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647B1 - How to switch standby status for short message input - Google Patents
How to switch standby status for short message inpu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1647B1 KR100631647B1 KR1020050050124A KR20050050124A KR100631647B1 KR 100631647 B1 KR100631647 B1 KR 100631647B1 KR 1020050050124 A KR1020050050124 A KR 1020050050124A KR 20050050124 A KR20050050124 A KR 20050050124A KR 100631647 B1 KR100631647 B1 KR 1006316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key
- short message
- inputting
- c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상태에서 숫자/문자키를 반복입력하면 그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전화번호 입력이나 통화용 단축키 입력인지 문자열 입력인지를 판단한 후 적절한 기능으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 문자열을 입력하는 것으로 별도의 메뉴 선택 없이도 SMS 메세지 입력 기능으로 직접 전환될 수 있도록 한 단문 메세지 입력을 위한 대기상태 기능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세지 서비스(SMS)로 전송할 단문 메세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일정 횟수로 키를 조작하여 단문 메세지 입력 기능을 선택해야만 하므로 SMS 메세지를 자주 작성하는 사용자는 키 조작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키패드에 할당된 숫자와 문자의 관계 및 대기화면에서의 숫자키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전화번호 입력이나 통화를 위한 단축키 입력과 단문 메세지 작성을 위한 문자 입력을 구별한 후 그에 따른 동작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이나 단축키 입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대기상태에서 직접 문자를 입력하여 SMS 메세지 입력기를 호출한 후 문자 입력을 지속할 수 있어 SMS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input pattern by repeatedly inputting a number / character key in the standby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general phone number input or a hotkey input for a call or a character string input, and then switch to an appropriate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function switching method for inputting a short message which can be directly converted to an SMS message input function without a separate menu selection by inputting. In order to input a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a short message service (SMS)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conventional short message service, a user who frequently writes an SMS message needs to select a short message input function by operating a ke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re was a problem that is increa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s and letters assigned to the keypad and numeric key input patterns on the standby screen to distinguish between inputting a shortcut for general phone number or call input and character input for writing a short message. Aft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ly, SMS can be continuously input after calling the SMS message inputter by directly inputting text in the standby state without affecting the input of phone number or hot key input for the cal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Description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조를 보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keypad structur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보이는 순서도.Figure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단문 메세지 입력을 위한 대기상태 기능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MS(Short Message Service)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상태에서 숫자/문자키를 반복입력하면 그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전화번호 입력이나 통화용 단축키 입력인지 문자열 입력인지를 판단한 후 적절한 기능으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대기상태에서 문자열을 입력하는 것으로 별도의 메뉴 선택 없이도 SMS 메세지 입력 기능으로 직접 전환될 수 있도록 한 단문 메세지 입력을 위한 대기상태 기능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function switching method for inputting a short message, and in particular, when a numeric / text key is repeatedly input in a standby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general telephone number is analyzed by analyzing the input pattern. Determining whether it is an input or a call hotkey input or a character string input, and then switching to the appropriate function to enter the character string in the standby state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switch to the SMS message input function without selecting a menu. It relates to a function switching method.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대단히 넓은 사용자층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항시 휴대 및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두터운 사용자층을 모두 만족 시키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및 서비스 역시 빠르게 개선되고 있 다.As the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reases rapidly, a very wide user base is always carrying an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functions and servic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also rapidly improving to satisfy all of these thick user bases.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적인 통신 기능은 음성 통화 기능과 단문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꼽을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단문 메세지 송수신 기능은 젊은 사용자층이 선호하는 기능으로서, 그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The basic communication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voice call function and shor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mong them,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is a favorite function of a young user, and its usage is exploding.
따라서, 단문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많은 서비스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서비스들은 단문 메세지의 사용을 더욱 더 증가시키고 있다. 특정한 연령대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내역을 보면, SMS를 음성 통화 보다 몇배나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refore, many services have been developed to support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nd these services are increasingly increasing the use of short messages. Looking at the usage history of a mobile terminal of a certain age, it can be seen that SMS is used many times more than a voice call.
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직접 입력, 전화번호 관리, 메뉴 관리등의 부가적인 기능들이 있으므로, 대기화면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숫자키를 입력하면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이나 전화번호 단축키 입력 중 하나로 간주하여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실시하고, 특수키 등을 입력하면 메뉴 화면이나 특정 기능화면을 제공하는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mobile terminal ha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direct phone number input, phone number management, and menu management for a call, it basically provides a standby screen, but when a user enters a numeric key, the user inputs a phone number for a call. Alternatively, the phone number is regarded as one of the shortcut key inputs, and a correspond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a special key is input, the menu screen or a specific function screen is provided.
