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41909B1 - 검체 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체 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1909B1
KR100641909B1 KR1020050029977A KR20050029977A KR100641909B1 KR 100641909 B1 KR100641909 B1 KR 100641909B1 KR 1020050029977 A KR1020050029977 A KR 1020050029977A KR 20050029977 A KR20050029977 A KR 20050029977A KR 100641909 B1 KR100641909 B1 KR 10064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conveyance
sample
conveyance path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175A (ko
Inventor
데루아키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에스
Publication of KR20060047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19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74Details of actuating means for conveyors or pipettes
    • G01N2035/0482Transmission
    • G01N2035/0484Belt or cha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74Details of actuating means for conveyors or pipettes
    • G01N2035/0489Self-propelled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21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having a flexible chain, e.g. "cartridge belt", conveyor for reaction cells or cuvettes

Landscapes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검체 반송 시스템은 서로 분리된 제 1 반송로(21)와 제 2 반송로(22)를 갖고 있다. 제 1 반송로(21)의 반송 종단부에 제 1 접속대(25)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반송로(22)의 반송 시단부에 제 2 접속대(26)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반송로(21)와 제 2 반송로(22)의 사이를 자주차(mobile unit)(23)가 이동한다. 제 1 접속대(25)에 제 1 용기 이송 장치(31)와, 제 1 래크 이송 장치(41)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용기 이송 장치(31)는 제 1 반송로(21)상의 검체 내장 용기(1)를 제 1 접속대(25)상의 래크(6)로 반송한다. 제 1 래크 이송 장치(41)는 제 1 접속대(25)상의 래크(6)를 자주차(23)상에 탑재한다. 제 2 접속대(26)에 제 2 래크 이송 장치(51)와 제 2 용기 이송 장치(61)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래크 이송 장치(51)는 자주차(23)상의 래크(6)를 제 2 접속대(26)상에 탑재시킨다. 제 2 용기 이송 장치(61)는 래크(6)에 유지되어 있는 검체 내장 용기(1)를 제 2 반송로(22)의 홀더(2)로 옮긴다.

Description

검체 반송 시스템{SAMPLE-CONVEYING SYSTEM HAVING MOBIL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검체 반송 시스템의 전체의 개략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상기 검체 반송 시스템의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검체 반송 시스템의 도 1 중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상기 검체 반송 시스템의 도 3 중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상기 검체 반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빈 래크(empty rack)의 평면도,
도 6은 상기 래크의 도 5 중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검체 내장 용기 2 : 홀더
6 : 래크 16a, 16n : 검체 처리 유닛
20 : 반송 기구 21 : 제 1 반송로
22 : 제 2 반송로 23 : 자주차(mobile unit)
25 : 제 1 접속대 26 : 제 2 접속대
본 발명은 검체가 들어 간 시험관 등의 용기를 유지하는 홀더의 반송을 실행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식 반송 기구를 구비한 검체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를 구비한 검체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그 설치 공간의 거의 전영역에 걸쳐서, 긴 반송로가 사용 목적에 따라 복잡한 형태로 배설되어 있다. 긴 반송로는 작업원이나 작업차의 통로를 차단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검체를 장거리에 걸쳐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반송로의 중간에 검체 처리를 실행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반송 목적을 위해서만 긴 반송로를 배설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자주차(mobile unit)를 이용한 검체 반송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 일례가 일본의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37822 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종래의 자주차를 이용한 검체 반송 시스템에서는, 서로 분리된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를 갖는 벨트 컨베이어식의 반송 기구가 채용되어 있다. 이 반송 기구는 검체가 내장된 용기를 유지하는 홀더를 갖고 있다. 이 홀더를 반송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반송로의 반송 종단부와, 상기 제 2 반송로의 반송 시단부의 사이를 자주차가 이동한다. 이 자주차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주행을 안내받는다.
상기 종래의 검체 반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자주차는 그 상면에 반송 레인을 갖고 있다. 이 반송 레인은 상기 제 1 반송로의 반송 레인과, 상기 제 2 반송로의 반송 레인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용기를 유지한 홀더는 상기 제 1 반송로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자주차의 상기 반송 레인에 1개 또는 몇개씩 받는다. 이러한 홀더는 자주차에 의해 제 2 반송로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자주차의 상기 반송 레인으로부터 제 2 반송로의 반송 시단부에 받는다. 이 검체 반송 시스템에 의해, 다수의 홀더를 제1 반송로로부터 제 2 반송로로 이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자주차는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의 사이를 빈번하게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검체 반송 시스템에서는,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의 사이를 작업원 또는 작업차의 통로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통로를 자주차가 빈번하게 통과하기 때문에 위험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주차가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의 사이를 통과하는 빈도를 적게 하고,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의 사이를 작업원 또는 작업차의 통로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검체 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검체 반송 시스템에서는, 검체 내장 용기를 유지한 홀더를 반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식의 반송 기구가, 서로 분리된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검체 반송 시스템은 이하의 구성 (a)∼(c)를 구비하고 있다.
