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2332B1 -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332B1
KR100642332B1 KR1020060073868A KR20060073868A KR100642332B1 KR 100642332 B1 KR100642332 B1 KR 100642332B1 KR 1020060073868 A KR1020060073868 A KR 1020060073868A KR 20060073868 A KR20060073868 A KR 20060073868A KR 100642332 B1 KR100642332 B1 KR 100642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foundation
reinforcement
jacket
reinforcement j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6007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3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은, 교량의 상부 슬래브를 지지하는 교대가 연약지반에 기초 파일 통해 설치되어도 연약지반의 측방 유동에 의한 교대의 전도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교량의 교대 하단부의 기초 콘크리트부에 안착되는 기초 림(11), 상기 기초 림의 내주연 상에 형성되며 상기 교대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주벽(12) 및 상기 기초 림과 주벽의 사이에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리브(13)로 이루어지는 보강 재킷(10)과; 상기 보강 재킷과 상기 교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20)와; 상기 보강 재킷의 주벽과 상기 교대의 사이에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상기 교대와 보강 재킷을 결속하는 무수축 콘크리트(30)와; 상기 보강 재킷의 기초 림의 저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그 머리부가 상기 기초 림에 고정되는 다수의 보강말뚝(40)으로 구성된다.
교량, 교대, 기초 파일, 보강, 전도

Description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A FABRIC FOR PREVENTING FALL OF A ROAD BRIDG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에 적용된 보강 재킷의 다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교대, 2 : 기초 콘크리트부
3 : 기초 파일, 4 : 연약지반층
5 : 암반층, 10 : 보강 재킷
20 : 체결볼트, 30 : 무수축 콘크리트
40 : 보강말뚝,
본 발명은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부 슬래브를 지지하는 교대가 연약지반에 기초 파일 통해 설치되어도 연약지반의 측방 유동에 의한 교대의 전도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므로 교량의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교량과 도로의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라 함은 철도 및 도로 위에 시공되는 고가도로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시공되는 다리 등과 같은 토목구조물이다. 이러한 교량은 교대와 교각 그리고 이들의 상부에 교좌장치를 통해 설치되는 상부 슬래브로 구성된다.
상기 교대와 교각은 교량의 상부 구조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교량의 하부 구조라 하며, 상기 교대는 토압을 지지하고 연직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교량의 양끝에 있는 구조물로서 설계할 때는 대부분 옹벽 설계와 비슷하며, 보통 교대는 상부에서 오는 수직, 수평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동시에 배후에서 작용하는 토압에 저항하고 수압과 수평 하중에 견디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교대(1)를 연약지반에 시공하는 경우 교대(1) 하단의 기초 콘크리트부(2) 저부에 다수의 기초 파일(3)을 결합하고, 이 다수의 기초 파일(3)을 연약지반(4) 하층의 암반층(5)에 박아 고정함으로써 교대(1)를 고정하며, 교대의 뒷쪽에 뒷채움성토를 실시하여 뒷채움부(6)를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뒷채움성토를 실시할 경우 그 하부지반이 연약지층일 경우에는 그 상부에 성토된 뒷채움성토의 편재하중으로 인하여 연약지층에 측방유동이 발 생하게 된다.
즉, 연약지층의 측방유동으로 인하여 기초 파일(3)이 측방토압을 받게 되면 교대(1)가 교량 내외측으로 기울어져서 교량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뒷채움부(6)가 침하되어 교량상부면과 뒷채움부(6) 상부의 도로면 간에 서로 단차가 형성되어 차량의 원활한 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보수공사가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약지층의 측방유동에 대한 교대의 버팀강성을 확보하여 교대가 전도하지 않도록 한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은, 상부 슬래브를 지지하는 교대의 저부에 결합되는 보강재킷과, 상기 보강재킷의 저부에 고정되며 하단이 연약지반을 관통하여 암반층에 박히는 다수의 보강말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을 설명하기 이전에 교대(1)는 하단부에 타구간보다 큰 직경의 기초 콘크리트부(2)가 형성되고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 워져 상부 슬래브를 지지하며, 기초 콘크리트부(2)의 저부에는 연약지반(4)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연약지반(4) 하층의 암반층(5)에 박혀 고정되는 다수의 기초 파일(3)이 설치된다.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은, 교대(1)의 하부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보강 재킷(10)과, 보강 재킷(10)과 교대(1)를 체결하는 다수의 체결볼트(20)와, 보강 재킷(10)과 교대(1) 사이의 공간에 양생되는 무수축 콘크리트(30)와, 보강 재킷(10)의 저부에 결합되며 연약지반(4)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연약지반(4) 하층의 암반층(5)에 박히는 다수의 보강 말뚝(40)으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강 재킷(10)은 교대(1) 하단부의 기초 콘크리트부(2)에 안착되는 내경이면서 기초 콘크리트부(2)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환형의 기초 림(11), 기초 림(11)의 내주연 상에 형성되며 교대(1)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벽면에 교대(1)의 둘레부에 형성된 요철부(1a)와 대응되는 요철부(12a)가 형성된 주벽(12) 및 기초 림(11)과 주벽(12)의 외벽 사이에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리브(13)로 구성된다.
