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934B1 - Washer dryer - Google Patents
Washer dr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4934B1 KR100634934B1 KR1020050078071A KR20050078071A KR100634934B1 KR 100634934 B1 KR100634934 B1 KR 100634934B1 KR 1020050078071 A KR1020050078071 A KR 1020050078071A KR 20050078071 A KR20050078071 A KR 20050078071A KR 100634934 B1 KR100634934 B1 KR 1006349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water tank
- tank
- outer box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외부 상자(1) 내에는 수조(3)가 배치되고, 수조(3)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4)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드럼(4) 내의 세탁물의 건조는 건조 시스템(6)으로 행한다. 건조 시스템(6)의 시즈 히터(38)는 수조(3)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In the outer box 1, the water tank 3 is arrange | positioned, and in the water tank 3, the drum 4 which accommodates a laundry is arrange | positioned rotatably. Drying of the laundry in the drum 4 is performed by the drying system 6. The sheath heater 38 of the drying system 6 is provided below the surface containing the central axis of the water tank 3, and including the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is center axis.
외부 상자, 수조, 드럼, 시즈 히터, 건조 시스템, 송풍기, 블레이드 Outer box, countertop, drum, sheath heater, drying system, blower, blade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개략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drum type laundry dr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개략 단면도.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um laundry dryer.
도3은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수조의 개략 정면도.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water tank of the drum type laundry dry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외부 상자1: outer box
2 : 도어2: door
3 : 수조3: tank
4 : 드럼4: drum
7 : 댐퍼7: damper
12 : 전방 패널12: front panel
15 : 조작부15: control panel
18 : 수조 개구부18: tank opening
19 : 패킹19: Packing
20 : 급수 덕트20: water supply duct
23 : 배수 호스23: drain hose
24 : 배수 모터24: drainage motor
29 : 액체 밸런서29: liquid balancer
40 : 송풍구40: blower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42880호 공보[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0-342880
본 발명은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dryer.
종래, 세탁 건조기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42880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세탁 건조기는 외부 상자와, 이 외부 상자 내에 배치된 수조와, 이 수조 내에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OF RELATED ART Conventionally, what was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2000-342880 is mentioned as a laundry dryer. The laundry dryer includes an outer box, a water tank disposed in the outer box, and a drum disposed in the water tank to accommodate laundry.
상기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의 중앙부에는 세탁물을 출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부 상자의 개구부는 외부 상자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도어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An opening for entering and leaving the laundry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of the outer box. The opening of the outer box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rotatably attached to the outer box.
상기 드럼의 전방면부에는 외부 상자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의 전방면부는 수직면에 대해 5°내지 20°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An opening facing the opening of the outer box is provided in the front face of the drum. Further, the front face of the drum is inclined at an angle of 5 ° to 20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상기 구성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드럼의 전방면부가 수직면에 대해 5°내지 20°의 범위 내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므로, 드럼의 개구부가 기울기 상방을 향하여 드럼 내의 세탁물은 외부로부터 보기 쉽게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front face portion of the drum is inclined at an angle within a range of 5 ° to 20 °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plane, the laundry in the drum is easily seen from the outside with the opening of the drum facing upwardly inclined.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외부 상자의 전방면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개구부를 통해 세탁물의 출입을 행하므로, 사용자는 크게 굽히지 않으면 세탁물을 출입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세탁 건조에서는 사용자는 세탁물의 출입을 간단히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laundry dryer, since the laundry is made to go in and out through the opening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face of the outer box, the user cannot enter or leave the laundry unless it is greatly bent.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laundry dry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easily enter and leave the laundry.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가 세탁물의 출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dryer in which a user can easily carry out laundr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aundry dryer of the first invention is
외부 상자와, With outer box,
상기 외부 상자 내에 배치된 수조와, A tank disposed in the outer box,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A drum rotatably disposed in the tank to accommodate laundry;
상기 드럼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이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 내로 취출함으로써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시스템을 구비하고, And a drying system for drying the laundry in the drum by dehumidifying and heating the air sucked from the drum to blow out the dehumidified and heated air into the drum,
상기 건조 시스템은 상기 드럼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를 갖고,The drying system has an electric heater for heating the air sucked in from the drum,
상기 전기 히터는 상기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said electric heater is provided below the surface containing the center axis of the said tank, and including the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e said center axis.
