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4567B1 -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567B1
KR100634567B1 KR1020050017644A KR20050017644A KR100634567B1 KR 100634567 B1 KR100634567 B1 KR 100634567B1 KR 1020050017644 A KR1020050017644 A KR 1020050017644A KR 20050017644 A KR20050017644 A KR 20050017644A KR 100634567 B1 KR100634567 B1 KR 10063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uniqu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number
mobile termin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510A (ko
Inventor
민경철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56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은 개인의 고유 인식번호가 내장되어 있으며, 특정 주파수 신호의 유효거리 내에 진입되면 고유 인식번호가 무선으로 판독되는 RFID 태그와,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방출하는 이동 단말기 및 무선으로 판독된 고유 인식 번호 및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신호 각각을 인증정보로 인식하여 인증 처리하며, 인증 결과에 상응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도어 개폐시 편의성과 안정성이 증진된다.
도어, 도어락, RFID, 적외선, 이동 단말기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System for controlling opening/locking of door using mobile terminal and recording-medium storing controll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바깥에서 바라본 도어 락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RFID 태그
30 : 이동 단말기
50 : 도어락 장치
51 : RFID 판독부
52 : 적외선 수신부
53 : 저장부
54 : 제어부
55 : 잠금부
56 : 스피커
본 발명은 도어 개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키(key)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시스템은 해당 키 없이 도어를 개폐하기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복잡하고 견고하게 설계되고 있 다. 또한, 이러한 도어 개폐 시스템의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를 위한 키의 구조 역시 매우 복잡하게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키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시스템은 해당 키를 복제하기가 용이하여 보안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키 조작에 의한 도어 개폐 장치를 복수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각각의 도어 개폐 장치들(예를 들어, 일반 출입문, 자동차, 책상 등) 각각에 대응되는 키들을 모두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키를 관리함에도 많은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근래에는 도어의 개폐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개폐 방식에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 방식으로 기술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도어 개폐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일지라도 사용자는 별도의 스마트 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 및 관리 측면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사용 및 관리상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의 개폐 장치 및 방법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방법은 기지국을 통해서만 도어를 개폐할 수 있어서, 별도의 통화료를 부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을 실행한 후에 도어가 개폐되기 때문에 개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이동 단말기 및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은 한번의 인증절차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많이 뒤떨어지는 문제점 이 있었으며, 단말기 및 스마트 카드를 분실했을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도어 시스템 중 하나는 비밀번호를 눌러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버튼식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키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은 해소되었지만, 버튼이 도어의 외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고장의 위험성이 컸다. 또한, 비밀번호 누출에 따른 보안상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태그와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두 번의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보안성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도어의 외부에는 도어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고장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따르면,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의 고유 인식번호가 내장되어 있으며, 특정 주파수 신호의 유효거리 내에 진입되면 상기 고유 인식번호가 무선으로 판독되는 RFID 태그;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방출하는 이동 단말기; 및 무선으로 판독된 상기 고유 인식 번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신호 각각을 인증정보로 인식하여 인증 처리하며, 인증 결과에 상응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이동 단말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는 특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 신호의 유효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하는 RFID 판독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비밀번호를 인식하는 적외선 수신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증번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증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RFID 판독부로부터 수신된 고유 인식번호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제1 인증번호와 제2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인증여부를 수행하며, 상기 각 인증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잠금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고유 인식번호가 내장되어 있으며, 특정 주파수 신호의 유효거리 내에 진 입되면 상기 고유 인식번호가 무선으로 판독되는 RFID 태그;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조작에 상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는 적외선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적외선 신호를 외부로 방출하는 적외선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 인식번호 또는 적외선 신호를 인식한 도어락 장치에서 인증절차가 수행되어 그에 상응하여 도어의 개폐가 제어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측면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에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특정 주파수를 발생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의 유효거리 내에 위치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고유 인식번호를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여부를 수행하는 1차 인증단계; 상기 고유 인식번호가 인증된 경우 이동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비밀번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여부를 수행하는 2차 인증단계; 및 상기 2차 인증의 결과에 상응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측면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에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비밀번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여부를 수행하는 1차 인증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인증된 경우 특정 주파수를 발생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의 유효거리 내에 위치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고유 인식번호를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여부를 수행하는 2차 인증단계; 및 상기 2차 인증의 결과에 상응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체 시스템은 RFID 태그(10), 이동 단말기(30) 및 도어락 장치(50)를 포함한다.
