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2200B1 - 겔상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겔상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200B1
KR100642200B1 KR1020040041834A KR20040041834A KR100642200B1 KR 100642200 B1 KR100642200 B1 KR 100642200B1 KR 1020040041834 A KR1020040041834 A KR 1020040041834A KR 20040041834 A KR20040041834 A KR 20040041834A KR 100642200 B1 KR100642200 B1 KR 10064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ar
alcohol
gel
preservative
samp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6689A (ko
Inventor
하숙태
Original Assignee
하숙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숙태 filed Critical 하숙태
Priority to KR102004004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200B1/ko
Publication of KR2005011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20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10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12Chemical aspects of preservation
    • A01N1/128Chemically defined matrices for immobilising, holding or storing living parts, e.g. alginate gels; Chemically altering living parts, e.g. by cross-lin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한천(agar)에 50부피%이상의 고순도 알코올을 혼합시켜 겔상의 혼합물내에 알코올이 균일하게 분포하게 함으로써 세균증식을 억제하고 세포변성을 방지하여 우수한 세포검체의 보존성을 얻을 수 있는 겔상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세포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증류수에 분말 형태의 한천을 혼합하여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제 1단계; 상기 증류수와 한천의 혼합액(한천액)이 비등점에 도달하면 가열을 중지하고 냉각하는 제 2단계; 상기 한천액이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온도하에서 알코올을 상기 한천액에 혼합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알코올과 한천액이 혼합되어 제조된 액체상태의 물질을 밀폐용기에 넣고 냉각시켜 겔상으로 만드는 제 4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구현된다.
세포검사, 자궁경부암, 검체, 도말, 표본, 보존제

Description

겔상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GEL FOR PAP SME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겔상 보존제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겔상 보존제가 담긴 밀폐용기에 채취된 검체를 보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2 : 뚜껑
20 : 기구 30 : 보존제
본 발명은 세포검사물을 변성되지 않은 상태로 보존하기 위한 보존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천(agar)에 50부피%이상의 고순도 알코올을 혼합시켜 겔상의 혼합물내에 알코올이 존재하게 하여, 보존 대상물이 들어있는 용기내에서 휘발되는 알코올의 기능으로 세균증식을 억제하고 세포변성을 방지하여 우수한 보존성을 얻을 수 있는 겔상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을 형태학적으로 진단하는 병리검사 중에서 자궁경부암 검진을 위한 세포검사(Pap smear)는 대단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 검사는 경제적이고 간편하면서도 상당히 효율적인 검사방법으로, 1940년대 Papanicolau에 의해 도입된 이래 세계각국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인한 사망자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그런데 이 자궁경부암 세포검사에서 정확한 진단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는 검체가 슬라이드 표면에 엷게 잘 도말되어야 하고, 적절한 고정제로 잘 고정되어, 변성 소견이나 세포의 겹침이 적고 잘 염색된 표본을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가능하면 검체채취 즉시 유리슬라이드에 엷게 잘 도말하여 고정액으로 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검체를 채취하는 의료인이 도말기법이나 검체취급 요령을 숙달하지 못한 경우 고정이 지연되어 변성되거나 공기중에서 건조되거나 두껍게 도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적절한 세포표본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보다 양호한 세포진검체 샘플(sample)을 얻기 위해서는 채취된 검체를 현장에서 곧바로 도말하지 말고 채취된 상태 그대로 보존하여 검체취급에 숙달된 검사자가 있는 검사실로 보내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검체를 원 채취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송 기간중에 일어날 수 있는 세포검체의 변성을 방지할 수 있어야 가능한데 아직까지 자궁경부진 세포검사(Pap smear)에서 검체를 채취상태 그대로 보존하여 검사실까지 보낼 수 있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