따라서, SMS 기능을 이용하여 메세지를 작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기화면에서 메뉴화면을 표시하고 그 중에서 SMS 기능을 선택한 후 SMS 메세지 입력 기능을 더 선택하거나, SMS 기능을 위해 별도로 마련된 키를 눌러 SMS 기능으로 진입한 후 SMS 메세지 입력 기능을 선택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하다. 즉, 대기상태에서 메세지 입력 기능을 실행하려면 적어도 2번 이상의 키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if you want to compose a message using SMS function, display the menu screen on the standby screen, select SMS function among them, select more SMS message input function, or press SMS key separately for SMS function. After entering, a cumbersome procedure is required to select the SMS message input function. That is, to execute the message input function in the standby state, at least two key inputs are required.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세지 서비스(SMS)로 전송할 단문 메세지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일정 횟수로 키를 조작하여 단문 메세지 입력 기능을 선택해야만 하므로 SMS 메세지를 자주 작성하는 사용자는 키 조작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nput a short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a short message service (SMS)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a short message input function must be selected by manipulating a ke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user has a problem that the key operation is increas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키패드에 할당된 숫자와 문자의 관계 및 대기화면에서의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전화번호 입력이나 통화를 위한 단축키 입력과 단문 메세지 작성을 위한 문자 입력을 구별한 후 그에 따른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으로,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이나 단축키 입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대기상태에서 직접 문자를 입력하여 SMS 메세지 입력기를 호출한 후 문자 입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 단문 메세지 입력을 위한 대기상태 기능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s and letters assigned to the keypad and input patterns on the standby screen, and then distinguishes between inputting a shortcut for general phone number or call input and character input for writing a short message. According to the operation, the user inputs a short message without waiting to enter a phone number or a shortcut key for a call, and then inputs a text message in a standby state so that the SMS message input can be continu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by function switching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음이 할당된 0번키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상태에서 키 입력을 통해 다른 기능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대기 모드 상에서 입력되는 첫번째 키 입력이 0번키인 경우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으로 간주하여 후속 키 입력을 숫자 입력으로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 모드 상에서 0번키가 아닌 숫자키로 시작되는 키 입력이 반복되며 소정 횟수 미만에서 롱키 입력이 있으면 통화를 위한 단축키 입력으로 간주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대기 모드 상에서 0번키가 아닌 숫자키로 시작되는 키 입력이 반복되며 소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문자 입력으로 간주하여 단문 메세지 입력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witching to another function through a key input in a standby stat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zero key assigned to a vowel, wherein the first key input entered in the standby mode is 0. Treating a subsequent key input as a numeric input by considering the telephone number as a telephone number input for a call in the case of a bungee key; Repeating a key input starting with a numeric key other than the zero key in the standby mode, and attempting to make a call in consideration of a shortcut key input for a call if there is a long key input less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n the standby mode, a key input that starts with a numeric key other than the 0 key is repeated, and whe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exceeded, converting to a short message input state is regarded as a character input.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10) 구조를 보인 것으로, 각각의 숫자키와 전화기용 특수키(*, #)들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나 문자 지정 기능(획추가, 쌍자음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단말기 제조사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각 숫자들에 할당되는 문자들은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2바이트 문자들의 경우에는 단말기 제조사마다 문자들의 조합 방법이 완전히 상이하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하지만,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경우 필수적으로 처음에 입력해야 하는 '0'번 키에 모음이 할당된 키패드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문자의 입력(모음으로 시작되는 문자는 없음)과 전화번호의 직접 입력(0으로 시작하면 전화번호 직접 입력임)을 구별하도록 한다는 것이 첫번째 특징이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lephone number is directly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haracter input (starting with a vowel) is obtained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keypad assigned with a vowel on the '0' key. The first feature is that it distinguishes between direct entry of a telephone number (starting with 0 and direct entry of a telephone number).
대기상태에서는 숫자키를 통해서 받아들이는 입력은 2가지 중 하나가 되는데, 하나는 직접 적인 전화번호 입력이고, 다른 하나는 전화번호 단축키 입력이다. 물론, 그 외에 다양한 단말기 제어 기능등이 숨은 기능으로 제공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제어를 위한 기능이 특수 기능을 분리되어 제공되기도 하며, 대부분은 '*'나 '#'와 같은 특수문자로 시작하는 숫자열의 입력을 통해 제공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화번호 입력과는 구분된다. In the standby state, the input accepted through the numeric keys is one of two types, one is direct phone number input and the other is phone number shortcut input. Of course, various other terminal control functions are provided as hidden functions, but in recent years, functions for such control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special functions, and most of them start with special characters such as '*' or '#'. It is distinguished from normal phone number input because it is provided through the input of a column.
