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404B1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8404B1 KR100638404B1 KR1020050026718A KR20050026718A KR100638404B1 KR 100638404 B1 KR100638404 B1 KR 100638404B1 KR 1020050026718 A KR1020050026718 A KR 1020050026718A KR 20050026718 A KR20050026718 A KR 20050026718A KR 100638404 B1 KR100638404 B1 KR 1006384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acter
- characters
- display unit
- input
-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enables a user to input text quickly and easily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는, 소정 그룹의 문자가 일렬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문자 표시부에 배열된 문자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문자 입력부; 및 상기 문자 입력부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문자 선택 수단을 상기 소정 그룹의 문자 사이를 이동시키고, 상기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play unit including at least one character display unit in which a predetermined group of characters are arranged in a line; A character input unit which receiv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n arrangement direction of characters arranged in the character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for moving a character selection means between the characters of the predetermined group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character input unit,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election means on the display unit.
이동 통신, 문자 입력, 터치 패드, 한글 자음, 한글 모음 Mobile communication, character input, touch pad, Hangul consonants, Hangul vowels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keypad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haract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text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류된 소정 그룹의 문자가 표시된 문자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5 to 8 are diagrams showing a character display unit displaying a predetermined group of characters classi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inputs tex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현재 이동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 히 통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능이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인터넷을 결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이메일(E-mail) 전송 및 채팅(chatting)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only providing a call function but also being developed to perform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wireless Internet services combin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Internet are becoming popular, and short message service (SMS), email (E-mail) transmission, and chatting are availab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이와 같이 다양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개발됨에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가 발달되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문자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시키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한 개발 역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As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as described above, a service for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text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veloped.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character input device for quickly and conveniently input characters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made a lot.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특성상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면서도,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 기능을 갖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한 손에 잡힐 수 있는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고, 이에 구성되는 키패드 역시 자판의 크기나 개수가 최소한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기본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는 경박단소한 외관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충분한 문자 정보를 작성 및 전송하기 위한 설계 자유도가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quired to have a function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while pursuing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due to its characteristics.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that can be held in one hand, and the keypad is also configured to have a basic form for inputting a minimum content or number of keyboards. As such,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maintain a light and simple appeara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gree of design freedom for creating and transmitting sufficient character information is very low.
도 1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keypad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에는 숫자키(11)와, 기능키(12)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13)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숫자키(11)에는 수 개의 한글 자모 및 영문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한글 또는 영문을 입력하여 상기 LCD(13)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숫자키(11)에 어떠한 한글 자모 또는 영문 알파벳이 할당되어 있는지 기억하고 있어야만 원활하게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각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성된 각각의 숫자키(11)에 어떤 문자의 할당되어 있는지 일일이 기억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각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제조사, 통신 사업자 또는 단말기 모델에 따라 숫자키(11)와 문자의 할당 관계가 상이하기 때문에 숫자키(11)의 배열만 가지고서는 원하는 문자가 어느 곳에 배열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억하기란 불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또한 소형의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성된 숫자키(11)에 할당된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은 매우 협소하여, 대부분의 경우 문자는 아주 작은 글씨로 표시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키 패드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특히 노령자 또는 시력이 낮은 자가 키 패드에 임의적으로 할당되고, 작은 글씨로 표현된 문자를 일일이 찾아서 원하는 문자 메시지를 입력한다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문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키 패드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로 하여금, 문자 메시지 서비스 등 각종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욕구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space for displaying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키 