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2951B1 - 리플 안정화 기능을 갖는 고전압 발생 회로 - Google Patents

리플 안정화 기능을 갖는 고전압 발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951B1
KR100632951B1 KR1020040076034A KR20040076034A KR100632951B1 KR 100632951 B1 KR100632951 B1 KR 100632951B1 KR 1020040076034 A KR1020040076034 A KR 1020040076034A KR 20040076034 A KR20040076034 A KR 20040076034A KR 100632951 B1 KR100632951 B1 KR 100632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signal
high voltage
clock signal
pu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177A (ko
Inventor
한욱기
변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951B1/ko
Priority to US11/025,765 priority patent/US7215181B2/en
Publication of KR2006002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9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2Programming voltage switch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2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되는 고전압 발생 회로는 전하 펌프 및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을 포함한다. 전하 펌프는 펌프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을 발생하고,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은 고전압에 응답하여 펌프 클록 신호를 발생한다.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은 N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펌프 클록 신호를 제한한다.

Description

리플 안정화 기능을 갖는 고전압 발생 회로{HIGH VOLTAGE GENERATOR CIRCUIT WITH RIPPLE STABILIZATION FUNC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고전압을 생성할 때 발생되는 클록 신호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플 안정화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리플 안정화기를 보여주는 회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고전압 발생 회로 110 : 전하 펌프
120 : 전압 분배기 130 : 비교기
140 : 발진기 150 : 클록 드라이버
160 : 리플 안정화기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전압을 발생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위성에서 소비자 전자 기술까지의 범위에 속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응용 및 컴퓨터과 같은 디지털 로직 설계의 가장 필수적인 마이크로 전자 소자이다. 그러므로, 높은 집적도 및 빠른 속도를 위한 축소 (scaling)를 통해 얻어지는 프로세스 향상 및 기술 개발을 포함한 반도체 메모리의 제조 기술의 진보는 다른 디지털 로직 계열의 성능 기준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크게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 나뉘어진다.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로직 정보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경우 쌍안정 플립-플롭의 로직 상태를 설정함으로써 또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의 경우 커패시터의 충전을 통해 저장된다.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 데이터가 저장되고 읽혀지며, 전원이 차단될 때 데이터는 소실된다.
MROM, PROM, EPROM, EEPROM 등과 같은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불 휘발성 메모리 데이터 저장 상태는 사용되는 제조 기술에 따라 영구적이거나 재프로그램 가능하다.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컴퓨터, 항공 전자 공학, 통신, 그리고 소비자 전자 기술 산업과 같은 넓은 범위의 응용에서 프로그램 및 마이크로코드의 저장을 위해서 사용된다. 단일 칩에서 휘발성 및 불 휘발성 메모리 저장 모드들의 조합이 빠르고 재프로그램 가능한 불 휘발성 메모리를 요구하는 시스템에서 불 휘발성 RAM (nvRAM)과 같은 장치들에서 또한 사용 가능하다. 게다가, 응용 지향 업무를 위한 성능을 최적화시키기 위해 몇몇 추가적인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특정 메모리 구조가 개발되어 오고 있다.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MROM, PROM 및 EPROM은 시스템 자체적으로 소거 및 쓰기가 자유롭지 않아서 일반 사용자들이 기억 내용을 새롭게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반해 EEPROM은 전기적으로 소거 및 쓰기가 가능하므로 계속적인 갱신이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래밍(system programming)이나 보조 기억 장치로의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플래시 EEPROM (이하, 플래시 메모리라 칭함)은 기존의 EEPROM에 비해 집적도가 높아 대용량 보조 기억 장치로의 응용에 매우 유리하다. 플래시 메모리들 중에서도 낸드형(NAND-type) 플래시 메모리는 NOR 플래시 메모리에 비해 집적도가 매우 높다.
플래시 메모리에 있어서, 일단 메모리 셀이 프로그램되면,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에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된 메모리 셀이 소거되어야 한다. 즉, 플래시 메모리는 오버라이트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플래시 메모리의 프로그램 및 소거 방법들이 U.S. Patent No. 6,061,270에 "Method for programm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with program disturb control"라는 제목으로, U.S. Patent No. 6,335,881에 "Method for programming a flash memory device"라는 제목으로, 그리고 U.S. Patent No. 6,370,062에 "NAND-type flash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라는 제목으로 각각 게재되어 있다. 메모리 셀을 소거/프로그램하기 위해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전압 (이하, 고전압이라 칭함)을 필요로 한다. 예시적인 고전압/프로그램 전압 발생 회로가 U.S. Patent No. 5,642,309에 "AUTO-PROGRAM CIRCUIT IN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어 있다.
