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930B1 - Real-tim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derivatives - Google Patents
Real-tim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derivativ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2930B1 KR100632930B1 KR1020040098053A KR20040098053A KR100632930B1 KR 100632930 B1 KR100632930 B1 KR 100632930B1 KR 1020040098053 A KR1020040098053 A KR 1020040098053A KR 20040098053 A KR20040098053 A KR 20040098053A KR 100632930 B1 KR100632930 B1 KR 1006329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oadcast
- information
- server
- derivative product
- derivat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6—Characteristics of the server or Internal components of the server
- H04N21/2265—Server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2—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for selling goods, e.g. TV shopp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한 사용자의 방송수신장치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서 방송프로그램과 온라인코드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방송 시청(또는 청취)중 노출된 상기 온라인코드를 유, 무선의 인터넷 단말에 입력 또는 선택하고, 그에 따라 상기 온라인코드에 매칭된 웹 서버로 상기 인터넷 단말을 접속시키며, 이에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인터넷 단말의 접속시간과 상기 온라인코드를 파악한 후 데이터베이스(방송편성프로그램의 정보에 방송채널과 방송시간이 동기화된 방송파생상품의 정보가 저장)로부터 상기 접속시간과 상기 온라인코드에 대응하는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al-time information service for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that is being broadcast.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of a user who receives a broadcast signal outputs a broadcast program and an online code on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to watch the broadcast ( Or listening) input or select the exposed online code to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terminal, thereby connecting the Internet terminal to a web server matching the online code, and the web server accessing the Internet terminal. After the time and the online code are known, the access time and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online code are retrieved from a database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n which the broadcast channel and the broadcast time are synchronized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ing program). Information on the found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s provided to the Internet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방송시 음악 파일별로 해당 코드를 구분하여 노출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가 간단한 특정 코드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정보 제공 또는/및 구매를 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o perform the task of exposing the corresponding code for each music file in order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and the user wants the broadcast derivative simply by using a simple specific code. Provides information and / or purchases about the product.
방송중, 방송파생상품, 온라인코드, 접속시간, 동기화During broadcasting, broadcasting derivatives, online code, access time, synchroniz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개념도.1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for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n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의 도식도.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for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n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의 블록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보인 순서도.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for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on the ai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의 동작 순서도.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방송파생상품의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을 통해 노출되고 있는 방송파생상품을 시청자 또는 청취자가 실시간으로 구매할 수 있게 하는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에 관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for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that allows a viewer or listener to purchase in real time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exposed through the broadcast. It's about how.
여기서, 방송파생상품이란 TV, 라디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 휴대폰, 컴퓨터, PDA 등의 방송수신장치를 통해 방송으로 노출되는 무형의 제품이나 유형의 제품 모두를 뜻한다. 일 예로, TV의 경우 시청 중에 흘러나오는 음악 등이 무형의 제품에 해당하며, 배우들이 착용한 장신구, 의상이나 주위의 소품 등이 유형의 제품에 해당한다.Here,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refers to both an intangible product or a type of product exposed to a broadcast through a broadcast receiving device such as a TV, a radio,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terminal, a mobile phone, a computer, or a PDA. For example, in the case of TV, music flowing out while watching the TV is an intangible product, and ornaments worn by the actors, costumes, or the surrounding props correspond to the type of product.
인터넷 및 방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 TV나 라디오뿐만 아니라 인터넷 단말기와 휴대폰, DBM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방송을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방송 환경이 구축됨으로써, 방송은 정보 전달 및 오락의 매체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광고 매체로서의 역할이 더욱 강화되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broadcast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watch or listen to broadcasts in real time anytime and anywhere using Internet terminals, mobile phones, DBM terminals, as well as TV or radio. With the construction of such a broadcasting environment, broadcasting has further strengthened its role as an advertising medium as well as a medium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entertainment.