RFID 태그(10)는 개인의 고유 인식번호가 내장되어 있으며, 특정 주파수의 유효거리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 당해 고유 인식번호가 도어락 장치에 의해 무선으 로 판독된다.
RFID 태그(10)는 통합카드 또는 이동 단말기(3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30)는 핸드폰, 개인 휴대 단말기(PDA) 등과 같이 도어락 장치(50)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아무런 제한이 없다. 또한, 통합카드는 이동통신사(KTF, SKT, LGT)에서 발급되는 마일리지카드,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일 수 있으며, 이것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통합된 카드일 수도 있다. 또한, 일반회사나 학교에서 사용되는 신분증일 수도 있다. 물론, RFID태그는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카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RFID 태그(10)는 해당 이동 단말기(30)의 이동통신사로부터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사에서 생성함으로써, 멤버쉽 카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30)내에 장착되도록 하여 도어락 장치(50)의 개폐에 따른 RFID 태그(10) 및 비밀번호 생성(이동 단말기(30)에 의해)을 위한 키(key)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사에서 RFID 태그(10)를 생성 및 관리함으로써 해당 RFID 태그(10)를 이동통신사 대리점 어디에서나 발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휴대폰을 분실하여 도어락 장치(50)를 개폐하지 못할 경우, 가까운 대리점으로부터 재발급받은 RFID 태그(10)를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5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에 의한 인증은 적외선 신호를 방출할 수 있는 어떠한 이동 단말기(30)로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대리점에서 휴대폰 분실에 따른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이동 단말기(30)는 도어락 장치(50)의 잠금 설정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30)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면 아무런 제한이 없다. 근거리 통신에는 RF통신,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등이 있으며, 현재 개발되었거나 이후 개발되는 모든 근거리 통신이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외선 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30)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방출할 수 있도록 적외선 포트를 구비해야 한다. 이동 단말기(30)에 내장된 적외선 포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비밀번호를 도어락 장치(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의 경우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입력된 비밀번호의 각 숫자에 상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적외선 포트를 통해 방출한다. 기존의 적외선 포트를 이용한 텔레비전의 리모콘 기능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어락 장치(50)는 RFID 태그를 판독하여 인증하고, 이동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비밀번호에 따른 인증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두 번의 인증결과에 상응하여 출입문을 개폐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 따르면, 도어락 장치(50)는 RFID 판독부(51), 적외선 수신부(52), 저장부(53), 제어부(54), 잠금부(55) 및 스피커(56)를 포함한다.
RFID 판독부(51)는 RFID 태그(10)의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하여 인식할 수 있는 장치로서, 특정 주파수를 발생하여 이 특정 주파수의 유효거리 내에 RFID 태그(10)가 들어오면, RFID 태그(10)에 저장된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하여 인식한다. RFID 판독부(51)는 약 1미터 내의 거리에 위치한 RFID 태그(10)만을 인식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불필요한 RFID 태그(10)의 판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50)가 복도식 아파트의 출입문에 구비될 경우, 복도를 통과하여 다른 집에 출입하는 사람의 RFID가 판독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적외선 수신부(52)는 이동 단말기(30)로부터 생성되어 방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된 적외선 신호는 그에 상응하는 비밀번호로 인식되어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적외선 신호를 비밀번호로서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은 적외선 수신부(52) 자체가 수행할 수 있으나, 제어부(54)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적외선 수신부(52)가 수행할 경우에는 적외선 수신부(52)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와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판독하는 신호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인식부는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각각의 번호 또는 다른 명령으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각 주파수에 상응하는 번호 및 명령에 상응하는 주파수 테이블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락 장치(50)는 이동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에 대해 비밀번호 또는 다른 제어 명령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저장부(53)는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 인식번호 및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된 고유 인식번호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RFID 판독부(51)에 의해 인식된 고유 인식번호의 인증 및 적외선 수신부(52)에 의해 인 식된 비밀번호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되는 고유 인식번호는 제1 인증번호, 비밀번호는 제2 인증번호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30)를 이용하여 비밀번호 등록 또는 갱신을 위한 제어 명령과 등록 또는 갱신하고자 하는 비밀번호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비밀번호 등록 또는 갱신이 가능하다. 또한, 도 2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어락 장치(50)는 하나 이상의 버튼(즉, 기능 버튼 및 숫자 버튼)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키 입력부를 이용한 비밀번호 등록 또는 갱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4)는 RFID 판독부(51)에 의해 인식된 고유 인식번호의 인증 및 적외선 수신부(52)에 의해 인식된 비밀번호의 인증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잠금부(55)의 잠금 설정 및 고유 인식번호, 비밀번호의 인증결과에 따른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잠금 해제에 대한 제어신호는 RFID 판독부(51)에 의해 인식된 고유 인식번호의 인증 및 적외선 수신부(52)에 의해 인식된 비밀번호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생성된다.
