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638B1 - Side key assembl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Side key assembl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1638B1 KR100631638B1 KR1020050037280A KR20050037280A KR100631638B1 KR 100631638 B1 KR100631638 B1 KR 100631638B1 KR 1020050037280 A KR1020050037280 A KR 1020050037280A KR 20050037280 A KR20050037280 A KR 20050037280A KR 100631638 B1 KR100631638 B1 KR 1006316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
- side key
- portable terminal
- installation hole
- gu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ONNCPBRWFSKDMQ-UHFFFAOYSA-N 2,3',5-trichlorobiphenyl Chemical compound ClC1=CC=CC(C=2C(=CC=C(Cl)C=2)Cl)=C1 ONNCPBRWFSKDM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HBBDTRJIVXKEX-UHFFFAOYSA-N 1-chloro-2-(3-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2C(=CC=CC=2)Cl)=C1 ZHBBDTRJIVXK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01H13/807—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characterised by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contact sites, e.g. superimposed si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38—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be bridged by a dome shaped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는 단말기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사이드키 설치공과, 사이드키 설치공내에 조립되어 조작되게 설치되는 키몸체와, 키몸체로 눌리어 조작되게 사이드키 피시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 스위치로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있어서,The side key of the disclosed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side key installa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a key body assembled and operated in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and moun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key PCB to be pressed and operated by the key body. In the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switch,
상기 사이드키 설치공에는 측벽에 마주하게 가이드부를 형성하며,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is formed to face the side wall,
상기 키몸체에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게 양측면에 구형으로 돌출된 안내돌기를 형성함과 아울러,The key body is formed with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spherically on both sides to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상기 사이드키 피시비에 지지되어 키몸체를 탄지하게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that is supported by the side key PCB and interspersed with a key body.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는 사이드키의 조작이 미조작 영역을 벗어나 사이드키 설치공의 양측단에 위치시 눌러 조작되게 하므로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조작 발생을 방지하여 전류 소모를 절감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by preventing the user from unintentional operation by pressing and operating the side key i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out of the uncontrolled area. to provide.
Description
도 1a는 종래의 사이드키를 도시한 도면.1A illustrates a conventional side key.
도 1b는 종래의 사이드키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conventional side key.
도 2a는 일반적인 휴대폰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Figure 2a is a view showing a typical mobile terminal.
도 2b는 도2a의 C-C를 도시한 도면.FIG. 2B shows C-C of FIG. 2A;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ide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4의 A-A를 도시한 도면.FIG. 5 shows A-A of FIG. 4;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키의 키몸체에 슬라이드유도판이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 6 is a view showing that the slide induction plate is applied to the key body of the side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키의 설치공에 형성된 가이드부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Figure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side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대한 제1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ide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terminal.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 한 분해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ide key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ide key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인 사이드키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1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key a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11의 B-B를 도시한 도면.12 is a view B-B of FIG. 11;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사이드키 24:사이드키 설치공2: side key 24: side key installation
25-1,25-2:키몸체 30:측벽25-1, 25-2: Key body 30: Side wall
32:가이드부 34:안내돌기32: guide part 34: guide protrusion
36:탄성부재 38:가압홈36: elastic member 38: pressure groove
40:누름차단홈 42:슬라이드유도판40: push blocking groove 42: slide induction plate
44:정위치유도홈 46:조작부44: home position guide 46: control panel
48:접속부 50:측면안내홈48: connection part 50: side guide groove
52:걸림턱52: Take chi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키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조작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몸체로 하여금 디귿자 형태의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조작 발생을 방지하여 전류 소모를 절감하게 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key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he side key is to guide the key body through the guide portion in the form of a user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inadvertently occurring operation occurs unintentional operation by the user The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by preventing the.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사이드키를 포함하여, 방향키, 숫자키 등 다양한 키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구분된 키들이 눌러졌을 때, 휴대용 단말기는 설정된 판단하여 관련키에 상응하는 설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has various keys including a side key, a direction key, a numeric key, and the like, and when each of the separated keys is pressed,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a set and performs a sett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related key.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키들은 엠피유(MPU:Main Processor Unit)와 전기적으로 행과 열단위로 키를 가지고 있으며, 각 키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키가 눌러졌을 때 그에 해당하는 행과 열의 신호라인이 접점됨으로써 키이의 입력을 인지하게 된다.The keys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have an MPU (Main Processor Unit) and a key electrically in rows and columns, and each key is composed of a switch, and when a key is pressed, a corresponding row and column By contacting the signal line, the input of the key is recognized.
