도록 조작자(330)로서 일체 성형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작자(330)를 회전운동시켜 컨택트(50)을 닫았을 때, 볼록부(333a)가 커넥터 본체(20)의 상벽(23)과 맞닿음부(60)의 윗면(60a)(또는 스프링부(54)의 윗면(54e)) 사이로 들어가기 때문에 조작자(330)가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볼록부(333a)를 설치하지 않고 조작자(330)의 축부(35,36)를 커넥터 본체(20)의 상벽(23)으로 근접시켜 배치함으로써도, 캠부(333)의 선단부분을 커넥터 본체(20)의 상벽(23)과 맞닿음부(60)의 윗면(60a) 사이로 끼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조작자(330)가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tate where the
한편, 그 밖의 작용, 효과, 변형예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other effect | action, an effect, and a modification are the same as that of 1st Example.
(제 4 실시예)(도 10, 도 11)(4th Example) (FIG. 10, FIG. 11)
이어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의 커넥터(410)는 제 3 실시예의 조작자(330)를 이용하는 것으로, 컨택트(50)를 닫도록 조작자(330)를 스프링부(54)와 대략 평행하게 하였을 때, 캠부(333)의 볼록부(333a)를 덮도록 커넥터 본체(420)의 상벽(423)에서 지시부(5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쉘부(428)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이 쉘부(428)는 그 길이방향 양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설치된 돌출부(428a,428b)를 커넥터 본체(420)에 걸어맞춤으로써 고정된다. 조작자(330)는 그 길이방향 양단(331,332) 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각각 설치된 축부(335,336)를 커넥터 본체(420)으 측벽(도시하지 않음)에서 커넥터 본체(420)의 깊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여, 선단이 안쪽으로 돌출한 형상의 맞물림 팔부재(425,425)에 걸어맞춤으로써, 회전운동 가능하게 보유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쉘부(428)는 예를 들어, 상술한 컨택트(50)와 동일한 재료나 스테인레스(SUS)로 이루어지며, 순송금형에 의한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한다. 커넥터 본체(420)에는 압입이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조립된다.The
또한, 실장기판에 대한 박리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조금구가 필요한 경우, 쉘부(428)와 일체로 형성하여 기판에 실장하여도 좋다. 이 경우, 커넥터 본체(420)의 하벽(424)으로부터 연장되어 나가는 꼬리부(429)를 커넥터 본체(420)의 길이방향 양단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구성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본체(420)가 쉘부(428)에 둘러싸이기 때문에, 박리강도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에 유리하다.In addition, when an auxiliary tool is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peeling strength with respect to a mounting board | substrate, you may form integrally with the
이 구성에 따르면, 조작자(330)를 회전운동시켜 컨택트(50)를 닫았을 때, 캠부(333)의 볼록부(333a)가 쉘부(428)와 맞닿음부(60) 윗면(60a)과의 사이로 들어가기 때문에, 조작자(330)가 떠오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 쉘부(428)를 접지하면, EMI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커넥터(410)의 고주파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제 5 실시예)(도 12)(5th Example) (FIG. 12)
도 12에 나타내는 제 5 실시예의 커넥터(510)는 컨택트(50) 대신에 컨택트(550)를 사용하고, 커넥터 본체(20) 대신에 하벽(24)보다 하벽(524)을 상벽(523)측으로 두껍게 한 커넥터 본체(520)를 사용하고 있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In the
컨택트(550)는 대략 수평방향(도 12의 좌우방향)에서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부(552) 및 스프링부(554)를 구비한다. 지지부(552)의 길이방향의 한 쪽 단부(552a)와, 이 단부(552a)와 마주보는 스프링부(554) 길이방향의 한 쪽 단부 (554a)는 연결부(55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스프링부(554)의 길이방향의 또 다른 한 쪽의 단부(선단부)(554b)에는 커넥터 본체(520)의 하벽(524)측으로 돌출하는 접점부(558)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부(554)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는, 조작자(30)를 회전운동시켜 컨택트(550)를 닫았을 때 조작자(30)의 캠부(33)가 맞닿는 맞닿음부(56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560)의 윗면(560a)(지지부(552)로부터 먼 쪽의 면)은 제 1 실시예의 스프링부(54)와 마찬가지로, 스프링부(554)의 접점부(558)측의 윗면(554e) 및 연결부(555)측의 윗면(554f)보다 지지부(552)측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The
한편, 지지부(552)의 단부(552b)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지지부(52)의 단부(52b)와는 달리, 맞닿음부(560)와 마주보는 위치까지밖에 연장되지 않는다. 즉, 단부(552b)와 단부(554b)는 마주보지 않는다. 컨택트(550)는 단부(552b)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걸어맞춤부(552d)를 커넥터 본체(520)의 걸어맞춤 오목부(529)에 걸어맞춤으로써 고정된다. 또한, 지지부(552)로부터는 꼬리부(559)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꼬리부(559)는 커넥터 본체(520)로 컨택트(550)를 눌렀을 때 커넥터 본체(520)의 하벽(524)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회로기판에 납땜된다.On the other hand, the
제 5 실시예의 커넥터(510)에서 케이블은 열림상태(도 12의 (a))의 컨택트(550)에 지지부(552)와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며, 조작자(30)를 회전운동시켜 컨택트(550)를 닫힘상태(도 12의 (b))로 함으로써 끼워 고정한다. 이와 같이, 컨택트(550)를 닫음으로써, 접점부(558)와 하벽(524)에 의한 접촉 압력으로 케이블을 눌러 전기적 도통(전기적 접촉)을 얻을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받침부(56) 가 접점부(58)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지지부(52)를 연장하였었지만, 지지부(552)를 짧게 함으로써, 커넥터 본체(520) 내에서 컨택트(550)가 안정되어 커넥터 본체(520)가 보다 확실하게 보유되며, 커넥터(510)의 조립성이 향상된다.In the
본 발명에 대해서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개량의 목적 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개량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It is possible to improve or change within the objective of improvement or the thought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장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FPC 또는 FFC를 압착 협지하여 접촉 압력을 얻는 부분에서의 구성부재의 갯수를 줄일 수 있어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커넥터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부의 길이를 케이블 삽입방향으로 충분히 가질 수 있다. 