패드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easily and quickly input characters by changing the graphic interface and keypad form display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는, 소정 그룹의 문자가 일렬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 표시부를 갖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문자 표시부에 배열된 문자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문자 입력부; 및 상기 문자 입력부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문자 선택 수단을 상기 소정 그룹의 문자 사이를 이동시키고, 상기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aracter input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unit having at least one character display unit in which a predetermined group of characters are arranged in a line; A character input unit which receive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n arrangement direction of characters arranged in the character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for moving a character selection means between the characters of the predetermined group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to the character input unit, and displaying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election means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소정 그룹의 문자가 일렬로 배열되는 제1 단계; 상기 문자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문자 선택 수단을 상기 소정 그룹의 문자 사이를 이동시켜서 특정 문자가 있는 곳으로 위치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특정 문자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In additio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irst step of arranging a predetermined group of characters on a display unit configu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step of moving a character selection means between the predetermined group of characters to position the specific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ignal inpu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characters; And when the specific character is selected, displaying the selected character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성된 디스플레이부 상에, 소정 그룹의 문자가 일렬로 배열되는 제1 단계; 상기 문자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문자 선택 수단을 상기 소정 그룹의 문자 사이를 이동시켜서 특정 문자가 있는 곳으로 위치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특정 문자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문자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제3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first step of arranging a predetermined group of characters on a display unit configu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econd step of moving a character selection means between the predetermined group of characters to position the specific character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ignal inpu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characters; And a program for causing the computer to execute the third step of displaying the selected character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specific character is selec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reference numerals and lik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폴더형 휴대폰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 형(bar type), 플립 형(flip type), 슬라이드 형(slide type), 회 전형(swing type)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뿐만 아니라, PDA 및 각종 휴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In FIG. 2, a folding type mobile phone is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orms such as a bar type, a flip type, a slide type, and a swing type may be used. Can be applied to your phon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not only a mobile phone but also a PDA and various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는 디스플레이부(21)와 문자 입력부(25,2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디스플레이부(21)는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본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문자 입력부(22)의 문자 입력 메뉴 선택에 따라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는 본체 전면에서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상을 갖고 있으며, 좌우 양 측면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표시부(23,24)가 형성된다. The
상기 문자 표시부(23,24)에는 각각 소정 그룹의 문자가 일렬로 배열된다. 여기서 문자란 한글 자모 및 영문 알파벳 뿐만 아니라, 숫자 및 특수 문자를 포함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한 광의의 개념이다. 상기 도 2에서는 좌측의 제1 문자 표시부(23)에는 제1 그룹의 문자(예를 들어, 한글 자음)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도 2에는 ㄱ ~ ㅁ 의 5개 자음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문자 표시부(23)에는 연속하여 나머지 자음 즉, ㅂ ~ ㅎ 이 일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화면을 스크롤(scroll)함으로써 상기 제1 문자 표시부(23)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문자 표시부(23)에 제2 그룹의 문자(예를 들어, 한글 모음)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도 2에서는 ㅏ ~ ㅗ 의 일부 모음만 표시되어 있으나, 나머지 모음도 연속하여 일렬로 연결되어 있고, 역시 화면을 스크롤함으로써 상기 제2 문자 표시부(24)에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문자 표시부(23,24) 및 이에 표시되는 문자 그룹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In the
상기 문자 입력부(25,26)는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본체 하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아래에 형성된다. 상기 문자 입력부(25,26)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지르거나 긁음으로써 상기 문자 표시부(23,24)에 배열된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문자 입력부(22)에 손가락을 접촉시킨 후 아래 방향으로 긁으면(scrach),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내부에 구성된 제어부(미 도시)는 이를 문자 표시부(23,24) 상에 형성된 문자 선택 수단(3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로 인식한다. 반대로 사용자는 상기 문자 입력부(25,25)의 표면을 하부에서 상부로 긁으면, 상기 제어부(미 도시)는 상기 문자 선택 수단(3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문자 입력부(25,25)의 상단 또는 하단을 손가락으로 일정 시간 이상 동안 계속하여 접촉하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미 도시)는 문자 선택 수단(30)이 상기 문자 표시부(23,24) 상을 계속하여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입력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문자 선택 수단(30)을 일렬로 배열된 문자 그룹 위로 이동시킴으로써 특정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선택 수단(30)은 현재 선택된 특정 문자를 다른 선택되지 않은 문자와 구별하는 기능을 하며, 선택된 문자의 명암, 크기 또는 굵기를 조절하거나, 해당 문자가 포함된 프레임의 명암, 크기 또는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혹은 별도의 아이콘(icon)을 이용하여 선택된 문자를 표시한다. The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문자 입력부(22)에 접촉하였던 손가락을 떼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내부에 구성된 제어부(미 도시)는 이를 문자 선택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문자 선택 수단(30)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자음 및/또는 모음을 결합한 후에, 선택키(27)을 누름으로써 문자 선택 신호로 인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user releases a finger that has touched the
