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624B1 -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7624B1 KR100637624B1 KR1020040075011A KR20040075011A KR100637624B1 KR 100637624 B1 KR100637624 B1 KR 100637624B1 KR 1020040075011 A KR1020040075011 A KR 1020040075011A KR 20040075011 A KR20040075011 A KR 20040075011A KR 100637624 B1 KR100637624 B1 KR 1006376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rotating
- communication terminal
- angle
- position correspon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에 일반적인 휴대폰 등의 통신단말기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통신단말기는, 힌지장치(30)를 매개로 하여 액정화면(22)이 설치된 커버(20)가 본체(10)로부터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힌지장치(30)는 커버(20)가 본체(10)상의 닫힌 위치로부터 열린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안내하는 역할만을 하고 있다.
한편, 액정화면(22)으로는 각종 문자나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고, 최근에는 메모리의 증가와 통신서비스의 향상으로 액정화면(22)을 통해 영화를 볼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일반적인 통신단말기는 액정화면(22)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영화의 정상적인 화면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다. 따라서 영화를 정상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수평방향으로 긴 액정화면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일반적인 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22)으로 영화를 디스플레이 할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긴 액정화면(22)의 일부를 사용하지 못하여 작은 사이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긴 액정화면(22)의 전체를 사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가로방향을 좁히고 세로방향을 늘려야 하므로 비정상적인 화면이 상영되거나, 영상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을 일부 삭제하여 디스플레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정부의 중심영역에는 회전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공을 통과한 회전축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된다.
상기 회전축부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로 연결되는 시그날라인이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평방향으로 눕히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동부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소정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초기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일 때와 소정각도 회전된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일 때 상기 돌기에 걸리는 상기 걸림턱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통신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액정화면 회전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통신단말기는, 지지부(110)는 통신단말기의 본체(100)로부터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회전장치는 디스플레이(130)를 지지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회전장치는, 지지부(110)에 고정되는 고정부(200); 고정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130)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130)의 회전에 대하여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고자 하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1이상의 요부(230)가 형성되는 회전부(220); 요부(230)에 결합되어 회전부(220)에 제동력을 가하는 돌부(242)를 가지며, 고정부(20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제동부(240); 및 제동부(240)를 회전부(220)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250)로 이루어진다.
고정부(200)는 스크류(270)를 사용하여 지지부(110)에 체결하고, 회전부(220)는 스크류(270)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130)에 체결한다.
고정부(200)의 중심영역에는 회전축부(210)가 형성되고, 회전부(220)의 중심영역에는 회전축부(2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공(222)이 형성되며, 회전공(222)을 통과한 회전축부(210)에는 회전축부(2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된다.
이러한 체결부재는 회전축부(210)에 형성되는 환형홈(212)에 결합되는 와셔(262) 및 씨링(26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축부(210)의 중심영역에는 지지부(110)로부터 디스플레이(130)로 연결되는 시그날라인이 통과되는 관통공(214)이 형성된다.
한편, 회전부(220)의 요부(230)는 디스플레이(130)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와 디스플레이(130)를 수평방향으로 눕히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즉, 액정화면(132)이 수직방향으로 긴 상태와 액정화면(132)이 양방향 또는 일방향으로 90°회전된 상태에서 제동력이 발생하도록 해당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요부(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동부(240)에는 걸림돌부(244)가 형성되고, 고정부(200)에는 걸림돌부(244)가 결합되는 요홈(216)이 형성되어 제동부(240)가 회전부(220)와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동부(240)의 중심에는 회전축부(210)를 통과시키기 위한 중심공(246)이 형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130)를 원하는 소정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부(200)에 돌기(218)를 형성하고, 회전부(220)에는 디스플레이(130)가 초기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일 때와 90°회전된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일 때 돌기(218)에 걸리는 걸림턱(226)을 형성한다.
한편 탄성부재(250)는, 고정부(200)에 접촉되는 골형부(252)와 제동부(240)에 접촉되는 산형부(254)가 연속으로 형성된 도우넛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통신단말기의 제어부는, 디스플레이(130)에 설치되는 액정화면(132)이 회전되면 액정화면(132)으로 표시되는 영상을 액정화면(132)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시켜 영상이 바르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는 디스플레이(13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에 도시한 액정화면 회전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한 통신단말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통신단말기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평상시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130)는 도 8과 같이 액정화면(132)이 수직방향으로 긴 상태로 지지부(110)에 결합되어 본체(100)에 닫혀져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5와 같이,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을 받는 제동부(240)의 돌부(242)가 회전부(220)의 요부(230)에 결합되어 회전부(220)를 정지시키려는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부(220) 및 이에 결합된 디스플레이(130)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도 9와 같이 디스플레이(130)를 들어올리면, 디스플레이(130)가 지지된 지지부(110)가 힌지부(12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디스플레이(130)의 액정화면(132)이 오픈 된다.