'309 특허에 게재된 고전압 발생 회로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 (10)는 전하 펌프 (11), 전압 분배기 (12), 비교기 (13), 발진기 (14), 그리고 클록 드라이버 (15)로 구성된다. 전하 펌프 (11)에서 생성된 고전압 (Vpgm)은 전압 분배기 (12)를 통해 분배되고, 분배된 전압 (Vdvd)은 비교기 (13)에 의해서 기준 전압과 비교된다. 클록 드라이버 (14)는 비교 결과에 따라 발진기 (14)의 발진 신호 (OSC)가 전하 펌프 (11)로 공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전하 펌프 (11)는 클록 드라이버 (15)로부터의 클록 신호 (CLK)에 응답하여 고전압 (Vpgm)을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는 분배된 전압과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전하 펌프 (11)가 온/오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의 제어 방식에 따르면, 고전압 (Vpgm)이 목표 레벨 (Vt)에 도달하는 시점에서부터 전하 펌프 (11)가 꺼지는 시점까지 클록 신호 (CLK)이 추가적으로 생성된다. 클록 신호 (CLK)의 추가적인 생성은 비교기 (13)의 응답 속도 (시간)로 인한 것으로, 이는 피드백 제어 방식을 사용하는 고전 압 발생 회로의 필연적인 현상이다. 추가적인 생성으로 인해 고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리플 현상이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의 경우, 하지만, 고전압의 리플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불규칙하다. 불규칙한 리플 크기의 원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하 펌프 (11)에 공급되는 클록 신호 (CLK)가 불규칙하게 생성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 (Vt)에 도달한 이후, 클록 신호 (CLK)가 상이한 클록 사이클만큼 불규칙하게 전하 펌프 (11)로 공급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하 펌프 (11)에서 생성되는 고전압 (Vpgm)의 리플 크기 역시 불규칙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 (10)를 포함한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불규칙한 리플 크기는 프로그램된 셀들의 문턱 전압들의 산포가 넓어지게 한다. 즉,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특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전압의 리플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고전압 발생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압의 리플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전압 발생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고전압 발생 회로는 펌프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을 발생하는 전하 펌프와; 그리고 상기 고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펌프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을 포함하 며, 상기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상기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은 N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펌프 클록 신호를 제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상기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은 1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펌프 클록 신호를 제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하지 않을 때, 상기 펌프 클록 신호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은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보다 낮아질 때마다 1 클록 사이클만큼 출력되도록 상기 펌프 클록 신호를 제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은 상기 펌프 클록 신호의 제한 구간이 프로그램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전압 발생 회로는 펌프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을 발생하는 전하 펌프와; 상기 고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따라 클록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클록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와; 상기 클록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발진 신호를 클록 신호로서 출력하는 클록 드라이버와; 그리고 상기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클록 신호를 제한하고, 상기 제한된 클록 신호를 상기 펌프 클록 신호로서 출력하는 리플 안정화기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상 기 리플 안정화기는 1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클록 신호를 제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하지 않을 때, 상기 클록 신호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플 안정화기는 상기 클록 신호의 제한 구간이 프로그램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플 안정화기는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보다 낮아질 때마다 1 클록 사이클만큼 출력되도록 상기 클록 신호를 제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플 안정화기는 상기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발진 신호에 동기된 클록 제한 신호를 발생하는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와; 그리고 상기 클록 제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록 신호를 상기 펌프 클록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플 안정화기는 상기 클록 제한 신호에 응답하여 제한 종료 신호를 발생하는 제한 구간 계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록 제한 신호는 상기 제한 종료 신호의 활성화시 비활성화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록 제한 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 스위치는 제한없이 상기 클록 신호를 상기 펌프 클록 신호로서 출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한 종료 신호는 상기 클록 제한 신호가 