국내외 관련자료에 따르면 세포검사에서 자궁경부의 편평상피내 병변이나 침윤성 암종의 1.5 ~ 60%가 발견되지 못하고 위음성(false negative)으로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김희수 등은 그의 논문("조직학적으로 확진된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및 침윤암 1,000예에서 평가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의 위음성률에 관한 연구",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지)에서 위음성의 70%이상이 부적절한 표본제작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Dodd 등의 연구논문("Quality-assurance study of simultaneously sampled, noncorrelating cervical cytology and biopsies", Diagn Cytopathol 9:138-144, 1993)에서도 위음성의 64%가 검체채취 오류로 인해 발생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와 같이 검체를 채취하고 도말/고정하는 과정에서 많은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현실이며 이는 잘못된 진단으로 이어지고, 잘못 진단된 환자 당사자에게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시행되는 액상세포검사(liquid-based cytology)에서는 검체를 액체보존제에 희석하여 검사실로 보내는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적 양질의 표본 슬라이드를 제작하고 있으나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 세포분리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검사시간이 더 소요되고 높은 가격으로 인해 널리 시행되지는 못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채취된 검체를 현장에서 도말/고정하지 말고 숙련자가 있는 곳으로 보내서 도말/고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채취된 검체를 간편하고 쉽게 보존하여 검사실까지 이송할 수 있는 보존성이 우수한 보존제를 절실하게 요구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 결점들을 해소하고 위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한천(agar)에 고순도 알코올을 혼합시켜 제조한 겔상의 보존물질이 들어있는 용기내에 검체를 보존하여, 용기내에서 휘발되는 알코올의 기능으로 세균증식을 억제하고 세포변성을 방지하여 우수한 보존성을 얻을 수 있는 겔상 보존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보존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겔상 보존제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채취된 검체를 원형 그대로 전문병리검사실까지 보존하여 운반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도말/고정작업으로 표본을 제작할 수 있게 하여 검사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한 세포검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겔상 보존제는 한천; 및 상기 한천에 혼합되는 알코올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포검체 보존용 겔상 보존제 제조방법은 증류수에 분말 형태의 한천을 혼합하여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제 1단계; 상기 증류수와 한천의 혼합액(한천액)이 비등점에 도달하면 가열을 중지하고 냉각하는 제 2단계; 상기 한천액이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온도하에서 알코올을 상기 한천액에 혼합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알코올과 한천액이 혼합되어 제조된 액체상태의 물질을 용기에 넣고 냉각시켜 겔상으로 만들어 밀폐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겔상 보존제를 이용한 세포검사방법은 검체를 채취하여 겔상 보존제가 담긴 보존제 용기에 넣어 보존하는 제 1단계; 상기 보존제 용기에 보존된 검체를 검사실로 이동시키는 제 2단계; 검사실에서 상기 보존제 용기로부터 검체를 꺼내 슬라이드에 도말/고정하는 제 3단계; 상기 슬라이드에 고정된 검체를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판독가능한 표본 슬라이드를 제작하는 제 4단계; 및 상기 표본 슬라이드를 현미경으로 판독하여 진단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단후 상기 표본 슬라이드를 현미경 사진으로 촬영하는 제 6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겔상 보존제는 한천에 알코올이 혼합되어 겔상을 이루고 있다. 이렇게 한천내에 녹아있는 알코올은 한천에 알코올이 충전된 공포(空泡)를 이루며 균일하게 분포한다.
본 보존제에서 한천은 고형상태에서 알코올을 함유하는 기본 구조물의 기능을 담당하며, 다당류로 투명하고 85℃에서도 고형을 유지하고 세균이 생산하는 효소에 분해되지 않아 보존제의 구성물질로 적합한 물질이다. 한천의 농도는 0.2부피% ~ 12부피% 범위가 적절하다. 한천의 농도가 0.2부피%이하이면 보존제가 거의 액체상태가 되어 세포검체가 보존제와 혼합되므로 검체를 원형대로 보존하기 어려울 뿐더러 검체의 직접적인 도말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한천의 농도가 12부피%이상인 상태에서는 한천액은 걸쭉한 죽같은 성상을 지니면서 알코올 함유시 겔 형성이 어렵고 또 휘발성도 떨어진다. 이 한천은 우뭇가사리나 꼬시래기과와 같은 각종 홍조의 세포벽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다당으로서 열수로 추출하여 얻어지며, 황산기를 포함하지 않는 아가로스(agarose)와 황산기를 포함하는 아가로펙틴(agaropectin)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이미 식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어 안전성이 보장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제조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알코올은 보존효과를 발휘하는 기능물질로서 50%이상의 고순도 알코올(에탄올, 또는 메탄올)이 사용된다. 알코올은 먼저 한천을 물(증류수)에 풀어서 한천액을 제조한 후 한천액에 혼합되는데, 이때 한천액에 대한 알코올의 혼합비율(부피비 기준)은 0.3 ~ 1.5정도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코올의 혼합비율이 0.3이하이면 세포보존성이 떨어지고 1.5이상이면 혼합물질이 거의 액체상태가 되어 겔상태를 이루기 어렵다. 이것은 99.9% 순도의 무수알코올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알코올 순도에 따라 약간의 변경이 수반될 수 있다. 알코올은 강한 휘발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제조 후 밀폐용기에 수납하여야 하며, 검체 보존시에는 이 밀폐용기에 채취된 검체를 넣은 후 용기를 폐쇄시켜 밀봉하여야 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의 본 보존제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겔상 보존제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겔상 보존제가 담긴 밀폐용기에 채취된 검체를 보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증류수에 분말 형태의 한천을 혼합하여 가열하면서 교반한다(단계S1). 이때, 증류수에 혼합하는 한천분말의 양을 조절하여 한천의 농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한천농도는 0.2부피% ~ 12부피%가 적당하다.
