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6014B1 -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014B1
KR100636014B1 KR1020060053577A KR20060053577A KR100636014B1 KR 100636014 B1 KR100636014 B1 KR 100636014B1 KR 1020060053577 A KR1020060053577 A KR 1020060053577A KR 20060053577 A KR20060053577 A KR 20060053577A KR 100636014 B1 KR100636014 B1 KR 100636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ouch
ring
pieces
b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주
김주환
Original Assignee
신우산업주식회사
일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산업주식회사, 일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0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01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보다 얇은 금속 판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여도 더 큰 인장 및 압축 강도에 견딜 수 있도록 하여 형태의 변형에 의한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료비용을 절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는 서로 맞댄 후 그 외주면에 고무 패킹을 개재시킨 링형 돌출부와 치합될 수 있도록 링형 돌출부의 단면의 형상과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양측면 하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지지편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분할 편; 상기 다수개의 분할 편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일측이 개방된 원형 링 형상으로 상기 다수개의 분할 편을 연결시키는 연결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상부면 일측 끝단에 장착되되 일측면에 걸림 홈이 형성된 지지브래킷과, 상기 연결밴드 상부면 타측 끝단에 장착되는 조임 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조임 레버가 상기 지지브래킷의 걸림 홈과 연결됨으로써 연결밴드에 의해 일측이 개방된 원형 링 형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분할 편의 개방 부위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로 구성된다.
지하매설 파이프, 분할편, 수밀도, 연결밴드, 링형 돌출부

Description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Pipe Connection Device}
도 1은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를 이용한 파이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를 이용한 다른 파이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연결장치를 이용한 파이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터치 연결장치 (5) : 파이프
(10) : 분할편 (11) : 연결부
(12) : 지지편 (20) : 연결 밴드
(30) : 결합부 (31) : 지지브래킷
(31a) : 걸림 홈 (32) : 조임 레버
(32a) : 연결대 (32b) : 고정브래킷
(32c) : 나사부 (32d) : 작동레버
(32e) : 연결축 (40) : 개방부위
(50) : 연결단부 (51) : 링형 돌출부
(60)(90) : 고무패킹 (60a) : 골부
(80) : 고정 돌기
본 발명은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보다 얇은 금속 판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여도 더 큰 인장 및 압축 강도에 견딜 수 있도록 하여 형태의 변형에 의한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료비용을 절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 외주면의 형상에 따라서 링형 콜게이트관 및 나선형 콜게이트관 등으로 구별되는 파형 파이프나 연결단부에 링형 돌출부가 형성된 파이프는 관체의 외형적 특성 및 관체 연결부에서 요구되는 품질특성을 고려하여 소켓 연결방식, 열수축관 연결방식, 패킹 및 밴드 장착 방식, 플랜지 접합방식, 융착 매쉬를 이용한 융착 접합 방식 등의 여러 관체 연결방식 중에서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여 관체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소켓 연결방식, 열수축관 연결방식, 패킹 및 밴드 장착 방식, 플랜지 접합방식, 융착 매쉬를 이용한 융착 접합 방식 등의 여러 관체 연결방식 중에서 패킹 및 밴드 장착방식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할 시에 사용되는 원터치 연결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1)는 하단부가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반원 링 형상의 한 쌍의 분할편(10); 상기 한 쌍의 분할편(10)을 일측 끝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힌지(33); 일측에 위치한 분할편(10)의 상부면 일측 끝단부에 장착된 지지브래킷(31); 타측에 위치한 분할편(10)의 일측 끝단부 양측면에 힌지 연결된 작동레버(32d); 상기 작동레버(32d) 일측 끝단부 양측면에 힌지 연결된 연결대(32a); 상기 연결대(32a)의 양측면에 일측 끝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끝단부는 상기 작동레버(32d)의 양측면에 연결되는 보강대(32f)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의 연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를 이용한 파이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를 이용한 다른 파이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5)는 연결단부(50)에 링형 돌출부(51)가 돌출 형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링형 돌출부(51)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5)의 연결단부(50)의 링형 돌출부(51)를 서로 맞댄 후 그 외주면에 고무 패킹(60)을 개재시킨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5)의 연결단부(50)의 링형 돌출부(51)에 고무 패킹(60)을 개재 시킨 상태에서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1)의 분할편(10)이 상기 파이프(5) 연결단부(50)의 한 쌍의 링형 돌출부(5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분할편(10)의 양측 끝단부를 잡고 벌린 후 상기 파이프(5) 연결단부(50)의 한 쌍의 링형 돌출부(51)에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1)를 개재시킨다. 