여기서, 상기 전기 히터는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과 직 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또한 수조의 내측 또는 외측 또는 양쪽에 걸쳐서 설치되어도 좋다. Here, the electric heater may be provided below the surface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water tank and further including the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and over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or both.
상기 구성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전기 히터를 설치함으로써 수조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즉, 세탁물의 출입구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게 굽히지 않고 세탁물의 출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출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structure, the position of a water tank can be made high by providing an electric heater below the surface containing the center axis of the said tank, and including the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is center axis. That is, the height of the doorway of laundry can be made high. Therefore, the user can enter and leave the laundry without having to bend much,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laundry.
또한, 상기 수조의 후방부에 예를 들어 모터 등을 부착해도 전지 히터를 상기 면보다도 하측에 설치함으로써 수조의 중심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even if a motor or the like is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tank, for example, by installing the battery heater below the surface, the center of the tan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iased.
제2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The laundry dryer of the second invention,
외부 상자와,With outer box,
상기 외부 상자 내에 배치된 수조와, A tank disposed in the outer box,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과, A drum rotatably disposed in the tank to accommodate laundry;
상기 드럼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이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 내로 취출함으로써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시스템을 구비하고, And a drying system for drying the laundry in the drum by dehumidifying and heating the air sucked from the drum to blow out the dehumidified and heated air into the drum,
상기 건조 시스템은 상기 드럼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를 갖고,The drying system has an electric heater for heating the air sucked in from the drum,
상기 전기 히터는 상기 드럼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The electric he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below the drum.
여기서, 상기 전기 히터는 드럼의 하방에, 또한 수조의 내측 또는 외측 또는 양방에 걸쳐서 설치되어도 좋다. Here, the electric heater may be provided below the drum and over the inside, outside, or both sides of the water tank.
상기 구성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전기 히터를 드럼의 하방에 설치함으로써 수조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즉, 세탁물의 출입구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게 굽히지 않고서 세탁물 출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출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structure, the position of a water tank can be made high by providing the said electric heater below a drum. That is, the height of the doorway of laundry can be made high. Therefore, the user can enter and leave the laundry without having to bend much,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nter and exit the laundry.
또한, 상기 수조의 후방부에 예를 들어 모터 등을 부착해도 전기 히터를 드럼의 하방에 설치함으로써 수조의 무게 중심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even if a motor or the like is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tank, for example, by installing the electric heater under the dru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tank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iased.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전기 히터는 상기 수조 내의 세탁액에 침수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In the laundry dryer of one Embodiment, the said electric heater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which is immersed in the wash liquid in the said tank.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건조 공정에 있어서 전기 히터에 부착하는 실보무라지 등도 수조 내의 세탁액으로 씻어 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the silkwormwood etc. which adhere to an electric heater in a drying process can also be wash | cleaned with the wash liquid in a water tank.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수조와 상기 드럼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 내에 공급되는 온풍이 흐르는 송풍 경로를 구비한다. In the laundry dryer of one Embodiment, it is provided between the said water tank and the said drum, and is provided with the ai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rm air supplied in the said drum flows.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송풍 경로를 수조와 드럼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송풍 경로의 열을 수조 내에 효율적으로 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 경로의 방열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heat of a ventilation path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a tank by providing the said ventilation path between a water tank and a drum. Therefore, the heat radiation loss of the said blowing path can be reduced.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송풍 경로는 상기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In the washing dryer of one embodiment, the said ventilation path is provided below the surface containing the center axis of the said tank, and including the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e said center axis.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송풍 경로를 설치함으로써 수조의 위치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a position of a water tank can be made higher by providing a ventilation path below the surface containing the center axis of the said tank, and including the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is center axis.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건조 시스템은 상기 수조 내의 공기를 직접 흡입하는 송풍기를 갖는다. In a laundry dryer of one embodiment, the drying system has a blower that directly sucks air in the water tank.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송풍기는 수조 내의 공기를 직접 흡입하므로, 송풍기와 수조를 접속하는 예를 들어 덕트가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상기 세탁 건조기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세탁 건조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since the said blower directly inhales the air in a water tank, the duct which connects a blower and a water tank is unnecessary, for example.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laundry dryer can be reduced, and the laundry dryer can be downsized.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송풍기는 상기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In the laundry dryer of one Embodiment, the said blower is provided below the surface containing the center axis of the said tank, and including the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e said center axis.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송풍기를 설치함으로써 수조의 위치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a position of a water tank can be made higher by providing a blower below the surface containing the center axis of the said tank, and including the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is center axis.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건조 시스템은 상기 수조 내의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용 열교환기를 갖고, 상기 제습용 열교환기는 상기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수조 내의 세탁액에 침수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In a laundry dryer of one embodiment, the drying system has a de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for dehumidifying air in the water tank, and the de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includes a central axis of the water tank, and a surface including a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e central axis. It is provided in the lower side, an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area | region which is immersed in the wash liquid in the said tank.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수조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제습용 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수조의 위치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a position of a water tank can be made higher by providing a dehumidification heat exchanger below the surface which includes the center axis of the said tank, and includes the horizontal axis orthogonal to this center axis.