증류수와 한천의 혼합액(이하, 한천액이라 함)이 비등점에 도달하면 가열을 중지하고 냉각한다(단계S3). 그리고, 온도계로 온도를 주시하면서 한천액의 온도가 65℃ 이하로 떨어지면 천천히 알코올을 한천액에 혼합한다(단계S5). 이때, 알코올로는 에탄올이나 메탄올이 사용되며, 한천액에 대한 알코올의 혼합비율(부피기준)은 0.3 ~ 1.5 범위내에서 설정된다.
이렇게 제조된 액체상태의 보존제를 용기에 넣고 공기중에서 냉각시키는데 온도가 떨어지면서 본 보존제는 용기내에서 겔상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보관용 밀폐용기에 수납된 본 보존제가 도 2에 나타나 있으며, 도 2에서는 밀폐용기(10)의 뚜껑(12)을 개봉하고 채취된 검체가 묻은 기구(브러쉬;20)를 투명한 겔상 보존제(30)에 담가 보존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플라스크에 증류수 100㏄를 붓고 한천분말을 4g 혼합하여 가열하면서 교반하였다. 이 상태에서 증류수와 한천의 혼합액이 비등점에 도달하면 가열을 중지하고 온도계를 혼합액에 넣은 상태로 공기중에서 냉각하였다. 이때, 온도계를 주시하면서 한천액의 온도가 65℃ 이하로 떨어진 후 무수 알코올(absolute ethanol) 70cc를 한천액에 혼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액체상태의 물질을 용기에 넣고 공기중에서 냉각시킨 후 두껑을 닫아 밀폐하였다. 그 결과, 보관용 밀폐용기에 담겨 어디에서든지 사용가능한 상태의 겔상 보존제를 제조하였다.
본 보존제의 유용성 시험예.
1. 표본 적정성 시험.
위와 같이 제조한 본 보존제에 251명의 자궁경부진 세포검체를 보존하여 검사실로 운반한 후, 검사실에서 표본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251명의 자궁경부진 세포의 진단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표본 슬라이드에 대하여 자궁경부진 세포검사에 관한 국제적 진단기준인 <Bethesda 2001>에 규정된 표본적정성 조항을 기준으로 검체의 적정성을 판정하였다.
참고로, Bethesda 2001이 규정한 적정표본 기준은 다음과 같으며, 다음의 3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1) 편평상피세포가 잘 관찰되고, 그 수가 8,000 내지 12,000개 이상 되어야 한다.
2) 잘 보존된 내경관세포 또는 이행부세포가 적어도 10개 이상 존재하여야 한다.
3) 염증세포나 혈액 등에 의해 가려진 상피세포가 75% 이하이어야 한다.
검체 251건의 표본 슬라이드는 그 중 192건은 채취후 3일 이내에 표본 슬라이드를 제작하였고, 59건은 채취한 5일 후에 표본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위와 같은 기준에 따라 적정성 검사를 시행한 결과가 다음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적정성 시험결과 (총 251건)
판정기준 적정 부적정
A. 편평상피세포의 수 242 9 (검체 8건이 B판정기준에서와 중복)
B. 내경관세포/이행부세포 240 11 (검체 8건이 A판정기준에서와 중복)
C. 상피세포의 가려짐 249 2
합 계 22 (중복 제외한 검체수 : 14건)
위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보존제는 부적정 판정이 된 검체건은 22건으로 8.7%로 나타났는데, 각 표본에서 판정기준 A와 B항목이 중복되는 검체수가 8건이므로 실제 부적정 검체수는 모두 14건이며 총 건수에 대비한 부적정 검체비율은 5.6%이다. 바꾸어 말하면, 본 보존제로 처리한 검체수 중 적정한 건은 총건중 94.4%가 되므로, 본 보존제는 보존성능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었다. 참고로, 이 성적을 위 검사를 시행하던 동기간(2004. 1 ~ 5월) 본 출원인의 통상적인 경부 세포진(Pap smear) 검사 표본과 비교하면 차이가 분명하다. 같은 기간 중 통상의 경부세포진 검사건은 모두 464건이었는데 표본부적정 검체 비율은 9.7%(45/464)였다.