따라서, 대기상태에서 숫자키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하는 작업은 앞서 설명한 전화번호 직접 입력 외에 통화를 위한 단축키 입력이 있다. 이는 대부분 0~99번의 제한된 영역을 사용하며, 앞으로 그 영역이 증가된다 할지라도 사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번호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999번을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입력되는 숫자키의 반복 횟수(위의 예를 보면 최대 3)로 문자의 입력인지 단축키의 입력인지를 파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단축키의 입력은 마지막으로 입력되는 키를 오랫동안 누르는 롱키 입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제한된 횟수의 숫자키 입력 내에 롱키 입력이 있으면 단축키 입력으로 처리하고, 롱키 입력 없이 제한된 횟수를 초과하는 숫자키 입력이 있다면 이를 문자 입력으로 간주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이다.Therefore, the user's intended operation by inputting a numeric key in the standby state is a shortcut key input for a call in addition to the direct phone number input described above. It uses mostly 0 to 99 restricted areas, and it will not exceed 999 because even if the area is increased in the future, it uses numbers that users can easily remember. This means that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input number keys (up to 3 in the example above)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a character is input or a shortcut key is input. In addition, the input of the shortcut key requires long key input that presses the last key input for a long time, so if there is a long key input within a limited number of numeric key inputs, the key is processed as a shortcut key input. If present, it is the secon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gard it as a character input.
즉, 상기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과 두번째 특징을 조합하면 대기 상태에서 입력되는 숫자키들의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전화번호 입력이나 단축키 입력으로 키 입력을 처리해야 되는지, 문자 입력으로 간주하여 처리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되며, 입력되는 키들을 문자 입력으로 간주할 경우 SMS 메세지 입력기 화면으로 진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SMS 메뉴를 선택하고 SMS 메세지 입력 기능을 선택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That is, by combining the first feature and the secon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input pattern of the numeric keys input in the standby stat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key input should be processed by telephone number input or hot key input, or treated as a character input. If the inputted keys are regarded as text input, the user can proceed to the SMS message input screen so that the user automatically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selecting the SMS menu and selecting the SMS message input function.
예를 들어, 단축키가 0~99번까지 가능한 경우라면 최대 3번의 키 입력 후에 SMS 메세지 입력기 화면으로 전환되게 되는데, 2번째 입력까지는 숫자처럼 화면상에 숫자 혹은 특수키로 입력되다가 SMS 메세지 입력기 화면으로 전환될때 이전에 입력되었던 숫자키들을 문자 입력을 위한 키 입력으로 판단하여 문자 조합으로 SMS 메세지 입력기 화면에 표시한 후 4번째 입력을 대기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if the hotkey is available from 0 to 99 times, it is converted to the SMS message input screen after the maximum of 3 key inputs.The second input is inputted with numbers or special keys on the screen like numbers, and then converted to the SMS message input screen. When the number keys previously input are determined as key input for character input,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SMS message input screen as a letter combination and to wait for the fourth input.
도 2는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도시한 경우에는 자동 지역번호 설정 기능에 대한 고려도 포함시킨 것으로 자동 지역번호 설정 기능에 의해 전화번호 직접 입력 시 '0'번 키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면 문자열과 숫자열의 구별이 모호해지므로 이러한 자동 지역번호 설정 기능이 활성화 된 경우에는 문자열 입력에 대한 검사나 처리를 실시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FIG. 2, the automatic area code setting function includes consideration of the automatic area code setting function. 'If you do not need to enter the number ke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tring and the numeric string is ambiguous, so if the automatic area code setting function is activated, the check or processing of the string input is not performed.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 상태일때 사용자가 숫자키를 입력하면, 그 키 입력에 대한 처리를 실시하기 전에 자동 지역번호 설정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자동 지역번호가 설정된 경우라면 전화번호 직접 입력인지 문자열 입력인지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일반적인 키 입력 처리만 실시하고 문자열 판단이나 SMS 메세지 입력 기능으로의 전환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user inputs a numeric key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the standby mode, it is checked whether the automatic area code is set before processing the key input. If the automatic area code is set, it is difficult to know whether the phone number is directly entered or the string is input. In this case, only general key input processing is performed, and the character judgment and the switch to the SMS message input function are not generated.
만일, 자동 지역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라면 다음과 같은 순서를 통해 전화번호 직접 입력, 단축키 입력, 그리고 문자열 입력을 구분하게 된다. If you do not set the automatic area code, the following steps are used to distinguish direct phone number input, hot key input, and string input.
먼저, 첫번째로 입력한 숫자키가 '0'이라면 직접 입력을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경우(0으로 시작하는 지역번호, 0으로 시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로 판단하여 후속하는 키 입력을 문자 입력이 아닌 숫자 입력으로 판단하도록 한다.First, if the number key entered first is '0', it is determined that the telephone number is entered through direct input (area code starts with 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umber starts with 0), and the subsequent key input is entered. It should be judged by numeric input.
