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415B1 - Handheld terminal to supply voltage using card type secondary battery pack - Google Patents
Handheld terminal to supply voltage using card type secondary battery p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40415B1 KR100640415B1 KR1020040104991A KR20040104991A KR100640415B1 KR 100640415 B1 KR100640415 B1 KR 100640415B1 KR 1020040104991 A KR1020040104991 A KR 1020040104991A KR 20040104991 A KR20040104991 A KR 20040104991A KR 100640415 B1 KR100640415 B1 KR 1006404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input
- control signal
- switching control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형 보조배터리팩을 이용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카드입력시, 입력된 카드의 핀 정보와 상기 입력된 카드의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를 인식하여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로 출력하는 슬롯소켓과, 상기 슬롯소켓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카드의 핀 정보와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에 따라 결정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스위치부로 출력하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와, 발생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카드의 전압단자와 내부전압 공급단자를 스위칭하거나, 상기 입력된 카드의 전압단자와 외부전압 수용단자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terminal for supplying a voltage using a card type secondary battery pack, when the card input, recognizes the pin information of the input card and the write-protect tap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put card to output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or And a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for output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lot socket, the pin information of the card inputted from the slot socket, and the write-protect tap setting information to the switch unit, and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generated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a switch unit for switching the voltage terminal and the internal voltage supply terminal of the input card or the voltage terminal and the external voltage receiving terminal of the input card.
카드형 배터리, 슬롯소켓, 스위칭 제어신호, 스위칭부Card type battery, Slot socket, Switching control signal, Switching uni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카드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배터리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emory car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and a card-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Figure 2a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 중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D카드와 카드형 보조배터리의 입력부의 개략적인 구조도.Figure 2b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the input unit of the SD card and the card-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2a.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형 보조배터리팩을 이용하여 카드 삽입용 슬롯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rd insertion slot using a card type secondary battery pack.
휴대폰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서비스 지역 안을 임의로 이동하면서 기지국(BS: Base Station)을 통해 일반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전화기와 통화를 수행하거나, 휴대하면서 개인 정보관리,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의 정보교류를 수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근래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화상이나 동영상의 송수신, 가상 3차원 음향 및 스테레오 사운드 구현, MP3 플레이어 기능, 사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내장 등 하루가 다르게 그 성능이 향상된 휴대용 단말기들이 등장하고 있다.The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randomly move with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and make calls to general subscribers or other mobile telephones through a base station (BS), or manage personal information while carrying. It has the function of performing information exchange with personal computer. Recently, portable terminals having improved performances have been introduced to the portable terminals, such as image and video transmission, virtual 3D sound and stereo sound, MP3 player function, and a built-in camera for taking pictures.
이러한 다양한 성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배터리는 일정 시간 사용하게 되면 방전되어 재충전하지 않으면 다시 사용할 수 없으며, 완전 방전 시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가 손실될 위험도 있다. 또한 긴급한 전화통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배터리가 완전 소모된 상태가 되면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없고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옵션 배터리가 있기는 하나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사용자가 별도로 가지고 다니는데 불편함이 있다. The battery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these various performances. If the battery is discharg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cannot be used again unless it is recharged, and there is a risk of losing the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 during a full discharge. In addition, if the battery is completely exhausted when an urgent phone call is required, the user cannot make or receive a call, but there is a separate optional