2. 표본 슬라이드 제작일까지의 기간경과에 따른 표본 적정성 시험.
검사실에 도착한 검체를 채취로부터 표본 슬라이드 제작일까지 소요된 시일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적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한 군은 검체 도착후 통상적인 작업일정(채취후 3일이내)으로 표본을 만들었고, 다른 한 군은 채취후 5일이 경과한 다음에 표본 슬라이드를 제작하였다. 보편적으로 세포검사에 있어서 5일이상으로 표본제작이 지연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불가피한 경우의 예로 지연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지연일을 5일로 설정하여 시험하였다.
표 2. 표본제작의 기간경과에 따른 부적정 검체 발생수
총건수 a. 편평상피세포수 b. 내경관세포/이행부세포 c. 상피세포의 가려짐 부적정 건수 총건수 대비 부적정 검체의 발생빈도
정상제작 군 (채취후 3일내) 192 6(6) 9(6) 2 17 (중복제외 실 건수:11) 5.7% (11/192)
지연제작 군 (채취후 5일 경과) 59 3(2) 2(2) 0 5 (중복제외:3) 5.1% (3/59)
합 계 251 9(8) 11(8) 2 22 (중복제외 실 건수:14) 5.6%(14/251)
위 표 2에서 괄호안의 수치는 검사항목 a,b 에 중복된 건수이다.
위 표 2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검체 채취후 본 보존제에 보존하고 3일이 내에 표본을 제작하여 검사한 것이나 본 보존제에 보존한 상태에서 5일이 경과한 후 표본을 제작하여 검사한 경우의 부적정 건수가 모두 6%이내로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보존제는 검체 채취후 5일을 보관하여도 검체세포의 변성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연된 표본에서 부적정이 약간 낮았지만 이는 총 검사건수가 정상제작 군에 비해 적은 관계도 있고 주위환경요인도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1%이내의 편차는 세포검사시 외적요인에 의해 언제든지 변화될 수 있는 무시할 정도의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통상의 병리검사실 업무는 검체 채취후 2 ~ 3일내에서 표본제작이 이루어지므로 본 보존제는 이러한 실질업무수행을 만족할 것이다.
3. 기존의 세포검사법과 본 보존제 사용에 따른 변성도 시험.
통상의 세포검사법으로 채취후 즉시 도말하여 검사한 경우와 본 보존제에 채취검체를 보존하여 검사실에서 도말하여 검사한 경우를 변성정도에 따라 I군에서 IV군까지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재료는 본 보존제를 이용한 검사와 함께 동기간(2004년 1월에서 5월) 수행한 자궁경부세포진(Pap smear) 검사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 3. 기존 세포검사법과 본 보존제 처리후 세포검사에서의 변성도 대비.
세포검사법 총 건수 표본의 세포 변성에 따른 분류
기존 검사법 464 261 104 44 35
본 보존제 적용 검사법 251 245 6 0 0
위에서 I군은 정상군으로서 변성소견이 관찰되지 않거나 전 도말세포의 5%이 하에서 관찰되는 경우이고, Ⅱ군은 변성소견이 전 도말세포의 5 ~ 25% 정도에서 관찰되는 경우이고, Ⅲ군은 변성소견이 전 도말세포의 25 ~ 50% 정도에서 관찰되는 경우이며, Ⅳ군은 변성이 전 도말세포의 50% 이상에서 관찰되는 경우로 분류하였다. 위 표에서 보면 본 보존제를 사용한 검체에서 기존 검사법에 비하여 표본변성이 현저하게 낮아 검사법으로서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기존 검사법에서 II군 이상이 39.4% (183/464)인데 비하여 본 보존제를 사용한 검체에서는 II군에 속한 것이 6건 (2.4%) 뿐으로 III군 이상의 변성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 성적으로 판단하여 볼 때 본 보존제를 사용한 검체에서는 표본변성 발생비율이 극히 낮고, 그 정도가 경미하여 변성도의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세포검사법에 비해 우수한 것이 확실하였다. 그리하여 본 보존제를 사용한 검사에서는 표본변성에 의한 판독오류의 가능성을 거의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겔상 보존제를 이용하여 세포를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겔상 보존제 처리
의사가 외래에서 검체를 채취하고 이를 겔상 보존제가 들어있는 용기에 넣고 뚜껑을 닫아 보관한다. 여기서, 외래의 의미에는 숙련된 병리사가 상주하고 있지 않은 병의원을 포함한다.