또한, 상기 수조 내의 세탁액에 침수되는 영역에 제습용 열교환기를 배치함으로써, 제습용 열교환기에 부착한 실보무라지 등을 수조 내의 세탁액으로 씻어 낼 수 있다.Further, by arranging the dehumidifying heat exchanger in an area immersed in the washing liquid in the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wash the silbomura and the like attached to the dehumidifying heat exchanger with the washing liquid in the water tank.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건조 시스템은 상기 수조와 상기 드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 경로를 구성하는 히터 케이스를 갖고, 상기 히터 케이스는 상기 히터 케이스와 상기 수조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기 히터를 수용한다. In the washing dryer of one embodiment, the said drying system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said tank and the said drum, and has a heater case which comprises the said ventilation path, and the said heater case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a clearance may exist between the said heater case and the said tank. And receive the electric heater.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히터 케이스를 수조와 드럼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히터 케이스의 열은 수조 및 드럼을 거쳐서 외부 상자의 상부에 전해진다. 따라서, 상기 외부 상자의 상부가 히터 케이스의 열로 뜨거워지지 않으므로, 외부 상자의 상부와 히터 케이스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그 결과, 상기 세탁 건조기의 제조 비용을 상기 단열재만큼 삭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by installing the said heater case between a water tank and a drum, the heat of a heater case is transmitted to the upper part of an outer box via a water tank and a drum. Therefore,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box is not heated by the heat of the heater cas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heat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box and the heater case.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laundry dryer can be reduced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상기 히터 케이스가 송풍 경로를 구성하므로, 즉 히터 케이스가 송풍 경로를 겸하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eater case constitutes a blowing path, that is, the heater case also serves as a blowing path,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히터 케이스와 수조 사이에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히터 케이스의 열로 수조가 과도하게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조의 재료의 내열 그레이드 다운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gap between the heater case and the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tank from becoming excessively hot due to the heat of the heater case. As a result, since heat-resistant grade-down of the material of the said tank can be performe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히터 케이스 내의 공간과 상기 수조 내의 공간을 연통시키는 물 빠짐 구멍이 상기 히터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다. In the laundry dryer of one Embodiment, the water draining hole which connects the space in the said heater case and the space in the said water tank is provided in the said heater case.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물 빠짐 구멍을 히터 케이스에 설치함으로써 히터 케이스 내의 남은 물을 수조 내에 배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the remaining water in a heater case can be drained in a water tank by providing the said water draining hole in a heater case.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외부 상자에는 외부 상자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에는 상기 외부 상자 개구부에 대향하는 수조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드럼에는 상기 수조 개구부에 대향하는 드럼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드럼에는 상기 수조 개구부에 대향하는 드럼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 개구부의 중심에는 상기 드럼 개구부의 중심에 대해 상기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하고 있다.In the laundry dryer of one embodiment, the outer box is provided with an outer box opening, the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opening facing the outer box opening, the drum is provided with a drum opening opposite the water tank opening, The drum is provided with a drum opening facing the tank opening, and the center of the tank opening is eccentric to the ceiling surface side of the outer box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rum opening.