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8095B1 -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095B1
KR100638095B1 KR1020050055273A KR20050055273A KR100638095B1 KR 100638095 B1 KR100638095 B1 KR 100638095B1 KR 1020050055273 A KR1020050055273 A KR 1020050055273A KR 20050055273 A KR20050055273 A KR 20050055273A KR 100638095 B1 KR100638095 B1 KR 10063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rotary blade
foreign material
rotating body
grin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욱
허정의
한용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80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배수관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체와 필터부를 구비하되. 회전체는 외주부가 배수관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는 회전체 지지부와, 회전체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배수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이물질을 분쇄하는 회전칼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를 제공한다. 배수관이 막히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채용하는 가전제품의 오동작 또는 고장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수관 내부에 쌓이는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매번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 및 오물제거로 인한 불결감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 및 감성을 충족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Filth shattering Apparatus for drainage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하부 배수관 2 : 상부 배수관
3 : 회전체 31 : 회전체 지지부
32 : 회전칼날 4 : 필터부
본 발명은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에 회전칼날을 장착하여 이물을 분쇄할 수 있는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이나 가정의 배수관은 이물질이 물과 함께 배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배수관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가전제품이 오동작되거나 고장나거나 배수관이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배수관의 필터부가 막히지 않도록 매번 청소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이물질들을 직접 제거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혐오스러워 사용자에게 감성적으로 불만족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관의 필터부 유입측에 회전칼날을 장착하여 이물질을 작은 크기로 분쇄하여 이물질이 필터부에 쌓이지 않고 물과 함께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는 배수관 내부에 설치되되, 외주부가 서로 연결되는 배수관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는 회전체 지지부와, 상기 회전체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이물질을 분쇄하는 회전칼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체 지지부는 상기 배수관 중 어느 하나와 외경이 동일한 링형 외주부의 안쪽에 방사상의 살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살들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칼날을 고정하기 위한 원통형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에 상기 회전칼날의 중심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는 필터부를 구비하며, 필터부는 상기 회전칼날의 하방에 상기 회전칼날과 마주보도록 장착되어 이물질을 거르되 상기 회전 칼날 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칼날은 상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이물분쇄장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에서 배수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내부에는 외주부가 서로 연결되는 배수관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는 회전체 지지부와, 상기 회전체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이물질을 분쇄하는 회전칼날을 포함하는 이물분쇄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체 지지부는 상기 배수관 중 어느 하나와 외경이 동일한 링형 외주부의 안쪽에 방사상의 살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살들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칼날을 고정하기 위한 원통형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는 필터부를 구비하며, 필터부는 상기 회전칼날의 하방에 상기 회전칼날과 마주보도록 장착되어 이물질을 거르되 상기 회전 칼날 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러한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는 가전제품 특히 물을 사용하는 세탁기의 배수관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하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는 세탁기의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하부 배수관(1)은 일반적인 원통형 배수관이며, 상부배수관(2) 역시 하부배수관(1)과 같은 일반적인 배수관이나 그 일단부에 하부배수관(1)과 결합되기 위하여 지름이 좀 더 크게 형성된 연결부(21)가 마련된다. 즉, 연결부(21)의 내경은 하부 배수관(1)의 외경과 같아 서로 이격없이 결합되어 배수관 내부를 흐르는 오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배수관(2)의 연결부와 하부 배수관(1)의 사이에는 회전체(3)의 한 구성요소인 회전체 지지부(31)가 설치된다. 회전체 지지부(31)는 하부 배수관(1)과 외경이 같도록 형성되는 링형상의 외주부(31a)와, 외주부(31a)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살(31b)을 포함한다. 외주부(31c)는 내경까지 하부 배수관(1)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나 내경이 조금 작더라도 상관없다.
살(31b)은 주로 복수로 형성될 것이며, 유체의 유동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후술할 회전칼날(33)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두께로 형성된다. 즉, 외주부(31a)와 살(31b)의 사이에는 최대한의 공간이 형성되어 유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살(31b)들이 모이는 회전체 지지부(31)의 중심부에는 고정부(31c)가 형성된다. 고정부(31c)는 바닥면이 있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바닥면에는 회전칼날(32)을 설치하기 위한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31c)는 회전칼날(32)을 고정하는 역할 이외에도 이물이 회전칼날(32)의 중앙부로 침투해서 회전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일부 이물질을 수용하여 회전칼날(32)의 중앙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형의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게 된다. 또한, 고정부(31c)가 바닥면이 있고,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공(미도시)도 회전칼날(32)이 설치되면 차폐되기 때문에 회전칼날(32)의 상측 중앙부에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회전칼날(32)은 회전체 지지부(31)의 고정부(31c)와 결합되는 고정돌기(32a)와, 그 하방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칼날부(32c)와, 이들을 결합시키는 돌기 결합부(3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돌기(32a)는 볼트나 못의 머리와 같이 상부가 돌출되어 회전칼날(32)이 회전체 지지부(31)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되도록 하는 부재이다.
