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180B1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3180B1 KR100643180B1 KR1020050015866A KR20050015866A KR100643180B1 KR 100643180 B1 KR100643180 B1 KR 100643180B1 KR 1020050015866 A KR1020050015866 A KR 1020050015866A KR 20050015866 A KR20050015866 A KR 20050015866A KR 100643180 B1 KR100643180 B1 KR 1006431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receptacle
- base
- extending
- side anch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저배화(低背化)를 실현하면서, 확실한 잠금 상태 및 도통 상태를 실현하고, 플러그를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더라도 각 부재에 손상을 주는 일이 적으며, 또한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끼워맞춤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높은 잠금 상태를 실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측 앵커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부와, 기부의 폭방향 끝 부분에서 연장된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와, 기부에서 연장되어, 플러그 본체에 끼워맞추어지는 맞물림 보유부와, 기부에서 연장되는 플러그측 고정부를 가지고, 리셉터클측 앵커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폭방향 끝 부분에서 연장된 판모양 부재를 꺾어 이루어지며, 그 탄성력에 의해 내면에 상기 삽입부의 바깥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삽입부를 보유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탄성보유부와,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리셉터클측 고정부를 가지며, 적어도 오목부의 내면 및 삽입부의 바깥면은 압연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secure locking state and a conduction state while realizing miniaturization and low magnification, and does not damage each member even if the plug is repeatedly inserted and retrac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realizes a high locking state even when the alignment position is shif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side anchor includes a base formed of an elongated plate member, an insertion portion formed of a plate member extended from a widthwise end portion of the base, and an interlocking retention extending from the base and fitted into the plug body. The receptacle-side anchor is formed by bending a connecting portion made of an elongated plate-shaped member and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from the widthwis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having an inner surface by the elastic force. An elastic retaining portion having a recess for holding the insert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 and a receptacle side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at least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 are formed by rolling. to be.
커넥터, 플러그, 리셉터클, 컨택트 Connectors, Plugs, Receptacles, Contact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cep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 및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측 앵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c)는 도 2의 (a)의 IIC-II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의 (d)는 리셉터클측 앵커가 리셉터클 본체에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의 (e)는 리셉터클측 앵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2 (a) and 2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ptacle side anch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c) is taken along the line IIC-IIC of FIG. 2 (a). Sectional drawing cut | disconnected, FIG.2 (d)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receptacle side anchor was engaged with the receptacle main body, and FIG.2 (e)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a receptacle side anchor.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IIIB-IIIB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lu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B-IIIB of FIG. 3A.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측 앵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의 (c)는 도 4의 (a)의 IVC-IVC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4 (a) and 4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lug side anch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c) is taken along line IVC-IVC of FIG. 4 (a). It is a cross section which cut along.
도 5는 리셉터클측 앵커와 플러그측 앵커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tting state between the receptacle side anchor and the plug side anchor.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측 앵커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modification of the plug side anchor which concerns on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제 1 입설부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1st standing part modified example of the receptacle sid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탄성보유부 맞물림부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ification of the elastic retaining portion engaging portion of the receptacle sid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탄성보유부 맞물림부 및 리셉터클 본체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ification of the elastic retaining portion engaging portion and the receptacle body of the receptacle sid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본체 벽부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dification of the plug body wall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본체 벽부 및 플러그측 앵커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dification of the plug body wall portion and the plug side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의 (a) 및 도 1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측 앵커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2 (a) and 12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ification of the receptacle side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a) 및 도 1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측 앵커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3A and 13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ification of the plug-side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설명****** Description of Major Reference Code ***
10: 리셉터클 20: 리셉터클 본체10: receptacle 20: receptacle body
21: 삽입홈 30: 리셉터클 컨택트21: Insertion groove 30: Receptacle contact
40: 리셉터클측 앵커 42: 연결부40: receptacle side anchor 42: connection portion
43: 탄성보유부 43b: 오목부43:
43b1: 제 1 돌기부 43b2: 제 2 돌기부43b1: first projection 43b2: second projection
50: 플러그 60: 플러그 본체50: plug 60: plug body
64: 벽부 70: 플러그 컨택트64: wall part 70: plug contact
80: 플러그측 앵커 82: 기부80: plug side anchor 82: base
83: 삽입부 83a1: 돌기부83: insertion portion 83a1: projection portion
본 발명은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구비하고, 리셉터클에 설치된 리셉터클측 앵커와 플러그에 설치된 플러그측 앵커의 작용에 의해,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잠금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receptacle and a plug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which can be reliably maintained in the locked state of the receptacle and the plug by the action of the receptacle side anchor provided on the receptacle and the plug side anchor provided on the plug. will be.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구비하고, 리셉터클에 설치된 삽입홈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양자를 도통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이를 탑재하는 휴대단말 그 밖의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저배화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In a connector having a receptacle and a plug, and inserting a plug into an insertion groove provided in the receptacle,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 size of a portable terminal or other device mounting the plug is reduced, the demand for low magnification is increasing.