제어부(54)는 잠금 설정에 대한 제어신호에 의해 잠금 해제된 이후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3초)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잠금 설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RFID 판독부(51)에 의해 RFID 태그(10)의 고유 인식번호가 인식되어 인증되는 경우에 잠금 설정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30)에 의해서 생성되고 적외선 수신부(52)에 의해 인식된 잠금 신호에 의해 잠금 설정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잠금 신호는 이동 단말기(30)가 키패 드에 구비된 임의의 버튼 눌림에 의해 생성한 적외선 신호를 적외선 수신부(52)가 인식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잠금 설정 및 잠금 해제에 따른 처리 절차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잠금부(55)는 제어부(54)로부터 전달되는 잠금 설정 신호 또는 잠금 해제 신호에 상응하여 구동됨으로써, 도어의 잠금 상태 및 해제 상태를 설정한다.
스피커(56)는 판독된 RFID 태그(10)가 인증되지 않거나, 수신된 적외선 신호에 따른 비밀번호가 인증되지 않을 경우에 경고음을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모든 인증절차가 수행되어 잠금부(55)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 설정되거나 잠금 설정 상태에서 잠금 해제될 경우에 인증 완료에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56)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로써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님은 당연하다. 또한, 스피커(56)에 의한 소리의 출력과 함께 그에 상응하는 불빛을 출력하는 표시등(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ID 태그(10)는 이동 단말기(3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RFID 태그가 이동 단말기(30)에 포함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30)는 RFID 태그(31), 버튼부(33), 적외선 신 호 생성부(35), 적외선 포트(37)를 포함한다.
RFID 태그(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30)에 상응하는 이동통신사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버튼부(33)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및/또는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며, 사용자의 버튼부(33) 조작에 상응하는 적외선 신호가 생성된다.
적외선 신호 생성부(35)는 버튼부(33)의 조작에 상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버튼마다 각기 다른 주파수의 적외선 신호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 각 버튼 누름 조작에 따른 적외선 신호에 의해 도어락 장치(50)에서 비밀번호로써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적외선 포트(37)는 적외선 신호 생성부(35)로부터 생성된 적외선 신호를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어락 장치(50)의 적외선 수신부(52)로 적외선 신호가 전송되어 비밀번호 인증절차가 수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 해제를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어락 장치(50)의 각 구성 요소에서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락 장치(5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따르면, 단계 S310에서, 도어락 장치(50)는 미리 설정된 대역의 특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여, 특정 주파수 신호의 유효거리 내에 위치한 RFID 태그(31) 를 인식하고, RFID 태그(31)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한다.
단계 S320에서, 도어락 장치(50)는 판독된 고유 인식번호를 저장부(53)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1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한다. 1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경우 단계 S325로 진행하여 경고음을 출력한다. 다만, 1차 인증은 RFID 태그(31)에 저장된 고유 인식번호만을 이용한 인증 절차로서 출입 의사가 없는 사람이 가까이 접근한 경우 경고음 출력이 불필요할 수 있어 이 경우 단계 S330에 의한 적외선 신호 수신시까지 단계 S320에서 대기할 수도 있다.
단계 S330에서, 도어락 장치(50)는 1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즉, 고유 인식번호가 인증)되면 이동 단말기(10)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미리 지정된 방법으로 변환하여 비밀번호로서 인식한다.
