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527B1 - Air purifier with dust collection function using water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with dust collection function using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3527B1 KR100633527B1 KR1020040022637A KR20040022637A KR100633527B1 KR 100633527 B1 KR100633527 B1 KR 100633527B1 KR 1020040022637 A KR1020040022637 A KR 1020040022637A KR 20040022637 A KR20040022637 A KR 20040022637A KR 100633527 B1 KR100633527 B1 KR 1006335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rip tray
- air
- evaporator
- evaporator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63—Composite hinges, e.g. for varying the inclination of th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4—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with adjustable mea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27—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fixed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한 집진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며 상하로 관통된 여러 개의 물배출공이 형성된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에 공기정화를 위한 물을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펌프가 설치된 물공급관과, 상기 물받이에서 낙하된 물을 저장하도록 설치된 하부 물받이 및, 상기 하부 물받이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연결되고 개폐밸브가 설치된 물배수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실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물과 접촉하여 제거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apparatus having a dust collecting function using water, wherein the air purifying apparatus is configur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indoor air and to supply clean air to the room. A drip tray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formed therein,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supply water for air purification to the drip tray, a lower drip tray installed to store water dropped from the drip tray, and water stored in the lower drip tra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drainage pipe is connected to discharge to the outside and the on-off valve is installed, by which foreign matters such as fine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is removed in contact with the water.
증발기, 응결수, 물받이, 공기정화Evaporator, condensate, drip tray, air purification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한 집진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가 냉난방설비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 dust collecting function us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oling and heating facility;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 1' : 증발기 본체 2, 2' : 물받이1, 1 ':
3, 3' : 하부 물받이 4A, 4B : 물공급관3, 3 ':
5 : 펌프 6A, 6B : 개폐밸브5:
7 : 불배수관7: water drain pipe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한 집진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물과 접촉하여 제거될 수 있도록 된 물을 이용한 집진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apparatus having a dust collecting function using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ying apparatus having a dust collecting function using water such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contained in indoor air can be removed by contact with water.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공기정화장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청정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통칭한다.In general, the air purifier is a collective name for a device configured to supply clean air to a room afte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대개의 경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집진필터가 사용되며, 일례로서 실내 공기의 냉, 난방을 위한 냉난방설비에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 제거하기 위한 집진필터가 증발기의 전방에 설치된다.In most cases, a dust collecting filter is used as a component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For example, a dust collecting filter for filtering and removing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ontained in indoor air is provided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oling and heating indoor air. It is installed in the front.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해 공기의 열을 빼앗음으로써 차가운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대개 냉매의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냉매배관과, 그 냉매배관의 외부 표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설치된 핀 형상의 방열핀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evaporator is configured to supply cool air to a room by depriving the heat of air by the latent heat of evaporation of the refrigerant, and a refrigerant pipe generally providing a circulation path of the refrigerant, and an external surface area of the refrigerant pipe. It includes a fin-shaped heat radiation fins installed to increase the.
그리고, 상기 집진필터는 일정 시간 사용된 후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거나 깨끗하게 소제한 후 재활용된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filter is replaced with a new one after being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cleaned and then recycled.
따라서, 냉난방설비가 가동되면 실내 공기가 집진필터를 거치면서 그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집진필터에서 걸러지고, 청정한 공기만이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차가워진 후 다시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실내가 냉방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the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re filtered out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and only the clean ai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to cool down and then is supplied to the room again. It is cooled.
한편, 상기 증발기에는 응결수가 발생되는바, 이 응결수는 저온 냉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실내 공기가 냉매배관 및 방열핀에 접촉함으로써 증발기의 표면에서 발생되며, 이렇게 발생된 응결수는 증발기의 하부로 흘러내려 증발기의 하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응결수 수집통에 수집되고 버려진다.Meanwhile, condensation water is generated in the evaporator. The condensation water is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by contacting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with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ompared to the low temperature refrigerant. It flows down and is collected and discarded in a condensate collector, which is provided separately under the evaporator.