(a) 상기 제 1 반송로의 반송 종단부에 제 1 래크 탑재부를 갖는 제 1 접속 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반송로의 반송 시단부에 제 2 래크 탑재부를 갖는 제 2 접속대가 배설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접속대와 제 2 접속대의 사이에 자주차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자주차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한다.
(b) 상기 제 1 접속대에 상기 제 1 반송로의 반송 종단부로 반송된 상기 검체 내장 용기를 소정 개수씩 상기 제 1 래크 탑재부상의 빈 래크로 옮겨놓는 제 1 용기 이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접속대에 상기 제 1 래크 탑재부상의 상기 래크를 상기 자주차의 래크 탑재부로 옮겨놓기 위한 제 1 래크 이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c) 상기 제 2 접속대에 상기 자주차에 의해 반송된 상기 래크를 상기 자주차로부터 상기 제 2 래크 탑재부로 옮겨놓기 위한 제 2 래크 이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접속대에 상기 제 2 래크 탑재부상의 상기 래크로부터 상기 검체 내장 용기를 소정 개수씩 상기 제 2 반송로상의 홀더로 옮겨놓는 제 2 용기 이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검체 내장 용기는 홀더와 함께 제 1 반송로에 의해 제 1 접속대까지 반송되어 온다. 그리고 제 1 접속대에 있어서, 상기 검체 내장 용기가 제 1 용기 이송 장치에 의해 소정 개수씩 상기 홀더로부터 취출된다. 이러한 검체 내장 용기는 제 1 접속대의 제 1 래크 탑재부상에 놓여져 있는 래크에 삽입된다. 이 작업이 몇회 반복됨으로서, 상기 래크가 검체 내장 용기로 가득찬다. 이러한 용기를 수용한 래크는, 제 1 래크 이송 장치에 의해, 제 1 래크 탑재부로부터 자주차로 이송된다. 이 자주차는 상기 제 1 접속대로부터 제 2 접속대까지 이동하고, 제 2 접속대의 옆 에 부착된다. 자주차상의 래크는 제 2 래크 이송 장치에 의해, 자주차로부터 제 2 접속대의 제 2 래크 탑재부로 이송된다. 제 2 래크 탑재부로 옮겨진 래크로부터, 검체 내장 용기가 소정 개수씩 제 2 용기 이송 장치에 의해 취출된다. 래크로부터 취출된 검체 내장 용기는 제 2 반송로의 반송 시단부에 공급되어 있는 홀더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하는 본 발명의 검체 반송 시스템에 의하면,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의 사이를 자주차가 이동하는 빈도를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의 사이를 작업원의 통로 또는 작업차의 통로로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고, 통로를 이용할 때의 안전성이 높아진다.
상기 제 1 및 제 2 용기 이송 장치는 각각 복수개의 검체 내장 용기를 유지 가능한 척 부재를 갖는 핸드 기구(hand mechanism)와, 이 핸드 기구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기구와, 상기 제 1 반송로 및 제 2 반송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와, 상기 핸드 기구 및 상기 실린더 기구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는 기구를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래크 이송 장치는 각각 상기 래크 밑으로 출입 가능한 래크 지지부를 갖는 래크 행거(rack hanger)와, 이 래크 행거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기구와, 상기 제 1 반송로 및 제 2 반송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와, 상기 래크 행거와 상기 실린더 기구를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는 기구와, 상기 래크 지지부를 상기 래크 밑으로 출입시키기 위해서 상기 래크 지지부를 상기 제 1 반송로 및 제 2 반송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프트 기구를 갖고 있으면 무방하다.
상기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가 상방에서 보아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자주차는 직선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면 된다. 그러나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가 상방에서 보아 크랭크 형상으로 굽어져 있는 경우, 상기 자주차는 크랭크 형상으로 굽어진 가이드 부재에 추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차륜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적어도 1개의 차륜의 방향을 수직축 주위로 선회시킬 수 있는 방향 전환 기구를 갖으면 좋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검체 반송 시스템은 홀더(2)를 반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식의 반송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홀더(2)에는, 혈액 등의 검체가 내장된 예컨대 시험관 등의 용기(1)가 유지되어 있다. 반송 기구(20)는 서로 분리된 제 1 반송로(21)와 제 2 반송로(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 반송로(21)와 제 2 반송로(22)의 사이에 자주차(23)가 배치되어 있다. 자주차(23)는 가이드 부재(24)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한다.