이 상태에서 통신단말기의 고유기능을 사용한다.
그리고 액정화면(132)을 통해 영화 등의 영상을 출력시키려면, 디스플레이(1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30)와 함께 회전부(220)가 회전축부(210)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회전부(220)의 초기 회전 동작시에는 도 6과 같이, 회전부(220)의 요부(230)가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한 제동력을 극복하고 제동부(240)의 돌부(242)로부터 이탈하고, 도 7과 같이 회전부(220)가 90° 회전하게 되면 다시 제동부(240)의 돌부(242)가 회전부(220)의 요부(230)에 삽입되어 제동력이 발생한다. 이와 동시에 돌기(218)가 걸림턱(226)에 걸려 회전부(22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250)는 제동부(240)에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제동부(240)를 회전부(220)측으로 밀착시킨다.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130)가 90° 회전하면, 디스플레이(130)의 액정화면(132)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되고, 제어부에서 센서의 정보로부터 디스플레이(130)의 회전을 감지하고 액정화면(132)으로 출력되는 영상을 수평방향으로 길게 표시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상태에서 액정화면(132)을 통해 영화 등을 정상적인 사이즈로 보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 통신단말기의 본체로부터 힌지 회전되는 지지부에 디스플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에 대하여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고자 하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1이상의 요부가 형성되는 회전부;상기 요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에 제동력을 가하는 돌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제동부; 및상기 고정부에 접촉되는 골형부와 상기 제동부에 접촉되는 산형부가 연속으로 형성된 도우넛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동부를 상기 회전부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중심영역에는 회전축부가 형성되고,상기 회전부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회전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공이 형성되며,상기 회전공을 통과한 회전축부에는 상기 회전축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의 중심영역에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로 연결되는 시그날라인이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직방향으로 세우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평방향으로 눕히는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에는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걸림돌부가 결합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소정각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초기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일 때와 소정각도 회전된 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일 때 상기 돌기에 걸리는 상기 걸림턱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5011A KR100637624B1 (ko) | 2004-09-20 | 2004-09-20 |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
PCT/KR2005/001981 WO2006001661A1 (en) | 2004-06-26 | 2005-06-24 |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
EP05765878A EP1762009A1 (en) | 2004-06-26 | 2005-06-24 |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
US11/630,386 US20080055829A1 (en) | 2004-06-26 | 2005-06-24 |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5011A KR100637624B1 (ko) | 2004-09-20 | 2004-09-20 |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6178A KR20060026178A (ko) | 2006-03-23 |
KR100637624B1 true KR100637624B1 (ko) | 2006-10-23 |
Family
ID=3713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5011A KR100637624B1 (ko) | 2004-06-26 | 2004-09-20 |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762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710B1 (ko) * | 2005-02-14 | 2010-08-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
-
2004
- 2004-09-20 KR KR1020040075011A patent/KR10063762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710B1 (ko) * | 2005-02-14 | 2010-08-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6178A (ko) | 2006-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7040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 |
KR100242840B1 (ko) | 액정디스플레이장치 | |
KR102062240B1 (ko) | 플렉시블 액정용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 |
KR102296241B1 (ko) | 인폴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
KR100485783B1 (ko) |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 |
KR100637624B1 (ko) |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 |
JP2002209000A (ja) | 携帯端末装置 | |
KR101540345B1 (ko) |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 |
KR100642125B1 (ko) | 통신단말기용 회전장치 | |
KR100729637B1 (ko) |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회전장치 | |
KR100466460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 |
WO2006001661A1 (en) | Display swing mechanism of portable terminal | |
KR20070065189A (ko) |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 |
KR100673297B1 (ko) |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 |
KR100487965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화면 회전장치 | |
KR100465227B1 (ko) |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 |
KR100455545B1 (ko) |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 |
KR100660819B1 (ko) | 슬라이드 및 회전형 통신단말기 | |
KR100474633B1 (ko) | 휴대폰의 개폐장치 | |
CN107577107A (zh) | 一种投影机壳体结构及投影机 | |
CN209484211U (zh) | 图像传感器的支撑结构及广告机 | |
KR100746717B1 (ko) | 2방향 개폐장치 | |
KR100485631B1 (ko) | 휴대폰의 커버 개폐 및 로테이션장치 | |
KR200323293Y1 (ko) | 통신기기의 개폐장치 | |
KR100612926B1 (ko) | 통신단말기용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0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