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수조 개구부의 중심을 드럼 개구부의 중심에 대해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시킴으로써, 외부 상자 개구부의 위치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물의 출입을 보다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the position of an outer box opening can be made higher by eccentrically the center of the said tank opening part to the ceiling surface side of an outer box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a drum opening. Therefore, the user can more easily enter and exit the laundry.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수조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와 상기 드럼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 사이에 상기 드럼 내를 향해 상기 온풍을 취출하는 송풍구가 설치되어 있다. In the laundry dryer of one Embodiment, the air vent which blows out the said warm air toward the said drum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said tank opening part, and the lower edge of the said drum opening part.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송풍구를 수조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와 드럼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송풍구로부터 취출하는 온풍이 드럼 내의 하부에 있는 세탁물에 직접 닿는다. 그 결과, 상기 온풍이 세탁물에 효율적으로 닿으므로 세탁물이 단시간에 건조된다. 즉, 상기 세탁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the said air ven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dge of a water tank opening part, and the lower edge of a drum opening part, and the warm air blown out from a ventilation hole directly touches the laundry in the lower part of a drum. As a result, since the warm air efficiently touches the laundry, the laundry is dried in a short time. That is, the drying time of the laundry can be shortened.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송풍구에 상기 송풍 경로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가드가 부착되어 있다. In the laundry dryer of one Embodiment, the guard which prevents invasion of a foreign material into the said ventilation path is attached to the said ventilation opening.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가드를 송풍구에 부착함으로써 이물질이 송풍 경로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by attaching the said guard to a tuyere, a foreign material can prevent it from invading into a ventilation path.
일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상기 전기 히터로 상기 수조 내의 세탁액을 가열한다. In the laundry dryer of one embodiment, the washing liquid in the water tank is heated by the electric heater.
상기 실시 형태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상기 전기 히터로 수조 내의 액체를 가열함으로써 전기 히터가 온풍의 생성과 온수의 생성을 겸용하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embodiment, since an electric heater combines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hot air and production | generation of hot water by heating the liquid in a water tank with the said electric heater,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를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which shows the laundry drye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도1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기울기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도를 도시한다. Fig. 1 shows a schematic view of the drum type laundry dr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clination.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외부 상자 개방부(11)를 갖는 외부 상자(1)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상자(1)의 전방면부의 대부분은 전방 패널(12)로 이루어지고, 외부 상자(1)의 바닥부는 바닥대(13)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상자 개구부(11)는 외부 상자(1)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도어(2)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 상자(1)의 상부에는 세제, 표백제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세제 케이스(14)와, 조작 키나 표시부를 갖는 조작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부(15)의 이면측[외부 상자(1)의 내부측]에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17)(도2 참조)를 배치하고 있다. The drum laundry dryer is provided with an