battery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bu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separate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드 삽입용 슬롯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종래의 메모리카드와 다른 구성을 갖는 카드형 보조배터리팩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inconvenience as described above, 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ot for inserting the card, using a card-type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e conventional memory card to supply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드형 보조배터리팩을 이용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카드입력시, 입력된 카드의 핀 정보 와 상기 입력된 카드의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를 인식하여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로 출력하는 슬롯소켓과, 상기 슬롯소켓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카드의 핀 정보와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에 따라 결정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스위치부로 출력하는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와, 발생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카드의 전압단자와 내부전압 공급단자를 스위칭하거나, 상기 입력된 카드의 전압단자와 외부전압 수용단자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rtable terminal for supplying a voltage using a card-type secondary battery pack, when inputting the card, the pin information of the input card and the write-protect tap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put card A slot socket for recognizing and outputt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or,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output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in information and the write-protect tap setting information of the card inputted from the slot socket, to the switch; And a switch unit for switching the voltage terminal and the internal voltage supply terminal of the input card or the voltage terminal and the external voltage receiving terminal of the input card according to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드형 보조배터리팩을 이용하여 전압을 공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인입될 수 있는 상용된 외부확장용 메모리카드의 규격과 동일한 규격의 외장형태를 취하며, 전압공급 핀, 접지 핀, 배터리 인식 탭 및 쓰기방지 탭을 구비하는 카드형 보조 배터리팩과, 상기 카드형 보조 배터리팩 입력 시, 입력된 상기 카드형 보조 배터리 팩의 핀 정보와 상기 입력된 카드형 보조 배터리팩의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를 인식하여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로 출력하는 슬롯소켓과, 상기 슬롯소켓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카드형 보조 배터리 팩의 핀 정보와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에 따라 결정된 스위칭 제어신호를 스위치부로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와, 발생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된 카드형 보조 배터리 팩의 전압단자와 내부전압 공급단자를 스위칭하거나, 상기 입력된 카드형 보조 배터리 팩의 전압단자와 외부전압 수용단자를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rtable terminal for supplying a voltage using a card-type secondary battery pack, the same standard as the standard of a commercially available external expansion memory car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A card type auxiliary battery pack having an external shape and including a voltage supply pin, a ground pin, a battery recognition tab, and a write-protect tab, and pin information of the card type auxiliary battery pack input when the card type auxiliary battery pack is input. And a slot socket for recognizing the input write protection tab setting information of the card-type auxiliary battery pack and outputting it to a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or, and pin information and write protection tab setting information of the card type auxiliary battery pack inputted from the slot socket. A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outputting a switching control signal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witching unit, and the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ed The switch may include a switch unit for switching the voltage terminal and the internal voltage supply terminal of the input card-type auxiliary battery pack or switching the voltage terminal and the external voltage receiving terminal of the input card-type auxiliary battery pack.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A)와 (B)는 종래의 일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카드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배터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의(A)를 참조하여 종래의 메모리(SD)카드를 설명하면, 메모리카드(secure digital card: SD카드)(100)는 자동차 위치추적 시스템, 휴대전화, 전자책, PDA,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캠코더, 개인용 컴퓨터 등의 데이터의 저장 장치로 사용되는 아주 작은 크기의 메모리카드를 말한다. SD 카드의 특색은 배터리 소모량이 적으면서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르고 플레시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지할 수 있다. SD카드의 실제 크기는 길이 32mm x 폭 24mm x 두께 2.1mm 의 초소형 사이즈이며 무게는 겨우 2 그램 정도이고 2,000 G의 충격 강도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9개의 핀(101)이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핀은 데이터0~4핀, GROUND핀, VDD핀, 명령 핀 및 CLOCK핀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핀(101)의 개수는 제조사 또는 기능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쓰기방지 탭(wright protect)(102)은 저장된 데이터를 손상시키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탭(102)을 화살촉 방향으로 올리면 