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917B1 - Pickup apparatus for o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Pickup apparatus for o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5917B1 KR100635917B1 KR1020040055971A KR20040055971A KR100635917B1 KR 100635917 B1 KR100635917 B1 KR 100635917B1 KR 1020040055971 A KR1020040055971 A KR 1020040055971A KR 20040055971 A KR20040055971 A KR 20040055971A KR 100635917 B1 KR100635917 B1 KR 100635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ckup
- guitar
- case
- bobbin
- coi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385 Diospyros ebe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92913 Ebe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049 Juglans reg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96 Juglans reg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34 wal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타의 음을 전기적으로 흡수·전달하는 픽업 장치의 사용시에 노이즈 등의 발생없이 원음 그대로를 엠프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타용 픽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up apparatus for a guitar, which enables the output of the original sound as it is to the amplifier without the occurrence of noise or the like when using the pickup apparatus for electrically absorbing and transferring the guitar sound.
이와같은 본 발명은; 중앙부에 흡음(吸音)용 철심(150)이 중앙부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코일(134)이 권취되는 보빈(130) 및 자계(磁界)를 발생하는 영구자석(160)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134)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절연테이프(140)로 이루어진 픽업본체(120)와; 상기 픽업본체(120)의 외부면에 감싸지는 구리테이프(Copper tape)(170)와; 상기 구리테이프(170)가 감싸진 상태의 픽업본체(120)가 안착되도록 천연목재로 가공되되, 수용부(112)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구리테이프(170)가 감싸진 상태의 픽업본체(120)를 상기 케이스(110)에 안착시킨 후 충진되어 냉각되는 애폭시층(18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absorbing iron core 150 is fixed to the center portion, and a bobbin 130 on which the coil 134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permanent magnet 160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are provided. Pick-up body 120 made of an insulating tape 140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pper tape (170)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ickup body (120); A case 110 which is processed with natural wood so that the pickup main body 120 in the state in which the copper tape 170 is wrapped is formed, and a receiving part 112 is 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epoxy layer 180 is filled and cooled after seating the pickup main body 120 of the copper tape 170 is wrapped in the case 110.
본 발명에 따르면; 기타용 픽업 장치의 케이스를 천연목재로 제조하여 기타의 현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원을 노이즈의 발생없이 원음 그대로 앰프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Since the case of the pickup device for guitar is made of natural wood, the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guitar string is output through the amplifier as it is without the generation of noise.
기타, 픽업, 현, 노이즈, 앰프Guitar, Pickup, Strings, Noise, Amplifi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기타용 픽업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ickup device for a conventional guitar,
도 2는 도 1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가 부착된 기타를 도시한 도면이고, 2 is a view showing a guitar with a pickup device for guitar according to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사시도이고,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ckup device for guit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케이스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ase of the pickup device for guit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ickup device for guit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도 5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FIG. 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도 6b는 도 5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가 부착된 기타를 도시한 도면이고, 7 is a view showing a guitar with a pickup device for guit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제조 공정 흐름도이고, 8 is a manufacturing process flowchart of the pickup apparatus for guit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ickup apparatus for guit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기타 10 : 바디1: other 10: body
12 : 상판 40a,40b,40c,40d,40e,40f : 현12:
