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1897B1 -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897B1
KR100631897B1 KR1020050004952A KR20050004952A KR100631897B1 KR 100631897 B1 KR100631897 B1 KR 100631897B1 KR 1020050004952 A KR1020050004952 A KR 1020050004952A KR 20050004952 A KR20050004952 A KR 20050004952A KR 100631897 B1 KR100631897 B1 KR 100631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unit
driving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231A (ko
Inventor
이기영
윤태호
박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897B1/ko
Priority to US11/098,297 priority patent/US7225002B2/en
Priority to FI20050379A priority patent/FI20050379L/fi
Priority to JP2005122846A priority patent/JP2006203842A/ja
Priority to CNB2005100647898A priority patent/CN100454928C/zh
Priority to TW094118124A priority patent/TWI276338B/zh
Publication of KR2006008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 장치를 이용하여 본체를 개폐하는 새로운 형식의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이송 가능한 제2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출력단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제2 본체에 그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연결하는 종동링크를 구비하는 링크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링크가 회동하면 상기 구동링크에 연결된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종동링크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와는 전혀 다른 형식으로 개폐되고 자동과 수동동작이 가능하며, 수신부와 송신부가 각도를 이루어 통화품질이 우수한 통신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통신단말기, 4절 링크, 구동 링크, 종동 링크, 커플러 링크

Description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Inclined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의 개략도로서,
(a)는 후면도, (b)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자동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의 개략도로서,
(a)는 측면도, (b)는 후면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작동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제2 본체가 이송되기 전의 상태,
(b)는 제2 본체가 이송중인 상태,
(c)는 제2 본체의 이송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링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링크부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로서,
(a)는 제2 본체가 이송되기 전의 상태,
(b)는 제2 본체의 이송이 완료된 상태,
(c)는 제2 본체의 이송이 완료된 다른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로서,
(a)는 제2 본체가 이송되기 전의 상태,
(b)는 제2 본체의 이송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부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로서,
(a)는 제2 본체가 이송되기 전의 상태,
(b)는 제2 본체의 이송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 및 수동 동작시 구동부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자동 개폐 동작의 경우,
(b)는 수동 개폐 동작의 경우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센서부가 구비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센서부의 브러쉬 하우징과 정류 하우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4절 링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본체 120... 제2본체
200... 구동부 210... 모터부
300... 동력전달부 331... 힌지 샤프트
332... 슬라이드 캠 333... 탄성수단
334... 가이드 캠 400... 링크부
410... 고정 플레이트 420... 구동 링크
430... 커플러 링크 440... 종동 링크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수동으로 개폐되는 새로운 형식의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은 통화에 국한되지 않고 인터넷, 동영상 감상, 게임 등으로 그 기능의 폭을 넓혀 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액정화면(LCD)의 크기가 점 점 커지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단말기의 크기가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액정화면을 크게 하면서도 단말기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도 시판중에 있다.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는 서로 포개어지는 제1 본체,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슬라이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는 일측에 고정되어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왕복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가 고정된 일측의 대향측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본체의 후면에 가이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는 그와 접하는 상기 제1 본체의 전면 일측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의 후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에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이 구비된 제2 본체(10)와 후면에 배터리팩 (21)이 결합된 제1 본체(20)가 서로 평행하게 포개어져서 왕복 슬라이딩 운동을 함으로써 열리거나 닫힌다. 상기 제2 본체(10)의 후면에는 가이드 슬릿(11)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를 따라 왕복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더는 상기 제1 본체(20)와 함께 슬라이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는 도 1(b)에서와 같이, 상부 본체(10)가 슬라이드되어 하부 본체(20)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하부 본체(20)에 장착된 안테나(25)가 상기 상부 본체(10)와 극히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상부 본체(10)에 의해 안테나 특성이 영향을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수동 슬라이드 모듈은 개폐를 위해 끝까지 동작시켜야 하므로 한손으로 쉽게 개폐되지 않는 등 폴더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폐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수동 동작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을 자동으로 구현한 종래의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의 후면 개략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는, 제2 본체(70)의 일단에 장착된 피니언 기어(75), 제1 본체(60)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75)와 치합되는 랙기어(61), 제2 본체(70)에 장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피니언 기어(75)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0), 및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62)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는 제2 본체(7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어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구동모터가 작동되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부를 통해 피니언 기어(75)로 전달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맞물려 있는 랙기어(61)가 이동함으로써 제1 본체(6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열림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니언 기어(75)와 랙기어(61)를 이용하여 자동동작을 구현하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는 자동동작의 구현은 간단하지만, 수동동작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수동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와 마찬가지로 폴더형 통신단말기에 비해 한 손으로는 개폐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본체(60)와 제2 본체(70)가 동일 평면 상에서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수신부와 송신부가 180°를 이루게 되므로 폴더형 통신단말기에 비해 통화감이 좋지 않으며 기존의 폴더형 통신단말기에 익숙한 사용자에게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제1 본체(60)가 슬라이드되어 제2 본체(70)가 개방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제1 본체(60)가 제2 본체(70)에 장착된 안테나와 극히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제1 