즉, 스프링부의 길이를 커넥터 깊이방향 길이와 같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소정의 접촉 압력을 얻기 위한 조작자에 의한 컨택트의 변위량이 적어, 공삽탈시 및 FPC 또는 FFC를 끼웠다 뺐다 할 때에 연결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의 변형이나 파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정된 접촉 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작력을 줄이기 위하여 조작자를 길게 하여도 커넥터가 차지하는 면적에 대한 영향력이 작기 때문에, 소형화와 조작성의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tabilizer is not required, the number of components in the part where the contact pressure is obtained by crimping the FPC or the FFC can be reduced, thereby realizing low magnification and reducing the area occupied by the connector. You can do it. Further, the length of the spring portion can sufficiently have the cable insertion direction. That is, the length of the spring portion can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connector depth direction. Moreover, since the amount of contact displacement by the operator for obtaining a predetermined contact pressure is small, the stress generated at the connection part during insertion and removal and when the FPC or FFC is inserted and removed can be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deformation or breakage of the connection part. As a result, a stable contact pressure can be obtained. Further, even if the operator is long to reduce the operating force, the influence on the area occupied by the connector is small, so that miniaturization and improved operability can be realized simultaneously.
Claims (1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065077A JP4283777B2 (en) | 2005-03-09 | 2005-03-09 | connector |
JPJP-P-2005-00065077 | 2005-03-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7515A KR20060097515A (en) | 2006-09-14 |
KR100643181B1 true KR100643181B1 (en) | 2006-11-10 |
Family
ID=3709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14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3181B1 (en) | 2005-03-09 | 2005-04-15 | connecto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283777B2 (en) |
KR (1) | KR100643181B1 (en) |
TW (1) | TW200638621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82027B2 (en) * | 2006-11-15 | 2009-06-1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
JP2011044405A (en) * | 2009-08-24 | 2011-03-03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Connector |
JP4798277B2 (en) * | 2009-09-16 | 2011-10-19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connector |
JP5828727B2 (en) * | 2011-09-28 | 2015-12-09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
JP5869427B2 (en) * | 2012-05-22 | 2016-02-24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 Flat cable connector |
DE102017222999B4 (en) * | 2017-12-18 | 2021-10-21 | Robert Bosch Gmbh | Sensor device for a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34763A (en) * | 1995-11-09 | 1997-05-20 | Hirose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board |
KR19990014274A (en) * | 1997-07-29 | 1999-02-25 | 사까이 히데끼 | Electrical Connectors for Flexible Boards |
KR20040004053A (en) * | 2002-07-01 | 2004-01-13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
KR20040055586A (en) * | 2002-12-13 | 2004-06-26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
KR20060046536A (en) * | 2004-08-03 | 2006-05-17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ables |
-
2005
- 2005-03-09 JP JP2005065077A patent/JP428377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4-15 KR KR1020050031457A patent/KR1006431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2-23 TW TW095106035A patent/TW200638621A/en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34763A (en) * | 1995-11-09 | 1997-05-20 | Hirose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board |
KR19990014274A (en) * | 1997-07-29 | 1999-02-25 | 사까이 히데끼 | Electrical Connectors for Flexible Boards |
KR20040004053A (en) * | 2002-07-01 | 2004-01-13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
KR20040055586A (en) * | 2002-12-13 | 2004-06-26 |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
KR20060046536A (en) * | 2004-08-03 | 2006-05-17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ab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7515A (en) | 2006-09-14 |
TW200638621A (en) | 2006-11-01 |
JP4283777B2 (en) | 2009-06-24 |
JP2006252844A (en) | 2006-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232620B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type conductor | |
JP4519172B2 (en) | connector | |
JP4630340B2 (en) | connector | |
CN100394647C (en) | Electrical Connectors for Flat Cables | |
EP1557906A1 (en) | Flat, flexible cable-use electric connector | |
JP2006114436A (en) | connector | |
KR100556571B1 (en) | connector | |
JP2002198112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5735715A (en) | Electrical connector using composite beam with low initial deflection rate | |
US20110034056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5078908A (en) | Connector | |
JP2019129084A (en) | connector | |
US7581973B2 (en) | Cam structure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 |
US7448893B2 (en) | Connector | |
CN101490907B (en) | Cable connector | |
JP4359568B2 (en) | connector | |
KR100643181B1 (en) | connector | |
KR101175170B1 (en) | Socket contact | |
US7201606B2 (en) |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or | |
JP4795461B2 (en) | connector | |
JP3000197B2 (en) | FPC multi-row ZIF connector | |
JP2000100507A (en) | Connector for fpc | |
KR100482532B1 (en) | Connector device for card | |
JP3460060B2 (en) | Socket contact | |
KR200379837Y1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