하지만, 커넥터를 저배화하면, 플러그의 삽탈(삽입 및 해제)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컨택트 및 플러그 컨택트의 스트로크(stroke)가 작아지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압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 컨택트의 수가 적어질수록,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진다.However, when the connector is made low, the contact pressure of the receptacle contact and the plug contact tends to decrease because the stroke of the receptacle contact and the plug contact in the insertion / removal (insertion and release) direction of the plug is reduced. Also, the smaller the number of contacts, the more difficult it is to keep the plug and receptacle locked.
이에 대하여, 리셉터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리셉터클측 앵커를, 플러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플러그측 앵커를, 각각 장착한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일본 공개특허 2003-297485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1-57273호 공보). 이 커넥터들은 리 셉터클측 앵커에 설치한 잠금부와, 플러그측 앵커에 설치한 피잠금부를 서로 끼워맞추어 종래보다 확실한 잠금 상태를 실현하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connector has been proposed in which receptacle-side anchors are moun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ptacle, and plug-side anchors are moun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g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297485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57273). report). These connectors are fitted with the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receptacle side anchor and the locked portion provided on the plug side anchor to achieve a more secure locking state than before.
하지만, 상술한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측 앵커 및 플러그측 앵커가 전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를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면, 그 전단면에 의해 상대측 부재나 주변 부재에 손상을 주게 되는 일이 적지 않고, 이에 의해 커넥터 안에 이물이 발생, 퇴적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리셉터클측 앵커 및 플러그측 앵커는, 그 구조상 커넥터의 계속되는 저배화에 대응하기가 어려웠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since the receptacle side anchor and the plug side anchor are formed by shearing, if the plug is repeatedly inserted and detached, the shearing surface is not likely to damage the mating member or the peripheral member. This cause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is generated and accumulated in the connector. In addition, the receptacle-side anchor and the plug-side anchor were difficult to cope with continued low magnification of the connector due to its structure.
또한, 리셉터클과 플러그 사이에는 끼워맞춤을 위하여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격의 범위내에서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끼워맞춤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 어긋나는 정도에 따라서는, 상술한 리셉터클측 앵커와 플러그측 앵커가 정확하게 맞물리지 않고 잠금력이 저하하는 방향이 생기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 그 방향에서 플러그가 리셉터클로부터 해제되기 쉬웠다.Moreover, a predetermined space | interval is formed between the receptacle and a plug for the fitting, and the fitting position of a receptacle and a plug may shift | deviate within the range of this space | interval.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is misalignment, the receptacle-side anchor and the plug-side anchor are not accurately engaged, and thus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force decreases is generated. Therefore, when a vibration or an impact is applied, the plug is easily released from the receptacle in that direc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이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 및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플러그측 앵커를 가지는 플러그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를 끼우는 삽입홈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 삽입홈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 도통하도록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 의 리셉터클 컨택트, 및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플러그측 앵커를 보유하는 리셉터클측 앵커를 가지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플러그측 앵커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부와, 기부의 폭방향 끝 부분에서 연장된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와, 기부에서 연장되어 플러그 본체에 끼워맞추어지는 맞물림 보유부와, 기부에서 연장되는 플러그측 고정부를 가지고, 리셉터클측 앵커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폭방향 끝 부분에서 연장된 판모양 부재를 꺾어 이루어지며, 그 탄성력에 의해 내면에 삽입부의 바깥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삽입부를 보유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탄성보유부와,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리셉터클측 고정부를 가지며, 적어도 오목부의 내면 및 삽입부의 바깥면은 압연에 의해 형성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connector of this invention consists of a plug body which consists of an insulation member, the plug which has at least one plug contact hold | maintained by this plug body, and the plug side anchor hold | maintained by the plug body, and an insulation member A receptacle body having a recess for inserting a plug, a receptacle having at least one receptacle contact held in the receptacle body to be in contact with the plug contact when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insert groove, and a plug side anchor retained in the receptacle body A receptacle having a side anchor, the plug side anchor includes a base consisting of an elongated plate member, an insertion part consisting of a plate member extending from a widthwise end portion of the base, and a plug extending from the base to fit the plug body. Losing engagement retainer, and plugs extending from base The receptacle-side anchor is formed by bending a connecting portion made of an elongated plate-shaped member and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from the widthwis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buts on the inner surface by the elastic force. And an elastic retaining portion having a recess for holding the insertion portion, and a receptacle-side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at least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are surfaces formed by rolling.