도1a는 종래의 사이드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1b는 종래의 사이드키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side key, and FIG. 1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side key.
도면을 참조하면; 사이드키(2)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4) 측면에 마련되고 있으며, 어느 일측단을 누르면 사이드키 피시비(6)에 마련된 스위치(8)가 눌리거나 압착되면서 접점이 되어 엠피유(10)로 하여금 인지하게 되어 상응한 관련 동작을 하게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도2a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 사이드키가 적용됨을 도시한 이고, 도2b는 도2a의 C-C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a is a side key is applied to a typical portable terminal, Figure 2b is a view showing the C-C of Figure 2a.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12)는 복수개의 메인키(14)가 구비된 본체(4)와, 이 본체(4)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며 표시창(16)을 갖춘 폴더(18)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본체(4)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키(14)들과는 별도로 본체(4)의 측면에 사이드키(2)가 설치되고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사이드키(2)는 본체(4)의 측면의 단말기 케이스(20)에 천공된 사이드키 설치공(24)에 키몸체(25)를 삽입 설치하여 본체(4)의 내부에 설치된 사이드키 피시비(26)에 부착된 돔스위치(28)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사이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부분에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쉽다는 편이성이 있지만,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더라도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사이드키가 쉽게 눌러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side key is easily installed by the user as the side key is install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but is exposed to the outside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a problem that the side key is easily pressed.
상기 사이드키는 조작의 편이성을 위해 핸드폰의 외곽 측면에 돌출되게 장착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키이 조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side key is mounted to protrude on the outer side of the mobile phone for ease of operation,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key operation is not intended by the user.
즉,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고 다닐 때 사이드키가 잘못 눌러진 경우에도 엠피유는 이를 키의 입력으로 인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even when the side key is pressed incorrectly when carrying it in a bag or pocket, MPU recognizes this as an input of a key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s performed.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빈번한 작동이 불필요하게 이루어지다 보면 배터리의 소비가 심하고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frequent operation is unnecessary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battery consumption is severe and the life is shorten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시되고 있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드키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조작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몸체로 하여금 디귿자 형태의 가이드부를 통해 안내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조작 발생을 방지하여 전류 소모를 절감하게 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proposed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key is a key body to prevent the user from intentional operation occurs in the form of a guide portion in the form of a key; It provides a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to be guided through the user to prevent the unintentional operation occurs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단말기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사이드키 설치공과, 사이드키 설치공내에 조립되어 조작되게 설치되는 키몸체와, 키몸체로 눌리어 조작되게 사이드키 피시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 스위치로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있어서,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ide key installa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a key body assembled and operated in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and a switch mount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key PCB to be pressed and operated by the key body. In the sidekey,
상기 사이드키 설치공에는 측벽에 마주하게 가이드부를 형성하며,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is formed to face the side wall,
상기 키몸체에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게 양측면에 구형으로 돌출된 안내돌기를 형성함과 아울러,The key body is formed with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spherically on both sides to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상기 사이드키 피시비에 지지되어 키몸체를 탄지하게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to provide a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which is supported by the side key PCB and interspersed key body.
상기한 가이드부는 사이드키 설치공의 측벽면에 디귿자 형태로 형성하며, 스위치를 누르게 병렬로 형성된 가압홈과, 이 가압홈간을 연결하면서 외력에 의한 가압을 차단하게 누름차단홈을 형성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guide part is formed in the form of a depression on the side wall surface of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and the pressing groove formed in parallel to press the switch, and the pressing groove is connected between the pressing groove and the pressing blocking groove to block the pressurization by external force, To provide a side key.
상기한 누름차단홈에는 키몸체의 센터 선상 위치를 유도하기 위해 일측에 정위치유도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ush-blocking groove provides a side key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formed by forming an induction groove on one side in order to induce a center line position of the key body.
상기한 안내돌기는 키몸체부 양측면에 돌출시켜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을 용이하게 볼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guide protrusion is provided to the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key body portion is formed in a ball shape to easily move along the guide portion.