단계 S340에서, 도어락 장치(50)는 인식된 비밀번호를 저장부(53)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2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는지 판단한다. 2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않는 경우(예를 들어, 인증되지 않은 비밀번호) 에는 단계 S325로 진행하여 경고음을 출력한다. 물론, 경고음 출력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2차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도어락 장치(50)는 단계 S350에서 잠금부(5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여기서, 1차 인증 과정(단계 S310 내지 단계 S320)과 2차 인증 과정(단계 S330 내지 단계 S340)의 순서는 역순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 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인증한 후, RFID 태그(31)에 저장된 고유 인식번호에 대한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1차 인증 과정과 2차 인증 과정의 순서가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고, 고유 인식번호와 비밀번호 중에서 먼저 수신된 순서에 따라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두 번의 인증 절차의 순서가 사전에 결정되거나, 순서에 상관없이 인증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비밀번호, RFID 태그(31)의 순서대로 인증의 순서가 정해져 있을 경우에는 적외선 신호에 의한 비밀번호가 인증된 경우에만 RFID 판독부(51)가 가동되어 특정 주파수를 방출하고, 그에 따라 두 번째 인증절차가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RFID 판독부(51)가 특정 주파수를 평소에는 방출할 필요가 없게 되어, 특정 주파수를 방출하는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잠금부(55)가 잠금 해제 상태인 도어락 장치(50)는 단계 S410에서 유효거리 내에 위치한 RFID 태그(31)의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한다. 이어서, 단계 S420에서 고유 인식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단계 S430에서 고유 인식번호가 인증되면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고, 잠금 완료에 상응하는 잠금 설정음을 출력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설정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잠금부(55)가 잠금 해제 상태인 도어락 장치(50)는 단계 S450에서 이동 단말기(30)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적외선 신호는 이동 단말기(30)의 특정 버튼 또는 임의의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생성되며, 단계 S460에서 도어락 장치(50)는 상기 생성된 적외선 신호가 잠금 신호임을 인식하고 단계 S470에서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고, 잠금 완료에 상응하는 잠금 설정음을 출력한다.
물론, 도어락 장치(50)가 잠금 설정을 위해 RFID 태그(31)의 고유 인식번호나 이동 단말기(10)로부터의 적외선 신호 수신이 없더라도 미리 지정된 시간 경과후에는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바깥에서 바라본 도어락 장치(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어의 바깥쪽에서의 손잡이(510) 및 일측에 두개의 홀(530, 550)이 형성된다. 하나의 홀(530)에는 도어의 내부 또는 도어의 안쪽에 장착된 RFID 판독부(51)의 일부분 중 외부로 특정 주파수를 방출할 수 있도록 특정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부분이 위치한다. 다른 하나의 홀(550)에는 적외선 수신부(52) 중 외부의 이동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 센서의 일부가 위치한다. 또는 RFID 판독부(51) 및 적외선 센서의 일부가 하나의 홀에 함께 위치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태그와 이동 단말기에서 생성되는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두 번의 인증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보안성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를 개폐하는 키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RFID 태그를 분실하였을 경우에도 보다 편리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도어의 외부에는 도어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도어의 고장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의 고유 인식번호가 내장되어 있으며 특정 주파수 신호의 유효거리 내에 진입되면 상기 고유 인식번호가 무선으로 판독되는 RFID 태그를 구비하고, 버튼 조작에 상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방출하는 이동 단말기; 및
    무선으로 판독된 상기 RFID 태그의 상기 고유 인식 번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적외선 신호 각각을 인증정보로 인식하여 인증 처리하며, 인증 결과에 상응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특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 신호의 유효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하는 RFID 판독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비밀번호를 인식하는 적외선 수신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증번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증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RFID 판독부로부터 수신된 고유 인식번호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제1 인증번호와 제2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인증여부를 수행하며, 상기 각 인증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잠금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4.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특정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 신호의 유효거리 내에 위치한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하는 RFID 판독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상응하는 비밀번호를 인식하는 적외선 수신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증번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증번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RFID 판독부로부터 수신된 고유 인식번호 및 상기 적외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제1 인증번호와 제2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인증여부를 수행하며, 상기 각 인증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잠금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 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5.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고유 인식번호가 내장되어 있으며, 특정 주파수 신호의 유효거리 내에 진입되면 상기 고유 인식번호가 무선으로 판독되는 RFID 태그;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조작에 상응하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는 적외선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적외선 신호를 외부로 방출하는 적외선 포트를 포함하되,
    상기 고유 인식번호 또는 적외선 신호를 인식한 도어락 장치에서 인증절차가 수행되어 그에 상응하여 도어의 개폐가 제어되는 이동 단말기.