본체(60)에 의해 안테나 특성이 영향을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형식과는 다른 형태의 개폐방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와는 다른 형식으로 개폐되며 자동과 수동동작의 구현이 편리한 새로운 형태의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폴더형 통신단말기와 같이 수신부와 송신부가 180°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이송 가능한 제2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출력단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제2 본체에 그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연결하는 종동링크를 구비하는 링크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링크가 회동하면 상기 구동링크에 연결된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종동링크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가 장착되어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커플러 링크(coupler link)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구동부의 출력단과 상기 제2 본체에 고정된 커플러 링크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도록 회동하며, 상기 종동링크는 상기 제1 본체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본체에 고정된 상기 커플러 링크를 연결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동링크의 일측은 상기 커플러 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종동링크의 타측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된 축 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거나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링크의 일측은 상기 커플러 링크의 타측을 슬라이딩되도록 수용하거나 상기 커플러 링크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며, 상기 종동링크의 타측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된 축 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는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부재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한 쌍의 부재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힌지샤프트 및 상기 힌지샤프트와 일정한 각도마다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슬라이드 캠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슬라이드 캠을 회전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구속하고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하며 상기 구동 링크와 연결되는 가이드 캠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힌지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드 캠을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슬라이딩 동작의 완료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부에 대해 상기 힌지 샤프트의 특정부분이 일정 각도를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이송 가능한 제2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그 일측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본체에 그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연결하는 종동링크를 구비하는 링크부; 를 포함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구동링크가 회동하면 상기 구동링크에 연결된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종동링크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커플러 링크(coupler link)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제1 본체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제2 본체에 고정된 커플러 링크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도록 회동하며, 상기 종동링크는 상기 제1 본체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본체에 고정된 상기 커플러 링크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종동링크의 일측은 상기 커플러 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종동링크의 타측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된 축 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려는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 링크 또는 종동 링크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탄성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구동 링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동력전달부; 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링크는 그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작동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링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링크부의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링크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조 및 작용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자동 및 수동 동작시 구동부의 작 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살펴 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본체(110) 및 상기 제1 본체(110)에 대해 이송가능한 제2 본체(120), 상기 제2 본체(120)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200) 및 상기 제2 본체(120)를 이송시키는 링크부(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부(400)는 구동링크(420) 및 종동링크(44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본체(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10)와 상기 제2 본체(120)의 하부에 고정되는 커플러 링크(43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는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와 마찬가지로 통신 등을 위한 각종 부품이 실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본체(110)에는 배터리, 키패드, 메인 PCB, 마이크 등이 장착되며, 상기 제2 본체(120)에는 화면표시부(LCD), 진동모터, 스피커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제2 본체(120)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제1 본체(110) 측에 고정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41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 본체(1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제2 본체(120)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210)와, 상기 모터부(21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210)의 구동력을 링크부(40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0)를 구비한다.
상기 모터부(210)는 통신단말기에 구비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동 개폐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도9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부(210)는 출력측에 기어 박스(212)를 구비하는 기어드 모터(211)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212)는 구동토크가 증폭되도록 대략 300 : 1 이상의 일정한 감속비를 갖는 유성기어형 감속기를 구비할 수 있고, 감속기능과 역전방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그 일측이 상기 모터부(210)의 회전축에 축방향으로 연결되고 그 타측이 구동링크(420)에 연결되어, 자동개폐 동작시 제2 본체(120)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링크부(40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탄성수단(333)에 의해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부재를 통하여 상기 모터부(210)의 구동력 또는 외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거나 전달받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상기 모터부(21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모터부(2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힌지샤프트(331), 상기 힌지샤프트(331)와 일정한 각도마다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슬라이드 캠(332), 상기 슬라이드 캠(332)을 회전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구속하고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하는 가이드 캠(334) 및 상기 힌지샤프트(331)와 상기 슬라이드 캠(332)을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333)을 포함한다.