고정돌기(32a)의 하부에는 원판 모양의 돌기 결합부(32b)가 결합되고, 돌기 결합부(32b)의 하부에는 복수의 칼날을 가진 칼날부(32c)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칼날부(32c)를 이루는 각각의 칼날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상부 배수관(2)를 타고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하며 이물질을 절단하게 된다.
이 때 고정돌기(32a)는 돌기 결합부(32b)나 칼날부(32c)와는 분리가능하여야 회전체 지지부(31)의 고정부(31c) 바닥면의 홀을 통해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 서, 고정돌기(32a)의 하부에 홈이나 나사산이 형성되어 돌기 결합부(32b)와 결합되고,돌기 결합부(32b)에는 칼날부(32c)가 롤러나 핀 등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것이다.
이러한 하부 배수관(1)의 회전칼날(32)의 하방에는 필터부(4)가 설치된다. 필터부(4)는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망체로서 상부가 높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중심부 측이 볼록한 부드러운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회전칼날(32)을 통과한 유체의 유속이 중심부에서는 낮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커지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물질과 섞여 배수되는 오수는 상부 배수관(2)을 타고 흐르게 된다. 오수는 회전체 지지부(31)의 외주부(31a)와 살(31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하부 배수관(1) 측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회전칼날(32)을 통과하게 된다. 회전칼날(32)의 각 칼날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설치되어 있으므로 오수의 흐름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들을 절단 및 분쇄하게 된다. 회전칼날(32)은 구동하는 데 별도의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회전칼날(32)은 하방에 설치된 필터부(4)에 걸린 큰 이물질을 절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렇게 회전칼날(32)에 의해 분쇄된 이물질들은 필터부(4)의 통공을 통해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므로 배수관(1, 2)이 막히는 경우는 없게 된다. 필터부(4)가 중심부는 볼록하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아져서 이물질들이 유속에 따라 물과 함께 배출되고 필터부(4)에 쌓이지 못하는 구조이기 때문이 더욱 그러하다.
특히, 세탁기와 같은 물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경우에는 배수관이 막히면 물이 역류하여 컨트롤부, 모터와 같은 전자부품 등이 침수되어 오동작이나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배수를 잘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세탁기는 실밥,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배수관에 함께 흘러들어 배수관을 막히게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분쇄한 후 물과 함께 배출된다면 이물질이 필터에 쌓여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일으키는 일이 줄어들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는 배수관 내에 이물이 쌓여서 배수관이 막히는 일이 없으므로, 이를 채용하는 가전제품의 오동작 또는 고장을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는 배수관 내부에 쌓이는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매번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 및 오물제거로 인한 불결감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사용편리성 및 감성을 충족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배수관 내부에 설치되는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분쇄장치는 외주부가 서로 연결되는 배수관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는 회전체 지지부와, 상기 회전체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이물질을 분쇄하는 회전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 지지부는 상기 회전칼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배수관들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지지부는 상기 배수관 중 어느 하나와 외경이 동일하고 상기 살이 결합되는 링형 외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주부에 안쪽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상기 살들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상기 회전칼날의 중심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는 필터부를 구비하며, 필터부는 상기 회전칼날의 하방에 상기 회전칼날과 마주보도록 장착되어 이물질을 거르되 상기 회전 칼날 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칼날은 상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6.