현재 방송을 통한 광고 방법으로는 광고 방송 프로그램을 만들어 방송으로 사용자에게 송출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며, 아나운서 등이 방송 중에 제품이나 회사를 언급하여 광고를 하기도 한다. 또한 방송을 이용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387124호에 게재된 바와 같이, 음악 파일별로 특정 코드를 부여하여 음악 파일 방송 중에 그 특정 코드를 노출하고, 방송을 통해 음악을 청취중인 청취자가 특정 코드를 확인하고 특정 코드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면 특정 코드에 매칭된 해당 음악 파일의 디지털 데이터를 청취자에게 다운로드(download)시키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Currently, the method of advertising through broadcasting is to create an advertising program and broadcast it to users through broadcast, and an announcer may refer to a product or company during the broadcast and advertise. In addition, as another method of using broadcasting,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387124, a specific code is assigned to each music file to expose the specific code during broadcasting of a music file, and a listener who is listening to music through the broadcasting receives a specific code. Upon checking and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a specific code, a method of downloading digital data of a corresponding music file matching a specific code to a listener is provided.
그러나 상기 381724호 방법은 음악 파일마다 서로 다른 코드를 일일이 부여하여야 하고, 방송시 방송되는 음악 파일에 해당하는 코드를 구분하여 노출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음악 파일의 종류별로 서로 다른 코드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음악 파일의 종류가 방대하므로 매우 긴 코드를 사용해야 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7자리 이상의 복잡한 숫자 코드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in the method of 381724, a different code is to be given to each music file one by one, and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music file to be broadcasted is broadcast. In addition, in order to give different codes to different types of music files, a huge number of music files must be used, and thus, a long code must be used. Therefore, a user has to enter a complicated numeric code of seven or more digits one by one.
방송을 시청 또는 청취중에 사용자는 방송을 통해 노출되는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구매 욕구를 느끼게 된다. 상기 방송파생상품은 주제정보 파생상품, 출연자정보 파생상품, 음향정보 파생상품, 영상정보 파생상품, 소품정보 파생상품 및 기타 파생상품으로 구분된다.While watching or listening to a broadcast, a user may feel a desire to purchase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exposed through the broadcast. The broadcast derivatives are classified into topic information derivatives, performer information derivatives, sound information derivatives, video information derivatives, prop information derivatives, and other derivatives.
주제정보 파생상품은 프로그램의 소단위별 주제 및 이 주제에 관련된 유, 무형의 상품이고, 출연자정보 파생상품은 프로그램에 출연한 출연자의 이름, 프로필(profile) 등 출연자에 관련된 유, 무형의 상품이며, 음향정보 파생상품은 프로그램에 삽입된 가수의 노래, 배경음악, 효과음이고, 영상정보 파생상품은 방송을 촬영한 장소 또는 촬영 세트, 무대 장치 등에 관련된 유, 무형의 상품이며, 소품정보 파생상품은 출연자가 입고 있는 의상 또는 착용한 액세서리, 가방, 신발 등이다. 그리고 기타 파생상품은 상기 언급한 파생상품이외에 방송에 필요한 기타 정보이며, 예를 들면 영상정보 파생상품과 어울릴 만한 각종 제품, 전자제품, 가구 등을 들 수 있다.Thematic information derivatives are sub-topics of the program and tangible or intangible commodities related to the subject. Performer information derivatives are tangible and intangible commodities related to the performer, such as the name and profile of the performer. Acoustic information derivatives are songs, background music, and sound effects of singers embedded in the program, and visual information derivatives are tangible or intangible products related to the place where the broadcast was filmed or a set or stage device. Clothing or accessories, bags, shoes, etc.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derivatives, other derivatives are other information necessary for broadcasting, and for example, various products, electronic products, furniture, etc., which are suitable for video information derivatives.