제 1 반송로(21)의 반송 종단부에 제 1 래크 탑재부(25a)를 갖는 제 1 접속대(25)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반송로(22)의 반송 시단부에 제 2 래크 탑재부(26a)를 갖는 제 2 접속대(26)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4)는 예컨대 자기 테이프를 바닥에 장착한 것이다. 가이드 부재(24)는 제 1 접속대(25)에 대하여 자주차(23)가 옆에 부착되는 제 1 접속 위치(X)와, 제 2 접속대(26)에 대하여 자주차(23)가 옆으로 부착되는 제 2 접속 위치(Y)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24)에 의해, 자주차(23)의 이동이 안내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반송로(21)와 인접한 위치에, 검체 처리 유닛(16a)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반송로(22)와 인접한 위치에, 다른 검체 처리 유닛(16n)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반송로(21)는 2열의 반송 레인(21a, 21b)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반송로(22)도 2열의 반송 레인(22a, 22b)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2)는 한쌍의 플랜지(2a, 2b)와, 이러한 플랜지(2a, 2b) 사이에 형성된 고리 형상 홈(2c)을 갖고 있다. 각 반송 레인(21a, 21b, 22a, 22b)은 각각 일정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이동하는 벨트 컨베이어(3)와, 벨트 컨베이어(3)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4, 5)과, 홀더(2)의 고리 형상 홈(2c)이 결합하는 안내 돌기(4a, 5a)를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주차(23)의 상면에, 후술하는 래크(6)를 복수개(예컨대 2개) 탑재 가능한 래크 탑재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반송로(21)와 제 2 반송로(22)가 서로 간격을 갖고, 상방에서 보아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자주차(23)의 전륜과 후륜은 직선 주행을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가이드 부재(24)는 제 1 반송로(21)와 제 2 반송로(22)의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이 가이드 부재(24)는 상방에서 보아 크랭크형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자주차(23)는 가이드 부재(24)를 따라 이동할 수 있 도록, 수직축 주위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차륜(27)(도 3에 도시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자주차(23)는 차륜(27)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전동 모터(28)와, 차륜(27)을 지지하는 부재(27a)와, 차륜(27)의 방향을 바꾸는 서보 모터(29)와, 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을 갖고 있다. 차륜(27)을 지지하는 부재(27a)는 수직축 주위로 선회할 수 있다. 서보 모터(29)는 차륜(27)의 방향을 상기 수직축 주위로 바꾸기 위한 방향 전환 기구로서 기능한다. 상기 센서는 가이드 부재(24)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검지한다. 이 센서에 의해 가이드 부재(24)가 검지되고, 전동 모터(28)와 서보 모터(29)가 제어됨으로써, 크랭크형의 가이드 부재(24)를 따라 자주차(23)가 이동한다. 자주차(23)는 제 1 접속대(25)의 제 1 접속 위치(X)와, 제 2 접속대(26)의 제 2 접속 위치(Y)의 사이를 이동한다. 제 1 접속 위치(X)에 있어서, 자주차(23)는 제 1 접속대(25)에 인접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제 2 접속 위치(Y)에 있어서, 자주차(23)는 제 2 접속대(26)에 인접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대(25)의 상방에 제 1 용기 이송 장치(31)와, 제 1 래크 이송 장치(41)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용기 이송 장치(31)는 제 1 반송로(21)의 반송 종단부로 반송된 검체 내장 용기(1)를 제 1 래크 탑재부(25a)상에 공급된 빈 래크(6)에 소정 개수씩 옮겨놓는 기능을 갖고 있다. 빈 래크(6)는 다수개(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50개)의 용기를 수납할 수 있다. 래크 이송 장치(41)는 래크 탑재부(25a)상의 래크(6)를 제 1 접속 위치(X)에 정지되어 있는 자주차(23)의 래크 탑재부(23a)상으로 옮겨놓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크(6)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판(7)과 중판(8) 및 하판(9)과, 이들 판(7, 8, 9)을 결합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10)을 갖고 있다. 상판(7)과 중판(8)에 용기 삽입 구멍(7a, 8a)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 삽입 구멍(7a, 8a)은 예컨대 종방향으로 10열, 횡방향으로 5열, 합계 50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 삽입 구멍(7a, 8a)에 대응하여, 하판(9)에 오목부(9a)가 50개소 형성되어 있다.