상기 오목부는 저부와, 저부의 양끝을 꺾어 접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 1 입설부(立設部) 및 제 2 입설부로 구성되며, 제 1 입설부에는 제 2 입설부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기부가 설치되고, 삽입부는 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입설부에 제 1 입설부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돌기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The recess includes a bottom, a first standing part and a second standing part formed by folding both ends of the bottom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standing part protrud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econd standing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1st protrusion part is provided and the insertion part is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part which protrud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a base. Moreover, you may provide the 2nd protrusion part which protruded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a 1st tongue part.
상기 삽입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판모양 부재를 꺾어 이루어지며, 플러그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부(鉛直部)를 구비하면 좋다.Th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by bending a plate memb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plug.
상기 탄성보유부에는, 오목부에서의 연결부로부터 먼 쪽의 끝 부분으로부터, 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맞물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retaining por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engag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necting portion from an end portion far from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recess.
상기 플러그 및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를 표시장치 유니트 위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를 기판 위에 배치할 수 있으며, 삽입홈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표시장치 유니트와 기판을 도통시킬 수 있다.One of the plug and the receptacle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the other may b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the display unit and the substrat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inserting the plug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플러그 및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를 촬상소자 유니트 위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를 기판 위에 배치할 수 있으며, 삽입홈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촬상소자 유니트와 기판을 도통시킬 수 있다.One of the plug and the receptacle may be disposed on the imaging device unit, the other may be arranged on the substrate, and the imaging device unit and the substrate may be brought into contact by inserting a plug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삽입부와 상기 탄성보유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elastic retaining por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상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connectors.
(실시예)(Example)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10)(도 1)과 플러그(50)(도 3)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10)과 플러그(50) 중 하나를 LCD(액정 디스플레이)(표시장치) 유니트나 CCD(전하결합소자)(촬상소자) 유니트 측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를 이 유니트와 도통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기판측에 배치하여, 리셉터클(10)과 플러그(50)를 결합함으로써 유니트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50)와 리셉터클(10)은 휴대단말(예를 들어, 휴대전화, 휴대가능한 컴퓨터를 포함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부에서의 접속이나, 휴대단말과 외부기기와의 접속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리셉터클(10) 및 플러그(50)는 LCD 유니트 외에, 표시장치로서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유니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니트, 유기전계 발광(유기EL) 소자 디스플레이 유니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CCD 유니트 외에, 촬상소자로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유니트에도, 리셉터클(10) 및 플러그(50)를 적용할 수 있다.The connec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receptacle 10 (FIG. 1) and a plug 50 (FIG. 3) which are coupled t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one of the
도 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10)은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플러그(50)를 끼우고 빼고 하는 삽입홈(21)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20)와, 삽입홈(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30)와,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 양끝의 벽부(22,23)의 각각에 대하여 장착된 리셉터클측 앵커(40)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본체(20)는 예를 들어 나일론9T(상표명),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The