그러나, 이와 같이 집진필터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장치인 경우, 극히 미세한 먼지가 집진필터를 통해 그대로 실내로 공급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ir purifying apparatus which remov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by using the dust collecting filter as described above, extremely fine dust is supplied to the room as it i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필터를 통과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물에 의해 제거하여 공기정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물을 이용한 집진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 dust collection function using the water to improve the air purification performance b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by water. Has its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물을 저장하며 상하로 관통된 여러 개의 물배출공이 형성된 물받이와, 상기 물받이에 공기정화를 위한 물을 공급하도록 연결되고 펌프가 설치된 물공급관과, 상기 물받이에서 낙하된 물을 저장하도록 설치된 하부 물받이 및, 상기 하부 물받이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연결되고 개폐밸브가 설치된 물배수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을 이용한 집진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 purifying device configured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to supply clean air to the room, the water is stored and penetrated up and down A drip tray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supply water for air purification to the drip tray, a lower drip tray installed to store water dropped from the drip tray, and water stored in the lower drip tray. By providing a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 dust collecting function using 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drainage pipe connected to discharge to the outside and the on-off valve is installed.
또한, 상기 물받이는, 상하로 여러 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p tray is characterized in that several pieces are installed up and down.
또한, 상기 물받이는 냉난방설비를 이루는 증발기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p tray is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evaporator constituting the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한 집진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가 냉난방설비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냉난방설비는 냉매의 순환 경로를 제 공하는 냉매배관과, 그 냉매배관의 외부 표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설치된 핀 형상의 방열핀으로 이루어진 증발기 본체(1)를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air purifying apparatus having a dust collecting function us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oling and heating facility, wherein the cooling and heating facility is a refrigerant pipe providing a circulation path of the refrigerant, and an outside of the refrigerant pipe. It includes an evaporator body (1) consisting of a fin-shaped radiating fin installed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도1에 도시된 증발기 본체(1)는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된 것으로, 대개 냉방용량이 작은 경우에 사용된다.The
상기 증발기 본체(1)에는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 쪽에 위치되는 물받이(2)가 설치되며, 이 물받이(2)는 적어도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증발기 본체(1)의 상하로 여러 개소에 설치된 물받이(2A)(2B)(2C)(2D)(2E)로 이루어진다.The evaporator body (1) is provided with a drip tray (2)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flow of air, the drip tray (2) is at least one or more, preferably several places up and down the evaporator body (1) It consists of
상기 각각의 물받이는 소량의 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중앙이 하부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하로 관통된 여러 개의 물배출공(22)을 갖는다.Each of the drip trays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center is convex downward to temporarily store a small amount of water, and has a plurality of
따라서, 상부에 위치된 물받이에 저장된 물은 물배출공(22)을 통해 하부의 물받이로 낙하된다.Therefore, the water stored in the drip tray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is dropped into the drip tray in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22).
상기에서 각각의 물받이는 증발기 본체(1)에 인접한 부분이 증발기 본체(1)의 내부로 약간 삽입된 형태로 설치되거나 적어도 증발기 본체(1)에 접촉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증발기 본체(1)에 형성된 응결수가 물받이로 쉽게 이동되게 구성된다.In the above, each drip tray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a portion adjacent to the
그리고, 상기 증발기 본체(1)의 하부에는 가장 하부에 위치된 물받이(2E)에서 낙하된 물을 받아 저장하기 위한 하부 물받이(3)가 위치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하부 물받이(3) 또는 별도로 공급되는 물을 가장 상부에 위치된 물받이(2A)에 공급하도록 물공급관(4)이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관(4)은 하부 물받이(3)에 연결된 제1물공급관(4A)과, 미도시된 물공급처로부터 물을 제공받도록 연 결된 제2물공급관(4B)으로 분지되며, 상기 제1물공급관(4A)과 제2물공급관(4B)의 각각에는 개폐밸브(6A)(6B)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물공급관(4)에는 물을 가장 상부의 물받이(2A)로 퍼올릴 수 있도록 펌프(5)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ipe (4) is provided with a pump (5) so that the water can be pumped up to the top of the drip tray (2A).
