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301B1 - Car Battery Terminal Structure - Google Patents
Car Battery Terminal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2301B1 KR100632301B1 KR1020050098779A KR20050098779A KR100632301B1 KR 100632301 B1 KR100632301 B1 KR 100632301B1 KR 1020050098779 A KR1020050098779 A KR 1020050098779A KR 20050098779 A KR20050098779 A KR 20050098779A KR 100632301 B1 KR100632301 B1 KR 100632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onnector
- receptacle
- battery terminal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8—Engine compart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의 선단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커넥터와,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의 선단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커넥터와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에는 칼라(collar)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일측이 개방된 슬릿을 포함하는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 회동 시 칼라는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되어 커넥터와 리셉터클을 결합시키게 되는 바,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 결합 시 발생되는 배터리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provided at any one of the front end of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battery cable, and a receptacle provided at the other one of the front end of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battery cable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One of th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is formed with a collar,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lever including a slit open on one side, the collar is moved along the slit when the lever is rotated to couple th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It provides a battery terminal structure for automobiles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terminal generated when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battery cable is combined.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terminal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terminal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커넥터가 마련된 자동차용 배터리를 도시하는 사시도.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battery provided with a connector.
도 3b는 도 3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3A.
도 3c는 상기 도 3b 중 다른 실시예의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3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or formed on one side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3B.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케이블에 장착되는 리셉터클을 도시하는 사시도.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mounted on a battery cab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상기 도 4a의 분해사시도.Figure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gure 4a.
도 4c와 도 4d는 상기 리셉터클 내부에 구비되는 접속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4C and 4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connection terminals provided in the receptacle.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커넥터와 리셉터클의 결합과정을 도시하는 도면.5A to 5C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배터리 터미널 110 : 커넥터100: battery terminal 110: connector
120 : 리셉터클 130 : 레버120: receptacle 130: lever
140 : 패킹 150 : 접속단자140: Packing 150: Connection terminal
B : 배터리 C : 배터리 케이블B: Battery C: Battery Cable
T1, T2 : 배터리 단자T1, T2: battery terminal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단자와의 결속력이 우수하고 과다한 토크에 의해 배터리 단자 및 터미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terminal structure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terminal structure for an automobile which can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terminal due to excessive torque and an excessive torqu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는 전장 부품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원인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는 엔진룸 내부에서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전장 부품들과 각종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In general, a battery that is a power supply source for the operation of electrical components is installed in an engine room of a vehicle. The battery is fixedly installed in the engine compartment by a bracket or the like, and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by various cable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terminal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10)은 배터리 단자(미도시)와 결착되는 접속부(20)과, 상기 접속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의 전기장치로 연결하는 케이블 결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접속부(20)는 배터리 단자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측 중앙에 원형의 공간(24)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24)의 일측에는 개구(26)가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이중 구조의 본체(22)와, 상기 개구(26)의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그 측방향으로 고정볼트(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착홈(28)이 형성된 조임구(32)를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조임구(32)는 상기 원형 공간(24)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 1 조임구(34)와 제 2 조임구(36)로 구성되고, 상기 각 조임구(34, 36)의 상단 및 하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플랜지(38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2)의 상단 및 하단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플랜지(38b)가 형성되며, 이때 본체(22)의 플랜지(38b)는 상기 조임구(32)의 플랜지(38a)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fastener 32 is composed of a
한편, 상기 케이블 결착부(40)는 케이블 단자(42)와, 상기 본체(2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각 플랜지(38b)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 1 연결부재(44)와, 상기 제 1 연결부재(44)로부터 연장되고 내측이 상기 케이블 단자(4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 2 연결부재(4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부재(46)의 상면에는 볼트(48)가 상향 돌출되고, 케이블(70)의 일단부에는 소정의 관통공(72)이 형성된 결속단자(74)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72)을 통해 상기 볼트(48)가 관통되어 너트(76)로 고정됨으로써 배터리 단자, 배터리 터미널(10) 및 케이블(70)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10)은 고정볼트(60)가 결합되는 결착홈(28)이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터미널의 측방향으로 고정볼트(60)가 체결된다. 따라서 배터리 단자에 터미널 장착 시 공구의 간섭이 발생되고, 특히 배터리의 (+)단자에 터미널 장착 시 차체에 공구가 접촉하는 경우 단락이 발생하는 위험이 있다. 또한, 접속부가 한 쌍으로 구비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 단자와의 탈착이 용이하지 못하며, 터미널 장착 시 발생되는 과다한 토크에 의해 배터리 단자 및 터미널이 손상될 수 있다.However,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에 커넥터와 리셉터클을 각각 구비하여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 결합 시 발생되는 배터리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battery cable having a connector and a receptacle, respectively, to provide a battery terminal structure for a vehicle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terminal generated when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battery cable is coupled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에 커넥터와 리셉터클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의 탈착이 용이하고, 그 결합 시 발생되는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terminal structure for an automobile tha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a battery terminal and a battery cable by providing a connector and a receptacle on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battery cable, respectively, and can prevent a short circuit occurring during the coupling. hav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의 구성요소는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의 선단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커넥터와,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의 선단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Components of the vehicle battery termi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the connector provided on any one of the front end of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battery cable, and the other of the front end of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battery cable And a receptacl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or.