100 : 픽업 장치 110 : 케이스100: pickup device 110: case
112 : 수용부 116 : 볼트112: receiving portion 116: bolt
120 : 픽업 본체 130 : 보빈120: pickup body 130: bobbin
134,134' : 코일 136 : 파라핀층134,134 ': coil 136: paraffin layer
140 : 절연테이프 150 : 철심140: insulating tape 150: iron core
160 : 영구자석 170 : 구리 테이프160: permanent magnet 170: copper tape
180 : 에폭시층180: epoxy layer
본 발명은 기타용 픽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렉트릭 기타의 현의 진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공명음을 전기적으로 흡수·전달하는 픽업 장치의 사용시에 노이즈 등의 발생없이 원음 그대로를 엠프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타용 픽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up device for a guita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original sound without the generation of noise, etc. in the use of the pick-up device that electrically absorbs and transfers the resonance sound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electric guitar string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up device for miscellaneous output and a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기타(guitar), 특히 일렉트릭 기타(electric guitar)는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음을 전기적으로 증폭하는 현악기의 일종으로, 바디(10)와 핑거보드(20) 및 헤드(30)로 구성된다. Generally, a guitar, especially an electric guitar, is a type of string instrument that electrically amplifies a sound according to FIGS. 1 and 2, and includes a
이와같은 기타(1)의 바디(10)와 핑거보드(20) 및 헤드(30)의 상부에는 음을 발생하는 6현(40)이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6현(40)이 헤드(30)의 상현주(42)를 거쳐 바디(10)의 브리지(12)에 연결된다.The top of the
한편, 상기 바디(10)의 각각의 현(絃)(40)이 지나는 위치에는 금속(金屬)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케이스(52) 내부에 코일이 감겨진 보빈(54)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원기둥 형상의 픽업용 철심(56)이 구비되고, 그 일측에 영구자석(58)이 구비되는 픽업 장치(50)가 1개 이상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position where each string (40) of the
이와같이 픽업 장치(50)가 구비되는 기타(1)를 연주하게 되면, 현(40)의 진동으로 공명음에 의해 자계변화(磁界變化)가 일어나고, 그로 인해 코일에 전류가 발생되면 그 신호를 앰프(미도시됨)에서 일정 비율로 증폭시켜 출력하게 된다. In this way, when the
그런데, 이와같은 기타(1)의 상판에 설치되는 종래의 픽업 장치(50)는 그 케이스(50)가 금속재 및/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pick-
이때, 기타(1)의 바디(10)는 일반적으로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가품의 경우에는 천연목재를 사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사용되는 픽업 장치(50)는 케이스(52)를 금속재 및/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고 케이스(52) 내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코일이 권취된 보빈(54) 및 영구자석(58) 등이 일체로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여, 재질이 달라짐으로 인한 물질자체의 고유진동수가 기타(1)의 바디(10)와 서로 달라 기타(1)의 공명음이 왜곡(歪曲)되어 양질의 음원 획득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픽업 장치(50)의 케이스(52)를 금속재로 제조하게 되면 기타(1)를 연주시 그 현(40)의 진동시에 케이스(52) 자체의 특성에 따라 현(40)의 진동으로 발생되는 자계 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코일에 전류변화시 가미되어 노이즈(noise)를 발생하게 되어 앰프로 공급되어 노이즈가 섞인 형태의 음원이 출력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타를 연주시에 발생되는 현의 공명음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에 노이즈 등의 왜곡(歪曲)된 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원음 그대로 앰프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기타용 픽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distorted sound such as noise when converting a resonance sound of a string generated when a guitar is play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ckup device for guita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or outputting through an amplifi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타에 설치시 현의 위치를 일일히 확인할 필요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외부의 고주파를 차단하는 기타용 픽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ck-up device for a guita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be simply installed without the need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string when installed in the guitar, and cuts the high frequency of the outside.
본 발명은 기타용 픽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에 흡음(吸音)용 철심(150)이 중앙부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코일(134)이 권취되는 보빈(130) 및 자계(磁界)를 발생하는 영구자석(160)이 구비되고, 상기 코일(134)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절연테이프(140)로 이루어진 픽업본체(120)와; 상기 픽업본체(120)의 외부면에 감싸지는 구리테이프(Copper tape)(170)와; 상기 구리테이프(170)가 감싸진 상태의 픽업본체(120)가 안착되도록 천연목재로 가공되되, 수용부(112)가 형성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구리테이프(170)가 감싸진 상태의 픽업본체(120)를 상기 케이 스(110)에 안착시킨 후 충진되어 냉각되는 애폭시층(18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kup device for other; A sound absorbing