이때, 탄성수단(333)에 의해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부재는 상기 힌지샤프트(331) 및 상기 슬라이드 캠(332)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샤프트(331)는 상기 모터부(21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모터부(21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드 캠(332)은 상기 탄성수단(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힌지샤프트(331)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샤프트(331)는 테이퍼를 갖는 돌기(331')가 형성되어 수형캠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슬라이드 캠(332)은 상기 수형캠의 돌기(331')에 대응하는 홈(332')이 일측에 형성되어 암형캠으로서 작용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샤프트(331)의 180도 회전에 의하여 개폐 동작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상기 힌지샤프트(331)와 상기 슬라이드 캠(332)은 180도마다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슬라이드 캠(332)을 수형캠으로, 상기 힌지샤프트(331)를 암형캠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캠(334)은 상기 슬라이드 캠(332)을 회전방향으로는 상대 적으로 구속하고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한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 캠(334)은 둘레부에 키홈(key groove, 334')이 형성되고, 여기에 상기 슬라이드 캠(332)이 키 고정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슬라이드 캠(332)은, 회전방향으로는 상기 가이드 캠(334)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캠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되며, 축방향으로는 상기 키홈(334')의 길이만큼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수단(333)은 상기 슬라이드 캠(332)과 힌지샤프트(331)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기능한다. 즉, 상기 탄성수단(333)은 상기 슬라이드 캠(332)과 상기 가이드 캠(33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드 캠(332)을 상기 힌지 샤프트(331) 측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압축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수단(333)은 상기 모터부(210)의 구동력보다는 크고 외력보다는 작은 탄성력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자동 개폐 동작의 경우에는 도 10a에서와 같이 팽창되어 상기 슬라이드 캠(332)과 상기 힌지 샤프트(331)가 맞물리어 회전하도록 하고, 외력에 의한 수동 개폐 동작의 경우에는 도 10b에서와 같이 압축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331)와 상기 슬라이드 캠(332)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구동 링크(4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그 내주면에 상기 모터부(210)의 외주면이 고정되는 하우징(3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350) 내부에는 힌지 샤프트(331), 슬라이드 캠(332), 탄성수단(333) 및 가이드 캠(334)이 수 용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출력단(335)은 상기 하우징(350)의 연결부(351)를 통하여 구동 링크(4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모터부(210)와 동력전달부(300)를 구비하는 구동부(200)을 사용하면 자동 및 수동 개폐 동작을 모두 구현할 수 있으며, 자동 동작만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터부(210)의 출력단(회전축)을 상기 구동링크(420)의 구동축(421)에 직결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링크부(400)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링크부(400)를 구비하여 상기 링크부(400)의 작용에 의하여 제2 본체(120)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링크부(400)는 자유도(DOF, Degree Of Freedom)가 1인 링크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성부품의 간소화를 위하여 4절 링크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링크부(40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400)는 상기 구동부(200)의 출력단에 그 일측(421)이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제2 본체(120)에 그 타측(422)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본체(120)를 이송시키는 구동링크(420)와, 상기 구동링크(4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120)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를 연결하는 종동링크(44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400)는 상기 구동부(200)가 장착되어 상기 제1 본체(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410)와, 상기 제2 본체(120)의 하부에 고정되는 커플러 링크(coupler link)(430)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구동링크(420)의 일측(421)은 상기 고정플레이트(410)에 장착된 구동부(200)의 출력단에 고정되며, 타측(422)은 커플러 링크(430)을 통하여 상기 제2 본체(12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종동링크(440)는 고정 플레이트(410)와 커플러 링크(430)를 통하여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링크(4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120)의 이송을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410), 구동링크(420), 커플러 링크(430) 및 종동링크(44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링크부(400)를 하나의 모듈로 제공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링크부(400)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4 및 도 5는 링크부(4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링크부(400)는 고정 플레이트(410), 구동 링크(420), 커플러 링크(430) 및 종동 링크(440)로 이루어지는 4절 링크 장치의 구조를 갖는 다.
이때,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에는 조립홀(416)을 통하여 상기 제1 본체(110)가 고정되고, 상기 커플러 링크(430)에는 조립홀(433)을 통하여 상기 제2 본체(120)가 고정되며, 4절 링크 장치(4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본체(110)가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즉, 도 3a에서와 같이 제1 본체(110)가 닫힌 상태에서, 도 3b의 제1 본체가 개폐중인 상태를 지나, 도 3c의 제1 본체(110)가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 위에는 키패드 등의 부품이 장착되며, 도 4에 도시된 관통홀(413)을 통하여 제2 본체(120)의 화면표시부(LCD) 등에 FPCB가 제공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 링크(420)의 일측(421)은 상기 하우징(350)의 연결부(351)를 통하여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출력단(335)과 연결되며, 타측(422)은 커플러 링크(430)의 일측(431)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 링크(430)의 일측(431)은 상기 구동링크(420)의 타측(422)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432)은 종동링크(440)의 일측(441)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종동링크(440)의 일측(441)은 상기 커플러 링크(430)의 타측(432)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442)은 상기 구동 링크(420)에 고정된 출력단(355)과 이격되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에 설치된 축 지지부(412)에 연결되며, 상기 종동 링크(44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의 축 지지부(412)를 통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안정된 개폐동작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구동링크(420), 커플러 링크(430) 및 종동링크(440)는 각각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의 좌우측에서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 링크(420)의 일측(421)은 동력전달부(300)의 출력단(335)에 고정되며,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출력단(335) 반대쪽(모터부가 위치한 쪽)에 형성된 홈(425) 또는 돌기는 하우징(350)에 대응형성된 돌기(352) 또는 홈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된다.