데이터를 저장시킬 수 있고 화살꼬리 방향으로 내리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 1A and 1B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a memory car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and a card 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conventional memory (SD) card with reference to Figure 1 (A), the memory card (secure digital card: SD card) 100 is a car positioning system, mobile phone, e-book, PDA, smart phone, It is a very small memory card that is used as a data storage device for digital cameras, MP3 players, camcorders, personal computers, etc. The SD card features a low battery consumption, very fast data transfer rate, and the use of flash memory to store and maintain data without power. The actual size of the SD card is 32mm long x 24mm wide x 2.1mm thick and weighs only 2 grams and can operate at 2,000 G impact strength. Nine
도 1의(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드형 보조배터리를 설명하면, 카드형 보조배터리(500)의 크기는 길이 32mm x 폭 24mm x 두께 2.1mm 의 사이즈이고 무게는 2 그램 정도로 상기 설명한 SD카드(100)의 크기와 중량이 같다. 그리고 2개의 핀(101)만이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핀은 GROUND핀(501)과 소스전압(VDD)핀(502)이다. 대지전압(GROUND)핀(501)은 대지전압 핀으로 회로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각 지점의 전압차가 있어야 하며 이 차이를 만들기 위해 "+"전원에 대한 대지전압을 인가해 주는 역할을 하고 VDD핀(502)은 소스(source)전압으로 상기 "+"전원 핀이다. 그리고 쓰기방지 탭(wright protect)(503)은 원래는 저장된 데이터를 손상시키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탭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카드형 배터리팩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쓰기방지 탭(wright protect)(503)은 항상 화살꼬리 방향으로 고정되어 락(Lock)하여야 한다. 여기서 쓰기방지 탭(wright protect)(503)을 보조배터리임을 전용으로 표시하는 배터리인식 탭으로 대체할 수 있다. 배터리인식 탭은 종래의 쓰기방지 탭과 물리적 구성 또는 재질을 다르게 하여 종래의 메모리(SD)카드와 구별할 수 있다. 배터리인식 탭을 구비한 카드형 보조배터리가 슬롯소켓에 입력되면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를 감지하는 단자는 배터리인식 탭을 항상'0'으로 판단한다.Referring to the card-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 (B), the size of the card-type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카드 삽입용 슬롯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설명하면,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Figure 2a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A, a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ot for inserting a card is described. The
모뎀(MODEM)(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The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3)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processor 25 may configure a codec, and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25 reproduces the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The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된다. The
제어부(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23)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
SD카드와 카드형 배터리 입력부(30)는 슬롯소켓(201),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203) 및 스위치부(20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The SD card and the card type
슬롯소켓(201)은 대지전압(ground)단자(3), 전압단자(4), 입력된 카드의 핀 정보 감지 단자(A) 및 입력된 카드의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를 구비한다. The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203)는 노어게이트(nor gate)구조이고 상기 슬롯소켓으로부터 입력된 카드의 핀 정보와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결정하고 스위치부로 출력한다. The switching
스위치부(205)는 대지전압(ground) 연결단자(G), 전압 연결단자(S), 스위칭 제어신호 수신단자(C), 내부전압 공급단자(1) 및 외부전압 수용단자(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203)로부터 입력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한다.The
표시부(70)는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여 기서 상기 표시부(7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70)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와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표시부(70)는 영상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상데이터 표시부를 포함한다.The
상기 도 2a를 참조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를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를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70) 상에 표시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with reference to Figure 2a, when the user performs a dialing operation through the
도 2b는 도 2a 중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SD카드와 카드형 보조배터리의 입력부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b를 참조하여 SD카드와 카드형 보조배터리 입력부의 구조와 SD카드와 카드형 보조배터리 입력시, 실행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SD카드와 카드형 배터리 입력부(30)는 슬롯소켓(201),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203) 및 스위치부(205)로 구성된다. Figure 2b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the input unit of the SD card and the card-typ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2a. Referring to Figure 2b describes the structure of the SD card and the card-type secondary battery input unit and the operation performed when the SD card and the card-type secondary battery input, the SD card and card-type