상기 문자 입력부(22)는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본체 하부에서, 상기 문자 표시부(23,2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표시부(23,24)가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문자 입력부(25,26)는 상기 문자 표시부(23,24) 하부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문자 표시부(23,24)와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 상에,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좌측에 형성된 제1 문자 표시부(23)에 대한 문자를 그 아래에 형성된 제1 문자 입력부(25)를 이용하여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우측에 형성된 제2 문자 표시부(24)에 대한 문자 입력를 그 아래에 형성된 제2 문자 입력부(26)를 이용하여 선택 및 입력 할 수 있다. The
상기 문자 입력부(22)는 일 예로, 기존의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식 터치 패드 또는 정전식 터치 패드 등과 같이 공지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그리고 상기 제1 문자 입력부(25)와 제2 문자 입력부(26) 사이에는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키(27)와, 통화 요청을 위한 통화키(28), 및 통화 종료 또는 선택 취소 등의 기능을 갖는 종료키(29)가 배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20)를 쥘 때 일반적으로 좌우측 엄지 손가락이 각각 제1 문 자 입력부(25)와 제2 문자 입력부(26)에 닿게 되므로, 상기 2 개의 문자 입력부(25,26) 사이에 상기 선택키(27), 통화기(28) 및 종료키(29)와 같은 키 버튼(key button)을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양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키들(27,28,29)을 용이하게 누를 수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부(2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입력될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문자 선택부(22)와, 제어부(31)와, 메모리(32)와, 듀플렉서 (Duplexer)(34)와, 송신부(34)와, 수신부(35) 및 오디오부(3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 character input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haracter inpu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메모리(32)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본 발명에 따라 소정 그룹으로 분류된 문자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32)에 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The
상기 듀플렉서(33)는 안테나(AT)를 통해 기지국(미 도시)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The
상기 송신부(34)는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입력된 문자 및, 오디오부(36)로부터 출력된 무선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듀플렉서(33)를 거쳐 안테나(AT)를 통해 송신한다. The
상기 수신부(35)는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AT)를 통해 입력된 후 듀플렉서(33)에 의해 분리된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미약한 수신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The
상기 오디오부(36)는 제어부(31)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부(36)는 수신부(35)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The
상기 제어부(31)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문자 입력부(25,26)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되는 문자를 선택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문자 입력부(25,26)에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문자 선택 수단(30)을 상기 문자 표시부(23,24)에 일렬로 배열된 소정 그룹의 문자 사이를 이동시키고, 상기 문자 선택 수단(30)에 의하여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putting text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에 의하여 문자 입력 메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 좌측의 제1 문자 표시부(23)에 본 발명의 기준에 따라 분류된 제1 그룹의 문자를 일렬로 배열하고(단계 401), 우측의 제1 문자 표시부(24)에는 상기 제1 그룹에 속하지 않는 문자로 이루어진 제2 그룹의 문자를 일렬로 배열한다(단계 402). 상기 단계 401 및 단계 402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First, when the user selects the text input menu by menu sele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이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문자 입력부(25,26)에 상기 문자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여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단계 403), 상기 제어부(31)는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서 상기 배열된 문자 사이로 문자 선택 수단(30)을 이동시켜서 특정 문자가 있는 곳으로 위치시킨다(단계 404).Subsequently, when a signal is input to the
이 후, 사용자가 상기 문자 입력부(25,26)로부터 접촉하였던 손가락을 떼거나 별도의 선택키(27)를 누르는 경우(단계 405), 상기 제어부(31)는 이를 상기 특정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로 인식하며, 이와 같이 선택된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 상에 표시함으로써 원하는 문자의 입력이 이루어진다(단계 406). 그러나, 상기 단계 405에서 사용자가 특정 문자를 선택하지 않고서, 계속하여 상기 문자 입력부(25,26)를 손가락으로 긁거나, 상기 문자 입력부(25,26)의 상하단을 일정 시간 이상 동안 손가락으로 접촉시키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31)는 이를 상기 문자 선택 수단(30)을 계속하여 이동시키는 신호로 인식하여 상기 단계 403을 진행한다. Thereafter, when the user releases a finger touched from the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1)는 사용자에 의하여 제1 문자 입력부(25) 또는 선택키(27)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1) 좌측의 제1 문자 표시부(23)에 배열된 특정 문자(예를 들어, 한글 자음)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문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1)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1)는 다시 사용자에 의하여 제2 문자 입력부(26) 또는 선택키(27)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1) 우측의 제2 문자 표시부(24)의 특정 문자(예를 들어, 한글 모음)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21) 상에 표시하고, 이들을 조합함으로서 원하는 문자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단계 406). 위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문자 입력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403 내지 단계 406을 계속 수행하고, 모든 문자의 입력이 종료된 경우에는 절차를 종료한다(단계 407). Subsequently, when a text message is input to the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류된 소정 그룹의 문자가 표시된 문자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haracter display unit displaying a predetermined group of characters classif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한글 입력을 위한 그래픽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좌측면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제1 문자 표시부(23)에는 한글 자음을 순서대로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우측면에 역시 수직으로 배열되는 제2 문자 표시부(24)에는 한글 모음을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of configuring a graphic for inputting Hangul into the