한편, 송신부와 수신부의 이상적 배치를 통해 통화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1 본체(110)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20)가 이루는 각(α)은 120°내지 170°인 것이 바람직하며(도 5b 참조), 폴더형 통신단말기와 같이 150°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 5b에서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410)는 상기 구동 링크(420)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 링크(420)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도록 스토퍼(stopper)(415)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제1 본체(110)의 상면과 상기 구동 링크(420)를 접촉시켜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링크(420)는 상기 스토퍼(415)와 안정적으로 접촉하도록 도 5c와 같이 굴곡부(426)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굴곡부는 상기 제1 본체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20)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제1 본체 (110)와 제2 본체(120)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 구동링크(420), 커플러 링크(430) 및 종동링크(440)는 도 4에서와 같이 겹쳐진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4절 링크장치(400)는 일 예로 도시된 것이며,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즉, 구동링크의 길이(R1), 종동링크의 길이(R2), 커플러 링크의 길이(l) 및 상기 구동축(411)와 축 지지부(412) 사이의 축간 거리(d) 등의 조정을 통해 원하는 각도로 개폐되는 통신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링크부(400a)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도로서, 도 6a는 제2 본체(120)가 이송되기 전의 상태, 도 6b는 제2 본체(120)의 이송이 완료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6의 상기 링크부(400a)는 고정 플레이트(410a), 구동 링크(420a), 커플러 링크(430a) 및 종동링크(440a)로 이루어지며, 종동링크(440a)의 일측(441a)이 커플러 링크(430a)의 타측(432a)을 슬라이딩되도록 수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링크부(400)와 동일하다.
즉, 구동링크(420a)의 일측(421a)은 구동부(200)의 출력단에 대응하는 고정 플레이트(410a)의 구동축(411a)에 고정되고, 타측(422a)은 커플러 링크(430a)의 일측(431a)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6의 링크부(400a)의 경우, 구동부(200)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면 상기 구동링크(420a)가 회동하고, 상기 구동링크(420a)가 회동하면 상기 커플러 링크 (430a)의 타측(432a)이 종동링크(440a)의 일측(441a)에 수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종동링크(440a)를 회전시키며, 이에 의하여 상기 커플러 링크(430a)에 고정된 제2 본체(120)가 이송된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5에 도시된 링크부(4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링크부(400b)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의 링크부(400b)는 고정 플레이트(410b), 구동 링크(420b), 커플러 링크(430b) 및 종동링크(440b)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b)에 종동 링크(440b)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412b)가 형성된 점과 상기 종동 링크(440b)가 상기 가이드 부(412b)를 따라 슬라이드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4 및 도 5의 링크부(400)와 동일하다.
즉, 상기 종동링크(440b)의 일측(441b)은 상기 커플러 링크(430b)의 타측(432b)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442b)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b)에 형성된 가이드부(412b)를 따라 슬라이딩 된다.
일 예로서, 이러한 가이드 부(412b)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b)의 양 측면에 요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종동 링크(440b)는 상기 커플러 링크(430b)의 타측(432b)에 고정되어 돌출형성된 원통상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가이드 부(412b)와 종동 링크(440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의 링크부(400b)의 경우, 구동부(200)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면 상기 구 동링크(420b)가 회동하고, 상기 구동링크(420b)가 회동하면 상기 커플러 링크(430b)에 연결된 종동링크(440b)가 가이드부(412b)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커플러 링크(430b)에 고정된 제2 본체(120)가 이송된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5에 도시된 링크부(4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링크부(400c)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의 링크부(400c)는 고정 플레이트(410c), 구동 링크(420c), 커플러 링크(430c) 및 종동링크(440c)로 이루어지며, 상기 종동링크(440c)의 일측(441c)이 상기 커플러 링크(430c)에 형성된 가이드부(432c)를 따라 슬라이딩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4 및 도 5의 링크부(400)와 동일하다.