2. 검체 수송
보존제 용기에 보관되어 보존된 검체를 병리검사실로 운반한다. 이때, 병리 검사실은 자체의 병리검사실 또는 원거리의 수탁검사실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장에서 직접 도말하지 않고 보존제 용기에 검체를 보관하여 전문병리검사실까지 수송하므로 수송단계에서 유리슬라이드의 파손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3. 도말/고정 과정
이렇게 수송된 보존제 용기에 보존된 검체는 병리검사실에서 숙련된 병리사가 검체를 용기에서 꺼낸 후 유리슬라이드에 도말하고 알코올 용액에 침지시켜 고정한다. 이때, 고정제로는 95% 알코올 용액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보존제 용기에 보존된 검체는 병리검사실로 운반되어 숙련된 병리사에 의해 도말 및 고정작업이 수행되므로 검체채취 현장에서 미숙한 의료인에 의해 직접 도말/고정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표본제작의 불량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병리검사실에서 숙련된 병리사에 의해 수행되므로 균질하고 우수한 표본제작이 가능하여 다음 단계에서의 검사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4. 표본 슬라이드 제작
고정과정이 끝나면 병리사가 의뢰된 슬라이드를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표본 슬라이드를 완성한다.
5. 표본 슬라이드 판독
병리의사는 위 단계에서 제작된 표본 슬라이드를 현미경으로 판독하여 진단을 한다. 이에 앞서 초검이 필요한 경우 세포병리사의 초검을 거칠 수 있다.
6. 현미경 사진 촬영
현미경 진단이 끝나면 표본의 일부를 다른 세포병리사가 현미경 사진으로 촬 영한다. 이와 같이 현미경 사진을 촬영하기 위하여 진단결과 보고직전 단계에서 슬라이드 검색이 한번 더 이루어지므로 전단계의 판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진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촬영된 표본사진은 진단결과와 함께 보고한다. 이것은 환자에게 세포검사의 신뢰성을 심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검체를 채취한 장소에서 곧바로 검체세포를 도말/고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채취자가 이러한 표본제작에 익숙하지 않아도 채취된 검체를 원상태로 보존하여 병리검사실의 숙련자에게 보내서 좋은 표본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존제는 액체가 아닌 겔상이므로 검체가 풀어져 원형이 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검체를 원형에 가깝게 그대로 보존할 수 있어 도말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보존제로 처리한 검체는 세포의 변성도가 낮아 핵과 세포질이 선명하게 염색되므로 판독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채취된 검체를 보관하여 장시간 원상태로 보존할 수 있으므로 도말/고정작업이 잘 못되었거나 이상소견이 있을 때, 보존된 검체를 이용하여 다시 도말하여 표본을 제작하여 확인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종류의 추가적인 검사, 예를 들어 인유두종바이러스(HPV;Human Papilloma Virus) 검사의 시료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세포검사방법은 검체채취 현장에서 직접 도말하지 않고 보존제 용기에 검체를 보관하여 전문병리검사실까지 수송하므로 수송단계에서 유리슬라이드의 파손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존제 용기에 보존된 검체는 병리검사실로 운반되어 숙련된 검사자에 의해 도말 및 고정작업이 수행되므로 현장에서 미숙한 의사나 간호사에 의해 직접 도말/고정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표본제작의 불량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병리검사실에서 숙련된 병리사에 의해 수행되므로 균질하고 우수한 표본제작이 가능하여 검사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현미경 소견을 촬영하기 위하여 진단결과 보고직전 단계에서 한번 더 슬라이드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전단계의 판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진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이것은 환자에게 세포검사의 신뢰성을 심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증류수에 분말 형태의 한천을 혼합하여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제 1단계;
    상기 증류수와 한천의 혼합액(한천액)이 비등점에 도달하면 가열을 중지하고 냉각하는 제 2단계;
    상기 한천액이 액체상태로 존재하는 온도하에서 알코올을 상기 한천액에 혼합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알코올과 한천액이 혼합된 액체상태의 물질을 밀폐용기에 넣고 냉각시켜 겔상으로 만드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겔상 보존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증류수에 혼합하는 한천분말의 농도는 0.2부피% ~ 12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보존제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한천액의 온도가 65℃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알코올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보존제의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알코올로는 50%이상의 순도를 가진 에탄올이나 메탄올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보존제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한천액에 대한 상기 알코올의 혼합비율(부피비)은 0.3 ~ 1.5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보존제의 제조방법.