상기 물받이는 증발기 본체(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그 크기와 형상이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도면과 같이 절곡된 얇은 판재로 형성된 것이 좋다.The drip tray is determined in size and shap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이와 같은 증발기의 경우, 냉난방설비가 가동되면 실내 공기가 미도시된 집진필터를 거치면서 그 실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집진필터에서 걸러지고, 청정한 공기만이 증발기 본체(1)를 통과하면서 차가워진 후 다시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실내가 냉방된다.In the case of such an evaporator, when the air conditioning system is operated,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re filtered out of the dust collecting filter while the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not shown, and only clean air passes through the evaporator
이때, 증발기 본체(1)에서 발생된 응결수는 물받이의 어느 하나에 모여지고, 이렇게 모여진 응결수는 물받이의 물배출공(22)을 통해 하부의 물받이로 낙하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하부 물받이(3)에 수집된다.At this tim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body (1) is collected in any one of the drip tray, the condensed water thus collected is dropped into the lower drip tray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하부 물받이(3)에는 개폐밸브(7a)가 구비된 물배수관(7)이 설치됨으로써 하부 물받이(3)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에서 물받이(2)가 증발기 본체(1)의 후방에 설치된 경우, 증발기 본체(1)에서 발생된 응결수와 증발기 본체(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과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증발기 본체(1)의 표면에 발생된 응결수에는 여러 가지의 힘이 작용하는데, 응결수의 자중에 의해 응결수를 하강시키도록 작용하는 힘과, 증발기 본체(1)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응결수를 공기의 흐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힘 및 응결수와 증발기 본체(1)의 접촉부에 작용하여 응결수를 증발기 본체(1)의 표면에 유지시키도록 작용하는 힘 등이 그것이다.Various forces act on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이와 같은 여러 가지의 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물받이(2)가 없는 경우, 응결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증발기 본체(1)의 후방 쪽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자중에 의해 하강되는바, 응결수를 증발기 본체(1)의 표면에 유지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이 다른 힘, 특히 공기의 흐름에 의해 응결수를 공기의 흐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힘보다 더 큰 경우 응결수는 증발기 본체(1)의 후방 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그 증발기 본체(1)를 따라 계속 하강하고, 그 반대인 경우 응결수는 증발기 본체(1)에서 떨어져 실내기의 바닥으로 하강한다.When these various forces act in combination, in the absence of the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증발기 본체(1)의 내부로 약간 삽입된 형태로 설치되거나 적어도 증발기 본체(1)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물받이가 있는 경우, 증발기 본체(1)의 후방 쪽으로 이동된 상태로 하강하는 응결수는 그 증발기 본체(1)에 접촉된 물받이를 따라 물받이로 모여지고, 또한 증발기 본체(1)에서 떨어져 하강하는 응결수도 물받이로 모여질 수 있는 것이다.However, when there is a drip tray installed in a slightly inserted form inside the
게다가, 물받이로 모여진 응결수는 물받이에 형성된 물배출공(22)을 통해 하부로 낙하되는바, 이렇게 낙하되는 응결수는 증발기 본체(1)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 등을 흡수하여 보다 깨끗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게 한다.In addition, 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by the drip tray is dropped to the bottom through the
물론, 물에 의한 공기정화기능을 향상시키려면, 물공급관(4)을 통해 일정량 의 물을 가장 상부에 위치된 물받이(2A)로 공급하는 것이 좋다.Of course, to improve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by the water, it is preferable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the drip tray (2A) located at the top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4).
특히, 난방이 수행되는 경우, 제2물공급관(4B)에 설치된 개폐밸브(6B)를 개방시키고 제1물공급관(4A)에 설치된 개폐밸브(6A)를 폐쇄시킨 후 제2물공급관(4B)을 통해 공급된 물을 가장 상부에 위치된 물받이(2A)로 공급한다.In particular, when heating is performed, the opening and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로서, 냉매의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냉매배관과, 그 냉매배관의 외부 표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설치된 핀 형상의 방열핀으로 이루어진 증발기 본체(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증발기 본체(1')를 이루는 구성요소들 중 상기 도1에 도시된 증발기 본체(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부분에 대하여는 도1의 도면부호와 동일하게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FIG.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n evaporator body 1 'is formed of a refrigerant pipe providing a circulation path of a refrigerant and a fin-shaped heat dissipation fin provided to increase an external surface area of the refrigerant pipe. It includes. The par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본 발명의 증발기 본체(1')는 대략 상하로 수직하면서 소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대개 냉방용량이 큰 경우에 사용된다.The evaporator bod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hile being substantially vertically up and down, and is usually used when the cooling capacity is large.