활성화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활성화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록 제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스위치는 1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클록 신호를 제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클록 제한 기능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클록 제한 신호에 관계없이 상기 클록 신호를 상기 펌프 클록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전압을 발생하는 방법은 상기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펌프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펌프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고전압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상기 펌프 클록 신호는 1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제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클록 신호는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보다 낮을 때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클록 신호는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보다 낮아질 때마다 1 클록 사이클만큼 출력되도록 제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 (100)는 전하 펌프 (charge pump) (110), 전압 분배기 (voltage divider) (120), 비교기 (comparator) (130), 발진기 (oscillator) (140), 클록 드라이버 (clock driver) (150), 그리고 리플 안정화기 (ripple stablizer) (160)를 포함한다. 전하 펌프 (110)는 리플 안정화기 (160)로부터의 펌프 클록 신호 (CLK_P)에 응답하여 고전압 (Vpgm)을 발생한다. 전압 분배기 (120)는 전하 펌프 (110)에 의해서 생성된 고전압 (Vpgm)을 분배한다. 비교기 (130)는 전압 분배기 (120)로부터의 분배 전압 (Vdvd)이 기준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클록 인에이블 신호 (CLK_EN)를 활성화시킨다. 예컨대, 전압 분배기 (120)로부터의 분배 전압 (Vdvd)이 기준 전압보다 낮을 때, 비교기 (130)는 클록 인에이블 신호 (CLK_EN)를 활성화시킨다. 전압 분배기 (120)로부터의 분배 전압 (Vdvd)이 기준 전압보다 높을 때, 비교기 (130)는 클록 인에이블 신호 (CLK_EN)를 비활성화시킨다. 클록 드라이버 (150)는 클록 인에이블 신호 (CLK_EN)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발진기 (140)의 발진 신호 (OSC)를 클록 신호 (CLK)로서 리플 안정화기 (160)로 출력한다. 클록 인에이블 신호 (CLK_EN)의 비활성화시 발진기 (140)의 발진 신호 (OSC)는 차단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리플 안정화기 (160)는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클록 드라이버 (150)에서 출력되는 클록 신호 (CLK)를 제한한다. 예를 들면,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기 이전까지, 리플 안정화기 (160)는 클록 드라이버 (150)에서 출력되는 클록 신호 (CLK)를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제한없이 전하 펌프 (110)로 전달한다.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이후, 리플 안정화기 (160)는 일정 시간마다 소정 클록 사이클 (예를 들면, 1 클록 사이클) 만큼 전하 펌프 (110)로 전달되도록 클록 신호 (CLK)를 제한한다. 이는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전하 펌프 (110)에 공급되는 펌프 클록 신호 (CLK_P)의 클록 사이클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즉, 한번에 여러번 클록 신호가 동작하는 것을 제한하여 리플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전압 (Vpgm)의 리플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고전압 (Vpgm)의 리플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전압 분배기 (120), 비교기 (130), 발진기 (140), 클록 드라이버 (150), 그리고 리플 안정화기 (160)는 고전압 (Vpgm)에 응답하여 펌프 클록 신호 (CLK_P)를 발생하는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을 구성한다. 전압 분배기 (120) 및 비교기 (130)는 고전압 (Vpgm)이 기준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따라 클록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클록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를 구성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플 안정화기 (16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플 안정화기 (160)는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 (clock limit signal generating section) (220), 스위치 (240), 그리고 제한 구간 계산부 (limit period computing section) (260)를 포함한다.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 (220)는 플래그 신호 (PGM_OK) 및 클록 신호 (CLK)에 응답하여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를 발생한다. 플래그 신호 (PGM_OK)는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플래그 신호 (PGM_OK)는 도 3의 비교기 (130)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할 때 비교기 (130)의 출력 신호를 래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는, 플래그 신호 (PGM_OK)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 되지 않았지만,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어 로직에서 생성될 수 있다.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보다 낮은 경우,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 (220)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를 비활성화시킨다.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경우,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 (220)는 클록 신호 (CLK)에 동기되어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를 활성화시킨다.