  6. 도어락 장치에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특정 주파수를 발생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의 유효거리 내에 위치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고유 인식번호를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여부를 수행하는 1차 인증단계;
    상기 고유 인식번호가 인증된 경우 이동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비밀번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여부를 수행하는 2차 인증단계; 및
    상기 2차 인증의 결과에 상응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7. 도어락 장치에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비밀번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비밀번호를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여부를 수행하는 1차 인증단계;
    상기 비밀번호가 인증된 경우 특정 주파수를 발생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의 유효거리 내에 위치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 인식번호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고유 인식번호를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증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인증여부를 수행하는 2차 인증단계; 및
    상기 2차 인증의 결과에 상응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 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050017644A 2005-03-03 2005-03-03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63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44A KR100634567B1 (ko) 2005-03-03 2005-03-03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644A KR100634567B1 (ko) 2005-03-03 2005-03-03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510A KR20060098510A (ko) 2006-09-19
KR100634567B1 true KR100634567B1 (ko) 2006-10-13

Family

ID=3762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644A KR100634567B1 (ko) 2005-03-03 2005-03-03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312B1 (ko) * 2017-01-03 2018-06-26 (주) 군월드 미성년자결제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0110A (zh) * 2022-01-06 2022-04-15 广东汇泰龙科技股份有限公司 Ic卡加密方法、ic卡验证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548A (ja) 2000-03-10 2001-09-21 Tokai Rika Co Ltd ドア錠の遠隔操作装置及びドア錠の遠隔操作装置における送受信装置
WO2003056520A2 (en) 2001-12-22 2003-07-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ccess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548A (ja) 2000-03-10 2001-09-21 Tokai Rika Co Ltd ドア錠の遠隔操作装置及びドア錠の遠隔操作装置における送受信装置
WO2003056520A2 (en) 2001-12-22 2003-07-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ccess control syste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97400
1020050001943
200327509000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312B1 (ko) * 2017-01-03 2018-06-26 (주) 군월드 미성년자결제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510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6175B2 (ja) 入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室管理方法
KR20120074569A (ko) 출입 이력관리 및 통합 보안 시스템을 결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운영방법
KR20080028936A (ko) 서류 관리 시스템
KR20240135712A (ko) 서브 리더기 및 서브 리더기 제어 방법
TW201546763A (zh) 具有密碼鎖的保全系統
KR20150056711A (ko) 출입자 생체정보를 가지는 스마트 출입카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7961A (ko) 자동문서관리 기능을 구비한 캐비닛 장치
KR101602483B1 (ko) 서버와 단말기를 이용한 잠금장치 개폐시스템 및 방법
KR101907108B1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7461B1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KR101733454B1 (ko) 등록된 스마트폰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456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230369B1 (ko) 해킹 방지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키 인증 방법
KR20130113676A (ko) 도어록 네트워킹 관리 시스템
KR102040779B1 (ko) 비접촉 자물쇠 및 이를 이용하는 자물쇠 잠금 해제 방법
KR200448963Y1 (ko) 독서실 출입관리용 도어락 장치
CN108625683A (zh) 锁装置的管制系统
JP2007308873A (ja) 入室管理システム
KR101980861B1 (ko) 경보기능을 구비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지문인식 전자자물쇠 시스템 및 그 자물쇠시스템을 이용한 보안관리방법
JP5673800B2 (ja) 入退室管理装置
KR200292172Y1 (ko) 전자도어락
JP2005139789A (ja) 作業履歴データを管理する鍵管理システム
KR200236033Y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20060064138A (ko) Rf신호를 이용하고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089028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