또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1)에 영문 입력을 위한 그래픽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좌측면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제1 문자 표시부(23)에는 영문 자음을 순서대로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의 우측면에 역시 수직으로 배열되는 제2 문자 표시부(24)에는 영문 모음을 일렬로 배열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6A, in the case of configuring a graphic for inputting English into the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을 입력하기 위한 그래픽을 구성하는 경우에, 영문 알파벳 26자 중 a~m 까지 13 자를 좌측의 제1 문자 표시부(23)에 할 당하고, n~z 까지 나머지 13자를 우측의 제2 문자 표시부(24)에 할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B,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graphic for inputting English characters, 13 characters from a to m of 26 English alphabets are allocated to the first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그래픽을 구성하는 경우엔, 1~5 까지의 숫자를 좌측의 제1 문자 표시부(23)에 할당하고, 6~9 및 0의 숫자를 우측의 제2 문자 표시부(24)에 할당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숫자 0의 위치는 숫자 1 앞에 배열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7, when configuring a graphic for inputting a number,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그래픽을 구성하는 경우에, 일부 그룹의 특수 문자를 좌측의 제1 문자 표시부(23)에 할당하고, 나머지 유용한 특수 문자를 우측의 제2 문자 표시부(24)에 할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hen constructing a graphic for inputting a special character, some group of special characters are assigned to the first
상기 도 4 내지 도 8에 있어서, 각각의 할당 기준에 따라 일정 그룹의 문자가 제1 문자 표시부(23)에 할당되고, 나머지 문자들이 제2 문자 표시부(24)에 할당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4 내지 도 8에서, 문자 표시부(23,24)에 문자의 일부(예를 들어, ㄱ~ㅁ 및 ㅏ~ㅗ)만이 표시되어 있으나, 나머지 문자들(예를 들어, ㅂ~ㅎ 및 ㅜ~ㅣ)는 상기 문자 입력부(22)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문자 표시부(23,24)의 스크롤되어 표시될 수 있다. 4 to 8, it can be seen that a certain group of characters are allocated to the first
도 9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장치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user inputs tex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2 문자 표시부(23,24)를 형성하고, 그 아래에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2 문자 입력부(25,26)를 형성한다. 그러면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도 9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양 손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20)의 본체 하부를 쥐게 되고, 좌측 및 우측 손의 엄지 손가락을 각각 제1 문자 입력부(25) 및 제2 문자 입력부(27)에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그리고 상기 제1,2 문자 입력부(25,26)는 상기 제1,2 문자 표시부(23,24)와 실질적으로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움직이는 방향과 상기 제1,2 문자 표시부(23,24) 상에서 문자 선택 수단(30)이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사용자가 문자 입력 시 자신의 손가락 위치를 수시로 보지 않고서도, 상기 제1,2 문자 입력부(25,26)를 이용하여 상기 제1,2 문자 표시부(23,24)에 표시된 문자를 바라보며 용이하게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and second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키 버튼을 갖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can be input using the graphic user interface and the touch pa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enter the character even without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에 자음을 배열하고 우측에는 모음을 배열함으로써, 선택할 문자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면서도 복잡한 문자 형성 방법에 따르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문자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consonants on the left side and vowels on the right 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unit, it is easy to find a character to select and can easily input a text message without following a complicated character forming method. .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6718A KR100638404B1 (en) | 2005-03-30 | 2005-03-30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6718A KR100638404B1 (en) | 2005-03-30 | 2005-03-30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4499A KR20060104499A (en) | 2006-10-09 |
KR100638404B1 true KR100638404B1 (en) | 2006-10-25 |
Family
ID=3763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67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8404B1 (en) | 2005-03-30 | 2005-03-30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8404B1 (en) |
-
2005
- 2005-03-30 KR KR1020050026718A patent/KR10063840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4499A (en) | 2006-1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7821B1 (en) |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 |
EP2613234A1 (en) |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 |
WO2007084078A1 (en) | A keyboa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 |
KR20040083788A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program using a gesture command and program operating method using thereof | |
CN103324428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ymbol input | |
EP2404230A1 (en) | Improved text input | |
KR20060106771A (en) | Terminal having display button and method of inputting key using the display button | |
US756190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s to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WO2010089918A1 (en) |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rogram | |
RU2421773C2 (en) | Keyboard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said keyboard | |
KR2012010757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in portable terminal | |
KR100672343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and its input method | |
WO2010123485A2 (en) | Entering information into a communications device | |
US20090104928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entering data on such a device | |
KR20050121608A (en) | Key interface apparatus capable easily inputting key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 same | |
KR20130042675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braille in portable terminal | |
KR100638404B1 (en)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51268B1 (en) | Device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of terminal | |
KR101046660B1 (en) |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 |
KR19990007518A (en) | Character input method of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CN101388921B (en) | Conjoined input keys adjacent a navigation tool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 |
KR100692638B1 (en) | Display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12238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terminal | |
KR20050110329A (en) | Input device of character for mobilephone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063005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key input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