슬롯소켓(201)은 대지전압(ground)단자(3), 전압단자(4), 입력된 카드의 핀 정보 감지 단자(A) 및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를 구비한다. 대지전압 단자(3)는 SD카드와 카드형 보조배터리의 대지전압(ground)핀(501)과 접촉되는 단자로 회로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각 지점의 전압차가 있어야 하며 이 차이를 만들기 위해 "+"전원에 대한 대지전압을 인가해 주는 역할을 하고 전압단자(4)는 SD카드와 카드형 보조배터리의 소스(source)전압 핀(502)과 접촉되는 단자이다. 그리고 입력된 카드의 핀 정보 감지 단자(A)는 SD카드와 카드형 보조배터리에 구비된 핀 정보를 판단하는데 SD카드와 같이 대지전압(ground)핀과 전압 핀 이외에 다른 핀을 구비하여 핀 정보 감지 단자(A)와 접촉되면 '1'로 판단하고 카드형 보조배터리와 같이 대지전압(ground)핀(501)과 소스(source)전압 핀(502)만을 구비하여 핀 정보 감지 단자(A)와 접촉되지 않으면 '0'으로 판단한다. 또한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는 SD카드와 카드형 보조배터리에 구비된 쓰기방지 탭(wright protect)(102,503)의 탭 위치에 따라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를 판단하는데 화살촉 방향으로 위치해 있으면'1'로 판단하고 화살꼬리 방향으로 위치해 있으면 '0'로 판단한다. 또한 카드형 보조배터리에 배터리인식 탭이 구비되어 있으면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는 이를 항상'0'으로 판단한다.The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203)는 노어게이트(nor gate)구조이고 상기 슬롯소 켓으로부터 입력된 카드의 핀 정보와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결정하고 스위치부로 출력한다. 노어게이트는 '0'과'0'이 입력되면'1'이 출력되고'0'과'1','1'과'0'또는'1'과'1'이 입력되면'0'이 출력된다. 따라서 카드형 보조배터리(500)가 입력되어 상기 핀 정보 감지단자(A)로부터'0'인정보가 입력되고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로부터'0'인 정보가 입력되면 '1'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나 SD카드(100)가 입력되어 핀 정보 감지단자(A)로부터 '1'인정보가 입력되고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로부터'0'인 정보가 입력되면'0'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감지단자(A)로부터'1'인정보가 입력되고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로부터'1'인정보가 입력되면'0'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The switching
스위치부(205)는 대지전압 연결단자(G), 전압 연결단자(S), 스위칭 제어신호 수신단자(C), 내부전압 공급단자(1) 및 외부전압 수용단자(2)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203)로부터 입력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한다.The
스위칭 제어신호 수신단자(C)는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203)에서 출력한 스위칭 제어신호가 입력된다.The switching control signal receiving terminal C receives a switching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ing
대지전압 연결단자(G)는 슬롯소켓(201)의 대지전압단자(3)와 연결된다. The ground voltage connection terminal G is connected to the
전압 연결단자(S)는 슬롯소켓(201)의 전압단자(4)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치 가동부(5)가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전압 공급단자(1) 또는 외부전압 수용단자(2)와 연결된다. The voltage connection terminal S is connected to the
내부전압 공급단자(1)는 입력된 스위칭 제어신호가'0'이면 전압 연결단자(S) 에 연결된 스위치 가동부(5)와 연결되어 내부전압(207)을 공급한다. When the inpu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0', the internal
외부전압 수용단자(2)는 입력된 스위칭 제어신호가'1'이면 전압 연결단자(S)에 연결된 스위치 가동부(5)와 연결되어 외부전압(209)을 공급받는다.When the input switching control signal is '1', the external
SD카드(100) 또는 카드형 배터리(500) 입력시, 실행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SD카드(100)가 슬롯소켓(201)에 입력되면 대지전압 단자(3)는 SD카드(100)의 대지전압 핀과 접촉되고 전압단자(4)는 SD카드(100)의 전압 핀과 접촉된다. 그리고 카드의 핀 정보 감지 단자(A)는 SD카드(100)에 구비된 핀 정보를 판단하는데 SD카드(100)와 같이 대지전압 핀과 전압 핀 이외에 다른 핀을 구비하여 핀 정보 감지 단자(A)와 접촉되면 '1'로 판단한다. 또한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는 SD카드(100)에 구비된 쓰기방지 탭(102)의 탭 위치에 따라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를 판단하는데 화살촉 방향으로 위치해 있으면 '1'로 판단하고 화살꼬리 방향으로 위치해 있으면 '0'로 판단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performed when the
그리고 핀 정보 감지 단자(A)로부터 판단된 '1'정보와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로부터 판단된 '1'또는 '0'정보가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203)로 입력되면 노어게이트는 SD카드의 스위칭 제어신호인'0'을 출력한다. 출력된 스위칭 제어신호는 스위치부(205)의 스위칭 제어신호 '0'은 수신단자(C)로 입력된다. 그러면 전압 연결단자(S)의 스위치 가동부(5)가 내부전압 공급단자(1)로 스위칭되어 내부전압(207)을 공급하여 제어부(CPU)는 입력된 SD카드(100)의 데이터를 불러오거나 데이터를 SD카드(100)로 전송한다. When the '1'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pin information sensing terminal A and the '1' or '0'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write-protect tap setting information sensing terminal B are input to the switching
반면, 카드형 배터리(500)가 슬롯소켓(201)에 입력되면 대지전압 단자(3)는 카드형 배터리(500)의 대지전압 핀(501)과 접촉되고 전압단자(4)는 카드형 배터리(500)의 소스전압 핀(502)과 접촉된다. 그리고 카드의 핀 정보 감지 단자(A)는 카드형 배터리(500)에 구비된 핀 정보를 판단하는데 카드형 배터리(500)와 같이 대지전압 핀(501)과 전압 핀(502)만 구비하여 핀 정보 감지 단자(A)와 접촉되지 않으면 '0'으로 판단한다. 또한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는 카드형 배터리(500)에 구비된 쓰기방지 탭(503)의 탭 위치에 따라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를 판단하는데 화살촉 방향으로 위치해 있으면 '1'로 판단하고 화살꼬리 방향으로 위치해 있으면 '0'로 판단한다. 카드형 배터리(500)에서 쓰기방지 탭(503)의 탭 위치 화살꼬리 방향으로 위치해 있음으로 항상 '0'로 판단된다. 또한 카드형 보조배터리에 배터리인식 탭이 구비되어 있으면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는 이를 항상'0'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그리고 핀 정보 감지 단자(A)로부터 판단된 '0'정보와 쓰기방지 탭 설정정보 감지단자(B)로부터 판단된 '0'정보가 스위칭 제어신호 발생부(203)로 입력되면 노어게이트는 카드형 배터리(500)의 스위칭 제어신호인'1'을 출력한다. 출력된 스위칭 제어신호는 스위치부(205)의 스위칭 제어신호'1'은 수신단자(C)로 입력된다. 