스위치 (240)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에 응답하여 클록 신호 (CLK)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고, 선택적으로 차단된 신호는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전하 펌프 (110)로 전달된다. 예를 들면, 스위치 (240)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제한없이 클록 신호 (CLK)를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출력한다. 스위치 (240)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클록 신호 (CLK)를 제한하며, 그 결과 클록 신호 (CLK)는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소정 클록 사이클만큼 전하 펌프 (110)로 전달된다. 제한 구간 계산부 (260)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 및 클록 신호 (CLK)에 응답하여 제한 종료 신호 (LIMIT_END)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제한 구간 계산부 (260)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가 활성화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제한 종료 신호 (LIMIT_END)를 활성화시킨다.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 (220)는 제한 종료 신호 (LIMIT_END)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를 비활성화시킨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클록 신호 (CLK)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의 비활성화 구간 동안 스위치 (240)를 통해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출력된다. 즉, 클록 신호 (CLK)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의 비활성화 구간 동안 제한없이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출력되는 반면에, 클록 신호 (CLK)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의 활성화 구간 동안 제한적으로 (또는 일정 클록 사이클만큼)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출력된다. 이는 도 3의 전하 펌프 (110)에 공급되는 펌프 클록 신호 (CLK_P)의 클록 사이클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고전압 (Vpgm)의 리플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고전압 (Vpgm)의 리플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리플 안정화기 (160)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 (220)는 인버터들 (501, 502, 503, 504, 505), 펄스 발생기들 (506, 507), NAND 게이트 (508), 그리고 NOR 게이트들 (509, 510, 511)을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NOR 게이트들 (510, 511)은 래치를 구성한다.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 (220)의 출력 신호 즉,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는 파워-업 구간 동안 또는 파워-업 신호 (PWRUP)가 하이 레벨일 때 로우 레벨로 초기화된다. 플래그 신호 (PGM_OK)가,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보다 낮음을 나타내는, 로우 레벨로 유지되는 동안, 래치 (510, 511)의 세트 입력 단자 (S)는 클록 신호 (CLK)의 천이에 관계없이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 플래그 신호 (PGM_OK)가,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로 유지되는 동안, 래치 (510, 511)의 세트 입력 단자 (S)는 클록 신호 (CLK)의 로우-하이 천이시 하이 레벨이 되고 클록 신호 (CLK)의 하이-로우 천이시 로우 레벨이 된다. 제한 종료 신호 (LIMIT_END)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할 때 , 래치 (510, 511)의 리세트 입력 단자 (R)는 소정 시간 동안 (또는, 펄스 발생기 (507)의 펄스 신호의 활성화 구간 동안) 하이 레벨로 천이한다. 즉,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는 플래그 신호 (PGM_OK)의 활성화 구간 동안 클록 신호 (CLK)의 하이-로우 천이에 의해서 하이 레벨로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는 제한 종료 신호 (LIMIT_END)의 활성화에 의해서 로우 레벨로 비활성화된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치 (240)는 인버터들 (512, 517, 518, 519, 520, 521), NOR 게이트들 (513, 516), 그리고 AND 게이트들 (514, 515)을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가 로우 레벨로 비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클록 신호 (CLK)는 스위치 (240)의 구성 요소들 (512, 513, 514, 516, 517, 518, 519)를 통해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출력된다.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가 하이 레벨로 활성화되어 있는 동안, 스위치 (240)는 클록 신호 (CLK)가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어 신호 (MODE_SEL)는 클록 제한 기능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제어 신호 (MODE_SEL)가 로우 이 레벨일 때, AND 게이트 (515)의 출력은 NOR 게이트 (513)의 출력에 관계없이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 즉, 인버터 (512)로 입력된 클록 신호 (CLK)의 신호 경로 (514)는 차단되는 반면에, AND 게이트 (515)로 입력된 클록 신호 (CLK)는 신호 경로 (515, 516, 517, 518, 519)를 통해 펌프 클록 신호로서 출력된다.
계속해서, 제한 구간 계산부 (260)는 펄스 발생기 (522), 인버터들 (523, 525), NOR 게이트들 (524, 526), 그리고 카운터 (527)를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펄스 발생기 (522), 인버터들 (523, 525), 그리고 NOR 게이트 (524)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의 로우-하이 천이에 응답하여 초기화 신호 (RST)를 발생하는 초기화 신호 발생기 (reset signal generator)를 구성한다. 카운터 (527)는 초기화 신호 (RST)가 펄스로서 생성될 때 (또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할 때) 초기화되고, 그 다음에 카운터 (527)는 발진 신호 (OSC)에 동기되어 카운트 동작을 수행한다. 카운터 (527)의 카운트 값이 미리 정해진 값에 도달하면, 제한 구간 계산부 (260)는 제한 종료 신호 (LIMIT_END)를 하이로 활성화시킨다. 카운터 (527)는 목표값 (또는 설정값)이 가변 가능되도록 (프로그램 가능하도록) 또는 목표값 (또는 설정값)이 고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의 동작이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발진기 (140)가 파워-업 이후에 발진 신호 (OSC)를 자동적으로 생성한다고 가정하자. 하지만, 발진기 (140)가 특정 동작 구간에서만 발진 신호 (OSC)를 생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파워-업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Vpgm)은 특정 전압 (예를 들면, 전원 전압)으로 유지된다. 파워-업시,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 (220)의 NOR 게이트들 (509, 511) 및 인버터 (505)를 통해 로우 레벨로 초 기화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신호 (MODE_SEL)는 본 발명에 따른 클록 제한 기능을 사용하도록 하이 레벨로 설정된다.