단말기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사이드키 설치공과, 사이드키 설치공내에 조립되어 조작되게 설치되는 키몸체와, 키몸체로 눌리어 조작되게 사이드키 피시비 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 스위치로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side key installation hole form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a key body assembled and operated in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and a switch moun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side key PCB to be pressed and operated by the key body. In
상기 사이드키 설치공은 내측면 상,하측으로 접점 가능하게 스위치를 형성하며,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forms a switch to be able to contac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상기 키몸체는 티자형으로 사이드키 설치공에 노출되는 조작부와, 이 조작부의 상,하측으로 접속부를 연장하여 형성함과 아울러,The key body is formed by extending the connecting portion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peration portion exposed to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in the tee shape,
상기 사이드키 피시비에 지지 설치되어 키몸체를 탄지하게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됨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support the side key, including a resilient member interposed firmly to the key body.
상기 사이드키 설치공은 측벽에 키몸체의 누름을 안내와 정위치 유도를 위해 측면안내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is to provide a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orming a side guide groove for guiding and guiding the position of the key body on the side wall.
상기 키몸체는 접속부사이와 조작부와 동일 선상인 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key body is to provide a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ide of the same line as the operation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4의 A-A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개시된 휴대용 단말기와 사이드키의 동일 부분에 대한 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하며, 동일 작용 부분의 상세한 설 명은 생략한다.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ide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terminal,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AA of Figure 4 Figure is show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part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ide key disclosed abov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operation parts are omitted.
도면을 참조하면; 단말기케이스(20)의 일측에 형성된 사이드키 설치공(24)과, 사이드키 설치공(24)내에 조립되어 조작되게 키몸체(25)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키몸체(25)로 눌리어 조작되게 사이드키 피시비(26)에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 스위치(28)로 구비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12)의 사이드키(2)에 있어서,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휴대용 단말기(12)의 구성에서 본발명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2)는 상기 사이드키 설치공(24)에는 측벽(30)에 마주하게 가이드부(32)를 형성하며, 상기 키몸체(25-1)에는 가이드부(32)를 따라 이동하게 양측면에 구형으로 돌출된 안내돌기(34)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키 피시비(26)에 지지되어 키몸체(25-1)를 탄지하게 개재되는 탄성부재(36)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있다.
상기한 가이드부(32)는 사이드키 설치공(24)의 측벽(30)면에 디귿자 형태로 형성하며, 스위치(28)를 누르게 병렬로 가압홈(38)을 일정 길이로 형성하고 있으며, 이 가압홈(38)간을 연결하면서 외력에 의한 가압을 차단하게 누름차단홈(4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The
그리고 상기한 가이드부(32)는 사이드키 설치공(24)의 양측 측벽면 또는 일측면에 형성함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상기한 가이드부(32)는 사이드키 설치공(24)의 측벽면에 홈이나 뚫어서 형성한 홀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도 제한받지 않게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한 안내돌기(34)는 키몸체(25-1) 양측면에 돌출시켜 가이드부(32)를 따 라 이동을 용이하게 볼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또, 상기한 안내돌기(34)는 볼형에 한정되지 않고, 또 양측면 형성뿐 아니라 일측면에만 형성함도 설계 변경등에 의해 가능하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키의 키몸체에 슬라이드유도판이 적용됨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at the slide induction plate is applied to the key body of the side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키몸체(25-1)에는 사이드키 설치공(24)내에서 안내돌기(34)가 누름차단홈(40)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키몸체(25-1)의 정확한 이동을 유도하게 슬라이드유도판(42)을 설치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key body 25-1,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키의 설치공에 형성된 가이드부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guide portion formed in the installation hole of the side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부(32)의 누름차단홈(40)에 탄성부재(36)로 탄지되는 키몸체(25-1)가 중심에 위치됨이 용이하도록 중심선상에 정위치유도홈(44)을 형성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push-blocking