이때, 상기 픽업본체(120)는 중앙부에 사각바 형상의 철심(150)이 중앙부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적층되도록 코일(134)이 권취되는 보빈(130)과, 상기 적층된 코일(134,134')간의 공극을 제거하기 위해 형성되는 파라핀층(136)과, 그 보빈(130)의 하부면(130a)에 부착되는 영구자석(160)과, 상기 코일(134)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절연테이프(1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은 기타용 픽업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연목재 원목을 일정 크기로 재단하고, 그 중앙부를 가공하여 수용부(112)를 형성하고, 양 측 벽면(118)에 각각 하나 이상의 볼트관통홀(114)을 가공한 케이스(110)의 표면을 고르게 면가공한 상태에서 투명 아크릴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처리를 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와; 보빈(130)의 외주면에 코일(134)을 일방향으로 권취시켜 다층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134,134')간의 사이의 공극에 파라핀을 채우고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상태의 보빈(130)의 코일(134) 외주면에 절연테이프(140)를 수회 반복하여 감아주고, 상기 보빈(130)의 중앙부에 흡음용 철심(150)을 고정하고, 그 하부에 영구자석(160)을 부착시켜 픽업 본체(120)를 완성하는 단계와; 상기 픽업 본체(120)의 외부면에 외부의 고주파가 유입될 경우 그 간섭(RFI)을 차단하도록 구리 테이프(170)를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구리테이프(170)가 감겨진 상태의 픽업 본체(120)를 상기 케이스(110)의 수용부(112)에 안착시키고 액체 상태로 가열시킨 에폭시를 충진시킨 후 냉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ther pickup device; The natural wood is cut to a certain size, the center portion is processed to form the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ick-up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케이스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도 5의 "B"-"B"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가 부착된 기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제조 공정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ckup device for guit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ase of the pickup device for guit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pickup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6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5, and FIG. 7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guitar with a pickup device for guitar,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guitar picku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ickup device for guit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3 내지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100)는 그 재질이 천연목재이고,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수용부(112)가 형성되고 그 하부가 개구된 케이스(110)와, 그 케이스(110) 내부에 안착되어 기타의 공명음을 흡음(吸音)하는 픽업 본체(120)와, 그 상기 케이스(110)와 픽업 본체(120)를 일체로 결합시켜주는 에폭시층(180)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FIGS. 3 to 6, the pickup device for
이와같은 픽업 본체(120)는 중앙부에 그 단면이 직사각형인 철심고정홀(132)이 형성되는 보빈(130)의 외주면에 코일(134)이 권취되고, 그 코일(134)의 외주면에는 절연테이프(140)가 감겨지게 된다. 한편, 상기 보빈(134)의 철심고정홀(132) 에는 흡음(吸音)매체인 사각 바(bar) 형상의 철심(150)이 가로방향으로 끼워지고, 그 보빈(130)의 하부면(130a)에는 영구자석(160)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체로 부착된다. Such a pickup
이때, 상기 보빈(130)에 코일(134)이 권취된 후에는 액체상태로 가열된 파라핀에 담그고 진공상태를 유지한 후 건져내어 냉각시키면 파라핀층(136)이 형성되어 인접 코일(134')간의 공극(空隙)을 없앤 후에 절연테이프(140)를 감아주게 된다.At this time, after the
그리고, 상기 절연테이프(140)가 감겨진 상태의 보빈(130)에 영구자석(160)이 부착된 상태의 픽업 본체(120)의 외주면에는 구리 테이프(copper tape)(170)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구리테이프(170)는 외부의 고주파가 유입될 경우 발생되는 간섭(RFI:Radio Frequency Interference) 즉 외부 노이즈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a
이후, 상기 구리 테이프(170)가 감겨진 상태의 상기 픽업 본체(120)는 케이스(110)의 수용부(112)에 안착시키고 검정색 염료(染料)가 가미된 에폭시(epoxy)를 액체상태에서 충진시킨 후 냉각시키게 되면 에폭시층(180)이 형성되어 상기한 픽업 본체(120)와 케이스(110)가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Subsequently, the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에는 다수의 볼트관통홀(114)을 형성하여 볼트(116)를 이용하여 기타(1)에 고정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는 기타(1)의 현(40a,40b,40c,40d,40e,40f)이 진동시에 발생되는 공명음을 원음(原音) 그대로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천연목재로 제조하되 월낫(walnut;흑단)과, 비치우드(beachwood), 그리고 남미에서 생산되 는 나무의 옹이인 레드벌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천연목재는 일반적으로 가벼우며 강도가 크고, 가공하기 쉽고, 열과 전기를 잘 전달하지 않으며, 음의 울림을 부드럽게 하는 특성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이와같은 기타용 픽업 장치(1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타(1)의 바디(10)의 상판(12)에 볼트(116)를 이용하여 케이스(110) 측면의 볼트관통홀(114)에 관통시켜 체결하게 된다.Such