즉, 상기 종동링크(440c)의 일측(441c)은 상기 커플러 링크(430c)에 형성된 가이드부(432c)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타측(442c)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c)에 설치된 축 지지부(412c)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일 예로서, 이러한 가이드 부(432c)는 상기 커플러 링크(430c)의 양 측면에 요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종동 링크(440c)의 일측(441c)은 원통상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가이드 부(432c)와 종동 링크(440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가이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8의 링크부(400c)의 경우, 구동부(200)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면 상기 구동링크(420c) 및 커플러 링크(430c)가 회동하고, 상기 커플러 링크(430c)가 회동하 면 종동링크(440c)의 일측(441c)이 커플러 링크(430c)의 타측(432c)에 수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종동링크(440c)의 타측(442c)이 회전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커플러 링크(430c)에 고정된 제2 본체(120)가 이송된다.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4 및 도5에 도시된 링크부(4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의 센서장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센서부의 브러쉬 하우징과 정류 하우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본체(120)의 개폐 동작의 완료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부(210)에 대해 상기 힌지샤프트(331)의 특정부분이 일정각도를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380) 및 상기 센서부(380)의 신호에 의해 모터부(2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380)를 접촉식 센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380)는 브러쉬(382a)가 돌출되어 형성된 브러쉬 하우징(382) 및 상기 브러쉬(382a)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통해 일정 각도마다 통전되도록 제1 패턴(381a) 및 제2 패턴(381b)이 이격되어 형성된 정류 하우징(38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부(210)의 회전으로 상기 브러쉬 하우징(382)과 상기 정류 하우징(381)이 상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382a)에 의해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 패턴(381a) 및 제2 패턴(381b)이 일정 각도마다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되면 상기 센서부(380)는 구동제어부(미도시)에 구동멈춤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즉, 180도마다 맞물리는 힌지샤프트(331)와 슬라이드 캠(33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터부의 180도의 회전으로 구동멈춤신호를 발생하도록 브러쉬 하우징과 정류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패턴(381a)과 제2 패턴(381b)의 형상 및 브러쉬(382a)의 개수는 원하는 각도마다 통전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패턴과 제2패턴이 360도의 위상에서 브러쉬에 의해 통전되는 경우라면, 2개의 브러쉬를 사용하여 180도마다 통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80)를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접촉식 센서와 비슷하게 구성되며, 일 예로서 상기 센서부(380)는 자기장이 감지되면 스위칭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자기장을 발산하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부(210)의 회전으로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마그네트가 상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와 상기 마그네트가 접촉하지 않아도 서로 마주하여 일정 각도(180도)마다 스위칭되면, 상기 센서부는 구동제어부에 구동멈춤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감지센서는 Hall IC로 구성된 홀센서, 자기저항효과소자(MR소자)를 사용한 센서 등 여러 종류의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식 센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모터부(210)의 일측면 및 이에 대향하는 힌지샤프트(331)의 일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힌지샤프트(331)의 돌기부면 및 이에 대향하는 하우징의 내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개폐장치를 하나의 모듈로 제공함으로써 본체와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고, 모듈 내부에 센서부를 구비함으로써 효율적인 센서 구조를 얻을 수 있으며 센서의 조립성 또한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 본체(110) 및 상기 제1 본체(110)를 개폐하는 제2 본체(120) 및 링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400')는 상기 제1 본체(110)에 그 일측(421')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본체(120)에 그 타측(422)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제2 본체(120)를 이송시키는 구동링크(420)와, 상기 구동링크(4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120)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본체(110)와 제2 본체(120)를 연결하는 종동링크(44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크부(400')는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본체(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10)와 상기 제2 본체(120)의 하부에 고정되는 커플러 링크(43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링크(420)는 상기 제1 본체(110)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410)의 구동축(411')과 상기 제2 본체(120)에 고정된 커플러 링크(430)의 일측(431)을 연결하여 상기 제2 본체(120)를 이송시키도록 회동한다.
또한, 상기 종동링크(440)는 고정 플레이트(410)와 커플러 링크(430)를 통하여 상기 제1 본체(110)와 상기 제2 본체(120)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링크(42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120)의 이송을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410), 구동링크(420), 커플러 링크(430) 및 종동링크(440)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링크부(400')를 하나의 모듈로 제공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링크부(40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링크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링크(420)의 일측(421')이 고정 플레이트(410)의 구동축(411')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링크부(400)와 동일하다.
일 예로서, 도 3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는 제1 본체(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링크(420)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에 설치된 구동축(411')에 그 일측(421')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커플러 링크(430)는 상기 구동 링크(420)의 타측에 그 일측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2 본체(120)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종동 링크(440)는 일측(441)은 상기 커플러 링크(430)의 타측(432)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442)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에 설치된 축 지지부(412)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본 실시예는 수동 개폐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본체(110), 제2 본체(120) 및 링크부(4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사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2 실시예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동력전달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본체(110)를 개폐하려는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 링크(420) 또는 종동 링크(440)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제1 본체(110)를 개폐하기 위해 탄성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구동 링크(420) 또는 종동 링크(440)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공지의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공지의 동력전달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실시예의 동력전달부(30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333)에 의해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부재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힌지 샤프트(331)과 슬라이드 캠(3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 샤프트(331)는 상기 하우징(350)의 일 단에 고정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자동 또는 수동 작동을 할 수 있으며, 제2 실시예에 따른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수동 작동을 할 수 있다.
먼저, 도 5, 도 10a 및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개폐 동작의 작용을 살펴본다.
사용자가 제1 본체(11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개폐동작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구동제어부(미도시)는 현재 상태가 열림 상태인지 닫힘 상태인지를 확인한 후에 상기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1 본체(110)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모터부(210)를 구동시킨다. 물론, 제1 본체(11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작동할 것이다.