용기 이송 장치(31)는 핸드 기구(34)와, 이 핸드 기구(3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기구(35)를 구비하고 있다. 핸드 기구(34)는 5개의 척 부재(32)와, 척 부재(32)를 개폐시키는 실린더 기구(33)를 포함하고 있다. 척 부재(32)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예컨대 5개)의 검체 내장 용기(1)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척 부재(32)와 실린더 기구(33)에 의해 핸드 유닛(36)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이송 장치(3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37)와, 가이드(37)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36a)와, 슬라이더(36a)를 이동시키는 전동식의 체인 기구(30)(도 4에 도시함)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36a)에 핸드 유닛(36)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37)는 제 1 반송로(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체인 기구(30)는 구동 스프로켓(drive sprocket)(38a)과, 종동 스프로켓(38b)과, 이러한 스프로켓(38a, 38b)에 감긴 무단 체인(endless chain)(38)과, 구동 스프로켓(38a)을 회전시키는 모터(39)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39)는 정역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무단 체인(38)에 핸드 유닛(36)이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무단 체인(38)이 이동하면, 핸드 유닛(36)은 가이드(37)를 따라 제 1 반송로(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용기 이송 장치(31)는 이하에 설명하는 순서로 작동함으로써, 제 1 반송로(21)로부터 제 1 접속대(25)로 이송되어 온 검체 내장 용기(1)를 예컨대 5개씩 제 1 접속대(25)상의 빈 래크(6)로 옮겨놓는다. 빈 래크(6)는 미리 제 1 접속대(25)의 래크 탑재부(25a)상에 공급되어 있다. 빈 래크(6)에는, 예컨대 50개의 검체 내장 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
검체 내장 용기(1)는 홀더(2)와 함께 제 1 반송로(21)의 반송 종단부까지 반송되고,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 기구에 의해, 반송 종단부에서 복수개가 서로 이웃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핸드 기구(34)가 하강하고, 척 부재(32)가 폐쇄됨으로써, 척 부재(32)에 의해 5개의 검체 내장 용기(1)가 동시에 유지된다. 그 다음 핸드 기구(34)가 상승한다. 이로써, 각 용기(1)는 각각 홀더(2)로부터 취출된다. 핸드 유닛(36)이 가이드(37)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 후, 핸드 기구(34)가 빈 래크(6)를 향해 하강함으로써, 5개의 검체 내장 용기(1)가 동시에 빈 래크(6)에 삽입된다. 그 후 척 부재(32)가 개방됨으로써, 검체 내장 용기(1)가 해방된다. 이상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래크(6)에 50개의 검체 내장 용기(1)가 유지된다.
비어서 제 1 반송로(21)의 반송 레인(21a)에 남은 홀더(2)는 상기 스토퍼 기구가 해방 동작을 이룸으로써, 스토퍼 기구로부터 해방된다. 이 빈 홀더(2)는 제 1 반송로(21)의 반송 종단부에 설치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홀더 수용 박 스(도시하지 않음)로 낙하한다. 이렇게 해서 회수된 빈 홀더(2)는 제 2 반송로(22)의 반송 시단부에 공급된다.
래크 이송 장치(41)는 래크 행거(43)와 이 래크 행거(4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기구(44)를 구비하고 있다. 래크 행거(43)와 실린더 기구(44)에 의해, 행거 유닛(45)이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크 행거(43)는 래크(6)의 하측으로 들어갈 수 있는 래크 지지부(42)를 갖고 있다.
또한, 래크 이송 장치(4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46)와, 가이드(46)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45a)와, 슬라이더(45a)를 이동시키는 전동식의 체인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45a)에 행거 유닛(45)이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래크 지지부(42)는 가이드(46)를 따라, 제 1 반송로(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인 기구(40)와 행거 유닛(45)은 제 1 반송로(21)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시프트 유닛(47)을 구성하고 있다. 시프트 유닛(47)은 차륜(11a, 12a)을 갖고 있다. 차륜(11a, 12a)은 빔 부재(11, 12)에 접하고 있다. 이러한 차륜(11a, 12a)은 모터(13, 14)에 의해 회전된다. 빔 부재(11, 12)는 도 4에 도시하는 프레임(17)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11, 1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프트 유닛(47)은 빔 부재(11, 12)를 따라 제 1 반송로(21)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시프트 유닛(47)이 빔 부재(11, 1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크 지지부(42)를 래크(6) 밑에 넣는 것과, 래크 지지부(42)를 래크(6) 밑으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빔 부재(11, 12)와, 차륜 (11a, 12a)과, 모터(13, 14) 등에 의해, 래크 지지부(42)를 제 1 반송로(21)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시프트 구동 기구(S1)가 구성되어 있다.