발진기 (140)가 발진 신호 (OSC)를 생성함에 따라, 고전압 발생 회로 (100)는 아래의 과정을 통해 고전압 (Vpgm)을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때, 분배 전압 (Vdvd)이 기준 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또는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클록 인에이블 신호 (CLK_EN)는 활성화된다. 클록 드라이버 (150)는 클록 인에이블 신호 (CLK_EN)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발진 신호 (OSC)를 클록 신호 (CLK)로서 출력한다. 클록 신호 (CLK)는 리플 안정화기 (160)로 공급된다.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보다 낮기 때문에, 플래그 신호 (PGM_OK)는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 플래그 신호 (PGM_OK)가 로우 레벨을 가짐에 따라,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 (220)의 래치 (510, 511)의 세트 입력 단자 (S)는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가 로우 레벨로 유지됨에 따라, 클록 드라이버 (150)로부터 출력되는 클록 신호 (CLK)는 신호 경로 (512, 513, 514, 516, 517, 518, 519)를 통해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제한없이 출력된다. 전하 펌프 (110)는 펌프 클록 신호 (CLK_P)에 응답하여 고전압 (Vpgm)을 발생한다.
앞서의 과정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을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그 신호 (PGM_OK)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한다. 플래그 신호 (PGM_OK)가 로우-하이 천이를 가짐에 따라, 래치 (510, 511)의 세트 입력 단자 (S)는 클록 신호 (CLK)의 하이-로우 천이에 동기되어 하이 레벨이 된다. 이는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가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천이되게 한다.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가 하이 레벨이 됨에 따라, 스위치 (240)는 클록 신호 (CLK)를 차단한다. 이와 동시에,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의 로우-하이 천이에 따라 초기화 신호 (RST)가 생성된다. 카운터 (527)는 초기화 신호 (RST)에 의해서 초기화되고, 발진 신호 (OSC)에 응답하여 카운트 동작을 수행한다.
카운트 값이 기준값 (또는 설정값)에 도달할 때 (또는 정해진 제한 구간 시간이 경과할 때), 제한 구간 계산부 (260)는 제한 종료 신호 (LIMIT_END)를 하이로 활성화시킨다. 래치 (510, 511)의 리세트 입력 단자 (R)는 제한 종료 신호 (LIMIT_END)의 로우-하이 천이에 따라 하이 레벨이 된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가 로우로 비활성화되게 한다.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가 로우로 비활성화됨에 따라, 스위치 (240)는 클록 신호 (CLK)를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출력한다. 비활성화된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는 클록 신호 (CLK)의 하이-로우 천이시 다시 활성화되며, 그 결과 클록 신호 (CLK)는 스위치 (240)에 의해서 차단된다. 활성화된 클록 제한 신호 (CLK_LIMIT)는 앞서 설명과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한 구간 계산부 (260)에 의해서 비활성화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보다 낮을 때 (또는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지 않을 때), 클록 신호 (CLK)는 제한없이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출력된다. 이에 반해서,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면, 클록 신호 (CLK)는 일정 시간마다 소정 클록 사이클 만큼 제한적으로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출력된다. 일정 시간마다 규치적으로 소정 클록 사이클 만큼 펌프 클록 신호 (CLK_P)가 전하 펌프 (110)에 공급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의 리플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 (100)가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적용될 때, 고전압 (Vpgm)은 프로그램 동작시 프로그램될 메모리 셀들의 워드 라인에 공급될 것이다. 고전압 (Vpgm)의 리플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전압 발생 회로와 비교하여 볼 때, 프로그램되는 메모리 셀들의 문턱 전압들의 분포는 보다 조밀하게 관리될 수 있다. 이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프로그램 성능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1 클록 사이클의 클록 신호 (CLK)가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전하 펌프 (110)에 공급된다. 하지만, N 클록 사이클 (N은 2 또는 그 보다 큰 정수)의 클록 신호 (CLK)가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전하 점프 (110)에 공급되도록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 (220)를 구현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전압 (Vpgm)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이후, 일정 시간마다 소정 클록 사이클 만큼 펌프 클록 신호 (CLK_P)로서 전하 펌프 (110)로 공급되도록 클록 신호 (CLK)를 제한함으로써 고전압의 리플 크기를 일정하게 그리고 최소 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펌프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을 발생하는 전하 펌프와; 그리고
    상기 고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펌프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은 상기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클록 신호를 제한하고, 상기 제한된 클록 신호를 상기 펌프 클록 신호로서 출력하는 리플 안정화기를 포함하되,
    상기 리플 안정화기는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N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펌프 클록 신호를 제한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상기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은 1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펌프 클록 신호를 제한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하지 않을 때, 상기 펌프 클록 신호는 제한되지 않는 고전압 발생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은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보다 낮아질 때마 다 1 클록 사이클만큼 출력되도록 상기 펌프 클록 신호를 제한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클록 발생 블록은 상기 펌프 클록 신호의 제한 구간이 프로그램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고전압 발생 회로.