이러한 닫힘 또는 열림 상태의 판단은 단말기 자체에 내장된 회로로 인식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본체(110)를 개방하면 LCD에 불이 들어오고 닫으면 LCD의 불이 꺼지는 회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0a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부(210)가 작동하면 상기 모터부(210)의 회전축에 연결된 힌지 샤프트(33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힌지 샤프트(331)가 회전함에 따라 탄성수단(333)에 의해 상기 힌지 샤프트(331)와 맞물려있는 상기 슬라이드 캠(332)이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힌지 샤프트의 돌출부(331')와 상기 슬라이드 캠의 오목부(332')가 맞물려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캠(332)과 키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캠(334)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 캠(334)과 함께 구동링크(410)가 회전하게 된다.
결국, 상기 구동링크(410)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링크(410)와 연결된 커플러 링크(430) 및 종동링크(440)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상기 커플러 링크(430)에 고정된 제2 본체(110)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에 고정된 제1 본체(110)를 개폐하게 된다.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힌지샤프트(331)와 모터(200)의 상대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380)에 의해 일정각도(힌지샤프트와 슬라이드 캠이 180도마다 맞물리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180도)의 회전이 감지되면 구동제어부(미도시)에 구동멈춤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개폐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개폐동작의 개시부터 완료까지 힌지샤프트(331)는 모터부(210)에 대하여 180도를 회전함에 비해, 구동링크(420)는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수단(333)은 상기 구동링크(420)가 제1 본체(110)의 상면과 수직일 때 최대 압축상태에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상기 구동링크(420)의 회전각이 150도라고 하면 완전열림 또는 완전닫힘 상태에서는 15도의 위치 어긋남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탄성수단에 압축력이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잔존 압축력은 제1 본체(110)에 작용하는 극히 작은 외력에 의해서 개폐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반대로, 제1 본체(11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의 자동 개 폐 동작도 상기와 같은 원리로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도 8의 링크부(400a,400b,400c)의 자동 동작도 도 5의 링크부(400)의 자동 동작과 유사하며,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동 개폐동작의 작용을 살펴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제2 본체(120)를 밀면 상기 제2 본체(120)에 고정된 커플러 링크(430)에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한편, 모터부(210)는 기어드 모터로 구성되어 모터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전이 제한되므로 탄성수단(333)가 외력에 의하여 압축되어 힌지샤프트(331)와 슬라이드 캠(332)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구동 링크(420)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도 10b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수단(333)이 압축되면서 상기 한 쌍의 부재 즉, 힌지샤프트(331)와 슬라이드 캠(332)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상기 구동 링크(420) 및 종동 링크(440)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커플러 링크(430)에 고정된 제2 본체(110)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410)에 고정된 제1 본체(110)를 개폐하게 된다.
한편, 탄성수단(333)은 상기 구동링크(420)가 제1 본체(110)의 상면과 수직일 때 최대 압축상태에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힌지샤프트(331)와 슬라이드 캠(332)의 위치 어긋남은 90도로서 최대가 되며, 이 위치를 지나게 되면 탄성수단(333)에서 가해지는 탄성력의 작용으로 추가적인 외력이 없어도 개폐동작이 완료되게 된다.
만약, 상기 힌지샤프트(331)와 슬라이드 캠(332)의 위치 어긋남 각도가 90도가 되기 전에 외력이 제거된다면 탄성수단(333)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닫힘 위치로 다시 돌아가게 될 것이다.
즉, 힌지샤프트(331)와 슬라이드 캠(332)의 위치 어긋남이 90도 이하이면, 제2 본체(120)는 상기 탄성수단(333)의 복원력에 의해 원점(닫힌 상태)으로 복귀하게 될 것이며, 90도 이상이면 상기 탄성수단(333)의 복원력에 의해 완전 열림상태로 이송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번의 외력으로 완전 개폐의 수동 동작이 이루어지며 종래에 비해 보다 쉽고 부드럽게 개폐된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는 모터부(210)가 구비되지 않고 힌지 샤프트(331)가 하우징(350)에 고정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즉, 탄성수단(333)의 탄성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수단(333)이 변형되어 상기 구동링크(410) 또는 종동 링크(44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커플러 링크(430)에 고정된 제2 본체(120)가 이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와는 전혀 다른 형식으로 개폐되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동동작과 부드러운 수동동작의 구현이 가능하여 소비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수신부와 송신부가 180°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고 제2 본체에 의해 안테나 특성이 영향을 덜 받게 되므로 우수한 통화품질을 얻을 수 있으며, 랙 기어가 불필요하므로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보다 미관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20)

  1.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이송 가능한 제2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출력단에 그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제2 본체에 그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연결하는 종동링크를 구비하는 링크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링크가 회동하면 상기 구동링크에 연결된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종동링크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가 장착되어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커플러 링크(coupler link)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구동부의 출력단과 상기 제2 본체에 고정된 커플러 링 크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도록 회동하며,
    상기 종동링크는 상기 제1 본체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본체에 고정된 상기 커플러 링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링크의 일측은 상기 커플러 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종동링크의 타측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된 축 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링크의 일측은 상기 커플러 링크의 타측을 슬라이딩되도록 수용하며, 상기 종동링크의 타측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된 축 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링크의 일측은 상기 커플러 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종동링크의 타측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링크의 일측은 상기 커플러 링크에 형성된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며, 상기 종동링크의 타측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된 축 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 링크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 링크가 미리 설정된 각도를 벗어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이 완료되어 상기 제1 본체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제1 본체와 제2 본체가 이루는 각은 120°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에 