도2에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2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um laundry dryer.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외부 상자(1) 내에 배치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수조(3)와, 이 수조(3)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드럼(4)과, 수조(3)의 후방부에 부착되고 드럼(4)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5)와,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시스템(6)과, 수조(3)의 후방부를 탄성 지지하는 2개의 댐퍼(7)를 구비하고 있다. The drum type laundry dryer includes a bottomed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의 후방부에는 그 천정면의 전방부보다도 낮은 단차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차부(16)의 수평면(16a)에는 수조(3)에 수돗물을 급수하기 위한 수돗물 급수구(41)와, 수조(3)에 목욕물을 급수하기 위한 목욕물 급수구(42)가 설치되어 있다. 수돗물 급수구(41)로부터 세제 케이스(14)까지의 급수로는 급수 밸브(43)를 갖는다. 한편, 목욕물 급수구(42)로부터 세제 케이스(14)까지의 급수로는 목욕물 펌프(44)를 갖고 있다. In the rear part of the ceiling surface of the
수조(3)는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내려가도록 중심축(L1)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중심축(L1)은 드럼(4)의 회전축에 수직인 면에서 수조(3)를 자른 단면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 위치(P1)를 통과하고 있다(도3 참조). 또한, 중심축(L1)은 드럼(4)의 회전축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는 드럼(4) 내에 공급되는 온풍이 흐르는 송풍 덕트(3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수조(3)의 전방면부에는 수조 개구부(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조 개구부(18)의 모서리에는 고무나 연질 수지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패킹(19)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어(2)를 폐쇄하면 도어(2)가 패킹(19)에 밀착하므로, 수조(3) 내의 액체가 수조(3)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조(3)는 수조 개구부(18)가 외부 상자 개구부(11)에 대향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3)의 중심축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5°내지 30°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져 있다. 수조(3)의 상부에는 수조(3) 내에 물이나 세탁액 등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 덕트(20)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수조(3)의 하부에는 수조(3) 내의 물이나 세탁액 등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 덕트(2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배수 덕트(21)는 필터(22)를 거쳐서 배수 호스(23)에 접속되어 있다. 이 필터(22)는 수조(3) 내로부터 흘러나온 액체 중의 실보무라지을 제거한다. 또한, 배수 호스(23)는 배수 모터(24)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 밸브(25)에 접속하고 있다. In the
송풍 덕트(39)의 전방 패널(12)측 단부는 수조 개구부(18)의 하부 모서리와 드럼 개구부(26)의 하부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는 송풍구(40)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송풍 덕트(39)는 수조(3) 사이에 간극을 갖고 있다.The
드럼(4)은 그 회전축과 동일한 축이 되는 중심축(L2)이 수조(3)의 중심축(L1)에 대해 외부 상자(1)의 천정면측으로 편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드럼(4)의 중심축(L2)은 수조(3)의 중심축(L1)보다도 수조(4)의 상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드럼(4)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수직면 내에 있어서, 드럼(4)의 하부와 수조(3)의 하부 사이의 거리는 드럼(4)의 상부와 수조(3)의 상부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결국, 드럼(4)은 수조(4)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배치 되어 있다. 또한, 드럼(4)의 회전축은 수평 방향에 대해 5°내지 3O°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고, 드럼(4)은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내려가 있다. 드럼(4)의 전방면부에는 외부 상자 개구부(11) 및 수조 개구부(18)에 대향하는 드럼 개구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드럼 개구부(26)는 수조 개구부(18)보다도 큰 직경을 갖고 있다. 또한, 드럼(4)의 주위벽 전체 영역에는 복수의 작은 구멍(2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작은 구멍(27)은 수조(3)와 드럼(4) 사이의 공간과, 드럼(4) 내의 공간 사이에서 세탁물이나 건조 공기 등을 유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4)의 내벽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배플(28)을 설치하고 있다. 이 배플(28)은 주위 방향에 예를 들어 120°간격으로 3군데 배치되어 있다. 배플(28)은 드럼(4)의 회전에 수반하여 세탁물의 들어 올림과 낙하를 반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드럼(4)의 드럼 개구부(26)를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는 액체 밸런서(29)를 설치하고, 드럼(4)의 회전시에 세탁물 및 세탁액 등의 기울기에 의해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액체 밸런서(29)의 내부에 있어서의 봉입 액체의 이동에 의해 저감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드럼(4)의 중심축(L2)은 드럼(4)의 회전축에 수직인 면에서 드럼(4)을 자른 단면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 위치(P2)를 통과하고 있다(도3 참조). The
댐퍼(7)는 수조(3)측과는 반대측 단부가 댐퍼 지지 부재(8)의 댐퍼 부착면(30)에 부착되어 있다. The
또, 도2의 G는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설치하는 설치면이다. 2G is an installation surface for installing a drum type laundry dryer.