  6. 펌프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고전압을 발생하는 전하 펌프와;
    상기 고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낮은 지의 여부에 따라 클록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클록 인에이블 신호 발생기와;
    상기 클록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발진 신호를 클록 신호로서 출력하는 클록 드라이버와; 그리고
    상기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클록 신호를 제한하고, 상기 제한된 클록 신호를 상기 펌프 클록 신호로서 출력하는 리플 안정화기를 포함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상기 리플 안정화기는 1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클록 신호를 제한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하지 않을 때, 상기 클록 신호는 제한되지 않는 고전압 발생 회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 안정화기는 상기 클록 신호의 제한 구간이 프로그램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고전압 발생 회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 안정화기는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보다 낮아질 때마다 1 클록 사이클만큼 출력되도록 상기 클록 신호를 제한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 안정화기는
    상기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발진 신호에 동기된 클록 제한 신호를 발생하는 클록 제한 신호 발생부와; 그리고
    상기 클록 제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록 신호를 상기 펌프 클록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 안정화기는 상기 클록 제한 신호에 응답하여 제한 종료 신호를 발생하는 제한 구간 계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록 제한 신호는 상기 제한 종료 신호의 활성화시 비활성화되는 고전압 발생 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제한 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상기 스위치는 제한없이 상기 클록 신호를 상기 펌프 클록 신호로서 출력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종료 신호는 상기 클록 제한 신호가 활성화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활성화되는 고전압 발생 회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록 제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스위치는 1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클록 신호를 제한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클록 제한 기능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 상기 클록 제한 신호에 관계없이 상기 클록 신호를 상기 펌프 클록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고전압 발생 회로.
  17. 고전압을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이 목표 전압에 도달하였는 지의 여부에 따라 펌프 클록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펌프 클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고전압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한 후, 상기 펌프 클록 신호는 1 클록 사이클만큼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클록 신호는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에 도달하지 않을 때 제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클록 신호는 상기 고전압이 상기 목표 전압보다 낮아질 때마다 1 클록 사이클만큼 출력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76034A 2004-09-22 2004-09-22 리플 안정화 기능을 갖는 고전압 발생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632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034A KR100632951B1 (ko) 2004-09-22 2004-09-22 리플 안정화 기능을 갖는 고전압 발생 회로
US11/025,765 US7215181B2 (en) 2004-09-22 2004-12-28 High voltage generator circuit with ripple stabiliza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034A KR100632951B1 (ko) 2004-09-22 2004-09-22 리플 안정화 기능을 갖는 고전압 발생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177A KR20060027177A (ko) 2006-03-27
KR100632951B1 true KR100632951B1 (ko) 2006-10-11

Family

ID=3607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0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2951B1 (ko) 2004-09-22 2004-09-22 리플 안정화 기능을 갖는 고전압 발생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15181B2 (ko)
KR (1) KR100632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56B1 (ko) * 2005-04-08 2007-06-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전압 펌핑장치
US7368979B2 (en) * 2006-09-19 2008-05-06 Sandisk Corporation Implementation of output floating scheme for hv charge pumps
US7795951B2 (en) * 2007-11-30 2010-09-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High-dynamic range low ripple voltage multiplier
CN102195472B (zh) * 2010-03-08 2014-11-26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电荷泵电路
CN102263500B (zh) * 2010-05-27 2015-07-22 上海华虹宏力半导体制造有限公司 电荷泵电路