체결볼트(20)는 일측이 보강 재킷(10)과 교대(1)를 관통하여 너트(21)로 체결됨으로써 교대(1)와 보강 재킷(10)을 결속한다.
무수축 콘크리트(30)는 보강 재킷(10)의 주벽(12)과 교대(1)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교대(1)와 보강 재킷(10)을 결속한다. 상술한 요철부(1a,12a) 는 무수축 콘크리트(30)에 의한 교대(1)와 보강 재킷(10)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보강말뚝(40)은 콘크리트말뚝이거나 강재말뚝이 사용 가능하며, Y보강 재킷(10)의 기초 림(11)의 저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그 머리부(41)에 기초 림(11)을 관통하는 볼트(42)가 구비되어 너트(43)로 체결되며, 하단의 첨예부(44)가 암반층(5)에 박혀 고정됨으로써 교대(1)를 지지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강 재킷(10)은 교대(1)에 대한 조립이 용이하도록 제1,2재킷(10A,10B)로 좌우로 분할 형성되며, 제1,2재킷(10A,10B)는 마주하는 자유단부에 보강리브(14A,14B)가 각각 형성되어, 보강리브(14A,14B)가 볼트(15)로 체결되어 결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에 의하면, 교대(1)를 처음 시공하는 경우에는 물론 이미 시공되어 있는 교대(1)에도 쉽게 반영할 수 있으며, 예컨대, 기초 콘크리트부(2)를 따라 다수의 보강말뚝(40)을 박아 고정한 후 보강말뚝(40)의 볼트(42)를 보강 재킷(10)의 기초 림(11)에 관통시켜 너트(43)를 체결하고, 제1,2재킷(10A,10B)를 체결하며, 교대(1)와 보강 재킷(10) 사이의 공간에 무수축 콘크리트(30)를 타설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무수축 콘크리트(30)의 양생이 완료되면, 요철부(1a,12a)에 의해 교대(1)와 보강 재킷(10)이 미끄러지지 않고 서로 결속됨으로써 보강 재킷(10)이 교대(1)에서 이탈되지 않고 교대(1)를 지지한다.
한편, 교대(1) 뒤쪽의 뒷채움부로부터 교대(1)에 측압이 가해지는 경우 보강 말뚝(40)이 기초 콘크리트부(2) 위쪽의 교대(1) 하부와 보강 재킷(10)을 통해 연결되어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에 의한 버팀력을 발휘함으로써 기초 파일(3)이 휨변형되더라도 기초 콘크리트부(2)와 교대(1)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에 의하면, 교량의 상부 슬래브를 지지하는 교대가 연약지반에 기초 파일 통해 설치되어도 연약지반의 측방 유동에 의한 교대의 전도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으므로 교량의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한 교량과 도로의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

  1. 하단부에 타구간보다 큰 직경의 기초 콘크리트부가 형성되고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워지며 상부 슬래브를 지지하는 교대의 저부에는 연약지반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연약지반 하층의 암반층에 박혀 고정되는 다수의 기초 파일이 설치된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교대 하단부의 기초 콘크리트부에 안착되는 내경이면서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환형의 기초 림, 상기 기초 림의 내주연 상에 형성되며 상기 교대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벽면에 상기 교대의 둘레부에 형성된 요철부와 대칭의 요철부가 형성된 주벽 및 상기 기초 림과 주벽의 사이에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보강리브로 이루어지는 보강 재킷과;
    상기 보강 재킷과 상기 교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와;
    상기 보강 재킷의 주벽과 상기 교대의 사이에 채워져 양생됨으로써 상기 교대와 보강 재킷을 결속하는 무수축 콘크리트와;
    상기 보강 재킷의 기초 림의 저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그 머리부에 상기 기초 림을 관통하여 너트로 체결되는 볼트가 형성되며 하단의 첨예부가 상기 암반층에 박혀 고정됨으로써 상기 교대를 지지하는 다수의 보강말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재킷은 좌우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분할된 2개는 마주하는 자유단부에 보강리브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보강리브가 볼트로 체결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
KR1020060073868A 2006-08-04 2006-08-04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 Active KR100642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68A KR100642332B1 (ko) 2006-08-04 2006-08-04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68A KR100642332B1 (ko) 2006-08-04 2006-08-04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332B1 true KR100642332B1 (ko) 2006-11-10

Family