체인 기구(40)는 구동 스프로켓(48a)과, 종동 스프로켓(48b)과, 이러한 스프로켓(48a, 48b)에 감긴 무단 체인(48)과, 구동 스프로켓(48a)을 회전시키는 모터(49)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49)는 정역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무단 체인(48)에 행거 유닛(45)이 고정되어 있다. 무단 체인(48)이 이동하면, 행거 유닛(45)은 제 1 반송로(21)와 직교하는 방향, 즉 래크(6)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래크 이송 장치(41)는 이하에 설명하는 순서로 작동함으로써, 래크 탑재부(25a)상의 검체 내장 용기(1)가 유지되어 있는 래크(6)를 자주차(23)의 래크 탑재부(23a)로 옮길 수 있다. 자주차(23)는 미리 제 1 접속대(25)의 제 1 접속 위치(X)에 정지하고 있다.
우선, 래크 행거(43)가 하강한다. 그 후, 시프트 유닛(47)이 빔 부재(11, 1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크 지지부(42)가 래크(6) 밑으로 들어간다. 래크 행거(43)가 실린더 기구(44)에 의해 상승한다. 행거 유닛(45)이 가이드(46)를 따라 자주차(23) 위까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래크 행거(43)가 실린더 기구(44)에 의해 하강한다. 시프트 유닛(47)이 빔 부재(11, 1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크 지지부(42)가 래크(6) 아래로부터 퇴피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접속대(26)의 상방에, 제 2 래크 이송 장치(51)와 제 2 용기 이송 장치(61)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래크 이송 장치(51)는 자주차(23)에 의해 반송된 래크(6)를 자주차(23)로부터 제 2 접속대(26)의 래크 탑재부(26a)로 옮기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 2 용기 이송 장치(61)는 래크 탑재부(26a)상의 래크(6)에 유지된 검체 내장 용기(1)를 소정 개수씩 래크(6)로부터 취출하고, 제 2 반송로(22)의 반송 시단부에 공급되어 있는 홀더(2)에 삽입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 2 래크 이송 장치(51)는 전술한 제 1 래크 이송 장치(4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2 래크 이송 장치(51)는 래크 행거(53)와, 이 래크 행거(5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기구(54)를 구비하고 있다. 래크 행거(53)와 실린더 기구(54)에 의해, 행거 유닛(55)이 구성되어 있다. 래크 행거(53)는 래크(6)의 하측에 들어갈 수 있는 래크 지지부(52)를 갖고 있다.
또한, 래크 이송 장치(5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56)와, 가이드(56)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55a)와, 슬라이더(55a)를 이동시키는 전동식의 체인 기구(50)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55a)에 행거 유닛(55)이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래크 지지부(52)는 가이드(56)를 따라 제 2 반송로(22)와 직교하는 방향[래크(6)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인 기구(50)와 행거 유닛(55)은 시프트 유닛(57)을 구성하고 있다. 시프트 유닛(57)은 차륜(11a', 12a')을 갖고 있다. 차륜(11a', 12a')은 빔 부재(11', 12')에 접하고 있다. 이러한 차륜(11a', 12a')은 모터(13', 14')에 의해 회전된다. 빔 부재(11', 1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시프트 유닛(57)은 빔 부재(11', 12')를 따라 제 2 반송로(22)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시프트 유닛(57)이 빔 부재(11', 1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크 지지부(52)를 래크(6) 밑에 넣는 것과, 래크(6) 아래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빔 부재(11', 12')와, 차륜(11a', 12a')과, 모터(13', 14') 등에 의해, 래크 지지부(52)를 제 2 반송로(22)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시프트 구동 기구(S2)가 구성되어 있다.
체인 기구(50)는 구동 스프로켓(58a)과, 종동 스프로켓(58b)과, 이러한 스프로켓(58a, 58b)에 감긴 무단 체인(58)과, 구동 스프로켓(58a)을 회전시키는 모터(59)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59)는 정역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무단 체인(58)에 행거 유닛(55)이 고정되어 있다. 무단 체인(58)이 이동하면, 행거 유닛(55)은 제 2 반송로(22)와 직교하는 방향, 즉 래크(6)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구성된 래크 이송 장치(51)는 이하에 설명하는 순서로 작동함으로써, 자주차(23)상에 있는 검체 내장 용기(1)가 유지되어 있는 래크(6)를 자주차(23)로부터 제 2 접속대(26)의 래크 탑재부(26a)로 이송할 수 있다. 자주차(23)는 미리 제 2 접속대(26)의 제 2 접속 위치(Y)에 정지하고 있다.
