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1673B1 -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673B1
KR100631673B1 KR1020030100748A KR20030100748A KR100631673B1 KR 100631673 B1 KR100631673 B1 KR 100631673B1 KR 1020030100748 A KR1020030100748 A KR 1020030100748A KR 20030100748 A KR20030100748 A KR 20030100748A KR 100631673 B1 KR100631673 B1 KR 10063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high frequency
substrate
frequency module
c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930A (ko
Inventor
최철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673B1/ko
Priority to EP04030897A priority patent/EP1551106B1/en
Priority to DE602004032207T priority patent/DE602004032207D1/de
Priority to AT04030897T priority patent/ATE505851T1/de
Priority to US11/026,080 priority patent/US7715203B2/en
Priority to CN2004100997990A priority patent/CN1665378A/zh
Publication of KR2005006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6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회로 구성 중 고주파 처리 부분만을 별도로 모듈화함으로써 주파수 다른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해당 주파수에 맞추어 설계한 고주파 모듈만을 교체하여 간편하게 통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고주파 모듈에 있어서, LTCC 또는 FR-4로 구성되는 적층형 기판(210) 내부에 신호 전달을 위해 배치, 형성되는 연결부(220)과, 상기 적층형 기판(210) 상에 베어다이(bare die) 상태로 분리 실장되는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와, 그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를 외부와 접촉 차단하기 위한 캡(cap)(2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STRUCTURE FOR RADIO FREQUENCY MODULE BASED TO MOBILE COMMUNICATION}
도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주파 모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자 형태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0 : 기판 220 : 연결부
230 : 송신회로 240 : 수신회로
250 : 캡(cap)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통신 방식으로 듀플렉스(Duplex)방식을 사용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간단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을 온시키면 기지국 안테나에서 방사하는 다수의 채널 중에서 시그널 채널(Signal Channel)의 셋업 채널(Set-Up Channel)을 높은 채널부터 낮은 채널까지 차례로 스캐닝하다가 단말기에서 가장 가까운 기지국 즉, 전파세력이 가장 강한 채널을 포착하게 된다.
이어서, 기지국 안테나에서 송출하는 오버핸드 메시지(Over-Hand Massage)를 수신한 후 단말기를 등록시키고 채널 주파수에 동조시켜 통화 가능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도1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대역 여파하여 하향 주파수 처리하고 안테나로 송신될 신호를 상향 주파수 처리하는 고주파 처리부(110)와, 이 고주파 처리부(110)에서 하향 주파수 처리된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설정된 방식으로 복조하고 송신될 신호를 상기 고주파 처리부(110)로 전달하는 기저대역 처리부(120)와, 이 기저대역 처리부(120)의 출력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20)로 전달하는 유니트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20)는 MSM 칩,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니트부(130)는 스피커, 마이크, 키패드, 엘씨디(LCD), 카메라 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소형화를 달성함은 물론 신호 간섭을 제거하여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주파 처리부(110)와 기저대역 처리부(120)를 하나 의 칩으로 집적하여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고주파 처리부와 기저대역 처리부를 하나의 칩으로 집적함으로 주파수가 다른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 고주파 처리부를 해당 주파수에 맞추어 새로이 설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회로 구성 중 고주파 처리 부분만을 별도로 모듈화함으로써 주파수 다른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해당 주파수에 맞추어 설계한 고주파 모듈만을 교체하여 간편하게 통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창안한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주파 처리 부분만을 베어 다이 상태로 기판에 와이어 본딩하여 모듈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주파 모듈에 있어서, 적층형 기판에 배치, 형성되는 연결부과, 적층형 기판 상에 분리 실장되는 송신회로와 수신회로와, 그 송신회로와 수신회로를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캡(cap)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송신회로와 수신회로는 베어 다이 상태로 기판 상에 와이어 본딩되거나, 상용 모듈 상태로 기판 상에 솔더링(solding)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에폭시 몰딩(epoxy molding) 또는 쉴드 캔(shield can)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집적된 고주파 모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주파 모듈에 있어서, 적층형 기판(210)에 신호 전달을 위해 배치, 형성되는 연결부(220)와, 상기 적층형 기판(210)에 분리되어 실장되는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와, 그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를 외부와 접촉 차단하기 위한 캡(cap)(25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적층형 기판(210)은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또는 FR-4(Flame Retardant composition 4)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는 기저대역 처리 회로를 제외한 RF 처리 회로만으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판(210)은 다층 레이어 기판으로 사용되고 있는 FR-4 기판을 사용하거나 세라믹 시트(ceramic sheet)가 적층된 LTCC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삭제
기판(210)은 LTCC를 사용하는 경우 FR-4 보다 유전율이 거의 2배 가량 높으므로 모듈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보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드의 열전도가 양호하여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PAM(Power Amplifer Module)의 열을 효율적으로 발산시킬 수 있어 단말기 자체의 온도를 줄이는 쿨링(cooling)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기판(210)은 도3의 예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도3(a)는 리드 프리 타입(lead free type), 도3(b)는 리드 타입(lead type), 도3(c)는 코넥터 타입(connector type)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기판(210)에는 칩을 표면 실장하기 위한 배선이 형성되며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를 분리 실장할 수 있도록 배선이 형성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RF 멀티칩 모듈(RF MCM : RF Multi-Chip Module)화는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210)은 LTCC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가 베어 다이(bare die) 상태인 경우 기판(210) 상에 상기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를 해당 배선 상에 위치시킨 후 와이어 본딩(wire-bonding)하여 실장시키게 된다.