이때, 상기 보빈(130)의 철심고정홀(132)에 지지되는 철심(150)은 사각바 형상이므로 기타(1)의 바디(12)와 헤드(30)에 고정되는 6가닥의 현(40a,40b,40c,40d,40e,40f)의 각각의 위치를 정확히 조정할 필요없이 제1 현(40a) 및 제6 현(40f)의 위치만 어느정도 조정한 후 볼트(116)로 바디(10)의 상판(12)에 고정하게 되면 제2 내지 제5 현(40b,40c,40d,40e)은 그 위치를 조정할 필요도 없게 된다. 왜냐하면 사각바 형상이므로 현(40a,40b,40c,40d,40e,40f)이 어느 곳에 위치 하더라도 철심(150)에 의해 흡음(吸音)이 가능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since the
상기 기타용 픽업 장치(100)가 볼트(116)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기타(1)는 6현(40a,40b,40c,40d,40e,40f)을 가지는 일반적인 형태의 전기기타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4현을 가지는 베이스기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The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기타용 픽업 장치의 제조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ickup apparatus for guit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먼저, 케이스(110)를 제조하기 위해 천연목재인 원목을 일정 크기로 재단하 고, 그 중앙부를 가공하여 수용부(112)를 형성하고, 양측 벽면(118)에 각각 다수의 볼트관통홀(114)을 가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수용부(112) 벽면 및 케이스(110)의 외부면은 그 표면이 거칠기 때문에 사포 등을 이용하여 그 표면을 고르게 면가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면가공한 상태에서 투명 아크릴 도료를 이용하여 도장처리를 한 후 건조시키게 되면 케이스(110)가 완성된다.(s_100) First, in order to manufacture the
한편, 완성된 케이스(110)의 수용부(112)에 안착되는 픽업 본체(120)는 먼저 중앙부에 가로 방향의 사각 형상의 철심고정홀(132)이 중앙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보빈(130)의 외주면에 코일(134)을 일방향으로 권취시켜 다층을 형성하게 된다.(s_110) On the other hand, the
이때, 상기 코일(134)은 다층을 형성시에 인접하는 코일(134')과의 사이의 공극으로 인해 기타(1) 현(40a,40b,40c,40d,40e,40f)의 진동시에 흡음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르게 흡음이 가능하도록 상기 코일(134)이 권취된 상태의 보빈(130)을 액체상태로 가열된 상태의 파라핀에 담그고 진공(眞空)상태를 유지하여 수축시킨 후 건조시켜 파라핀층(136)을 형성하여 공극을 제거하게 된다.(s_120) At this time, the
상기 건조된 상태의 보빈(130)의 코일(134) 외주면에는 외부와의 절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절연테이프(140)를 수회 반복하여 감아주게 된다.(s_130) The insulating
그리고, 절연테이프(140)가 감겨진 상태의 보빈(130)의 하부면(130a)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영구자석(160)을 부착시킨다. 한편, 상기 픽업 본체(120)는 그 측면에 나란하게 하나 이상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s_140) The
다음으로 상기 절연테이프(140)가 감겨진 상태의 보빈(130) 및 영구자석(160)의 외부면에는 외부의 고주파가 유입될 경우 그 간섭(RFI)을 차단하도록 구리 테이프(170)를 부착시킨다.(s_150) Next, a
이와같이 구리테이프(170)이 감겨진 상태의 픽업 본체(120)는 상기 단계(s_100)에서 제조된 케이스(110)의 수용부(112)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별다른 지지구(미도시됨)없이 픽업 본체(120)를 수용부(111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이를 일체로 고정시키기 위해 검정색 염료가 가미된 액체 상태로 가열시킨 에폭시를 충진시킨 후 서서히 냉각시켜 애폭시층(180)을 형성하게 된다.(s_160) In this way, the
그리고, 볼트(116)를 상술한 과정에 의해 완성되는 픽업 본체(120)의 케이스(110) 양 측면에 구비되는 볼트관통홀(114)에 삽입한 후 기타(1)의 바디(10) 상판(12)에 고정시키게 된다.(s_170) Then, th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픽업 장치(100)는 모든 부품이 일체로 형성되어 견고하고, 기타(1) 현(40a,40b,40c,40d,40e,40f)의 진동으로 인한 원음 그대로를 흡음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노이즈의 발생없이 연주음을 그대로 앰프(미도시됨)로 출력시켜 주게 된다.Therefore, the pick-up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따르면, 픽업 본체(120)의 철심(150)의 위치를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픽업 본체(120)가 고정되는 케이스(110)의 외부면(110a)의 현(40a,40b,40c,40d,40e,40f)이 지나는 위치에 위치확인용 홈(110b)을 현(40a,40b,40c,40d,40e,40f)의 수만큼 형성하여 픽업 장치(100)를 고정시에 흡음용 철심(1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더라 도 이를 확인하고 정확히 고정할 수 있다. Meanwhile, FIG. 9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case, the
아울러, 상기 케이스(110)의 양측면에는 중앙에 볼트관통홀(119a)이 형성되는 천연목재로 제조되는 고정구(119)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여 기타(1)의 바디(10) 상판(12)에 체결하도록 하여 기타(1) 현(40a,40b,40c,40d,40e,40f)의 손상없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이상과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rang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타용 픽업 장치의 케이스를 천연목재로 제조하여 기타의 현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원을 노이즈의 발생없이 원음 그대로 앰프를 통해 출력시켜 주고, 픽업 본체의 외주면에 구리 테이프를 감싸게 되어 기타 이외의 주변의 고주파가 유입되더라도 이를 차단하여 주어 기타의 음원이 왜곡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of the pickup device for guitar is made of natural wood, and the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guitar string is output through the amplifier as it is without the generation of noise, and the pickup The copper tape is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to block even the high frequency of the surroundings, even if the high frequency is introduced, so that the sound source of the guitar is not distorted.