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에서 배수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을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내부에는 외주부가 서로 연결되는 배수관들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는 회전체 지지부와, 상기 회전체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회전하며 이물질을 분쇄하는 회전칼날을 포함하는 이물분쇄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이물분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지지부는 상기 배수관 중 어느 하나와 외경이 동일한 링형 외주부의 안쪽에 방사상의 살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살들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칼날을 고정하기 위한 원통형의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이물분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는 필터부를 구비하며, 필터부는 상기 회전칼날의 하방에 상기 회전칼날과 마주보도록 장착되어 이물질을 거르되 상기 회전 칼날 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KR1020050055273A 2005-06-24 2005-06-24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KR10063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273A KR100638095B1 (ko) 2005-06-24 2005-06-24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273A KR100638095B1 (ko) 2005-06-24 2005-06-24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095B1 true KR100638095B1 (ko) 2006-10-25

Family

ID=3762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273A KR100638095B1 (ko) 2005-06-24 2005-06-24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0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617B1 (ko) * 2015-03-20 2016-07-11 장준영 지하 오수 배출장치
CN106989244A (zh) * 2017-04-07 2017-07-28 周肇梅 一种水利工程用的管道
CN109208736A (zh) * 2018-10-30 2019-01-15 贵州兴贵环保工程有限公司 生活污水管道防堵装置
CN110925520A (zh) * 2019-12-30 2020-03-27 广东景源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排污管道
KR20200054061A (ko) * 2018-11-08 2020-05-1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유체 회전을 이용한 배관 내 소음감소장치
KR20200135929A (ko) * 2017-11-27 2020-12-04 (의) 삼성의료재단 조직 고정 장치
CN112503299A (zh) * 2020-11-26 2021-03-16 刘耀虎 一种水草多的河流防堵出水管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991A (ja) 2000-08-16 2002-02-26 Nec Kagoshima Ltd 配管内異物付着防止装置
JP2005098440A (ja) * 2003-09-26 2005-04-14 Kurimoto Ltd 夾雑物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8991A (ja) 2000-08-16 2002-02-26 Nec Kagoshima Ltd 配管内異物付着防止装置
JP2005098440A (ja) * 2003-09-26 2005-04-14 Kurimoto Ltd 夾雑物除去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617B1 (ko) * 2015-03-20 2016-07-11 장준영 지하 오수 배출장치
CN106989244A (zh) * 2017-04-07 2017-07-28 周肇梅 一种水利工程用的管道
KR20200135929A (ko) * 2017-11-27 2020-12-04 (의) 삼성의료재단 조직 고정 장치
KR102320135B1 (ko) * 2017-11-27 2021-11-01 (의)삼성의료재단 조직 고정 장치
CN109208736A (zh) * 2018-10-30 2019-01-15 贵州兴贵环保工程有限公司 生活污水管道防堵装置
CN109208736B (zh) * 2018-10-30 2020-11-03 阜阳市世科智能设备有限公司 生活污水管道防堵装置
KR20200054061A (ko) * 2018-11-08 2020-05-1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유체 회전을 이용한 배관 내 소음감소장치
KR102259914B1 (ko) 2018-11-08 2021-06-0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유체 회전을 이용한 배관 내 소음감소장치
CN110925520A (zh) * 2019-12-30 2020-03-27 广东景源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排污管道
CN110925520B (zh) * 2019-12-30 2021-08-31 广东景源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排污管道
CN112503299A (zh) * 2020-11-26 2021-03-16 刘耀虎 一种水草多的河流防堵出水管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14705B (zh) 洗碗机碎渣自清洁过滤系统及洗碗机
KR100845540B1 (ko) 디스포저의 세정 방법
KR101019856B1 (ko) 입형 원심 펌프의 회전식 스트레이너 및 이를 구비한 입형 원심 펌프
KR20110099423A (ko) 믹서 기능을 갖는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KR100638095B1 (ko) 배수관의 이물분쇄장치
CN101942852B (zh) 食物垃圾处理器的清洁机构
US9175461B2 (en) Offset garbage disposal
KR101581704B1 (ko) 여과포를 이용한 소규모 하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301569B1 (ko) 이중 분쇄날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장치
CN2815500Y (zh) 食品废物处理机
JP4274467B2 (ja) 濾過装置
KR20100133771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537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배수구
KR102642106B1 (ko) 배수거름망
CN208958048U (zh) 一种洗碗机专用的食物垃圾处理装置
KR20190037614A (ko) 수중 이물질 파쇄장치
KR100982009B1 (ko) 하수 처리장의 이물질 분쇄장치
KR20130003335U (ko) 싱크대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25148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쇄 배출장치
KR100457596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200365001Y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CN222435444U (zh) 一种用于厨余垃圾处理器的研磨结构以及厨余垃圾处理器
KR101302348B1 (ko) 싱크대에 장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0387661B (zh) 波轮及洗衣机
CN222435439U (zh) 一种用于厨余垃圾处理器的研磨结构以及厨余垃圾处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