그러면 전압 연결단자(S)의 스위치 가동부(5)가 외부전압 수용단자(2)로 스위칭되어 카드형 배터리(500)로부터 외부전압(209)을 공급받는다. When the '0' information determined from the pin information sensing terminal A and the '0' information determined from the write-protect tap setting information sensing terminal B are input to the switching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가 완전 소모되어 긴급한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없는 경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옵션 배터리 이외에 부피가 작고 가벼운 카드형 보조배터리팩을 이용하여 카드 삽입용 슬롯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lot for inserting a card using a small and light card-type secondary battery pack in addition to a separate optional battery provided by a manufacturer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exhausted and an emergency call cannot be made or received. By supplying power to a portabl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user convenienc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4991A KR100640415B1 (en) | 2004-12-13 | 2004-12-13 | Handheld terminal to supply voltage using card type secondary battery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04991A KR100640415B1 (en) | 2004-12-13 | 2004-12-13 | Handheld terminal to supply voltage using card type secondary battery pa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6405A KR20060066405A (en) | 2006-06-16 |
KR100640415B1 true KR100640415B1 (en) | 2006-10-31 |
Family
ID=3716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49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40415B1 (en) | 2004-12-13 | 2004-12-13 | Handheld terminal to supply voltage using card type secondary battery p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041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1513B1 (en) * | 2007-09-10 | 2015-0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interfacing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69137A (en) * | 1998-05-20 | 2000-03-03 | Toshiba Corp |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battery pack |
JP2000307693A (en) * | 1999-04-20 | 2000-11-02 | Akira Ishii |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display on rear face of body |
JP2002261894A (en) * | 2001-02-27 | 2002-09-13 | Kyocera Corp | Mobile terminal |
KR20030033788A (en) * | 2001-10-25 | 2003-05-01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card type battery |
KR20060035457A (en) * | 2004-10-22 | 2006-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uxiliary power supply using IC card socket |
-
2004
- 2004-12-13 KR KR1020040104991A patent/KR1006404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69137A (en) * | 1998-05-20 | 2000-03-03 | Toshiba Corp |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battery pack |
JP2000307693A (en) * | 1999-04-20 | 2000-11-02 | Akira Ishii |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display on rear face of body |
JP2002261894A (en) * | 2001-02-27 | 2002-09-13 | Kyocera Corp | Mobile terminal |
KR20030033788A (en) * | 2001-10-25 | 2003-05-01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card type battery |
KR20060035457A (en) * | 2004-10-22 | 2006-04-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uxiliary power supply using IC card sock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6405A (en) | 2006-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280872A1 (en) | Mobile apparatus | |
US8417292B2 (en) | Device-adaptive connection establishing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 |
US20060025074A1 (en) | Bluetooth-based headset | |
KR20100052287A (en) | Control method of portable device connected external device and system thereof | |
KR20110137190A (en) | Power managemen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same | |
CN106455027A (en) | Method for adjusting network standard and mobile terminal | |
CN107635069A (en) | UART and USB multiplexing circuit and mobile terminal | |
KR20110100014A (en) | USB dongle device,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dongle expandable device combined with USB dongle device | |
KR20060121975A (en) | Battery Circuit with Nonvolatile Memory and Thermistor on Single Line | |
JP2010258793A (en) | Communication equipment | |
CN111949107B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USB Type-C interfa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JP5094279B2 (en) | Communication device | |
JP2013153244A (en) | Terminal device and charge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US783621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external device by portable terminal | |
US20040203481A1 (en) | Battery 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connecting a mobile phone with a wire telephone network and method for enabling the same | |
KR100640415B1 (en) | Handheld terminal to supply voltage using card type secondary battery pack | |
JP2007166500A (en) | Mobile phone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phone | |
KR20140118532A (en) | Mobile terminal loss prevention system | |
JP2005191790A (en) | Mobile terminal devic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device | |
CN203368539U (en) | Fixed telephone capable of being used as mobile phone | |
JP2005252386A (en) | Information terminal | |
KR20080032929A (en) |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ccording to subscriber authentication module card | |
KR20050094171A (en) | Method for protecting user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phone | |
KR101539079B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of portable terminal | |
JP2008278570A (en) | Mobile terminal and charg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10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