본 발명은 상술한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간단한 입력만으로 사 용자가 현재 시청(또는 청취)중인 방송파생상품을 파악하고 방송파생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information of the above-mentioned broadcast derivative products. In more detai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that a user is currently watching (or listening to) and provid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nformation by a simple input of a user.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사로는 지상파 방송국, 인터넷 방송국, 케이블 방송국, 위성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등이 있으며, 각 방송국은 다수의 채널을 통해 서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러한 각 방송국의 방송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 측에는 방송수신장치를 구비한다. 방송수신장치는 장치의 기종에 따라 수신 가능한 방송 주파수가 결정되어 있는데, 그 종류를 보면 일반 TV, 디지털 TV, 양방향 디지털 TV, 휴대폰, 컴퓨터, PDA, 위성 수신단말, 위성 DBM 단말 등이 있다.Broadcasting stations that provide broadcast information include terrestrial broadcasting stations, internet broadcasting stations, cable broadcasting stations, satellite broadcasting stations, and radio broadcasting stations. Each broadcasting station provides different broadcasting programs through a plurality of channels. In response to the broadcast signal of each broadcasting station, a broadcasting receiver is provided on the user side.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has a broadcast frequency that can be received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apparatus. The type includes a general TV, a digital TV, a two-way digital TV, a mobile phone, a computer, a PDA, a satellite receiving terminal, and a satellite DBM terminal.
사용자는 자신의 방송수신장치의 종류에 따라 하나 이상의 방송국으로부터 송출한 방송신호를 시청(또는 청취) 하게 되는데, 시청(또는 청취) 가능한 채널이 적게는 십여 개에서 많게는 백여 개 정도이다.A user may view (or listen to)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one or more broadcasting st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his or her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the number of available channels for viewing (or listening) is about ten to as many as one hundred.
결국 방송 청취 또는 시청중인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또는 청취) 중인 채널과 그 채널에서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 정보를 파악해야 하며, 시청(청취) 중인 프로그램 정보에 관련된 방송파생상품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하고,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방송파생상품이 음악 파일만을 제공하는 종래에 비해 훨씬 방대한 종류로 이루어져 있지만 종래보다 짧은 고유코드를 사용해야 한다.As a result,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broadcast derivative products required by a user who is listening to or watching a broadcast, the user must grasp a channel that is currently being watched (or listened to) and program information currently being broadcast from the channel. It is necessary to grasp what is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related to, and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uch larger type than the conventional one which provides only a music file, but a short unique code must be used.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청 또는 청취중인 방송 채널을 식별할 수 있게 하고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고유코드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고유코드는 온라인 접속 기능을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온라인코드라고 칭한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unique code that allows a user to identify the broadcast channel being watched or listened to and to access an Internet server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Since the unique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nline access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line code.
온라인코드는 각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모든 채널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이 존재하며 특정 채널에서 방송하는 모든 방송프로그램에 동일한 형태로 포함되어진다. 여기서 온라인코드는 방송수신장치의 종류와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의 종류를 고려하여 그 표시 형태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 are as many online codes as the number of all channels provided by each broadcasting station, and they are included in the same form in all broadcasting programs broadcasting in a specific channel.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online code has a different display form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net server.
본 발명은 온라인코드를 통해 파악한 방송 채널에서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을 파악할 수 있도록 온라인코드를 통해 상기 인터넷 서버에 접속한 시점 즉, 접속시간을 이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시청 또는 청취 중인 시점의 방송프로그램에 시간적으로 동기화된 방송파생상품을 인터넷 서버에 저장시켜, 접속시간을 통해 방송프로그램 및 이 방송프로그램에 동시간으로 동기화된 방송파생상품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time point, that is, an access time, when accessing the Internet server through an online code so as to identify a program currently being broadcast in a broadcast channel identified through an online code. In addition,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synchronized with the broadcast program at the time of viewing or listening to the user is stored in the Internet server, so that the broadcast program and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synchronized with the broadcast program at the same time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access time. .