필요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부재를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재는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모터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힌지샤프트 및 상기 힌지샤프트와 일정한 각도마다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슬라이드 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슬라이드 캠을 회전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구속하고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도록 수용하며 상기 구동 링크와 연결되는 가이드 캠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힌지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드 캠을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방식 이동통신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샤프트는 테이퍼를 갖는 돌기가 형성되어 수형캠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은 상기 수형캠의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일측에 형성되어 암형캠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힌지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드 캠은 180도마다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방식 이동통신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캠과 상기 가이드 캠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슬라이드 캠을 상기 힌지 샤프트 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동작의 완료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부에 대해 상기 힌지 샤프트의 특정부분이 일정 각도를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브러쉬가 돌출되어 형성된 브러쉬 하우징; 및
    상기 브러쉬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통해 일정 각도마다 통전되도록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이격되어 형성된 정류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의 회전으로 상기 브러쉬 하우징과 상기 정류 하우징이 상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일정 각도마다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될 때 구동제어부에 구동멈춤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16.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이송 가능한 제2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에 그 일측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본체에 그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제2 본체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연결하는 종동링크를 구비하는 링크부;
    를 포함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구동링크가 회동하면 상기 구동링크에 연결된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종동링크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커플러 링크(coupler link)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제1 본체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제2 본체에 고정된 커플러 링크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도록 회동 하며,
    상기 종동링크는 상기 제1 본체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본체에 고정된 상기 커플러 링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링크의 일측은 상기 커플러 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종동링크의 타측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된 축 지지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려는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구동 링크 또는 종동 링크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제2 본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탄성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구동 링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는 동력전달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링크는 그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의 일측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004952A 2005-01-19 2005-01-19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KR100631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952A KR100631897B1 (ko) 2005-01-19 2005-01-19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US11/098,297 US7225002B2 (en) 2005-01-19 2005-04-04 Inclined-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20050379A FI20050379L (fi) 2005-01-19 2005-04-13 Kallistuvatyyppinen matkaviestin
JP2005122846A JP2006203842A (ja) 2005-01-19 2005-04-20 傾斜開閉式移動通信端末機
CNB2005100647898A CN100454928C (zh) 2005-01-19 2005-04-22 倾斜式移动通信终端
TW094118124A TWI276338B (en) 2005-01-19 2005-06-02 Inclined-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4952A KR100631897B1 (ko) 2005-01-19 2005-01-19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231A KR20060084231A (ko) 2006-07-24
KR100631897B1 true KR100631897B1 (ko) 2006-10-11

Family

ID=3668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4952A KR100631897B1 (ko) 2005-01-19 2005-01-19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25002B2 (ko)
JP (1) JP2006203842A (ko)
KR (1) KR100631897B1 (ko)
CN (1) CN100454928C (ko)
FI (1) FI20050379L (ko)
TW (1) TWI2763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75B1 (ko) * 2009-06-09 2011-02-22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346B1 (ko) * 2004-07-10 2011-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DE202004015231U1 (de) * 2004-09-30 2004-12-16 Siemens Ag Funkbetriebenes Kommunikationsendgerät
US7353053B2 (en) * 2004-11-23 2008-04-01 Oqo, Inc. Non-binding sliding display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D552062S1 (en) * 2005-05-09 2007-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552578S1 (en) * 2005-07-18 2007-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CN1941793B (zh) * 2005-09-30 2010-05-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摄像头的便携式电子装置
KR100710068B1 (ko) * 2005-11-11 2007-04-23 주식회사 팬택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TWI283983B (en) * 2005-12-29 2007-07-11 Htc Corp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mechanism
US7690576B2 (en) * 2006-07-19 2010-04-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oveable display/cover member
KR100797103B1 (ko) * 2006-08-28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JP2008153599A (ja) * 2006-12-20 2008-07-0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機器
TWI321980B (en) * 2007-01-22 2010-03-11 Qisda Corp Foldable mobile electronic device
JP5201568B2 (ja) * 2007-04-18 2013-06-0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843440B1 (ko) * 2007-05-29 200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세탁기용 세제박스 인출장치