도3에 수조(3)의 개략 정면도를 도시한다. 3 show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수조 개구부(18)의 중심(C1)은 드럼 개구부(26)의 중심(C2)보다도 외부 상자 (1)의 천정면측에 있다. 즉, 수조 개구부(18)는 드럼 개구부(26)에 대해 외부 상자(1)의 천정면측으로 편심하고 있다. The center C1 of the
건조 시스템(6)은 도2,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3)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건조 시스템(6)은 외부 상자(1) 내의 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건조 시스템(6)은 송풍기(31), 가열 장치(32), 제습용 열교환기(33) 및 송풍 덕트(39)를 갖고 있다. The
송풍기(31)는 수조(3)의 후방면 하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송풍기(31)는 팬 케이스(34)와, 팬 케이스(34) 내에 수용된 블레이드(35)와, 블레이드(35)를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36)로 구성되어 있어, 수조(3) 내의 공기를 팬 케이스(34) 내로 직접 흡입한다. 팬 모터(36)는 블레이드(35)와 직결하여 다이렉트 드라이브 구조에 의해 블레이드(35)를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팬 케이스(34)는 수조(3)와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팬 케이스(34) 내의 공간은 수조(3) 내의 공간과 연통하고 있는 동시에, 히터 케이스(37) 및 송풍 덕트(39) 내의 공간과도 연통하고 있다. The
가열 장치(32)는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장치(32)는 수조(3)의 내주면과 드럼(4)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수조(3) 내의 세탁액에 침수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가열 장치(32)는 히터 케이스(37)와, 히터 케이스(37)에 대부분이 수용된 시즈 히터(38)로 구성되어 있다. 히터 케이스(37)는 금속으로 된 본체와, 그 본체를 고정하는 내열 수지로 된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송풍 덕트(39)에 연결되어 있다. 시즈 히터(38)는 수조(3) 내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동시에, 수조(3) 내의 세탁액에 침수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조(3) 내의 물도 가열할 수 있다. 히터 케이스(37)와 송풍 덕트(39)가 송풍 통로의 일예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시즈 히터(38)는 전기 히터의 일예이다. The
제습용 열교환기(33)는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습용 열교환기(33)는 수조(3)의 내주면과 드럼(4)의 외주면 사이의 세탁액에 침수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The
상기 구성의 건조 시스템(6)이 가동하면, 도2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가 수조(3) 내를 순환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건조 시스템(6)이 가동하면 송풍기(31)의 블레이드(35)가 회전하고, 시즈 히터(38)에서 생성된 온풍이 송풍구(40)로부터 드럼(4) 내의 공간의 하부를 향해 취출한다. 이에 의해, 드럼(4) 내의 세탁물의 수분이 증발한다. 그 수분을 포함한 공기, 즉 습윤 공기는 작은 구멍(27)으로부터 드럼(4) 밖으로 나오고,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 있는 제습용 열교환기(33)에서 냉각된다. 이에 의해, 습윤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이 응축한다. 즉, 상기 습윤 공기가 제습용 열교환기(33)에 의해 제습되어 건조 공기가 된다. 이 건조 공기는 송풍기(31)에 의해 히터 케이스(37) 내로 이송되어 시즈 히터(38)로 다시 가열된 후, 송풍구(40)로부터 드럼(4) 내측으로 취출한다. 즉, 시즈 히터(38)에서 생성된 온풍이 송풍구(40)로부터 드럼(4) 내의 공간측으로 취출한다. When the
상기 구성의 세탁 건조기에 따르면, 수조(3)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시즈 히터(38)를 포함하는 건조 시스템(6)의 전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수조(3)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의 출입구가 되는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크게 굽히지 않고 세탁물의 출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출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said structure, the whole of the
또한, 수조(3)의 후방부에 모터(5)를 부착하고 있지만, 시즈 히터(38)를 포함하는 건조 시스템(6)을 상기면보다도 하측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수조(3)의 무게 중심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oreover, although the
또한, 수조(3)의 후방부가 수조(3)의 전방부보다 내려가도록 수조(3)의 중심축이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수조(3)의 후방면 하부와 외부 상자(1)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공간을 이용하여 수조(3)의 후방면 하부에 송풍기(31)를 부착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central axis of the
또한, 가열 장치(32)는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열 장치(32)의 열은 수조(3) 및 드럼(4)을 거쳐서 외부 상자(1)의 상부에 전해진다. 따라서, 외부 상자(1)의 상부가 가열 장치(32)의 열로 뜨거워지지 않으므로, 운전중에 닿아도 안전하다. 또한, 외부 상자(1)의 상부와 가열 장치(32)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제조 비용을 단열재만큼 삭감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또한, 히터 케이스(37)와 수조(3) 사이에 간극이 있으므로 히터 케이스(37)의 열로 수조(3)가 과도하게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gap between the
또한, 히터 케이스(37)의 프레임을 내열성 수지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안전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frame of the