또한, 케이스의 수용부에 안착되는 픽업 본체의 흡음용 철심을 가로 방향으로 사각바 형상으로 구비하여 기타 현의 모든 위치를 일일히 조율할 필요없이 간단히 위치설정 및 고정할 수 있어 작업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픽업 본체를 케이스의 수용부에 안착 및 고정시 액체상태로 가열한 에폭시를 이용하여 빈 공간 없이 일체로 결합시켜주어 외부의 충격이나, 다른 노이즈의 유입을 원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ound-absorbing iron core of the pickup body seated in the housing of the case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ba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simply set and fix all the positions of the other strings without having to manually adjust all the positions of the strings,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It can be expected, and when the pick-up body is seated and fixed to the housing of the case, the epoxy is heated in a liquid state to be integrally combined without empty space, thereby preventing external shock or other noise from being introduced.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5971A KR100635917B1 (en) | 2004-07-19 | 2004-07-19 | Pickup apparatus for o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55971A KR100635917B1 (en) | 2004-07-19 | 2004-07-19 | Pickup apparatus for o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7202A KR20060007202A (en) | 2006-01-24 |
KR100635917B1 true KR100635917B1 (en) | 2006-10-18 |
Family
ID=3711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55971A KR100635917B1 (en) | 2004-07-19 | 2004-07-19 | Pickup apparatus for o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591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72336A1 (en) * | 2022-09-27 | 2024-04-04 | Ates Cemal | A magnetic sound receiver for instruments |
-
2004
- 2004-07-19 KR KR1020040055971A patent/KR100635917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07202A (en) | 2006-0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27076B2 (en) | Advanced magnetic circuit to improve both the solenoidal and magnetic functions of string instrument pickups with co-linear coil assemblies | |
US5292999A (en) |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device for sustaining the vibration of the string | |
US5811710A (en) |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
US8853517B1 (en) | Musical instrument pickup incorporating engineered ferromagnetic materials | |
US4878412A (en) | Electromagnetic pickup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ferromagnetic strings and method | |
US5908998A (en) | High inductance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
US9601100B1 (en) | Magnetic pickup with external tone shaper | |
US8969701B1 (en) | Musical instrument pickup with field modifier | |
US10115383B2 (en) | Humbucking pickup and method of providing permanent magnet extending through opposing coils parallel to string orientation | |
US5290968A (en) | Magnet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 |
JP2005208659A (en) | Hum canceling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tonal characteristic of single coil pickup | |
US5376754A (en) | Pickup apparatus, having a winding with an adjacent closed circuit,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
US11308929B2 (en) | Stringed instrument pickup and feedback system | |
US8344236B2 (en) | Polyphonic guitar pickup | |
KR0146747B1 (en) | Natural resonance speaker | |
US9877110B2 (en) | Ribbon support system for electrodynamic microphone | |
JP2004519732A (en) | Pickups for electric guitars and how to convert guitar string vibrations | |
US4050341A (en) |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
KR100635917B1 (en) | Pickup apparatus for oth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7259318B2 (en) | Magnetic pickup device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large free shape low impedance coil for noise cancelation | |
JP2005353989A (en) | Complex inductor | |
KR100461004B1 (en) | Noise reduction device of pick-up for electric guitar | |
JPH05166566A (en) | Cable for electronic and electric equipment | |
JP2005260901A (en) | Acoustic apparatus reducing sound quality deterioration caused by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from inside of acoustic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200236341Y1 (en) | Noise reduction device of pick-up for electric guit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3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5011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