이때, 상기 커넥터와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에는 칼라(collar)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일측이 개방된 슬릿을 포함하는 레버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 회동 시 칼라는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되어 커넥터와 리셉터클을 결합시키게 된다.At this time, one of th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is formed with a collar (collar),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lever including a slit open one side, the collar is moved along the slit when the lever is rotated to connect th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Will be combin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terminal structur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의 배터리 터미널(100)은, 배터리 단자에 마련되는 커넥터(110)와, 배터리 케이블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커넥터(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셉터클(1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120)에는 상기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레버(130)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 중에서 배터리 단자에 마련되는 커넥터(110)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The
도 3a는 커넥터가 마련된 자동차용 배터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c는 상기 도 3b 중 다른 실시예의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battery provided with a connector,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3A, and FIG. 3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formed on one side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3B.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의 구성요소 중 커넥터(110)가 마련된 자동차용 배터리(B)는 그 양측에 한 쌍의 배터리 단자(T1, T2), 즉 +/-단자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단자(T1, T2)의 둘레에는 배터리 단자(T1, T2)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넥터(110)가 위치된다.As shown in Figure 3a, of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battery termi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vehicle battery B is provided with a
여기서 상기 배터리 단자(T1, T2)는 종래의 배터리 단자와 달리 판재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배터리 단자(T1, T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판재형상의 배터리 단자(T1, T2)는 그 하단부가 자동차용 배터리(B)의 내부에 마련된 스트랩(미도시)과 연결되는데, 상기 스트랩은 자동차용 배터리(B)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극판(미도시)과 연결되므로 극판에서 발생된 전기는 스트랩을 통해 상기 배터리 단자(T1, T2)로 전달된 다.Here, the battery terminals T1 and T2 are formed in a plate shape unlike the conventional battery terminals. That is, the battery terminals T1 and T2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 formed in a plate shape that is elongated in one direction. In this case, the plate-shaped battery terminals (T1, T2) of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a strap (not shown)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automotive battery (B), the strap is a plurality of straps provided in the automotive battery (B) Since it is connected to the pole plate (not shown),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pole plate is transferred to the battery terminals T1 and T2 through a strap.
상기 한 쌍의 배터리 단자(T1, T2)는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자동차용 배터리(B)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b와 같이 한 쌍의 배터리 단자(T1, T2) 중 어느 하나(T1)는 자동차용 배터리(B)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T2)는 자동차용 배터리(B)의 측면에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후자와 같이 한 쌍의 배터리 단자(T1, T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경우, 상기 한 쌍의 배터리 단자(T1, T2)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배터리 케이블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 케이블의 와이어링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다.The pair of battery terminals T1 and T2 may b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vehicle battery B as shown in FIG. 3A and protrude upward. As shown in FIG. 3B, the pair of battery terminals T1 and T2 may be formed. Any one of T2) T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battery B and protrudes upward, and the other T2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battery B and protrudes laterally. have. Among these, when the pair of battery terminals T1 and T2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as in the latter case, a pair of battery cabl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battery terminals T1 and T2 may be connected in different directions. It can be connected so that the wiring position of the battery cable can be changed freely.