또한, 히터 케이스(37)의 프레임을 내열성 수지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수조(3)의 재료에 난연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frame of the
또한, 송풍기(31)는 수조(3) 내의 공기를 팬 케이스(34) 내에 직접 흡입하므로, 송풍기(31)와 수조(3)를 접속하는 덕트가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방열 손실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드럼식 세탁 건조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또한, 제습용 열교환기(33)가 수조(3) 내의 세탁액에 침수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습용 열교환기(33)에 부착한 실보무라지 등을 수조(3) 내의 세탁액으로 씻어 낼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또한, 팬 케이스(34) 내의 공간과 수조(3) 내의 공간이 연통하고 있는지 등, 팬 케이스(34)의 내벽이나 블레이드(35)에 부착한 실보무라지 등도 수조(3) 내의 세탁액으로 씻어 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wall of the
또한, 수조 개구부(18)가 드럼 개구부(26)에 대해 외부 상자의 천정면측으로 편심하고 있으므로, 외부 상자 개구부(11)의 위치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물의 출입을 보다 간단히 행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water
또한, 송풍구(40)가 수조 개구부(18)의 하부 모서리와 드럼 개구부(26)의 하부 모서리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송풍구(40)로부터 취출된 온풍은 드럼(4) 내 의 하부에 있는 세탁물에 직접 닿는다. 그 결과, 상기 온풍이 세탁물에 효율적으로 닿으므로 세탁물이 단시간에 건조한다. 즉, 세탁물의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시즈 히터(38)가 온풍의 생성과 온수의 생성에 겸용되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조(3)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건조 시스템(6)의 전부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수조(3)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면보다도 하측에 건조 시스템(6)의 일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수조(3)의 중심축을 포함하고, 또한 이 중심축과 직교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면보다도 상측에 송풍기(31)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면보다도 하측에 가열 장치(32) 및 제습용 열교환기(33)를 설치해도 좋다.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 배치하였지만,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 내의 공간의 상부 또는 측부에 배치해도 좋다. 결국, 히터 케이스(37)는 수조(37) 내의 공간이면 어디에 배치해도 좋다. 히터 케이스(37)는 수조(37) 내의 공간에 배치하면, 히터 케이스(37)의 방열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 내의 공간의 하부에 배치하였지만,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 밖의 공간에 배치해도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 밖의 공간이며 수조(3)의 하부 측방 또는 하부 하방에 배치해도 된다.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드럼(4)의 회전축을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하고 있었지만, 드럼(4)의 회전축을 수평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해도 좋다. 즉, 상기 드럼(4)을 수평 드럼으로 해도 좋다.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rotating shaft of the
또한, 히터 케이스(37) 내의 공간과 수조(3) 내의 공간을 연통시키는 물 빠짐 구멍을 히터 케이스(37)에 마련해도 좋다. 상기 물 빠짐 구멍을 히터 케이스(37)에 설치한 경우, 히터 케이스(37) 내의 남은 물을 수조(3) 내에 배수할 수 있다.Moreover, you may provide the
또한, 송풍구(40)에 예를 들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가드를 붙여도 좋다. 그 가드를 송풍구(40)에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이 송풍 덕트(39)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you may attach the guard which consists of resin etc. which were formed in the grid | lattice form, for example to the
또한,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의 내주면에 직접 부착해도 좋다. 히터 케이스(37)를 수조(3)의 내주면에 직접 부착하도록 한 경우,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you may attach the
또한, 히터 케이스(37)는 수조(3)의 전방면측으로부터 송풍 덕트(39) 내로 삽입해도 좋다. 히터 케이스(37)는 수조(3)의 전방면측으로부터 송풍 덕트(39) 내로 삽입하도록 한 경우, 전방 패널(12)을 개방하면, 히터 케이스(37)의 보수 및 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히터 케이스(37)는 수조(3)의 후방면측으로부터 송풍 덕트(39) 내에 삽입해도 좋다. 히터 케이스(37)는 수조(3)의 후방면측으로부터 송풍 덕트(39) 내에 삽입하도록 한 경우, 히터 케이스(37)를 송풍 덕트(39) 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건조 시스템(6) 중 적어도 일부를 드럼(4)의 하방에 설치해도 좋다. 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16)의 수평면(16a)에 수돗물 급수구(41) 및 목욕물 급수구(42)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단차부(16)의 수직면(16b)에 수돗물 급수구(41) 및 목욕물 급수구(42) 중 적어도 한쪽을 설치해도 좋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ap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16)의 수평면(16a)과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의 전방부를 수직면(16b)에서 접속하였지만, 단차부(16)의 수평면(16a)과 외부 상자(1)의 천정면의 전방부를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하는 경사면에서 접속해도 좋다. 