결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송국으로부터 각 채널별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편성정보 서버; 상기 채널별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방송파생상품 DB서버; 상기 방송편성정보 서버와 상기 방송파생상품 DB서버에 저장된 각각의 채널별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정보와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채널정보와 방송시간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방송동기서버;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제공서버; 및 온라인코드에 매칭된 IP 주소를 가지며,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온 라인코드를 통해 접속하면 상기 온라인코드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시간을 파악하여 상기 온라인코드와 상기 접속시간에 대응하는 방송파생상품을 상기 방송동기서버를 통해 파악하고, 상기 방송파생상품을 상기 컨텐츠제공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코드는 상기 방송채널의 식별정보와 상기 웹 서버의 접속 정보로 이용하며 각 방송국의 채널별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roadcast programming information server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a broadcast programming program for each channel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DB server configured to store information on broadcast derivative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ming program for each channel; A broadcast synchronization server for synchronizing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ming program for each channel and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stored in the broadcast listing information server and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DB server based on the channel information and the broadcast time; A content providing server providing information of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to a user terminal; And an IP address matched with an online code, and when the user terminal connects through the online code, grasps the access time between the online code and the user terminal and supplies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online code and the access time. And a web server for identifying through the broadcast synchronization server and providing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through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wherein the online code is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channel and access information of the web server. Provides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for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on the air,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for each channel of.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한 사용자의 방송수신장치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서 방송프로그램과 온라인코드를 출력하는 제1 단계;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에 상기 온라인코드를 입력 또는 선택하는 제2 단계; 상기 온라인코드에 매칭된 웹 서버로 상기 인터넷 단말을 접속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웹 서버는 상기 인터넷 단말의 접속시간과 상기 온라인코드를 파악하는 제4 단계; 상기 웹 서버는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정보에 방송채널과 방송시간이 동기화된 방송파생상품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접속시간과 상기 온라인코드에 대응하는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검색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웹 서버는 상기 검색한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상기 인터넷 단말에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코드는 상기 방송채널의 식별정보와 상기 웹 서버의 접속 정보로 이용하며 각 방송국의 채널별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tep of outputting a broadcast program and an online code in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by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of a use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A second step of inputting or selecting the online code in a user's Internet terminal; A third step of connecting the internet terminal to a web server matching the online code; A fourth step of identifying, by the web server, the access time of the Internet terminal and the online code; The fifth step of the web server retrieving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access time and the online code from a database in which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n which the broadcast channel and the broadcast time are synchronized are stored in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ming program; And the web server providing the searched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nformation to the Internet terminal, wherein the online code is us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channel and access information of the web server. It provides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for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s on the air, characterized in that different for each channe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의 도식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chematic conceptual view showing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for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for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 of the method.
지상파 방송국(110), 인터넷 방송국(120), 케이블 방송국(130), 위성 방송국(140), 라디오 방송국(150) 등의 방송국(100)은 지상파 방송, 유선 방송, 위성 방송, 디지털 방송, 지상파 DBM, 위성 DMB, 인터넷 방송, 라디오 방송 등의 방송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각 방송국은 방송 신호에 하나 이상의 온라인코드를 포함시켜 송출한다.The
사용자측은 방송수신장치(300)를 구비하며, 방송수신장치(300)의 기종에 부합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방송 프로그램과 온라인코드를 노출시킨다(S1). 방송수신장치(300)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과 온라인코드가 노출되면, 사용자는 온라인코드를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에 입력하여 인터넷 서버에 접속한다(S2). The user side includes a
여기서 상기 방송파생상품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는 본 발명의 실시간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200)(이하,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이라 함)에 포함되는 일부 구성이다.Here, the internet server providing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real-tim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providing system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온라인코드를 수신하면, 온라인코드와 접속시간에 대응하는 방송파생상품을 파악하고, 파악한 방송파생상품을 사용자 단말의 기종과 방송파생상품의 형태에 부합하는 데이터 형태로 하여 제공한다(S3). 이 결과로 해당 사용자 단말은 방송파상생품 제공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정보를 노출시킨다(S4).When the broadcast derivative
상기 S4 과정에서 노출되는 방송파생상품의 데이터 형태는 텍스트, 웹페이지, 정지 이미지, 동영상 다운로딩, 동영상 스트리밍, 음향 다운로딩, 음향 스트리밍, 실시간 방송, 및 현물상품 쇼핑 형태 등이다.Data types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s exposed in the S4 process are text, web pages, still images, video downloading, video streaming, sound downloading, sound streaming, real-time broadcasting, and spot product shopping.