만일 첫번째로 입력한 숫자키가 '0'이 아니라면 단축키 일 수 있으므로 일단 숫자로 표현한 후 후속하는 키 입력을 기다린다. 이후 입력되는 키가 일정한 횟수(도시된 경우에는 3회) 미만으로 입력 되면서 그 중에 롱키 입력이 있으면 통화를 위한 단축키 입력으로 간주하여 해당 입력된 숫자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전화번호 로 발신을 시도한다. 도시한 순서도에서는 이러한 동작을 '키 입력 처리'로 함축하여 표현하였다.If the first numeric key entered is not '0', it may be a hotkey. Since the input key is input less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three times in the case shown), if there is a long key input, it is regarded as a shortcut key input for a call and attempts to make a call to a preset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In the flowchart shown, this operation is implied as "key input processing."
만일 첫번재로 입력한 숫자키가 '0'이 아니며, 일정한 횟수 이상(도시된 경우에는 3회)의 키 입력이 지속되면 문자 입력을 시도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전에 입력했던 내용들을 다시 문자 입력을 위해 키를 누른 것으로 재해석하여 문자로 변환한 후 SMS 메세지 입력 기능으로 전환하여 표시하고 후속하는 키 입력은 문자 입력으로 지속적으로 받아들이도록 한다. If the first numeric key entered is not '0', and if the key input continues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three times in the case show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 input is attempted and the inputted contents are input again. The key is reinterpreted by pressing a key, converted to text, and then converted to an SMS message input function for display and subsequent key input is continuously accepted as text inpu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SMS 메세지를 자주 입력하는 사용자의 경우 대기모드에서 직접 작성할 메세지를 작성해나가면 자동적으로 SMS 메세지 입력기가 호출되어 메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SMS 메세지 입력 기능 실행을 위해 복잡한 메뉴 선택 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user who frequently inputs an SMS message, when the user writes a message to be directly written in the standby mode, the SMS message inputter is automatically called to edit a messag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eparate the SMS. You can avoid having to go through a complicated menu selection process to execute the message input func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단문 메세지 입력을 위한 대기상태 기능 전환 방법은 키패드에 할당된 숫자와 문자의 관계 및 대기화면에서의 숫자키 입력 패턴을 분석하여 일반적인 전화번호 입력이나 통화를 위한 단축키 입력과 단문 메세지 작성을 위한 문자 입력을 구별한 후 그에 따른 동작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입력이나 단축키 입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대기상태에서 직접 문자를 입력하여 SMS 메세지 입력기를 호출한 후 문자 입력을 지속할 수 있어 SMS를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switching a standby function for inputting a short mess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s and letters assigned to a keypad and a numeric key input pattern on a standby screen, and inputs a shortcut and a short message for a general phone number input or a call. By distinguishing the text input for writing a message and performing the action accordingly, the user directly inputs text in the standby state without influencing the input of a phone number or a shortcut key for a call, and then inputs the text after inputting a text message.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have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users who frequently use SM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0124A KR100631647B1 (en) | 2005-06-11 | 2005-06-11 | How to switch standby status for short message inpu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50124A KR100631647B1 (en) | 2005-06-11 | 2005-06-11 | How to switch standby status for short message inpu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31647B1 true KR100631647B1 (en) | 2006-10-09 |
Family
ID=3763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01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1647B1 (en) | 2005-06-11 | 2005-06-11 | How to switch standby status for short message inpu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1647B1 (en) |
-
2005
- 2005-06-11 KR KR1020050050124A patent/KR1006316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24989B2 (en) |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text editor application | |
US8499015B2 (en) | Data entry method and apparatus | |
US20030095102A1 (en) |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character editor application | |
US20080032681A1 (en) | Click-hold Operations of Mobile Device Input Keys | |
KR100594049B1 (en) | How to Display Data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70010226A (en) | Multifunctional shortcut key setting de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 |
US20030036411A1 (en) | Method of entering characters into a text string and a text-editing terminal using the method | |
KR100651384B1 (en) |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of a portable terminal | |
KR100631647B1 (en) | How to switch standby status for short message input | |
WO2007054764A2 (en) |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 |
KR100455171B1 (en) |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575771B1 (en) | How to Enter Special Characters for Mobile Terminals | |
KR100795952B1 (en) |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81827B1 (en) | How to retrieve phone number of mobile terminal | |
KR100808413B1 (en) |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735267B1 (en) | Method for disposing key in the input device | |
EP1881436B1 (en) |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efficiency of entering a password using a reduced keyboard | |
KR20050015897A (en) | Character display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0712843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se shortcut key of number and letter combina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0652635B1 (en) | How to search phone book of mobile terminal | |
KR20050080669A (en) | Keypad structure and character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641190B1 (en) | Character input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
EP1691256A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characters typed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0889070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ing number input method using same | |
JP2008234454A (en) | Character input device for mobil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9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928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