우선 래크 행거(53)가 하강한다. 그 후 시프트 유닛(57)이 빔 부재(11', 1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크 지지부(52)가 래크(6) 밑으로 들어간다. 래크 행거(53)가 실린더 기구(54)에 의해 상승한다. 행거 유닛(55)이 가이드(56)를 따라 제 2 접속대(26)까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래크 행거(53)가 실린더 기구(54)에 의해 하강한다. 시프트 유닛(57)이 빔 부재(11', 1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래크 지지부(52)가 래크(6) 밑으로부터 퇴피한다.
제 2 용기 이송 장치(61)는 제 1 용기 이송 장치(3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2 용기 이송 장치(61)는 핸드 기구(64)와, 이 핸드 기구(6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기구(65)를 구비하고 있다. 핸드 기구(64)는 5개의 척 부재(62)와, 척 부재(62)를 개폐시키는 실린더 기구(63)를 포함하고 있다. 척 부재(62)는 제 2 접속대(26)상의 래크(6)에 수용되어 있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예컨대 5개)의 검체 내장 용기(1)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척 부재(62)와 실린더 기구(63)에 의해, 핸드 유닛(66)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용기 이송 장치(6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67)와, 가이드(67)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66a)와, 슬라이더(66a)를 이동시키는 전동식의 체인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66a)에 핸드 유닛(66)이 설치되어 있다. 체인 기구(60)는 전술한 체인 기구(30)와 마찬가지로, 구동 스프로켓(68a)과, 종동 스프로켓(68b)과, 이러한 스프로켓(68a, 68b)에 감긴 무단 체인(68)과, 구동 스프로켓(68a)을 회전시키는 모터(69)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69)는 정역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무단 체인(68)에 핸드 유닛(66)이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무단 체인(68)이 이동하면, 핸드 유닛(66)은 가이드(67)를 따라 제 2 반송로(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기 이송 장치(61)는 이하에 설명하는 순서로 작동함으로써 래크 탑재부(26a)상의 래크(6)로부터 검체 내장 용기(1)를 예컨대 5개씩 취출하고, 제 2 반송로(22)상의 빈 홀더(2)에 삽입할 수 있다. 이 홀더(2)는 미리 제 2 반송로(22)의 반송 시단부에 공급되어 있다.
핸드 기구(64)가 실린더 기구(65)에 의해 하강하고, 척 부재(62)가 폐쇄됨으로써, 척 부재(62)에 의해, 예컨대 5개의 검체 내장 용기(1)가 유지된다. 그 후 실린더 기구(65)에 의해 핸드 기구(64)가 상승한다. 핸드 유닛(66)이 가이드(67)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핸드 기구(64)가 홀더(2)를 향해서 하강함으로써, 각 검체 내장 용기(1)가 각각 홀더(2)에 삽입된다. 그 후 척 부재(62)가 개방됨으로써, 검체 내장 용기(1)가 해방된다. 검체 내장 용기(1)가 취출되어서 비워진 래크(6)는 래크 탑재부(26a)상으로부터 취출되어서, 제 1 접속대(25)의 래크 탑재부(25a)에 공급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서, 각종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되는 구성 요소중 일부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상기 실시 형태에 조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 사이를 자주차가 이동하는 빈도를 적게 하며, 그로 인해, 제 1 반송로와 제 2 반송로 사이를 작업원의 통로 또는 작업차의 통로로서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고, 통로를 이용할 때의 안전성이 높아진다.