상기와 같이 원터치 연결장치(1)를 개재시킨 후 작동 레버(321d)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대(32a)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대(32a)의 일측 끝단부를 지지브래킷(31)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작동 레버(32d)를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원터치 연결장치(1)를 파이프(5) 연결단부(50)의 한 쌍의 링형 돌출부(51) 외주면에 압착시킴으로써 파이프(5)의 연결작업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1)는 한 쌍의 분할편(10)이 단순히 힌지(33)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고무 패킹(60)을 압착하기 위하여 상기 분할편(10)에 인장응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힌지(33)가 휘어져 이탈되는 현상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분할편(10)이 단순히 하단부가 개방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고무 패킹(60)을 압착하기 위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분할편(10) 양측면이 쉽게 구부러져 분할편(10)의 형태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큰 힘으로 고무 패킹(60)을 압착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면적이 매우 좁은 분할편(10)의 하부면으로 고무 패킹(60)의 끝단부를 가압시킴으로써 수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보다 얇은 금속 판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여도 더 큰 인장 및 압축 강도에 견딜 수 있도록 하여 형태의 변형에 의한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보다 더 큰 힘과 넓은 면적으로 고무 패킹을 가압함으로써 파이프 연결단부의 수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맞댄 후 그 외주면에 고무 패킹을 개재시킨 링형 돌출부와 치합될 수 있도록 링형 돌출부의 단면의 형상과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양측면 하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지지편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분할 편; 상기 다수개의 분할 편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일측이 개방된 원형 링 형상으로 상기 다수개의 분할 편을 연결시키는 연결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상부면 일측 끝단에 장착되되 일측면에 걸림 홈이 형성된 지지브래킷과, 상기 연결밴드 상부면 타측 끝단에 장착되는 조임 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조임 레버가 상기 지지브래킷의 걸림 홈과 연결됨으로써 연결밴드에 의해 일측이 개방된 원형 링 형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분할 편의 개방 부위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의 파이프 및 원터치 연결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연결장치(1)는 다수개의 분할편(10), 연결밴드(20) 및 결합부(3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분할편(10)은 연결부(11)와 지지편(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11)는 서로 맞댄 후 그 외주면에 고무 패킹(도시되지 않음)을 개재시킨 링형 돌출부(도시되지 않음)와 치합될 수 있도록 링형 돌출부의 단면의 형상과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12)은 상기 연결부(11) 양측면 하단부에 상기 연결부(11)의 양측면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링형 돌출부는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짐으로 상기 연결부(11)는 링형 돌출부의 단면의 형상과 상응하도록 하부면이 개방된 사다리꼴 또는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밴드(20)는 상기 다수개의 분할편(1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일측이 개방된 원형 링 형상이 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분할편(10)을 서로 연결시키며, 이때 상기 연결밴드(20)는 상기 다수개의 분할편(10)의 외주면에 다양한 부착방법에 의해 부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스폿 용접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30)는 지지브래킷(31), 조임 레버(32)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브래킷(31)은 상기 연결밴드(20) 상부면 일측 끝단에 장착되어 일측면에 걸림 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 레버(32)는 상기 연결밴드(20) 상부면 타측 끝단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브래킷(31)의 걸림 홈(31a)과 연결됨으로서 연결밴드(20)에 의해 일측이 개방된 원형 링 형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분할편(10)의 개방부위(40)를 서로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조임 레버(32)는 고정 브래킷(32b), 작동레버(32d), 연결 축(32e), 연결대(32a)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32b)은 상기 연결밴드(20) 상부면 타측 끝단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레버(32d)는 상기 고정 브래킷(32b)의 상단부에 일측 끝단부 양측면이 힌지 연결되며, 상기 연결 축(32e)은 상기 작동 레버(32d) 양측면 외부로 양측 끝단부가 돌출 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32d)의 중앙부에 삽입 장착되되 양측 끝단부에 삽입 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연결대(32a)는 상기 연결 축(32e)의 삽입 홀에 나사부(32c)가 형성된 양측 끝단부가 삽입되어 연결 축(32e)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나사부(32c)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N)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너트(N)의 위치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상기 작동 레버(32d)와 상기 연결대(32a)는 