리셉터클 컨택트(30)는 삽입홈(21)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며, 삽입홈(21)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리셉터클측 단자부(34)는 설치 대상물(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납땜 고정된다. 또한, 리셉터클측 앵커(40)는 그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가 각각 설치 대상물에 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출 때 플러그(50)가 배치되는 쪽(도 1에서 윗쪽)을 상측, 리셉터클(10)이 배치되는 쪽(도 1에서 아랫쪽)을 하측이라고 칭한다.The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측 앵커(40)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42)와, 연결부(42)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그 폭방향 끝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탄성보유부(43)와,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접어 꺾어진 연결부(42)에서의 양단부(46,47)의 각각으로부터, 연결부(4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리셉 터클측 고정부(48,49)로 구성된다. 연결부(42)의 양단부(46,47)와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와의 접속부분에는, 연결부(42)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한 플러그 본체 맞물림부(44a,44b)가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42)의 하측 끝 부분의 길이방향 양끝에는,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누름부(42a,42b)가 형성되어 있다.The receptacle-
리셉터클측 앵커(40)는 벽부(22,23)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리셉터클 본체(20)에 설치되며, 맞물림부(44a,44b)에 의해 리셉터클 본체(20)에 장착되며, 납땜에 의해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가 리셉터클 본체(20)에 고정된다. 이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는 리셉터클 본체(20)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가 설치 대상물에 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누름부(42a,42b)와 설치 대상물에 의해 리셉터클 본체(20)가 죄어진다. 또한,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는 연결부(4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도 좋고, 양단부(46,47) 이외의 연결부(42)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The
탄성보유부(43)는 압연에 의해 일정한 판두께로 한 일정 폭의 판모양 부재를 접어 꺾어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리셉터클 본체(20)에 장착할 때 플러그(50)의 삽입 방향과 거의 수직한 제 1 수평부(43a)와, 이 제 1 수평부(43a)로부터 연장되며, 윗쪽으로 뚫린 개구를 구비한 대략 U자형의 오목부(43b)와, 오목부(43b)의 끝 부분을 일단 제 1 수평부(43a)와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린 후에 아랫쪽으로 접어 꺾음으로써 아랫쪽으로 뚫린 개구를 구비한 맞물림부(43c)로 이루어진다. 이 맞물림부(43c)는 오목부(43b)에서의 연결부(42)로부터 먼 쪽의 끝 부분으로부터, 연결부(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리셉터클 본체(20)에 설치된 피맞물림부(24)에 맞물린다(도 2의 (d)).The
탄성보유부(43)의 폭은 탄성력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을 크게 함으로써, 탄성보유부(43)의 잠금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끼우고 빼고 할 때, 리셉터클(10)에 대하여 플러그(5)의 위치를 평행하게 교정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끼워맞추었을 경우, 탄성보유부(43)의 복원력에 의해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의 중앙, 즉 소정의 끼워맞춤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위치가 어긋남에 따른 접촉 불량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탄성보유부(43)의 판두께 및 폭은 일정하지 않아도 되며, 제 1 수평부(43a)로부터 맞물림부(43c)를 향해감에 따라 서서히 줄어들 수도 있다. 또한, 탄성보유부(43)는 연결부(42)의 길이방향 중앙에 설치되는 것 외에, 연결부(42)의 길이방향 중앙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한 개씩 설치하여도 좋다.It is preferable to make the width of the elastic retaining
오목부(43b)는 제 1 수평부(43a)의 끝 부분을 아랫쪽으로 꺾어 이루어지는 제 1 입설부(143), 이 제 1 입설부(143)의 끝 부분을 꺾어 이루어지는 저부(144), 및 저부(144)의 끝 부분으로부터 제 1 입설부(143)와 마주보도록 연장된 제 2 입설부(145)로 이루어진다. 제 1 입설부(143)와 제 1 수평부(43a)의 접속 부분에 맞물림부(43c) 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부(43b1)가 형성되고, 제 2 입설부(145)와 맞물림부(43c)의 접속 부분에는 제 1 수평부(43a)측으로 돌출하는 제 2 돌기부(43b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기부(43b1)와 제 2 돌기부(43b2)의 간격은 외부의 힘을 가하지 않는 자연상태에서는 D1이다. 또한, 제 1 돌기부(43b1)와 제 2 입설부(145)의 내면 중 연결부(42)로부터 가장 먼 부분까지의 거리는 자연상태에서는 D3(D3>D1)으로 되어 있다.The recessed
한편, 오목부(43b)는 제 1 입설부(143)와 저부(144), 및 저부(144)와 제 2 입설부(145)를 각각 직각으로 꺾어, 'ㄷ'자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2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입설부(145)를 저부(144)의 끝 부분으로부터 제 1 입설부에 접근하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하고, 제 2 입설부(145)와 맞물림부(43c)의 접속 부분이 제 2 돌기부(43b2)로서 기능하게 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도 3에 나타내는 플러그(50)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인서트(insert)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플러그 본체(60)와, 각각 띠모양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에 각각 리셉터클(10)에서의 리셉터클 컨택트(30)와 대응하여 동일한 피치로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70)와,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양끝에 설치한 벽부(64)의 각각에 대하여 조립된 플러그측 앵커(80)를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60)는 예를 들어, 나일론9T(상표명),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컨택트(70)와 함께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The