  6. 한천; 및 상기 한천에 혼합되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겔상 보존제.
  7. 제 6항에 있어서, 채취된 세포검체를 보존하는 세포보존용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보존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겔상 한천은 증류수에 한천분말이 용해되어 그 농도가 0.2부피% ~ 12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보존제.
  9. 삭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로는 50%이상의 순도를 가진 에탄올이나 메탄올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보존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겔상 한천에 대한 상기 알코올의 혼합비율(부피비)은 0.3 ~ 1.5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보존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40041834A 2004-06-08 2004-06-08 겔상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4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834A KR100642200B1 (ko) 2004-06-08 2004-06-08 겔상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834A KR100642200B1 (ko) 2004-06-08 2004-06-08 겔상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689A KR20050116689A (ko) 2005-12-13
KR100642200B1 true KR100642200B1 (ko) 2006-11-02

Family

ID=3729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8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2200B1 (ko) 2004-06-08 2004-06-08 겔상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4549B (zh) * 2014-02-11 2016-03-02 中国人民解放军北京军区总医院 一种痰细胞处理液及其应用
KR102212669B1 (ko) * 2020-04-29 2021-02-05 (주)바이오다인 알코올계 용액 조성물의 젤리화를 이용한 세포 검사 방법
KR102182077B1 (ko) * 2020-04-29 2020-11-23 (주)바이오다인 세포 고정용 알코올계 젤리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7536A (en) 1982-03-08 1987-03-03 Klaus Mosbach Method of encapsulating biomaterial in bead polymers
WO1997000241A1 (de) 1995-06-14 1997-01-03 Boehringer Mannheim Gmbh Neue kationische und polykationische amphiphile, diese enthaltende reagenzien und deren verwend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7536A (en) 1982-03-08 1987-03-03 Klaus Mosbach Method of encapsulating biomaterial in bead polymers
WO1997000241A1 (de) 1995-06-14 1997-01-03 Boehringer Mannheim Gmbh Neue kationische und polykationische amphiphile, diese enthaltende reagenzien und deren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689A (ko) 2005-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elland et al. Bronchoalveolar lavage and transbronchial lung biopsy during acute rejection and infection in heart-lung transplant patients: studies of cell counts, lymphocyte phenotypes, and expression of HLA-DR and interleukin-2 receptor
CN107250346A (zh) 细胞保存液及其利用、以及细胞保存液的制造方法
CN106047795B (zh) 一种样本密度分离液及其制备方法
CN108552162A (zh) 一种尿液保存液、制备方法及其制片装置
KR100642200B1 (ko) 겔상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KR100987949B1 (ko) 세포 보존액
CN109612800A (zh) 一种非妇科液基标本的制片方法
Islam et al. Plastic embedding in routine histology I: Preparation of semi‐thin sections of undecalcified marrow cores
KR101924401B1 (ko) 구강상피세포 보존액과 이의 제조방법
CN111024471A (zh) 一种用于宫颈癌筛查的液基细胞检测试剂盒及使用方法
CN105994252B (zh) 一种液基薄层细胞保存液及其制备方法
KR20100058932A (ko) 용액상 세포보존제의 제조 방법
KR101133997B1 (ko) 세포 검사용 보존시약 조성물
KR101395081B1 (ko) 부인과용 세포 보존액
CN107271246A (zh) 一种用于液基薄层细胞的免疫p16INK4a抗原保存液及其制备方法
KR20140090811A (ko) 비부인과용 세포 보존액
Jiang et al. Liquid-based cytopathology test: a novel method for diagnosing pulmonary mucormycosis in bronchial brushing samples
CN112741080B (zh) 一种液基细胞保存处理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0187033A (ja) 細胞染色液
Shukla et al. Diagnostic utility of Plasma Thromboplastin cell block preparation in cytological evaluation of serous effusions
Herr Jr Clearing techniques for the study of vascular plant tissues in whole structures and thick sections
JP3875916B2 (ja) 尿沈渣検査用試薬及び尿沈渣の検査方法
CN111721705A (zh) 一种妇科分泌物分析仪器用层流液及其制备方法
KR100579467B1 (ko) 세포학적 진단을 위한 보조용액
Liana et al. The Technique of Rapid on-Site Evaluation on Lung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