US8248153B2 (en) * 2010-06-29 2012-08-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full clock cycle charge pump operation
TWI456874B (zh) * 2011-04-27 2014-10-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電荷幫浦回授控制裝置及其方法
US9250271B2 (en) 2013-08-26 2016-02-02 Globalfoundries Inc. Charge pump generator with direct voltage sensor
CN103631304B (zh) * 2013-12-12 2016-03-2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七研究所 稳压电路
US9196367B2 (en) * 2014-04-02 2015-11-24 Ememory Technology Inc. Non-volatile memory apparatus and erasing method thereof
CN106371491B (zh) * 2014-07-31 2017-12-22 歌尔科技有限公司 高电压发生电路、方法、电源控制电路以及电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6717B2 (ja) 1992-10-28 1998-09-30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チャージポンプ回路
JP3165543B2 (ja) 1993-03-03 2001-05-14 旭化成マイクロシステム株式会社 昇圧回路
KR0142368B1 (ko) 1994-09-09 1998-07-15 김광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자동프로그램 회로
JPH08213901A (ja) * 1995-02-02 1996-08-20 Fujitsu Ltd 位相同期回路及びこれを構成するための回路装置並びに位相同期回路を用いた電子装置
JP3895028B2 (ja) * 1997-12-26 2007-03-22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周波数シンセサイザ
KR100297602B1 (ko) 1997-12-31 2001-08-07 윤종용 비휘발성메모리장치의프로그램방법
KR100331563B1 (ko) 1999-12-10 2002-04-06 윤종용 낸드형 플래쉬 메모리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0343285B1 (ko) 2000-02-11 2002-07-15 윤종용 프로그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프로그램 방법
JP4498633B2 (ja) * 2001-04-06 2010-07-07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オシレータ回路、及び内部電源生成回路
JP4540247B2 (ja) * 2001-04-13 2010-09-08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Pll回路
JP3566950B2 (ja) 2002-02-20 2004-09-15 ローム株式会社 昇圧回路を備えた半導体装置
KR100444491B1 (ko) 2002-04-10 2004-08-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리플 감소를 위한 전원 회로 및 리플 감소 방법
US7064600B1 (en) * 2002-07-12 2006-06-20 Marvell International Ltd. Limit swing charge pump and method thereof
US6781469B2 (en) * 2002-09-13 2004-08-24 Mediatek Incorporation Phase-locked loop having phase detector error signal reshaping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61411A1 (en) 2006-03-23
KR20060027177A (ko) 2006-03-27
US7215181B2 (en)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172B1 (ko)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US10998019B2 (en) Low standby power with fast turn on method for non-volatile memory devices
KR100830575B1 (ko)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의 멀티-블록 소거 방법
US7684246B2 (en) Flash memory device having pump with multiple output voltages
KR100672984B1 (ko) 프로그램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KR100877625B1 (ko) 출력전압의 리플을 감소시키기 위한 고전압 발생회로와 그방법
KR100632951B1 (ko) 리플 안정화 기능을 갖는 고전압 발생 회로
KR100528423B1 (ko) 반도체집적회로및마이크로컴퓨터
KR10158260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640272B2 (en) Semiconductor device control circuit and method thereof
KR100645054B1 (ko)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줄인 전압 분배 회로 및 그것을포함한 워드라인 전압 발생회로
KR100784861B1 (ko)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을 위한 전압 발생회로
KR100855584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에 채용하기 적합한 전압레귤레이팅 회로
KR100648295B1 (ko)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을 위한 전압 발생회로
US7885118B2 (en) Flash memory device and voltage generating circuit for the same
CN113963740B (zh) 断电检测电路及半导体存储装置
KR100645051B1 (ko) 비트 라인 전압에 따른 프로그램 실행 구간의서스펜드/리쥼 기능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CN106384605A (zh) 一种低功耗非易失性电子可编程存储器
JP2003288791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マイクロプロセッサ
KR20080096062A (ko) 향상된 소거 특성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을포함한 메모리 시스템
JP2006185530A (ja)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装置
KR100648278B1 (ko) 벌크 라인 전압에 따른 프로그램 실행 구간의서스펜드/리쥼 기능을 갖는 불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그것의 프로그램 방법
JP4873562B2 (ja) 半導体装置及びicカード
KR100877623B1 (ko) 피크 전류와 전원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고전압발생회로와 그 방법
JPH08212792A (ja) 半導体記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