플러그 컨택트(70)는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벽부(6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 벽부(61)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러그측 단자부(74)는 설치대상물(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납땜 고정된다. 또한, 플러그측 앵커(80)는 그 플러그측 고정부(88,89)가 각각 설치 대상물에 대하여 전기적 또는 기 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The
도 4에 나타내는 플러그측 앵커(80)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부(82)와, 기부(82)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폭방향 끝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삽입부(83)와, 삽입부(83)에 대하여 기부(82)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맞물림 보유부(84,85)와,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꺾인 기부(82) 양단부(86,87)의 각각으로부터, 기부(8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플러그측 고정부(88,89)로 구성된다. 플러그 본체(60)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플러그측 고정부(88,89)는 각각 설치 대상물에 대하여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맞물림 보유부(84,85)를 벽부(64)에 뚫은 맞물림구멍(64a,64b)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플러그측 앵커(80)는 플러그 본체(60)에 보유된다. 한편, 플러그측 고정부(88,89)는 기부(8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도 좋고, 양단부(86,87) 이외의 기부(82)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맞물림 보유부(84,85)는 맞물림 구멍(64a,64b)과 대응되어 있으면, 임의의 장소에 임의의 수만큼 설치할 수 있다.The plug-
삽입부(83)는 압연에 의해 일정한 판두께로 한 판모양 부재를 꺾어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기부(82)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연직부(83a)와, 기부(82)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판모양 부재를 꺾어 접어 연직부(83a)의 끝 부분과 연결되는 꺾음부(83b)로 이루어진다. 삽입부(83)는 기부(82)와 함께, 소정의 간격(G)을 두고 꺾어져 이루어지는 대략 U자형이다(도 4의 (c)). 연직부(83a)에는 그 길이방향(기부(82)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소정 위 치에, 기부(8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부(83a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기부(83a1) 대신에, 딤플(dimple) 형상이나 비드(bead)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삽입부(83)는 기부(82)의 길이방향 중앙에 설치하는 것 외에, 기부(82)의 길이방향 중앙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한 개씩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연직부(83a)와 꺾음부(83b), 및 꺾음부(83b)와 기부(82)를 각각 직각으로 꺾어, 'ㄷ'자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연직부(83a)와 기부(82)의 간격을 제로로 하거나, 꺾음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기부(82)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그 폭방향으로 연장 설치함으로써 삽입부(83)를 형성할 수 있는데, 플러그(50)를 끼우고 빼고 하는 것에 대한 추종성의 관점에서는, 연직부(83a)와 기부(82) 사이에 간격(G)이 있는 것이 연직부(83a)의 탄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플러그측 앵커(80)는 플러그(50)의 끼워맞춤 방향 윗쪽(도 3의 아랫쪽)으로부터 벽부(64) 안으로 삽입되어 플러그 본체(60)에 장착된다. 기부(82)는 내측벽(64d)에, 꺾음부(83b)는 내측벽(64c)에 각각 접촉되어 있다. 플러그(5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벽부(64)의 단면(64e)으로부터 연직부(83a)의 외측면(83a2)까지의 거리(D2)(플러그(50)의 길이방향에서의 기부(82)의 외측면(82a)으로부터 연직부(83a)의 외측면(83a2)까지의 거리(D4)에 단면(64e)의 판두께를 가산한 것)는 D1보다 크며, D3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The
리셉터클측 앵커(40) 및 플러그측 앵커(80)는, 소정의 형상으로 스탬핑 성형된 기재(예를 들어, 베릴륨구리, 티탄구리, 코르손(니켈-실리콘)계 구리 합금) 위에, 하지(下地) 도금(예를 들어, 니켈 도금)을 실시한 후, 마무리 도금(예를 들어, 주석-구리 도금, 주석-아연 도금, 금 도금)을 실시하여 제작한다. 리셉터클측 앵커(40) 및 플러그측 앵커(80)의 판두께는, 커넥터의 소형화, 저배화를 고려하면서, 스프링 설계나 가공성의 관점에서, 0.08~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하지 도금의 두께는 0.5㎛~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0.5㎛ 미만이면 하지 도금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4㎛를 넘으면 비용이 올라가는 동시에, 플러그(50)와의 미끄럼 접합시의 변형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마무리 도금의 두께는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1㎛미만이면 마무리 도금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를 넘으면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특히, 마무리 도금이 금 도금인 경우에는 0.03~0.2㎛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0.03㎛ 미만이면 마무리 도금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0.2㎛를 넘으면 비용이 올라가기 때문이다.The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추면, 리셉터클 컨택트(30) 안으로 플러그 컨택트(70)가 끼워맞추어지는 동시에, 플러그측 앵커(80)의 삽입부(83)가 벽부(64)와 함께 오목부(43b) 안으로 끼워맞추어져, 플러그측 앵커(80)가 리셉터클측 앵커(40)에 보유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50)와 리셉터클(10)의 잠금 상태를 실현하면서, 플러그측 앵커(80)와 리셉터클측 앵커(40)가 서로 도통한다(도 5). 벽부(64)의 단면(64e)으로부터 연직부(83a)의 외측면(83a2)까지의 거리(D2)가, D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83)와 벽부(64)는 오목부(43b)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보유된다. 또한, D2가 D3보다 작기 때문에,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추었을 때 오목부(43b)가 열리도록 탄성 변형함에 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제 2 돌기부(43b2)가 플러그(50)와 맞닿을 수 있어, 플러그(50)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또한, 대략 U자 모양의 오목부(43b)의 개구부분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부(43b1) 및 제 2 돌기부(43b2)를 설치하고, 연직부(83a)에 돌기부(83a1)를 설치함으로써, 삽입부(83)를 오목부(43b)에 끼워맞출 때 돌기부(83a1)가 제 1 돌기부(43b1) 및 제 2 돌기부(43b2)를 타고 넘게 된다. 이 때문에, 오목부(43b) 안으로 삽입부(83)를 끼워넣을 때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끼워맞춤 후에는 삽입부(83)가 오목부(43b)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플러그(50)와 리셉터클(10)의 잠금 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Furthermore, by providing the first projection 43b1 and the second projection 43b2 projecting inwardly 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substantially