상기 S4 과정을 통해 방송파생상품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노출된 후, 사용자가 노출된 방송파생상품을 선택하면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200)은 해당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하거나, 가능한 서비스 항목 제공 또는,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S5).After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s exposed to the user through the S4 process, when the user selects the exposed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the broadcast derivative
이하,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시스템 즉,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n broadcast, that is,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3 is a block diagram of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200)은 방송편성정보 서버(210), 방송파생상품 DB서버(220), 방송동기서버(230), 컨텐츠 D/L(Download) 서버(240), VOD S/T(Streaming) 서버(250), VOD D/L 서버(260), 쇼핑 서버(270)와, 웹서버(2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broadcast derivative
방송편성정보 서버(210)는 각 방송국(100)에서 제공하는 각 채널별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방송파생상품 DB서버(220)는 각 채널별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세부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한다. 이때 입력되는 방송파생상품의 정보에는 시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시간정보는 방송파생상품이 방송을 통해 노출되는 방송시간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roadcasting
여기서 상기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세부 정보에는 채널정보, 프로그램 정보, 주제정보, 출연자 정보, 음향정보, 영상 정보, 소품정보, 시간정보와 기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정보는 채널의 이름이고, 프로그램 정보는 프로그램이름이며, 주제 정보는 프로그램의 소단위별 주제이고, 출연자 정보는 출연자 이름이며, 음향정보는 가수의 노래, 배경음악, 효과음이고, 영상 정보는 촬영장소 또는 촬영 세트이며, 소품 정보는 의상, 액세서리, 각종 제품이고, 기타 정보는 상기 정보 이외에 방송에 필요한 특수 제품에 대한 정보이며, 시간 정보는 전술한 각 정보가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시간(즉, 방송시간)에 대한 정보이다.Here,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includes channel information, program information, theme information, performer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prop information, time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The channel information is the name of the channel, the program information is the program name, the subject information is the theme of each subunit of the program, the performer information is the name of the performer, the sound information is a singer's song, background music, sound effects, image information is taken It is a place or a shooting set, the prop information is clothes, accessories, various products, and oth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special products necessary for broadcasting in addition to the above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is a time (ie, broadcasting) when each of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Time).
방송동기서버(230)는 방송편성정보 서버(210)와 방송파생상품 DB서버(220)에 저장된 각각 채널별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채널정보(또는 온라인코드)와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방송파생상품이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정보에 동기화되도록 하며, 동기화된 정보를 데이터 형태에 따라 컨텐츠 D/L 서버(240), VOD S/T 서버(250), VOD D/L 서버(250)와 쇼핑서버(270)로 구분하여 각 서버로의 링크가 가능하도록 방송파생상품을 배치한다. The
컨텐츠 D/L 서버(240)는 방송파생상품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VOD S/T 서버(250)는 방송파생상품 중 동영상 상품을 스트리밍(streaming) 플레이(play)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VOD D/L 서버(250)는 방송파생상품 중 동영상 상품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쇼핑서버(270)는 방송파생상품 중 현물 상품을 판매 또는/및 구매하는 쇼핑 기능을 수행한다. 쇼핑서버(270)의 구매 서비스는 통 상의 전자상거래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 D/L 서버(240), VOD S/T 서버(250), VOD D/L 서버(260)과 쇼핑 서버(270)는 웹 서버(28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The content D /
웹 서버(280)는 인터넷 단말(310)가 접속한 시간과 인터넷 단말로부터 수신된 온라인코드를 파악하여, 방송 채널 및 이 채널에서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이 방송중인 현재 시간(접속시간)에 동기화된 방송파생상품을 사용자 단말(310)의 기종 즉, 수신한 온라인코드의 형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310)에 제공한다.The
이하,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실시간 정보제공 서비스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real-time information on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n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eal-time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for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n broadcas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방송국(100)에서는 채널별 방송신호 송출시 하나 이상의 온라인코드를 방송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하고(S401), 이러한 채널별 방송신호는 방송수신장치(300)에 수신되고(S402), 사용자가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면 방송수신장치(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튜닝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킨다(S403). 이때 온라인코드의 노출은 화면을 통한 시청각 노출인 경우에 각 방송 화면의 자막으로 처리되어 상시 노출되고, 스피커를 통한 청각 노출인 경우에 아나운서 또는 진행자의 안내를 통해 노출된다.Each
여기서, 온라인코드는 방송수신장치(300)의 종류 및 인터넷 서버로의 접속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를 가짐으로 인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태의 온라인코드를 동시에 노출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 접속을 자유롭게 한다.Here, the online code has a variety of forms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the
여기서 온라인코드의 형태에 대한 일예를 들면, 핫 넘버,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양방향 기능 버튼(또는 온라인 핫키 버튼) 정보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form of the online code include a hot number,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and a bidirectional function button (or online hotkey button) information.