상기한 정위치유도홈(44)은 키몸체(25-1)가 누른차단홈(40)내에서 외력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능하다.The exact position guide
상기한 키몸체(25-1)은 1차의 예비 조작과 2차의 본조작에 의해 최종적으로 접속 조작으로 하게 되어 있어 오조작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있다.The key body 25-1 described above is finally connected by the first preliminary operation and the second main operation, thereby essentially blocking the misopera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인 사이드키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ide key as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같이 이루어지는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2)는 미사용시나 휴대시에는 사이드키 설치공(24)내의 중심에 키몸체(25-1)가 위치한 상태에 있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key body 25-1 is in the center of the side
이에 따라 키몸체(25-1)에 외력이 전면에서 작용하게 되더라도 키몸체(25-1)의 안내돌기(34)가 누름차단홈(40)내에 위치하고 있어 눌리지 않아 이상 작용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front surface of the key body 25-1, the
즉, 누름차단홈(40)상에 키몸체(25-1)가 위치하고 있어 불필요한 외력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는 작동되지 않고 정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key body 25-1 is positioned on the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사이드키(2)의 키몸체(25-1)를 사이드키 설치공(24)내에서 어느 일측방향으로 미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키몸체(25-1)는 작용방향으로 안내돌기(34)가 누름차단홈(40)을 따라 이동하여 가압홈(38)측에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When an external force that pushes the key body 25-1 of the
상기한 키몸체(25-1)가 어느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이지만 탄성부재(36)에 의해 탄지되고 있어 아직 스위치(28)와는 접점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lthough the key body 25-1 is moved to one side, the key body 25-1 is supported by the
이에 따라 키몸체(25-1)가 이동하여 멈추면 사용자는 탄성부재(36)로 탄지되고 있는 키몸체(25-1)를 정확하게 눌러 사이드키 피시비(26)에 구비된 스위치(28)를 눌러 접점을 발생시키면 엠피유가 이를 인지하여 설정된 관련 작동을 행하게 한다.Accordingly, when the key body 25-1 moves and stops, the user presses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28)를 접점시켰던 키몸체(25-1)는 가압홈(38)을 따라 탄성부재(36)에 의해 복귀상태에 머물러 키몸체(25-1)가 사이드키 설치공(24)에서 돌출되어 노출되면 사용자는 키몸체(25-1)를 중심에 위치시켜 휴대용 단말기 (12)가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조작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key body 25-1 having contacted the
이때 누름차단홈(40)내에 정위치유도홈(44)을 형성하고 있다면 감각으로 중심에 위치함을 편리하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At this time, if the i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ide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2)는 크게 단말기케이스(20)의 사이드키 설치공(24)과, 사이드키 설치공(24)에 개재되는 키몸체(25)와, 일정 간격을 두고 사이드키 피시비(26)를 두고 있는 바,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한 사이드키 설치공(24)의 내측면 상,하측으로 접점 가능하게 스위치(28-1)를 형성하며, 상기 키몸체(25-2)를 티자형으로 하면서 사이드키 설치공(24)에 노출되는 조작부(46)를 형성하고, 이 조작부(46)의 상,하측으로 접속부(48)를 연장하여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사이드키 피시비(26)에 지지 설치되어 키몸체(25-2)를 탄지하게 개재되는 탄성부재(36)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있다.The switch 28-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인 사이드키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도11의 B-B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key as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B-B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키 설치공(24)은 측벽(30)에 키몸체(25-2)의 누름 안내와 정위치 유도를 위해 측면안내홈(50)을 형성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ide
따라서 키몸체(25-2)가 사이드키 피시비(26)에 지지되는 탄성부재(36)에 의 해 탄지되더라도 이탈하거나 분리되지 않게 조립되고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key body 25-2 is supported by the
상기 키몸체(25-2)는 접속부(48)사이와 조작부(46)와 동일 선상인 측면에 걸림턱(52)을 형성하고 있다.The key body 25-2 has a latching
상기한 키몸체(25-2)는 1차의 예비 조작과 2차의 본조작에 의해 최종적으로 접속 조작하게 되어 있어 오조작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있다.The key body 25-2 described above is finally connected by the first preliminary operation and the second main operation, thereby essentially blocking the mis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2)를 단순히 휴대하는 경우에는 사이드키(2)의 키몸체(25-2)가 외력에 의해 눌리더라도 사이드키 피시비(26)에 지지된 탄성부재(36)를 탄압할 뿐 키몸체(25-2)에 이동 방향성을 부여할 수 없게 되어 있어 접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second embodiment mad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imply carries the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한 스위치의 접점은 불가능하여 불필요한 조작을 발생시키지 않는다.Accordingly, the contact of the switch irrelevant to the user's will is impossible and does not cause unnecessary operation.