또한, 탄성보유부(43)와 삽입부(83)의 압연면을 서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오목부(43b) 안으로 삽입부(83)를 끼워넣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50)를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여도 탄성보유부(43), 삽입부(83), 및 그 주변의 부재에 손상을 주는 일이 적다. 따라서, 끼웠다 뺐다 하는 것에 대한 내구성이 높은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lling surfaces of the elastic retaining
또한, 리셉터클(10)에 대하여 플러그(50)의 끼워맞춤 위치가 어긋나거나, 플러그(50)가 비틀린 상태로 끼워맞추어지더라도, 탄성보유부(43)는 그 형상 및 탄성에 의해 쉽게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보유력에 의한 확실한 잠금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fitting position of the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오목부(43b)에 벽부(64) 및 삽입부(83)를 끼워넣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83)만을 끼워넣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돌기부(43b1)와 제 2 돌기부(43b2)의 간격(D1), 플러그(50)의 길이방향에서의 기부(82)의 외측면(82a)으로부터 연직부(83a)의 외측면(83a2)까지의 거리(D4), 및 제 1 돌기부(43b1)와 제 2 입설부(145)의 내면 중 연결부(42)로부터 가장 먼 부분까지의 거리(D3)의 관계가, D3>D4>D1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계는 도 5에 나타내는 예와 비교하여, 제 1 입설부(143)와 제 2 입설부(145)의 간격을 좁히도록, 그리고, 제 1 돌기부(43b1)와 제 2 돌기부(43b2)의 간격을 줄이도록 탄성보유부(43)를 가공하고, 및/또는 플러그측 앵커(80) 중 적어도 삽입부(83)의 판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삽입부(83)는 오목부(43b)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보유되는 동시에,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추었을 때 오목부(43b)가 열리도록 탄성 변형함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제 2 돌기부(43b2)가 플러그(50)와 맞닿을 수 있어, 플러그(50)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although the
끼워맞추어진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로부터 이탈시킬 때, 좌우의 앵커가 서로 다른 타이밍에서 빠질(경사 적출) 경우 리셉터클측 앵커(40)의 맞물림부(43c)가 플러그(50)와 함께 쉽게 들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래의 (1)~(5)의 구성이 유용하다.When the fitted
(1)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입설부(143)의 연직방향 대략 중앙에 수평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부(143a)를 설치하고, 리셉터클 본체(20)의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리셉터클 본체(20)에 리셉터클측 앵커(40)를 조립했을 때 걸어맞춤부(143a)가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구 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50) 이탈시에도 걸어맞춤부(143a)는 오목부 안에 끼워맞추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맞물림부(43c)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As shown in Fig. 7, the engaging
또한, 리셉터클 본체(20)에 오목부를 설치하지 않고, 걸어맞춤부(143a)를 리셉터클 본체(20)에 꽂음으로써, 제 1 입설부(143)가 고정되어 맞물림부(43c)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the engaging
(2)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물림부(43c) 중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선단 부분(43c1)(도 9 참조)의 연직방향 대략 중앙에 수평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부(43c2)를 설치하고, 리셉터클 본체(20)의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리셉터클 본체(20)에 리셉터클측 앵커(40)를 조립했을 때, 걸어맞춤부(43c2)가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50) 이탈시에도 걸어맞춤부(43c2)는 오목부 안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맞물림부(43c)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2) As shown in FIG. 8, the engaging part 43c2 extended horizontally outward in th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front-end | tip part 43c1 (refer FIG. 9) extended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among the engaging
또한, 리셉터클 본체(20)에 오목부를 설치하지 않고, 걸어맞춤부(43c2)를 리셉터클 본체(20)에 꽂음으로써, 선단 부분(43c1)이 고정되어 맞물림부(43c)가 들려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the engaging portion 43c2 into the
(3)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물리부(43c)의 선단 부분(43c1)의 선단편(43c3)을 제 2 입설부(145)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꺾음 가공하는 동시에, 리셉터클 본체(20)의 피맞물림부(24)의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부(25)를 설치하여, 리셉터클 본체(20)에 리셉터클측 앵커(40)를 조립했을 때, 선단편(43c3)이 오목부(25)로 끼워져 들어가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선단편(43c3)은 오목부(25)에 의해 윗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당하기 때문에, 플러그(50)의 이탈시에 맞물림부(43c)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3) As shown in FIG. 9, the front end piece 43c3 of the front end part 43c1 of the