ID=3765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868A Active KR100642332B1 (ko) 2006-08-04 2006-08-04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33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149B1 (ko) 2006-11-24 2008-02-19 전영총 피씨구조체 교각 및 피씨구조체 교각의 시공방법
KR101131769B1 (ko) 2010-02-04 2012-04-05 류제홍 콘크리트 충전 말뚝을 이용한 교대의 시공방법
KR101471541B1 (ko) * 2009-10-23 2014-12-23 (주)현타 이경 복합말뚝
CN105544381A (zh) * 2015-11-30 2016-05-04 中铁二十四局集团安徽工程有限公司 一种环形截面预制桥墩与承台的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JP2019007297A (ja) * 2017-06-28 2019-01-17 鹿島建設株式会社 橋脚基礎構造
CN109853365A (zh) * 2019-03-18 2019-06-07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高强螺栓连接的模块化预制装配高墩构造及制作方法
KR20200084183A (ko) * 2019-01-02 2020-07-10 현대건설주식회사 내진보강말뚝과 변위제어슬래브를 이용한 파일 서포트 취수탑 및 취수탑 내진보강공법
CN114134802A (zh) * 2020-09-03 2022-03-04 南京林业大学 一种预制桥墩与承台的插槽式连接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149B1 (ko) 2006-11-24 2008-02-19 전영총 피씨구조체 교각 및 피씨구조체 교각의 시공방법
KR101471541B1 (ko) * 2009-10-23 2014-12-23 (주)현타 이경 복합말뚝
KR101478174B1 (ko) * 2009-10-23 2015-01-16 (주)현타 이경 복합말뚝
KR101131769B1 (ko) 2010-02-04 2012-04-05 류제홍 콘크리트 충전 말뚝을 이용한 교대의 시공방법
CN105544381A (zh) * 2015-11-30 2016-05-04 中铁二十四局集团安徽工程有限公司 一种环形截面预制桥墩与承台的连接构造及其施工方法
JP2019007297A (ja) * 2017-06-28 2019-01-17 鹿島建設株式会社 橋脚基礎構造
KR20200084183A (ko) * 2019-01-02 2020-07-10 현대건설주식회사 내진보강말뚝과 변위제어슬래브를 이용한 파일 서포트 취수탑 및 취수탑 내진보강공법
KR102168165B1 (ko) * 2019-01-02 2020-10-20 현대건설주식회사 내진보강말뚝과 변위제어슬래브를 이용한 파일 서포트 취수탑 및 취수탑 내진보강공법
CN109853365A (zh) * 2019-03-18 2019-06-07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高强螺栓连接的模块化预制装配高墩构造及制作方法
CN114134802A (zh) * 2020-09-03 2022-03-04 南京林业大学 一种预制桥墩与承台的插槽式连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332B1 (ko) 도로 교량용 교대 기초 전도방지 구조물
KR100743832B1 (ko) 프리플렉스 거더와 일체식교대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216511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교대 시공방법
KR101006900B1 (ko) 강성 구조체의 뒷채움 보강구조의 시공방법
CN111962533A (zh) 一种强震区消能型桩锚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9250006A (ja) 地盤沈下対策構造
JP2006104747A (ja) 脚柱の接合部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2009209591A (ja) 床版の沈下防止対策
KR101976742B1 (ko) 강데크 보강슬래브 무교대 교량 및 이 시공 방법
KR101761477B1 (ko) 적층형 토목섬유 보강토지반벽체와 스프레드 토대판을 사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KR101005469B1 (ko) 보행로 확장방법
JP3316163B2 (ja) 拡幅道路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40086653A (ko) 일체식 복합교대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975673B1 (ko) 도로 변에 시공되는 확장 자전거 도로 및 이 시공 방법
KR101973657B1 (ko) 교대 측방유동 방지용 역아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보수공법
JP4506316B2 (ja) 道路の段差解消構造
KR20120100052A (ko) 유압잭을 이용한 측방유동교각 보정방법 및 세굴 보강구조
JP6182402B2 (ja) 落橋を防止するための橋の耐震補強方法
JP4827203B2 (ja) 道路拡幅構造
KR100555433B1 (ko) 콘크리트 충진 섬유강화 복합소재 말뚝을 이용한 무조인트일체식 교대구조
JP5421191B2 (ja) 盛土補強構造の設計方法
KR200459851Y1 (ko) 강관 말뚝과 합성보를 이용한 자전거 전용 교량 구조물
KR100508773B1 (ko) 시트파일을 이용한 가교 상판 및 그것의 시공방법
CN111636257A (zh) 跨座式单轨低置线路的道岔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845870B1 (ko) 중공 내부의 강관 설치에 의한 phc 말뚝의 보강구조 및 이를 구비한 phc 말뚝과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8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10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