Claims (6)

  1. 검체 내장 용기(1)를 유지한 홀더(2)를 반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식의 반송 기구(20)를 갖는 검체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20)는 서로 분리된 제 1 반송로(21)와 제 2 반송로(22)를 갖고,
    상기 검체 반송 시스템은,
    상기 제 1 반송로(21)의 반송 종단부에 배치된 제 1 래크 탑재부(25a)를 갖는 제 1 접속대(25)와,
    상기 제 2 반송로(22)의 반송 시단부에 배치된 제 2 래크 탑재부(26a)를 갖는 제 2 접속대(26)와,
    상기 제 1 접속대(25)와 상기 제 2 접속대(26) 사이를 가이드 부재(24)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하고, 래크 탑재부(23a)를 갖는 자주차(23)와,
    상기 제 1 접속대(25)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반송로(21)의 반송 종단부로 반송된 상기 검체 내장 용기(1)를 소정 개수씩 상기 제 1 래크 탑재부(25a)상의 래크(6)로 옮기는 제 1 용기 이송 장치(31)와,
    상기 제 1 접속대(25)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래크 탑재부(25a)상의 상기 래크(6)를 상기 자주차(23)의 상기 래크 탑재부(23a)로 옮기는 제 1 래크 이송 장치(41)와,
    상기 제 2 접속대(26)에 설치되고, 상기 자주차(23)에 의해 반송된 상기 래 크(6)를 상기 자주차(23)로부터 상기 제 2 래크 탑재부(26a)상으로 옮기는 제 2 래크 이송 장치(51)와,
    상기 제 2 접속대(26)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래크 탑재부(26a)상의 상기 래크(6)로부터 상기 검체 내장 용기(1)를 소정 개수씩 상기 제 2 반송로(22)의 반송 시단부에 공급되어 있는 홀더(2)로 옮기는 제 2 용기 이송 장치(61)를 구비하는
    검체 반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이송 장치(31)가 복수개의 검체 내장 용기(1)를 유지 가능한 척 부재(32)를 갖는 핸드 기구(34)와, 이 핸드 기구(34)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기구(35)와, 상기 제 1 반송로(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37)와, 상기 핸드 기구(34) 및 상기 실린더 기구(35)를 상기 가이드(37)를 따라 이동시키는 기구(30)를 구비하는
    검체 반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 이송 장치(61)가 복수개의 검체 내장 용기(1)를 유지 가능한 척 부재(62)를 갖는 핸드 기구(64)와, 이 핸드 기구(64)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기구(65)와, 상기 제 2 반송로(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67)와, 상기 핸드 기구(64) 및 상기 실린더 기구(65)를 상기 가이드(67)를 따라 이동시키는 기 구(60)를 구비하는
    검체 반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크 이송 장치(41)가 상기 래크(6) 밑으로 출입 가능한 래크 지지부(42)를 갖는 래크 행거(43)와, 이 래크 행거(43)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기구(44)와, 상기 제 1 반송로(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46)와, 상기 래크 행거(43)와 상기 실린더 기구(44)를 상기 가이드(46)를 따라 이동시키는 기구(40)와, 상기 래크 지지부(42)를 상기 래크(6) 밑으로 출입시키기 위해서 상기 래크 지지부(42)를 상기 제 1 반송로(21)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시프트 구동 기구(S1)를 구비하는
    검체 반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크 이송 장치(51)가 상기 래크(6) 밑으로 출입 가능한 래크 지지부(52)를 갖는 래크 행거(53)와, 이 래크 행거(53)를 승강시키는 실린더 기구(54)와, 상기 제 2 반송로(2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56)와, 상기 래크 행거(53)와 상기 실린더 기구(54)를 상기 가이드(56)를 따라 이동시키는 기구(50)와, 상기 래크 지지부(52)를 상기 래크(6) 밑으로 출입시키기 위해서, 상기 래크 지지부(52)를 상기 제 2 반송로(22)와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시프트 구동 기구(S2)를 구비하는
    검체 반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차(23)가 복수개의 차륜(27)과, 상기 차륜(27)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28)를 갖는 구동 기구와, 상기 차륜(27)의 방향을 수직축 주위로 바꾸는 방향 전환 기구를 구비하는
    검체 반송 시스템.
KR1020050029977A 2004-04-12 2005-04-11 검체 반송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641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7125 2004-04-12
JP2004117125A JP3819917B2 (ja) 2004-04-12 2004-04-12 自走車を使用した検体搬送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175A KR20060047175A (ko) 2006-05-18
KR100641909B1 true KR100641909B1 (ko) 2006-11-06

Family

ID=3526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9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1909B1 (ko) 2004-04-12 2005-04-11 검체 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10683B2 (ko)
JP (1) JP3819917B2 (ko)
KR (1) KR100641909B1 (ko)
CN (1) CN10047566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7374A1 (de) * 2006-04-11 2007-10-18 Endress + Hauser Conducta Gesellschaft für Mess- und Regeltechnik mbH + Co. KG Aufnahmebehälter für einen Probennehmer oder einen Analysator
JP2008058202A (ja) * 2006-08-31 2008-03-13 Ids Co Ltd 検体搬送システム
JP4336360B2 (ja) * 2006-09-20 2009-09-30 株式会社アイディエス 検体前処理搬送装置