(4)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측 앵커(40)가 리셉터클 본체(20)에 조립되었을 때, 선단 부분(43c1) 측으로부터 맞물림부(43c)의 윗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6)를 리셉터클 본체(20)에 형성한다. 이에 의해, 맞물림부(43c)가 볼록부에 맞닿음으로써, 플러그(50)의 이탈시에 맞물림부(43c)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4) As shown in FIG. 9, when the
(5)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부(64)에 있어서 플러그(50)가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추어졌을 때, 제 2 돌기부(43b2)에 맞닿는 위치, 혹은 맞닿는 위치보다 저부(144)측의 위치로부터, 저부(144)측으로 향해감에 따라 탄성보유부(43)와 단면(64e)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벽부(64)에 경사면(64e1)을 설치한다. 이 경사면(64e1)은 평면이어도 곡면이어도 좋다. 이에 의해, 플러그(50)가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추어진 상태로부터 비스듬하게 빠진다고 해도, 제 2 돌기부(43b2)와 벽부(64)의 간섭을 줄일 수 있어, 리셉터클측 앵커(40)가 리셉터클(1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5) As shown in FIG. 10, when the
또한, 플러그측 앵커(80)의 삽입부(83)나 돌기(83a1)의 형상 정밀도가 낮으면, 리셉터클측 앵커(40)와 플러그측 앵커(80)의 끼워맞춤이 불완전해지거나, 충분한 잠금력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래의 (6), (7)의 구성으로 하면 효과적이다.In addition, if the shape accuracy of the
(6)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50)가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추어졌을 때, 꺾음부(83b)가 벽부(64)를 사이에 두지 않고 저부(144)와 대향하도록, 기부(82)로부터 꺾음부(83b)까지의 길이(L1) 및 꺾음부(83b)로부터 연직부(83a) 선단까지의 길이(L2)를 크게 하는 동시에, 플러그 본체(60)의 벽부(64) 중, 저부(144)와 대략 평행하게 되어 꺾음부(83b)와 저부(144) 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선단 부분을 제거한다.(6) As shown in FIG. 11, when the
(7)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측 앵커(80)의 삽입방향에서의 돌기부(83a1)의 위치를 저부(144)측으로 시프트한다. 즉, 플러그(50)가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추어졌을 때, 플러그(50)의 삽입방향에서 제 1 돌기부(43b1)와 돌기부(83a1) 사이에 접촉 여유(L4)를 형성한다.(7) As shown in FIG. 11, the position of the projection part 83a1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이러한 구성((6),(7))에 따르면, 예를 들어 커넥터의 저배화가 진행되더라도 플러그측 앵커(80)의 삽입부(83)를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밀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50)가 실장되는 기판과 리셉터클(10)이 실장되는 기판의 거리(스태킹; stacking)나, 이들 기판의 각도에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접촉 여유를 마련함으로써 항상 안정된 전기저항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접촉 여유를 마련함으로써, 플러그측 앵커(80)를 끼워맞출 때에는, 반드시 돌기부(83a1)가 제 1 돌기부(43b1)를 타고 넘게 되므로, 안정된 잠금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탄성보유부(43)의 오목부(43b)와 삽입부(83)의 연직부(83a)를 확실하게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측 앵커(40) 및 플러그측 앵커(80)를 도통 부재(예를 들어, 그라운드 접속용)로서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6) and (7), since the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42) 중 기판면쪽(연결부(42)의 폭방향에서 탄성보유부(43)가 마련되지 않은 측)에 배치되는 끝부분(도 12의 점선부분)을 제거하면, 리셉터클측 앵커(40)를 실장하는 기판으로부터 연결부(42)를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82) 중의 기판면쪽(기부(82)의 폭방향에서 삽입부(83)가 마련되지 않은 측)에 배치되는 끝부분, 및 삽입부(83) 중 연직부(83a)의 선단 부분(또 13의 점선부분)을 삭제하면, 플러그측 앵커(80)를 실장하는 기판으로부터 기부(82) 및 연직부(83)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42), 기부(82), 연직부(83)를 기판으로부터 떨어뜨리면, 기판의 커넥터 탑재부분에 패턴 배선을 할 때, 기판 위의 이간부분에도 배선할 수 있기 때문에, 배선설계에 있어서 좀더 자유롭다. 또한, 커넥터를 실장한 후에, 커넥터에 대하여 기판측을 향하는 외부 힘이 가해졌을 때에도, 리셉터클측 앵커(40), 플러그측 앵커(80)의 바로 아래(이간부분)에 있는 배선이 절단되거나, 기판모양의 레지스트가 박리되어 도체부분이 노출되는 일이 없다. 또한, 기판 위의 배선이나 앵커에 순간적으로 커다란 전류가 흐른 경우에도, 단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판면과 떨어지는 거리는 절연기능의 측면에서 0.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edge part (dotted line part of FIG. 12)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ard | substrate surface side (side in which the elastic retaining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개량된 목적 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안에서 개량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mprovement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improved object o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저배화를 실현하면서, 확실한 잠금 상태 및 도통 상태를 실현하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를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더라도, 각 부재에 손상을 주는 일이 적은 내구성 높은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끼워맞춤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편차가 적으며, 견고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or that realizes a secure lock state and a conduction state while realizing miniaturization and low magnification. Moreover, even if the plug is repeatedly inserted and detached, a durable connector with less damage to each member can be provided. Furthermore, even when the fitting position of the receptacle and the plug is misaligned, a connector can be provided that has a small variation and can maintain a secure locked state.