핫 넘버는 **27 또는 **28, #* 25와 같이 숫자, 문자, 특수문자 또는 그 조합의 형태를 가지며, 숫자 및 문자 입력이 가능한 인터넷 단말기에 사용된다. 특히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는 PDA, 핸드폰 등의 무선 인터넷 단말기과 DMB 단말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URL은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버에서 특정 방송파생의 정보가 기록된 웹페이지의 주소이고, 유선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컴퓨터 등의 유선 인터넷 단말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양방향 기능 버튼 정보와 온라인코드 핫키 버튼 정보는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해당 사용자 단말에 구비(또는 설정)된 버튼을 지시하거나 조작을 지시하는 정보로서, 양방향 기능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인터넷 서버에 접속된다. 양방향 기능 버튼 정보가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로는 양방향 디지털 TV, DMB 단말 등이 있다.Hot numbers are in the form of numbers, letters, special characters, or a combination thereof, such as ** 27 or ** 28, # * 25, and are used for Internet terminals capable of entering numbers and letter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be used in wireless Internet terminals such as PDAs, mobile phones and DMB terminals connected to an Internet server through a wireless data network. The URL is an address of a web page in which information of a specific broadcast derivative is recorded in an Internet server providing information of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and is preferably used for a wired Internet terminal such as a computer that accesses the Internet through a wired network. The bidirectional function button information and the online code hotkey button information are information for instructing or manipulating a button specifically provided (or set) in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internet server. The user terminal on which the interactive function butt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cludes a two-way digital TV and a DMB terminal.
상기와 같이 방송수신장치(300)를 통해 방송을 시청 또는 청취중에 온라인코드가 노출되는 상태에서 화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소망하는 방송파생상품이 나오면 사용자는 자신의 인터넷 단말(310)에 현재 시청(또는 청취) 중에 노출되는 온라인 코드를 입력하거나 선택하여 웹 서버(280)로의 접속을 요구한다(S404). 여기서,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은 방송신호 수신 및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일 수 있으며, 핸드폰, PDA, 컴퓨터 등 일 수 있다.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의 경우에 해당 양방향 기능버튼(또는 온라인코드 핫키 버튼)이 구비(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a desired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comes out through a screen or a speaker while an online code is exposed while watching or listening to a broadcast through the
사용자의 인터넷 단말(310)은 온라인코드가 입력되거나 선택되면 단말에 설정된 데이터 통신규격에 따라 해당 통신망에 접속하여 웹 서버(280)로의 접속을 요구하여 웹 서버(280)에 접속된다(S405). 이때 인터넷 단말(310)은 웹 서버(280)에게 온라인코드를 제공한다.When the
웹 서버(280)는 사용자 단말(310)로부터 온라인코드를 수신하면, 온라인코드를 수신한 시간(접속시간)을 파악한다. 그리고 온라인코드를 설정된 채널별 온라인코드 테이블에 적용하여 방송채널을 판단하고, 접속시간을 통해 방송시간(또는 방송송출시간)을 판단한다. 이렇게 방송채널과 방송시간을 파악하면, 웹 서버(280)는 방송동기서버(230)에 저장된, 동기화된 방송파생상품 정보 중에서 방송채널과 방송시간이 일치하는 방송파생상품을 검색한다(S406). 여기서 본 발명은 방송채널 대신에 온라인코드를 이용하여 방송파생상품을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이러한 검색 과정(S406)을 통해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찾으면, 웹 서버(280)는 각 서버(240 내지 260)로의 링크 배치에 따라 해당 서버(240 내지 260 중 하나)로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서버(240 내지 260 중 하나)는 사용자 단말(310)로 해당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한다(S407).When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s is found through the search process (S406), the
사용자 단말(310)은 상기 과정(S407)을 통해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화면상에 출력시켜 사용자가 현재 방송 시청(또는 청취) 중인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하게 한다(도 2의 S4 참조).When the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310)을 통해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확인하여 구매 욕구를 느끼면, 원하는 구매 서비스나 구매 항목을 방향키나 마우스로 선택하거나 특정 핫키로 선택하여 구매를 요구한다(S408). 이러한 구매 요구가 발생하면, 웹 서버(280)는 쇼핑 서버(270)로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구매 요구를 알린다. 이에 쇼핑 서버(270)는 사용자 단말에게 전자상거래 방법에 따른 구매 절차를 사용자 단말(310)과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유형의 방송파생상품이 사용자에게 판매되게 한다(S409).When the user checks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through his