상기 증발기 본체(1')에는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 쪽에 위치되는 물받이(2')가 설치되며, 이 물받이(2')는 적어도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증발기 본체(1')의 상하로 여러 개소에 설치된 물받이(2A')(2B')(2C')(2D')(2E')로 이루어진다.The evaporator body 1 'is provided with a drip tray 2' positioned at the front or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flow of air, and the drip tray 2 'is at least one or more, preferably the evaporator main body 1'. It consists of
상기 각각의 물받이는 도1에 도시된 물받이와 마찬가지로 소량의 물을 일시 저장할 수 있도록 중앙이 하부로 볼록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하로 관통된 여러 개의 물배출공을 갖는다. 또한, 각각의 물받이는 그 끝단이 증발기 본체(1')의 내부로 약간 삽입된 형태로 설치되거나 적어도 증발기 본체(1')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본체(1')의 하부에는 가장 하부에 위치된 물받이(2E')에서 낙하된 물을 받아 저장하기 위한 하부 물받이(3)가 위치된다.Each of the drip trays has a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center is convex downward to temporarily store a small amount of water similarly to the drip tray shown in FIG. 1, and has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penetrated up and down. In addition, each drip tray is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its end is slight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evaporator body 1 'or at least in contact with the evaporator body 1'. In addition, a
이와 같은 증발기는 도1의 증발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증발기 본체(1')에서 발생된 응결수가 물받이를 통해 하부 물받이(3)에 신속하게 모여지며, 각 물받이의 물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공기가 정화되는 작용을 한다.Such an evaporator perform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evaporator of FIG. 1, in which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body 1 'is rapidly collected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한 집진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에 의하면,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증발기 본체의 전방 또는 쪽에 위치되고 상하로 여러 개소에 설치되며 여러 개의 물배출공을 갖는 물받이에 증발기 본체에서 발생된 응결수가 모여진 후 하부로 낙하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제거시킴으로써 공기의 정화기능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 dust collecting function using th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located in the front or side of the evaporator body with respect to the flow of air and installed in several places up and down in the drip tray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After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evaporator body is collected, the condensed water drops to a lower portion, thereby removing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thereby improving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2637A KR100633527B1 (en) | 2004-04-01 | 2004-04-01 | Air purifier with dust collection function using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2637A KR100633527B1 (en) | 2004-04-01 | 2004-04-01 | Air purifier with dust collection function using wat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09111U Division KR200353987Y1 (en) | 2004-04-01 | 2004-04-01 | Air cleaning apparatus with water dust collecting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7567A KR20050097567A (en) | 2005-10-10 |
KR100633527B1 true KR100633527B1 (en) | 2006-10-16 |
Family
ID=3727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26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3527B1 (en) | 2004-04-01 | 2004-04-01 | Air purifier with dust collection function using 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352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7473B1 (en) | 2016-08-11 | 2019-03-12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 Dust removal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KR20180046903A (en) * | 2016-10-28 | 2018-05-09 | 주식회사 미로 | Air cleanaer with water curtain for reducing noise |
-
2004
- 2004-04-01 KR KR1020040022637A patent/KR1006335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7567A (en) | 2005-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4663B1 (en) | Dehumidifier | |
US2710509A (en) | Self-contained dehumidifying unit | |
US11371724B2 (en) | Dehumidification drainage system with mist eliminator | |
US12286773B2 (en) | Atmospheric water generator | |
KR100633527B1 (en) | Air purifier with dust collection function using water | |
JP4495005B2 (en) | Air conditioner | |
US4895004A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KR200353987Y1 (en) | Air cleaning apparatus with water dust collecting function | |
US20210301804A1 (en) | Multi-cooling type cold trap | |
KR101711337B1 (en) | Air water system | |
CN100491854C (en) | Water tray structure of split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with condensate water circulation device | |
JP2017089984A (en) | Filter device in auxiliary cooling device of condenser | |
KR100991003B1 (en) | A conditioner for control-panel | |
JP4495006B2 (en) | Air conditioner | |
CN107850367B (en) | Air water system for tropical climate | |
JP3223013U (en) | Filter device in auxiliary cooling device for condenser | |
KR0111195Y1 (en) | Drain apparatus of airconditioner | |
KR20160003050U (en) | A water purifier | |
JP2004293954A (en) | Drain water vaporizer | |
KR200238250Y1 (en) | dehumidifier | |
KR200312488Y1 (en) | One united air conditioner | |
KR19980056360A (en) | Cover structure of detachable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 |
CN117847846A (en) | Air source heat pump system equipped with auxiliary heat source defrosting evaporator | |
KR100429461B1 (en) | The structure for protecting overflow at air-conditioner | |
KR20060111138A (en) |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