Claims (9)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253391 | 2004-08-31 | ||
JPJP-P-2004-00253391 | 2004-08-31 | ||
JP2005001355A JP2006100240A (en) | 2004-08-31 | 2005-01-06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it |
JPJP-P-2005-00001355 | 2005-01-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2245A KR20060042245A (en) | 2006-05-12 |
KR100643180B1 true KR100643180B1 (en) | 2006-11-10 |
Family
ID=3623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58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3180B1 (en) | 2004-08-31 | 2005-02-25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6100240A (en) |
KR (1) | KR10064318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7437B1 (en) | 2013-06-24 | 2014-05-20 |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same |
KR101552941B1 (en) | 2012-03-29 | 2015-09-14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
KR101567356B1 (en) | 2012-05-01 | 2015-11-09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
KR20160089216A (en) * | 2015-01-19 | 2016-07-2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Improved connector device for connection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23694B2 (en) * | 2008-05-12 | 2014-11-12 | オムロン株式会社 | connector |
JP5250450B2 (en) * | 2009-02-27 | 2013-07-31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JP5523776B2 (en) * | 2009-09-08 | 2014-06-18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Electrical connectors and connectors |
JP5881333B2 (en) * | 2010-09-08 | 2016-03-09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Board to board connector |
JP5908225B2 (en) * | 2011-07-06 | 2016-04-26 |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JP5872503B2 (en) * | 2013-04-18 | 2016-03-0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JP5716803B2 (en) | 2013-09-20 | 2015-05-13 | 第一精工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
KR101489493B1 (en) * | 2013-09-27 | 2015-02-06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Board to board connector |
KR101586250B1 (en) * | 2014-04-30 | 2016-01-18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Board to board connector |
JP6385875B2 (en) * | 2015-04-01 | 2018-09-0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
JP7148357B2 (en) * | 2018-10-18 | 2022-10-05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connector |
CN113273035B (en) | 2019-02-07 | 2023-07-14 | 株式会社村田制作所 | Electric connector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
JP6817477B2 (en) * | 2020-02-10 | 2021-01-2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
JP2024070002A (en) * | 2022-11-10 | 2024-05-22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Connector Set |
-
2005
- 2005-01-06 JP JP2005001355A patent/JP2006100240A/en active Pending
- 2005-02-25 KR KR1020050015866A patent/KR10064318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2941B1 (en) | 2012-03-29 | 2015-09-14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
KR101567356B1 (en) | 2012-05-01 | 2015-11-09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
KR101397437B1 (en) | 2013-06-24 | 2014-05-20 |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same |
KR101397442B1 (en) | 2013-06-24 | 2014-05-20 |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e same |
KR20160089216A (en) * | 2015-01-19 | 2016-07-2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Improved connector device for connection structure |
KR102063296B1 (en) | 2015-01-19 | 2020-01-07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Improved connector device for connection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2245A (en) | 2006-05-12 |
JP2006100240A (en) | 2006-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43180B1 (en)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0664670B1 (en) | Connector and handheld terminal with this connector | |
KR100852713B1 (en)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with this connector | |
JP4287825B2 (en) | Board connector | |
KR100538161B1 (en) | Low-profile connector | |
KR100556571B1 (en) | connector | |
CN104347995B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110034055A1 (en) | Card edge connector with an improved metal hook | |
WO2007016706A2 (en) | Board-to-board connector for mounting on a circuit board | |
US20080026609A1 (en) | Low profile connector | |
KR100671989B1 (en) | Connector and handheld terminal with this connector | |
US20230261400A1 (en) |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 |
US8500460B2 (en) | Board to board connectors and assembly thereof with contact-mounting wall having variable thickness | |
EP1349240A2 (en) |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 |
US7226297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070026708A1 (en) | Connector and portable cable | |
JP3975222B2 (en)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is connector | |
KR100628496B1 (en)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JP4619431B2 (en) | 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is connector | |
US20240162640A1 (en) |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1444431B1 (en) | Contact having twist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KR200379837Y1 (en) | Connector | |
US20240347941A1 (en) | 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 |
JP2018129165A (en) | connector | |
KR100531938B1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