분할편(10)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연결장치(1)의 다수개의 분할편(10)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고정 돌기(8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돌기(80)에는 단면의 형상이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 패킹(90)이 더 장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연결장치의 체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연결장치를 이용한 파이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5)는 다수개의 링형 돌출부(51)가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파이프(5)는 연결단부(50) 부분에만 링형 돌출부(51)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5)의 연결단부(50)의 링형 돌출부(51)를 서로 맞댄 후 그 외주면에 고무 패킹(60)을 개재시킨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5)의 연결단부(50)의 링형 돌출부(51)에 고무 패킹(60)을 개재 시킨 상태에서 원터치 연결장치(1)의 분할편(10)이 상기 파이프(5) 연결단부(50)의 한 쌍의 링형 돌출부(5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분할편(10)의 개방부위(40)를 잡고 벌린 후 상기 파이프(5) 연결단부(50)의 한 쌍의 링형 돌출부(51)에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연결장치(1)를 개재시킨다. 이때 상기 분할편(10) 내주면에 장착된 고무 패킹(90)은 링형 돌출부(51)에 개재 시킨 고무 패킹(60)의 골부(60a)와 치합된다. 상기와 같이 원터치 연결장치(1)를 개재시킨 후 작동 레버(32d)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대(32a)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대(32a)의 일측 끝단부를 지지브래킷(31)의 걸림 홈(31a)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작동 레버(32d)를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원터치 연결장치(1)를 파이프(5) 연결단부(50)의 한 쌍의 링형 돌출부(51) 외주면에 압착시킨다. 이때 상기 링형 돌출부(51)의 외주면을 보다 강한 힘으로 압착할 경우에는 연결 축(32e) 일측에 위치한 너트(N)를 회전시켜 지지 브래킷(31)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연결대(32a)를 상기 연결 축(32e)의 삽입 홀(도시되지 않음)에 더 삽입 시킨 다음, 연결 축(32e) 타측에 위치한 너트(N)를 연결 축(32e)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대(32a)의 길이를 짧게 조정한 후, 작동 레버(32d)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연결대(32a)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연결대(32a)의 일측 끝단부를 지지브래킷(31)의 걸림 홈(31a)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작동 레버(32d)를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강한 힘으로 링형 돌출부(51)의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연결장치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원터치 연결장치(1)는 파이프(5) 연결단부(50)의 링형 돌출부(51)의 외주면을 압착 연결시키되, 상기 원터치 연결장치(1)와 링형 돌출부(51) 사이에는 고무 패킹(60)이 개재되며, 상기 분할편(10)의 양측면 끝단부에 구비된 지지편(12)은 상기 고무 패킹(60)의 끝단부를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보다 더 큰 힘과 넓은 면적으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원터치 연결장치(1)는 고정 돌기(80)에 장착된 고무 패킹(90)이 상기 원터치 연결장치(1)와 링형 돌출부(51) 사이에 개재된 고무 패킹(60)의 골부(60a)에 삽입되어 치합됨으로써 원터치 연결장치(1)를 체결하는 힘에 의해 파이프(5)의 링형 돌출부(51)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 돌기(80) 및 고무 패킹(9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원터치 연결장치(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다수개의 분할편(10)이 연결밴드(20)에 의해 연결된 이중 구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11)의 양측면 끝단부에 상기 연결부(11)의 양측면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지지편(12)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분할편(10)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보다 얇은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더라도 더 큰 인장 및 압축강도에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형태의 변형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큰 힘과 넓은 면적으로 고무 패킹(60)의 끝단부를 가압하여 밀봉시킴으로써 파이프(5) 연결단부(50)의 수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는 다수개의 분할편이 연결밴드에 의해 연결된 이중 구조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의 양측면 끝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지지편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분할편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종래의 원터치 연결장치보 다 얇은 금속판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더라도 더 큰 인장 및 압축강도에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형태의 변형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 큰 힘과 넓은 면적으로 고무 패킹의 끝단부를 가압하여 밀봉시킴으로써 파이프 연결단부의 수밀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연결단부측 외주면에 링형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링형 돌출부를 서로 맞댄 후 그 외주면에 고무 패킹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링형 돌출부의 외측면을 압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로 맞댄 후 그 외주면에 고무 패킹을 개재시킨 링형 돌출부와 치합될 수 있도록 링형 돌출부의 단면의 형상과 상응하는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 양측면 하단부에 상기 연결부의 양측면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 형성된 지지편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분할 편;