또한,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가 기존의 모듈화된 상용 부품인 경우 상기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를 해당 배선 상에 각기 위치시킨 후 솔더링(solding)하여 실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송신회로(230)와 수신회로(240)가 기판(210) 상에 실장되면 캡(cap)(250)을 씌워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는데, IC 패키지(package)와 같이 에폭시 몰딩하는 방법 또는 쉴드 캔(shield can)을 씌워 외부로부터의 불요파 간섭, ESD, GND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에 구비되는 RF 부분과 기저대역 부분 중 RF 부분만을 별도로 모듈화하는 것으로, 기저대역 부분을 공용화한 후 기존에 주파수가 달라지는 경우 예로, K-PCS, CDMA, TriMode 등의 경우 별도로 설계된 RF 모듈만을 교체함으로써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해 원활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기기에서 기저대역 부분을 공용화하고 고주파(RF) 모듈만을 하나의 칩으로 집적함으로써 주파수가 다른 지역에서 해당 주파수에 맞는 고주파 모듈로 교체하여 새로이 회로를 설계함이 없이 빠른 시간 내에 통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FR-4 기판이 아닌 적층 세라믹 기판인 LTCC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LTCC 특성 상 열전도율 및 유전율이 높아 모듈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보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드의 발생 열을 발산시켜 단말기 자체 온도를 줄이는 쿨링(cooling)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0)

  1. 적층형 기판상에 신호전달을 위해 배치, 형성되어, 외부 모듈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적층형 기판상에 분리되어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상에 베어 다이 또는 와어어 본딩되는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와;
    상기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의 외부 접촉을 차단하기 위한 캡(cap)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에폭시 몰딩(epoxy molding) 또는 쉴드 캔(shield can)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
  5. 삭제
  6.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공용화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분과;
    주파수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고주파(RF)소자들이 원 칩(one chip)으로 모듈화되는 멀티 칩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 칩 모듈은,
    적층형 기판과;
    상기 적층형 기판상에 신호전달을 위해 배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적층형 기판상에 베어 다이(Bare die)상태로 와어어 본딩(Wire-bonding)되는 복수의 고주파 소자들과;;
    상기 고주파 소자들을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캡(ca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칩 모듈은
    lead free type, lead type 및 connector type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다층으로 사용되는 FR-4 또는 세마믹 시트를 적층한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구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에폭시 몰딩(epoxy Molding) 또는 쉴드 메탈(Shield metal)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구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주파 소자들은
    모듈화된 부품들로서 상기 기판상에 솔더링(Solder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구조.