한편, 사용자가 휴대폰 단말기(12)를 조작하기 위해서 먼저 사이드 키(2)의 키몸체(25-2)를 누르면 탄성부재(36)는 탄압상태에 머물게 되고, 키몸체(25-2)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턱(52)은 사이드키 설치공(24)의 측면안내홈(52)을 벗어나 위치한 상태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first presses the key body 25-2 of the
이에 사용자는 이상태에서 키몸체(25-2)의 조작부(46)를 이용 사이드키 설치공(24)의 어느 일측 방향으로 밀게 되면 접속부(48)는 전진하여 사이드키 피시비(26)에 연결되고 있는 스위치(28-1)와 접속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is pushed in any one direction of the side
상기 스위치(28-1)를 통해 키몸체(25-2)의 접속부(48)와의 접속을 인지한 엠 피유는 설정된 관련 동작을 하게 된다.Recognizing the connection with the connecting
상기한 바와 같이 키몸체(25-2)의 조작으로 휴대폰 단말기의 조작시킴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키몸체(25-2)를 역순으로 조작시켜 두면 외부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불필요한 조작을 차단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anipulation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completed by the manipulation of the key body 25-2, the user operates the key body 25-2 in the reverse order to block unnecessary manipulation even when an exter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즉, 키몸체(25-2)의 조작에 따른 이동방향이 한번 꺽인 후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이후 접속되게 있어 사용자에 정확한 조작을 유도함은 물론 오조작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게 된다.That is, the direction of movement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key body 25-2 is deformed once and then moved, and since it is connected, it induces accurate manipulation to the user as well as fundamentally blocks misoper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이드키 설치공의 가이드부, 키몸체의 안내돌기, 사이드키 피시비의 스위치와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휴대폰 단말기용 사이드키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ide key for the mobile phone terminal provided with the guide portion of the side key installation hole, the guide protrusion of the key body, the switch and the elastic member of the side key PCB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이드키가 외부에 노출되어 외력을 받더라도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서만 조작되게 되어 있어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First, even though the side keys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subjected to external forces, they are operated only by the user's will, thereby making the correct operation.
둘째, 사용자에 의해서만 키몸체와 스위치간에 최종 접점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중 외부 간섭에 의한 불필요한 조작이 방지되어 소모 전력을 절감하게 된다.Second, as the final contact point between the key body and the switch is possible only by the user, unnecessary operation by external interference during the portable operation is prevent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셋째, 사용자와 무관한 외부 외력을 사이드키의 키몸체가 직접 차단하게 되어 기술의 신뢰성을 고양하게 된다.Third, the key body of the side key directly blocks external force unrelated to the user, thereby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the technology.
넷째, 배터리의 소비가 절감되고 수명을 향상시키는 내구성을 증대하게 된다.Fourth, the battery consumption is reduced and the durability to improve the lifetime is increased.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7280A KR100631638B1 (en) | 2005-05-03 | 2005-05-03 | Side key assembl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7280A KR100631638B1 (en) | 2005-05-03 | 2005-05-03 | Side key assembl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31638B1 true KR100631638B1 (en) | 2006-10-09 |
Family
ID=3763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72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1638B1 (en) | 2005-05-03 | 2005-05-03 | Side key assembl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1638B1 (en) |
-
2005
- 2005-05-03 KR KR1020050037280A patent/KR1006316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00008B2 (en) | Side ke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CN101419877B (en) | Multi-directional press-key | |
JP2006164711A (en) | Push-on switch | |
KR20020033583A (en) | Slide operating type switch | |
US20040240162A1 (en) |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with a side key assembly | |
US10727020B1 (en) | Switch module | |
KR100631638B1 (en) | Side key assembl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28794B1 (en) | Key-pad structure for key-input apparatus | |
KR200453798Y1 (en) | Metal Dome Switch for Keypad | |
KR200224291Y1 (en) | Multi way switch | |
CN111385401B (en) | Waterproof side key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 |
JP4189266B2 (en) | Push button switch | |
CN213752461U (en) | Durable light-touch switch and switch device | |
CN213184061U (en) | Key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electronic equipment | |
US6762379B1 (en) | Micro switch | |
CN222871302U (en) | Game controller | |
CN209880435U (en) | Mute microswitch with paragraph sense | |
CN219145887U (en) | Remote controller for electric appliance | |
KR100917187B1 (en) | Keypad assembl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328050B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CN209747363U (en) | Intelligent furniture function controller | |
CN213184057U (en) | Be applied to industrial control mobile terminal's waterproof button structure | |
KR200457422Y1 (en) | Metal Dome Switch for Keypad | |
KR100617107B1 (en) | Side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012367B1 (en) | Keyp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