    상기 다수개의 분할 편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일측이 개방된 원형 링 형상으로 상기 다수개의 분할 편을 연결시키는 연결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 상부면 일측 끝단에 장착되되 일측면에 걸림 홈이 형성된 지지브래킷과, 상기 연결밴드 상부면 타측 끝단에 장착되는 조임 레버로 구성되어 상기 조임 레버가 상기 지지브래킷의 걸림 홈과 연결됨으로써 연결밴드에 의해 일측이 개방된 원형 링 형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분할 편의 개방 부위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레버는 상기 연결밴드 상부면 타측 끝단에 장착되는 고정 브래킷;
    상기 고정 브래킷의 상단부에 일측 끝단부 양측면이 힌지 연결된 작동 레버;
    상기 작동 레버 양측면 외부로 양측 끝단부가 돌출 되도록 상기 작동 레버의 중앙부에 삽입 장착되되 양측 끝단부에 삽입 홀이 형성된 연결 축; 및
    상기 연결 축의 삽입 홀에 나사부가 형성된 양측 끝단부가 삽입되어 연결 축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나사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너트의 위치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한 연결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링 형상으로 연결밴드에 의해 연결된 다수개의 분할편 내주면 중앙부에는 고정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돌기에는 역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고무 패킹이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KR1020060053577A 2006-06-14 2006-06-14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36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577A KR100636014B1 (ko) 2006-06-14 2006-06-14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577A KR100636014B1 (ko) 2006-06-14 2006-06-14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014B1 true KR100636014B1 (ko) 2006-10-18

Family

ID=3762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5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6014B1 (ko) 2006-06-14 2006-06-14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0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01B1 (ko) 2007-01-03 2007-09-03 우양호 탈·부착이 용이한 배관의 이음구
KR200454294Y1 (ko) 2006-12-21 2011-06-27 주수영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1310354B1 (ko) * 2011-07-13 2013-09-23 반도건설주식회사 관로보수 라이닝공법의 증기 주입장치
KR101442690B1 (ko) * 2012-07-05 2014-09-23 주식회사 강남에너텍 원터치 결합구조를 갖는 태양열 집열기용 집열판
KR101515183B1 (ko) * 2013-10-11 2015-04-24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배관 차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243Y1 (ko) 2002-05-24 2002-08-27 권용수 압력탱크용 체결구
KR100522195B1 (ko) 2005-02-07 2005-10-14 (주)픽슨 파형강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243Y1 (ko) 2002-05-24 2002-08-27 권용수 압력탱크용 체결구
KR100522195B1 (ko) 2005-02-07 2005-10-14 (주)픽슨 파형강관 연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94Y1 (ko) 2006-12-21 2011-06-27 주수영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0754501B1 (ko) 2007-01-03 2007-09-03 우양호 탈·부착이 용이한 배관의 이음구
KR101310354B1 (ko) * 2011-07-13 2013-09-23 반도건설주식회사 관로보수 라이닝공법의 증기 주입장치
KR101442690B1 (ko) * 2012-07-05 2014-09-23 주식회사 강남에너텍 원터치 결합구조를 갖는 태양열 집열기용 집열판
KR101515183B1 (ko) * 2013-10-11 2015-04-24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배관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1913B2 (en) Seal nu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636014B1 (ko) 지하매설 파이프용 원터치 연결장치
US4616858A (en) Flexible pipe coupling
JPS5917316B2 (ja) 枝管継手
JP3814316B2 (ja) 固定装置
JP3949087B2 (ja) 組立部材に取り付けられるプラスチックナット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20050013496A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1042599B1 (ko) 스테인레스 강관의 관이음 부재
KR102514605B1 (ko) 유볼트 어셈블리
KR200233913Y1 (ko) 피복형 파형강관의 연결 장치
KR200390447Y1 (ko) 대형 배수관 연결용 볼클립 조인트
KR200197367Y1 (ko) 수도관의 이음구조
KR200392716Y1 (ko) 스프링클러 리듀서 장착장치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JP3663511B2 (ja) 管継手のシール構造
KR200321511Y1 (ko) 원 터치 배관 연결구
KR200368056Y1 (ko) 파이프 커플링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KR200254102Y1 (ko) 고밀폐 관 접속구
KR20230103378A (ko) 이종재료 접합 부식 방지와 무용접 연결을 위한 밸브와 배관의 연결장치
RU2229652C1 (ru) Хомут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зиновой манжеты на трубопроводе
KR102708788B1 (ko) 파이프 결속기구
KR200489471Y1 (ko) 상하수관 보수용 연결구
JPH09144043A (ja) マンホール用可撓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0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01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