이하, 도 5를 참조로 하여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in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providing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방송파생상품 제공시스템(200)의 방송편성정보 서버(210)는 각 방송국(110 내지 150)으로부터 채널별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세부 정보를 수신한다(S501). 이때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세부 정보는 실제로 방송신호를 송출하기 전에 방송편성정보 서버(210)에 제공된다. 방송편성정보 서버(210)는 채널별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세부정보를 수신하면 정보 수신을 동기화 서버(230)에 알린다.The broadcast
상기와 같이 채널별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세부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자는 채널별 방송편성프로그램의 세부정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방송파생상 품의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방송파생상품 DB서버(220)에 입력한다(S502). 방송파생상품 DB서버(220)는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정보 입력을 방송동기서버(230)에 알린다. Whe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hannel programming program for each channel is received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provider determines what kind of broadcasting derivative products to provide to the user through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hannel programming program for each channel, and accordingly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It is input to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DB server 220 (S502). The broadcast derivative
방송동기서버(230)는 방송편성정보 서버(210)와 방송파생상품 DB서버(220)로부터 각각의 정보를 수신하면, 온라인코드를 통해 파악되는 고유채널정보와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방송파생상품을 방송편성정보에 동기화시킨다(S503).When the
상기 동기화 과정(S503)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방송편성정보 서버(210)와 방송파생상품 DB서버(220) 간 SQL 서버의 DTS(Data Transfer Service)를 패키지화한다. 여기서, DTS란 사용자가 입력한 온라인코드와 접속시간을 키워드(keyword)로 두 서버(210과 220)를 검색하여 그 결과값을 보여주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DTS를 패키지화한다는 것은 프로그램 모듈을 방송동기서버(230)에 상주시켜 항상 동작하도록 준비시킨다는 의미이다.The synchronization process (S50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a DTS (Data Transfer Service) of a SQL server is packaged between the broadcast
이렇게 패키지화한 DTS를 방송동기서버(230)의 JOB 프로그램 모듈에 등록하여 초 단위의 시간마다 자동 실행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JOB 프로그램 모듈은 자동 실행을 위한 스케쥴링 프로그램 모듈을 말한다. 그리고 JOB 프로그램 모듈에 등록된 패키지화된 DTS를 통해 방송 송출 초단위의 시간마다 동기화 작업이 자동 실행되도록 방송동기서버(230)를 설정한다.The packaged DTS is registered in the JOB program module of the
상기와 같이 설정된 방송동기서버(230)는 방송편성정보 서버(210)에 방송편성정보가 수신되고 이에 대응하는 방송파생상품이 DB서버(220)에 입력되면, SQL 서버에서 온라인코드(또는 방송채널정보)와 접속시간(방송시간)을 이용하여 방송편성 프로그램에 해당 방송파생상품을 동기화시킨다.The
이렇게 동기화가 끝나면, 방송동기서버(230)는 방송파생상품의 형태 즉, 텍스트인지 다운로드용 동영상인지, 스트리밍용 동영상인지, 이미지인지를 파악하고(S504), 이렇게 파악한 형태별로 분류하여 해당 형태의 방송파생상품을 처리하는 서버(240 내지 260 중 하나)에 링크 배치한다(S505).After the synchronization is completed, the
상기와 같이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동기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310)이 접속하면(S506), 웹 서버(280)는 온라인코드(또는 방송채널)와 접속시간을 파악하고(S507), 이를 이용하여 방송파생상품을 검색한 후(S508), 해당 방송파생상품을 그 형태에 부합하게 사용자 단말(310)에 제공한다(S509).As described above, when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코드와 접속시간에 대응하는 방송파생상품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웹 서버(280)는 사용자 단말에게 방송파생상품의 목록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선택을 요구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online code and the access time may be one or more. In this case, the
한편, 본 발명의 웹 서버(280)는 온라인코드와 접속시간에 대응하는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접속시간 이전의 방송파생상품의 정보 또는/ 및 접속시간 이후의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추가되는 접속시간 이전 또는/ 및 이후 시간에 대응한 방송파생상품의 수는 설계자의 임의로 결정된다.Meanwhil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only and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방송파생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방송시 음악 파일별로 해당 코드를 구분하여 노출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가 간단한 특정 코드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방송파생상품에 대한 정보 제공 또는/및 구매를 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o perform the task of dividing the corresponding code for each music file in order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esired broadcast derivative product only by using a simple specific code by the user. Make a purchase.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8053A KR100632930B1 (en) | 2004-11-26 | 2004-11-26 | Real-tim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derivativ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8053A KR100632930B1 (en) | 2004-11-26 | 2004-11-26 | Real-tim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derivativ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8980A KR20060058980A (en) | 2006-06-01 |