한편, 도 3c에 도시된 커넥터(110)는 자동차용 배터리(도 3b의 B)의 측면에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배터리 단자(도 3b의 T2)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배터리(B)의 양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배터리 단자(T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Meanwhile, the
상기 커넥터(110)의 형상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그 평면 형상은 배터리 단자(T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형상이고, 상기 배터리 단자(T2)의 돌출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110)의 좌우측면, 즉 만곡된 형상의 측면에는 그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칼라(collar, 1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칼라(112)는 후술할 리셉터클(도 4a의 120)의 제 1 슬릿(도 4a의 100)과 레버(도 4a의 130)의 제 2 슬릿(도 4a의 100)에 삽입되어 레버(130) 회동 시 제 1 슬릿(100)을 따라 이동하며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을 결합시킨다. 또한, 상 기 커넥터(110)의 상하면에는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11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114) 사이에는 걸림턱(1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14)는 상기 커넥터(110)에 결합되는 리셉터클(12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걸림턱(116)은 후술할 리셉터클(120)의 걸림홈(도 4a의 100)과 결합하여 리셉터클(120)이 커넥터(11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Looking at the shape of the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넥터(110)는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제작되고, 그 재질은 합성수지이다. 또한, 상기 커넥터(110)는 자동차용 배터리(B)의 하우징에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자동차용 배터리(B)의 하우징과 커넥터(110) 사이로 수분 및 이물질 등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케이블에 장착되는 리셉터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c와 도 4d는 상기 리셉터클 내부에 구비되는 접속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ceptacle mounted on a battery cab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A, and FIGS. 4C and 4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receptacle. to be.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블의 선단부에 마련되고 커넥터(도 3c의 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셉터클(120)은 그 외부에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을 결합시키기 위한 레버(1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120)의 내부에는 결합된 상태의 상기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 사이로 수분 및 이물질 등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140)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상기 리셉터클(120)은 일측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상기 커넥터(11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122)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120)의 내벽면 중 커넥터(110)의 가이드(도 3c의 114) 및 걸림턱(도 3c의 116)과 대응되는 내벽면에는 가이드 홈(124)과 걸림홈(126)가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 결합 시 상기 가이드(114)가 가이드 홈(124)에 삽입되어 결합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걸림턱(116)과 걸림홈(126)의 결합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또한, 상기 리셉터클(120)의 내부 공간(12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 사이로 수분 및 이물질 등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140)이 구비되는데, 상기 리셉터클(120)과 그 내부 공간(122) 및 패킹(140)의 단면형상은 상기 커넥터(1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장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장공형상으로 형성된 리셉터클(12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커넥터(110)의 결합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1 슬롯(128)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 1 슬롯(128)은 상기 리셉터클(120)의 개구부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셉터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 1 슬롯(128)의 후방에 외부로 돌출되는 힌지(129)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슬롯(128)은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 결합 시 커넥터(110)의 칼라(도 3c의 112)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first and
상기 리셉터클(120)에 결합되는 레버(130)는 'ㄷ'자 형상으로 양측에는 일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재(132)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재(132)의 단부에는 관통공(134)이 형성되는 바, 상기 리셉터클(120)에 결합 시 상기 관통공(134)이 힌지(129)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레버(130)는 상기 리셉터클(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여기서 상기 레버(130)의 연장부재(132)에는 연장부재(132)의 길이방향으로 제 2 슬롯(136)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 2 슬롯(136)은 연장부재(132)의 선단부 측, 즉, 상기 제 1 슬롯(128)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슬롯(128)의 개구부에 삽입된 커넥터(110)의 칼라(112)는 상기 제 2 슬롯(136)의 개구부에도 삽입되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130)를 회동시키면 상기 칼라(112)는 제 2 슬롯(136)에 의해 제 1 슬롯(128)을 따라 제 1 슬롯(128)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16)과 걸림홈(126) 또한 결합되어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을 더욱 확실하게 결합시킨다.Here, the
한편, 상기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13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칼라(112)는 제 2 슬롯(136)에 의해 제 1 슬롯(128)을 따라 제 1 슬롯(128)의 개구부로 이동하게 되어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116)과 걸림홈(126)는 상기 레버(130)의 회전력에 의해 먼저 분리되고, 그 후 상기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이 분리된다.Meanwhile, when the
상기 리셉터클(120)의 내부에는 커넥터(110)의 배터리 단자(도 3c의 T2)와 결합되는 접속단자(1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접속단자(150)는 배터리 케이블(C)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자동차용 배터리(B)의 전기를 차량으로 공급하는 제 1 접속단자(152)와, 상기 제 1 접속단자(152)의 내부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 배터리 단자(T2) 가 삽입되는 제 2 접속단자(15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접속단자(154)는 제 1 접속단자(152)와 전기적으로 연통되고, 배터리 단자(T2)가 삽입되는 내벽면에는 배터리 단자(T2)와 좀 더 밀착되도록 복수의 엠보싱(156)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케이블(C)과 제 1 접속단자(152)의 접촉부위에는 수분 및 이물질 등의 인입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58)가 접촉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된다.The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커넥터와 리셉터클의 결합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5A to 5C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도 5a는 커넥터(110)의 일부가 리셉터클(120)에 삽입된 상태로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이 완전히 결합되기 전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110)의 일부가 리셉터클(12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커넥터(110)의 칼라(112)가 상기 리셉터클(120)의 제 1 슬롯(128)과 레버(130)의 제 2 슬롯(136) 개구부에 동시에 삽입된다.5A illustrates a state before the