즉, 단차부(16)의 수직면(16b) 대신에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용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horizontal surface 16a of the steppe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16)의 수직면(16b)의 하단부에 단차부(16)의 수평면(16a)을 접속하였지만, 단차부(16)의 수직면(16b)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접속해도 좋다. 즉, 단차부(16)의 수평면(16a) 대신에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이용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horizontal surface 16a of the steppe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히터 케이스(37)와 송풍 덕트(39)로 송풍 경로의 일예를 구성하였지만, 히터 케이스(37)만으로 송풍 경로의 일예를 구성해도 좋다. 히터 케이스(37)만으로 송풍 경로의 일예를 구성하는 경우, 수조 개구부(18)의 하부 모서리와 드럼 개구부(26)의 하부 모서리 사이에 히터 케이스(37)의 전방 패널(12)측 단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히터 케이스(37)의 전방 패널(12)측 단부에 드럼(4) 내측으로 온풍을 취출하는 송풍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example of the ventilation path was comprised by the
본 발명은 사용자가 크게 굽히지 않고 세탁물의 출입을 행할 수 있어 세탁물의 출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undry dryer in which the user can access the laundry without large bending and can easily access the laundry.
Claims (1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246610 | 2004-08-26 | ||
JP2004246610 | 2004-08-26 | ||
JP2005139860A JP4020921B2 (en) | 2004-08-26 | 2005-05-12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JPJP-P-2005-00139860 | 2005-05-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0627A KR20060050627A (en) | 2006-05-19 |
KR100634934B1 true KR100634934B1 (en) | 2006-10-17 |
Family
ID=3622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8071A KR100634934B1 (en) | 2004-08-26 | 2005-08-25 | Washer dry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020921B2 (en) |
KR (1) | KR100634934B1 (en) |
IT (1) | ITMI20051597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57716A (en) * | 2006-12-20 | 2008-06-25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Gas heater and dryer having same |
-
2005
- 2005-05-12 JP JP2005139860A patent/JP402092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8-25 KR KR1020050078071A patent/KR10063493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8-26 IT IT001597A patent/ITMI20051597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6087905A (en) | 2006-04-06 |
ITMI20051597A1 (en) | 2006-02-27 |
JP4020921B2 (en) | 2007-12-12 |
KR20060050627A (en) | 2006-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94595B1 (en) | Washer-dryer | |
JP2006212413A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JP5897390B2 (en)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KR20070093826A (en) | Drum Washing Machine | |
US20080209954A1 (en) | Washer Dryer | |
JP2006239142A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JP5107412B2 (en)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KR20060026193A (en) | washer | |
KR100634934B1 (en) | Washer dryer | |
JP5438648B2 (en) | Drum washing machine | |
JP4750066B2 (en)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JP2009232973A (en) | Drum type washing/drying machine | |
KR20070078104A (en) | Drum Washing Machine | |
JP2007098185A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JP3970294B2 (en) | Drum drying washing machine | |
JP5480769B2 (en)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JP2014018228A (en) | Washing machine | |
JP5618361B2 (en)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JP2006262969A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JP2006061352A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JP4568660B2 (en)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JP5548089B2 (en)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
JP2023113196A (en) | washing machine | |
JP2009090145A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CN118215758A (en) | Drum washing and dry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