KR100632930B1 true KR100632930B1 (en) | 2006-10-11 |
Family
ID=3715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80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2930B1 (en) | 2004-11-26 | 2004-11-26 | Real-tim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derivativ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293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9429B1 (en) * | 2005-03-30 | 2007-07-13 | (주) 엘지텔레콤 | Device for providing DMB linked music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KR100773513B1 (en) * | 2006-03-23 | 2007-11-06 | 박일관 | Broadcasting program sponsored product guidance system based on online network |
KR101387482B1 (en) * | 2007-04-03 | 2014-04-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necting to network server and Terminal using this method, and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using broadcast |
KR101156020B1 (en) * | 2010-04-30 | 2012-06-18 | (주)블루다임 | TV talk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8011A (en) | 2000-03-08 | 2001-09-21 | Sony Corp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data reception method and device, data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
-
2004
- 2004-11-26 KR KR1020040098053A patent/KR10063293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8011A (en) | 2000-03-08 | 2001-09-21 | Sony Corp |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data reception method and device, data display method and device, and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8980A (en) | 2006-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39327B2 (en) | System and method for user logging of audio and video broadcast content | |
CN105210376B (en) | Metadata associated with currently playing TV programme is identified using audio stream | |
US20060173825A1 (en) |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internet search/play media services | |
US20160337059A1 (en) | Audio broadcasting content synchronization system | |
JP7053655B2 (en) | Target content placement using overlays | |
US20080148316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which relates in broadcasting | |
WO2004068860A1 (en) | Information server apparatus, client terminal apparatus, sub-client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program therefor | |
CN108628922A (en) | Determine the search inquiry for obtaining information during the user experience of event | |
JP2003203035A (en) | Information delivery method an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nformation delivery program, edit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KR20090059923A (en) | Multimedia providing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lated to a search term and a multimedia device applying the same | |
JPWO2003021943A1 (en) | Broadcast receiving method, broadcast system, broadcast content creation device, transmitter, medium, and program | |
US20150177958A1 (en) | Providing context information relating to media content that is being presented | |
JP2010166168A (en) | Video distribution server,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distribution system | |
CN104038774B (en) | Generate the method and device of ring signal file | |
JP2023184537A (en) | Generating media station previews using a reference database | |
CN105872811A (en) | Processing method of video associated music videos and video playing device | |
CN105208449A (en) |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ously browsing relevant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ed television programs | |
WO2020138342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KR100632930B1 (en) | Real-time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derivatives | |
KR101607649B1 (en) |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inserted music and advertisement based on music shar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 |
JP2012084966A (en) | Moving image information viewing device and moving image information viewing method | |
KR101017939B1 (en) | Digital content display system and digital content display means creation method | |
JP2007036523A (en) | System for synchronously cooperating with television program | |
KR101214515B1 (en) | System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 |
WO2014043987A1 (en) |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