KR1020030100748A 2003-12-30 2003-12-30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63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748A KR100631673B1 (ko) 2003-12-30 2003-12-30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
EP04030897A EP1551106B1 (en) 2003-12-30 2004-12-28 RF module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602004032207T DE602004032207D1 (de) 2003-12-30 2004-12-28 RF-Modul für ein Mobilkommunikationsendgerät
AT04030897T ATE505851T1 (de) 2003-12-30 2004-12-28 Rf-modul für ein mobilkommunikationsendgerät
US11/026,080 US7715203B2 (en) 2003-12-30 2004-12-30 RF module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04100997990A CN1665378A (zh) 2003-12-30 2004-12-30 移动通信终端的rf模块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748A KR100631673B1 (ko) 2003-12-30 2003-12-30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930A KR20050068930A (ko) 2005-07-05
KR100631673B1 true KR100631673B1 (ko) 2006-10-09

Family

ID=3456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7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1673B1 (ko) 2003-12-30 2003-12-30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5203B2 (ko)
EP (1) EP1551106B1 (ko)
KR (1) KR100631673B1 (ko)
CN (1) CN1665378A (ko)
AT (1) ATE505851T1 (ko)
DE (1) DE60200403220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4611B2 (en) * 2015-06-29 2020-06-02 NagraID Security Method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an electronic circuit
WO2019240097A1 (ja) * 2018-06-11 2019-12-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CN111221390A (zh) * 2019-12-31 2020-06-02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兼容分时连接CPU和Tri mode卡的背板及实现方法
KR20220164305A (ko) 2021-06-04 202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의 쉴드 구조 및 그 동작 방법
US12268863B2 (en) 2023-02-06 2025-04-08 Novocure Gmbh Shiftable transducer array with anisotropic material la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7433A (ja) * 1999-12-21 2001-06-29 Murata Mfg Co Ltd 高周波複合部品及び移動体通信装置
KR20020006055A (ko) * 2000-07-11 2002-01-19 이형도 위상 동기 루프형 발진기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8266B2 (ja) * 1990-03-06 2000-12-18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同期セグメントバスとバス通信方法
US5414214A (en) * 1992-10-16 1995-05-09 Motorola, Inc. Resistance heated, sealed microfabricated device package method and apparatus
US5587885A (en) * 1994-05-18 1996-12-24 Dell Usa, L.P. Mechanical printed circuit board/laminated multi chip module interconnect apparatus
WO1996025839A1 (en) * 1995-02-16 1996-08-22 Micromodule Systems, Inc. Multiple chip module mounting assembly and computer using same
US5841193A (en) * 1996-05-20 1998-11-24 Epic Technologies, Inc. Single chip modules, repairable multichip modul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US5949654A (en) * 1996-07-03 1999-09-07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chip module, an electronic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5920464A (en) * 1997-09-22 1999-07-06 Trw Inc. Reworkable microelectronic multi-chip module
US6897855B1 (en) * 1998-02-17 2005-05-24 Sarnoff Corporation Tiled electronic display structure
JP3538045B2 (ja) 1998-12-09 200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Rf回路モジュール
US6377464B1 (en) * 1999-01-29 2002-04-23 Conexant Systems, Inc. Multiple chip module with integrated RF capabilities
DE19927747C1 (de) * 1999-06-17 2000-07-06 Siemens Ag Multichipmodul aus einem zusammenhängenden Waferscheibenteil für die LOC-Montage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324168A (zh) 2000-05-16 2001-11-28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接口的共用模块装置
US7132841B1 (en) * 2000-06-06 2006-1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rrier for test, burn-in, and first level packaging
JP3582460B2 (ja) 2000-06-20 2004-10-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
US6891276B1 (en) * 2002-01-09 2005-05-10 Bridge Semiconductor Corporation Semiconductor package device
US20040225881A1 (en) * 2002-12-02 2004-11-11 Walmsley Simon Robert Variant keys
TWI221333B (en) * 2003-01-14 2004-09-21 Advanced Semiconductor Eng Bridge connection type of MCM package
CN2629355Y (zh) 2003-01-30 2004-07-28 友旺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传输装置的印刷电路板结构
US7186119B2 (en) * 2003-10-17 2007-03-06 Integrated System Technologies, Llc Interconn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7433A (ja) * 1999-12-21 2001-06-29 Murata Mfg Co Ltd 高周波複合部品及び移動体通信装置
KR20020006055A (ko) * 2000-07-11 2002-01-19 이형도 위상 동기 루프형 발진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1106A3 (en) 2009-02-25
DE602004032207D1 (de) 2011-05-26
EP1551106A2 (en) 2005-07-06
EP1551106B1 (en) 2011-04-13
US7715203B2 (en) 2010-05-11
US20050143122A1 (en) 2005-06-30
KR20050068930A (ko) 2005-07-05
CN1665378A (zh) 2005-09-07
ATE505851T1 (de)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5879B2 (en) Radio frequency circuit module
US7089032B2 (en) Radio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US6759925B2 (en) Radio-frequency hybrid switch module
JP2018098677A (ja) 送受信モジュール
WO2022209755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
JP2021125784A (ja)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通信装置
JP2022019182A (ja)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KR100631673B1 (ko) 이동통신용 고주파 모듈 구조
JP2021103713A (ja)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CN116783821A (zh) 高频模块和通信装置
US20230155612A1 (en) Radio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device
JP4527570B2 (ja) 高周波モジュ−ル及びそれを搭載した無線通信装置
JP2001308235A (ja) 半導体モジュール
US8478197B2 (en) Wireless transceiver module
KR101382768B1 (ko) 스태킹 구조의 칩 소자
KR100893028B1 (ko) 반도체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20230411377A1 (en) High 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60134293A (ko) 원칩형 프론트앤드 복합모듈
WO2022209741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KR100946535B1 (ko) 통신 모듈
WO2022209736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WO2022209734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及び通信装置
WO2022209740A1 (ja) 高周波モジュール
KR100665332B1 (ko) 무선통신 모듈
KR20050098346A (ko) 복합 모듈용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