US9063103B2 (en) * 2006-10-10 2015-06-23 Inpeco Holding Ltd. Conveyor of specimen containers with spur units in laboratory automation systems
DE102007044016B4 (de) * 2007-09-14 2010-12-16 Bruker Biospin Gmbh Probenwechseleinrichtung mit auf mäanderförmiger Bahn geführten Probenaufnahmen, insbesondere für ein NMR-Spektrometer, und Kernspinresonanz-Spektrometer
JP5049769B2 (ja) * 2007-12-25 2012-10-17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自動分析装置および検体処理システム
JP5198094B2 (ja) * 2008-03-07 2013-05-15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分析装置
EP2534464B1 (en) * 2010-02-12 2021-08-04 Seigniory Chemical Products Ltd. - Produits Chimiques Seigneurie Ltee Independent heating of samples in a sample holder
CN103482347B (zh) * 2012-11-28 2016-03-23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自动生产传送线
WO2014144759A1 (en) 2013-03-15 2014-09-18 Abbott Laboratories Linear track diagnostic analyzer
US9993820B2 (en) 2013-03-15 2018-06-12 Abbott Laboratories Automated reagent manager of a diagnostic analyzer system
WO2014144870A2 (en) 2013-03-15 2014-09-18 Abbott Laboratories Light-blocking system for a diagnostic analyzer
JP6475955B2 (ja) 2014-11-18 2019-02-27 あおい精機株式会社 検体処理装置及び検体処理方法
CN108024606B (zh) 2015-08-05 2021-01-12 奈爱股份有限公司 用于保持器和工具设备的系统和方法
US10206473B2 (en) * 2015-08-05 2019-02-19 Nite Iz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holder and tool device
FR3047082B1 (fr) * 2016-01-25 2018-02-16 Arteion Systeme de convoyage de supports pour recipients d’echantillons de liquide biologique, et systeme d’analyse automatique comprenant un tel systeme de convoyage
CN106018860B (zh) * 2016-05-17 2017-07-14 重庆大学 用于煤岩工程试验的试件移送机构
WO2019139930A1 (en) 2018-01-09 2019-07-18 Formulatrix, Inc. Rover-based integrated laboratory system including autonomous mobile robots
EP3957999A1 (en) * 2020-08-19 2022-02-23 Roche Diagnostics GmbH Laboratory sample distribution system
CN117245634B (zh) * 2023-11-15 2024-01-23 云南师范大学 一种六自由度高精度机械臂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8775A (en) * 1985-05-17 1987-10-06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Inc. Self-contained mobile reprogrammable automation device
US5350564A (en) * 1993-06-28 1994-09-27 Baxter Diagnostics Inc. Automated chemical analyzer with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and temporary storage of sample tubes
JP3424623B2 (ja) * 1999-10-29 2003-07-07 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検体仕分け装置
JP2001278409A (ja) * 2000-03-31 2001-10-10 Nippon Shooter Ltd 検体搬送車およびこれを用いた検体搬送システム
JP3809061B2 (ja) 2000-10-31 2006-08-16 株式会社アイディエス 自走車を使用した検体搬送システム
JP3588067B2 (ja) * 2001-08-31 2004-11-10 照明 伊藤 検体搬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65896A1 (en) 2005-12-01
KR20060047175A (ko) 2006-05-18
JP2005300357A (ja) 2005-10-27
US7510683B2 (en) 2009-03-31
CN1683221A (zh) 2005-10-19
JP3819917B2 (ja) 2006-09-13
CN100475668C (zh)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909B1 (ko) 검체 반송 시스템
KR100900855B1 (ko) 검체 반송 시스템
KR102155617B1 (ko) 물품 수납 설비
KR100683497B1 (ko) 무인반송차 시스템
US7255638B2 (en) Handling system for sausages
JPH03111313A (ja) 材料収納カセット用保管棚における入庫、出庫、再入庫のための方法とその保管棚
WO2003004385A3 (de) Transportwagen zum ein- und auslagern von transportgut
KR20100126495A (ko) 컨베이어 상으로의 차량 이재 장치
JP2009256004A (ja) 物品収納設備
JP2994263B2 (ja) 自転車駐車装置
US4440090A (en) Storage arrangement for truck conveyor trolleys
US7559738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switching pallets
JPS608171A (ja) 搬送設備
JPH03159886A (ja) ドア搬送装置
CA2012165C (en) Working line
EP1061617A2 (en) Station for inserting terminals into connectors
JPH03186510A (ja) 自走体使用の搬送設備
KR100342279B1 (ko) 가공물이송장치
JP3004872U (ja) ワークトレーの自動循環装置
JP2000327110A (ja) 搬送設備
KR970011928B1 (ko) 이동 적재 화물 유지장치
JPH0472203A (ja) 部品の貯留搬送装置
JP2001065186A (ja) 立体駐車装置
KR890017437A (ko) 밀집 주차방법 및 장치
JPH11189312A (ja) 物品収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