TWI364647B (en) * 2007-07-13 2012-05-21 Asustek Comp Inc Overturning cover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099144B2 (en) * 2007-08-20 2012-01-17 Goog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mechanism
JP4772014B2 (ja) * 2007-08-30 2011-09-14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情報端末
TWI345942B (en) * 2007-11-01 2011-07-21 Asustek Comp Inc Mobile phones
TW200939935A (en) * 2008-03-12 2009-09-16 Asustek Comp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463819B1 (ko) * 2008-05-14 2014-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463818B1 (ko) * 2008-05-14 2014-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101594757B (zh) * 2008-05-30 2012-10-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CN101657078B (zh) * 2008-08-22 2013-06-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盖式电子装置
KR100966577B1 (ko) * 2008-10-09 2010-06-29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드 힌지 장치
TWI372552B (en) * 2008-12-05 2012-09-11 Htc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WO2010085057A2 (ko) * 2009-01-22 2010-07-29 주식회사 세이텍 슬라이딩 모듈 및 이에 사용되는 구동장치
KR101027096B1 (ko) * 2009-06-01 2011-04-05 주식회사 팬택 힌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364215B2 (en) * 2009-07-06 2013-01-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TWI401560B (zh) * 2009-11-24 2013-07-11 Htc Corp 電子裝置
CN102118941A (zh) * 2009-12-30 2011-07-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型电子装置
CN102118943A (zh) * 2009-12-31 2011-07-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动型电子装置
CN102118942A (zh) * 2009-12-31 2011-07-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US20110164352A1 (en) * 2010-01-07 2011-07-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ouble sliding mechanism for user devices
CN102131361B (zh) * 2010-01-13 2015-02-25 赛恩倍吉科技顾问(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JP2011199668A (ja) * 2010-03-19 2011-10-06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046656B1 (ko) * 2010-04-12 2011-07-05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단말기용 롱스트로크 틸팅 힌지모듈
US8718725B2 (en) * 2010-05-07 2014-05-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ouble slider device with tilting display
US8606340B2 (en) 2010-11-22 2013-12-10 Blackberry Limited Multi-display mobile device
CN202545554U (zh) * 2012-03-23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翻盖结构及电子装置
US8957850B2 (en) * 2012-07-30 2015-02-17 Harris Corporatio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with finger navigation user interface
CN108363456B (zh) * 2018-02-11 2022-02-18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532B2 (ja) 1999-10-22 2003-07-22 日本電気株式会社 開閉角度検出装置及び折り畳み式機器
JP3642261B2 (ja) * 2000-05-16 2005-04-2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
US6628974B1 (en) 2000-06-27 2003-09-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older operat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JP3686845B2 (ja) * 2001-05-21 2005-08-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2003179678A (ja) * 2001-10-03 2003-06-27 Nec Corp 携帯電話機
US6850226B2 (en) * 2001-11-09 2005-02-01 Nokia Corporation Multifunc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lidable display screen
CN1242600C (zh) * 2001-11-27 2006-02-15 索尼爱立信移动通信日本株式会社 移动式终端装置
US20040100758A1 (en) * 2002-11-27 2004-05-27 Enlight Corporation Computer mainframe and display arrangement
JP4177651B2 (ja) * 2002-12-02 2008-11-05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4235687A (ja) 2003-01-28 2004-08-19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型無線端末機
CN2631142Y (zh) * 2003-05-23 2004-08-04 金文� 一种推拉式连接盖板的手机
US7529571B2 (en) * 2003-09-03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US7162030B2 (en) * 2003-12-23 2007-01-09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with rotating housing
KR100616544B1 (ko) * 2004-04-30 2006-08-29 삼성전기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자동구동방법
US20060003818A1 (en) * 2004-06-30 2006-01-05 Jacob Navntoft Hinge lock
KR100662326B1 (ko) * 2004-12-09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잠금 장치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US7466994B2 (en) * 2004-12-31 2008-12-16 Nokia Corporation Sub-display of a mobil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675B1 (ko) * 2009-06-09 2011-02-22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50379A0 (fi) 2005-04-13
JP2006203842A (ja) 2006-08-03
TWI276338B (en) 2007-03-11
US7225002B2 (en) 2007-05-29
KR20060084231A (ko) 2006-07-24
CN100454928C (zh) 2009-01-21
TW200627909A (en) 2006-08-01
US20060160584A1 (en) 2006-07-20
CN1809085A (zh) 2006-07-26
FI20050379L (fi)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897B1 (ko)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KR100586979B1 (ko) 자동/수동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
KR100664983B1 (ko) 자동/반자동/수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1654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자동구동방법
US7136688B2 (en) Slide type cellular phone and sliding method thereof
US20040198474A1 (en) Cellular phone and automatic revolution method thereof
EP1517520A2 (en)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044208A (ja) 携帯電話機のフォルダー駆動装置及びそのフォルダー駆動方法
KR20050030074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이 무선단말기에서의 슬라이딩 제어 방법
US698129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phones
US8099831B2 (en) Hinge structur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with
KR20060084675A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483608B1 (ko)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100652627B1 (ko)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KR100674828B1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KR100359077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616627B1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KR20050098626A (ko) 자동 또는 반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337087B1 (ko) 휴대전화기의 자동폴더 안전장치
KR20040092115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20060078306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