상기 상태에서 도 5b와 같이 상기 레버(13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칼라(112)는 제 2 슬롯(136)에 의해 제 1 슬롯(128)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슬롯(128)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도 5c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3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동시키면 상기 칼라(112)는 상기 제 1 슬롯(128)의 내측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걸림턱과 걸림홈 또한 결합되어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을 더욱 확실하게 결합시킨다.As shown in FIG. 5C, when the
반면, 상기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130) 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칼라(112)는 제 2 슬롯(136)에 의해 제 1 슬롯(128)을 따라 제 1 슬롯(128)의 개구부로 이동하게 되어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걸림턱과 걸림홈는 상기 레버(130)의 회전력에 의해 먼저 분리되고, 그 후 상기 커넥터(110)와 리셉터클(120)이 분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의 구성 및 결합과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coupling process of the battery terminal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for example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는,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에 커넥터와 리셉터클을 각각 구비하여 배터리 단자와 배터리 케이블 결합 시 발생되는 배터리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battery termi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or and a receptacle on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battery cable, respectively, to prevent damage to the battery terminal generated when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battery cable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커넥터와 리셉터클은 레버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are detachably coupled by the lever, the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ar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뿐만 아니라, 커넥터와 리셉터클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그 결합 시 발생되는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색상을 달리하여 제작할 경우 배터리 케이블 결속 시 (+)단자와 (-)단자를 혼동할 우려가 적다.In addition, connectors and receptacles are made of synthetic resin to prevent short circuits that occur when they are joined together.If they are manufactured in different colors, there is a risk of confusing the (+) and (-) terminals when binding the battery cable. littl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8779A KR100632301B1 (en) | 2005-10-19 | 2005-10-19 | Car Battery Terminal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98779A KR100632301B1 (en) | 2005-10-19 | 2005-10-19 | Car Battery Terminal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32301B1 true KR100632301B1 (en) | 2006-10-11 |
Family
ID=37635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9877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2301B1 (en) | 2005-10-19 | 2005-10-19 | Car Battery Terminal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230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970B1 (en) | 2009-07-23 | 2011-06-24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Wiring harness protectors |
KR101165408B1 (en) | 2010-09-20 | 2012-07-12 | 주식회사 경신 | Connector |
-
2005
- 2005-10-19 KR KR1020050098779A patent/KR10063230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970B1 (en) | 2009-07-23 | 2011-06-24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Wiring harness protectors |
KR101165408B1 (en) | 2010-09-20 | 2012-07-12 | 주식회사 경신 |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63702B2 (en) | Charging inlet device | |
US7959469B2 (en) |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 |
US5975933A (en) | Connector attachment structure | |
US7874851B2 (en) | Earth connection unit | |
CN109565164B (en) | Electric connection box with rescue terminal part | |
KR20030041798A (en) | High voltage distribution box with pre-molded lead frame | |
JP2004253163A (en) | Relay terminal and connector | |
JP2018133875A (en) |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 |
JP3672817B2 (en) | Auxiliary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 |
JP5682439B2 (en) | Protector | |
KR100632301B1 (en) | Car Battery Terminal Structure | |
WO2011096431A1 (en) | Wiring cable connecting system | |
JP2001128335A (en) | Deflection absorp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 protector | |
JP3188391B2 (en) | Terminal cap | |
US20060256549A1 (en) | Unite holder for electrical equipment, for example for a lamp assembly | |
JP2001136634A (en) | Electrical joint box | |
WO2006033230A1 (en) | Fixation structure for rear cover | |
JP3749669B2 (en) | Connector mounting jig | |
JP2835690B2 (en) | Waterproof connector | |
JP3551026B2 (en) |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 |
JP3687468B2 (en) | connector | |
KR20140092195A (en) | Plug assembly for door of vehicle and the door of vehicle having the same | |
JP2593241Y2 (en) | Joint connector | |
JP3454470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940005275Y1 (en) | Connector hous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