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0422B1 - 주방배기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주방배기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422B1
KR100630422B1 KR1020050045863A KR20050045863A KR100630422B1 KR 100630422 B1 KR100630422 B1 KR 100630422B1 KR 1020050045863 A KR1020050045863 A KR 1020050045863A KR 20050045863 A KR20050045863 A KR 20050045863A KR 100630422 B1 KR100630422 B1 KR 100630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exhaust
ozone
water
discharged
water partic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호
손승우
이명우
임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Priority to KR102005004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4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01D46/003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with collecting, 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고 설치가 간편하며, 효율적으로 주방배기로부터 냄새와 분진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주방배기탈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 주방배기탈취장치는, 주방배기를 흡입부(8)로 유입시켜 탈취 또는 여과시킨 후, 토출부(6)로 배출시키는 주방배기탈취장치에 있어서, 그 흡입부(8)로부터 유입된 주방배기로부터 냄새가 오존에 의해 산화분해되도록 오존발생기(15)로부터 발생하는 오존이 공급되는 오존처리부(7)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방배기를 흡입부(8)로 유입시켜 탈취 또는 여과시킨 후, 토출부(6)로 배출시키는 주방배기탈취장치에 있어서, 기름연기성분을 포함한 다양한 냄새와 분진을 오존과 함께 물입자(16a)로 처리하여 물입자들과 함께 배출되도록 노즐공급관(12)과 펌프모터(13)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물입자(16a)를 형성하기 위한 분무노즐(1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방배기탈취장치{apparatus for kitchen exhaust and deodorization}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배기탈취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프레임 2: 수조
3: 몸체 6: 토출부
7: 오존처리부 7a: 난류형성수단
8: 흡입부 9: 스크린(그릴망)
10: 일리미네이터 10a: 수분유출방지수단
12: 노즐공급관 13: 펌프모터
14: 팬(시로코팬) 15: 오존발생기
15a: 오존공급공 16: 분무노즐
17: 배출관 21: 필터
22: 기름제거수단(오일세퍼레이터)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이고 설치가 간편하며, 효율적으로 주방배기로부터 냄새와 분진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주방배기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래의 주방배기용 탈취장치에 대한 그 원리, 설치장소, 효과 등을 표 1에 도시된다.
Figure 112006058814400-pat00003
주방배기는 다양한 종류의 냄새와 연기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특히 유연을 포함하여 유연이나 액화한 기름은, 표 1의 일예인 그리스 필터를 통해 일부 회수되기도 하지만, 환기팬 및 레인지 후드를 통해 대부분 옥외로 배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와 같이 옥외로 배출하는 주방배기방식으로는 자연 내지 이웃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불쾌감과 오염으로 인하여 점점 환경을 파괴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까지 발전되기도 한다.
또한, 그리스 필터는 정기적으로 청소를 하지만, 청소하는 것도 어렵고, 기름이 부착함에 따라 냄새도 발생하고, 나아가, 화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 공기저항으로 배기효율이나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특히, 최근의 국내외 대기공기의 정화와 관련된 법(예: 국내의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르면 오염분진의 중량규제가 직경 10마이크론 이하의 PM(particulate matter)10에서 2.5마이크론 이하의 PM2.5 등으로 강화되면서 점점 더 대기정화에 따른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어 이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주방배기탈취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이고 설치가 간편하며, 효율적으로 주방배기로부터 냄새와 분진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주방배기탈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배기탈취장치는, 주방배기를 흡입부로 유입시켜 탈취 또는 여과시킨 후, 토출부로 배출시키는 주방배기탈취장치에 있어서, 그 흡입부로부터 유입된 주방배기로부터 냄새가 오존에 의해 산화분해되도록 오존발생기로부터 발생하는 오존이 공급되는 오존처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방배기를 흡입부로 유입시켜 탈취 또는 여과시킨 후, 토출부로 배출시키는 주방배기탈취장치에 있어서, 기름연기성분을 포함한 다양한 냄새와 분진을 오존과 함께 물입자로 처리하여 물입자들과 함께 배출되도록 노즐공급관과 펌프모터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물입자를 형성하기 위한 분무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오존처리부와 분무노즐을 함께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오존처리부가 흡입부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고, 주방배기가 상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에 물입자가 수직하향으로 형성되어 하향으로 처리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분무노즐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입자로 주방배기를 처리한 후 하향으로 유출되는 물이 배출관을 통해 주방배기 통로로부터 하부로 배출된 후, 일시 저장되도록 수조가 그 물입자 아래에서 설치되며, 수조에서는 오염물질과 기름성분이 제거된 후, 배수되도록 수조에 필터와 기름제거수단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배기탈취장치는, 레이지 후드로 연결되는 덕트인 흡입부(8)와, 중간의 팬(14)을 거쳐 주방배기를 옥외로 배출시키는 토출부(6)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그 흡입부(8)와 토출부(6)사이에 주방배기를 처리하기 위한 오존처리부(7) 및 분무노즐(16)이 함께 설치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각각을 구비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도 포함하는 것이며, 나아가, 분무노즐(16)이 설치되는 경우, 하류에 일리미네이터(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무노즐(16)의 하방으로 기름 등을 걸러 제거하기 위한 수조(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오존처리부(7)는, 흡입부(8)로부터 유입된 주방배기로부터 냄새가 오존에 의해 산화분해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일예로 코로나방전 등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발생기(15)가 예를 들어 오존처리부(7)의 오존공급공(15a)을 통해 오존을 공급하도록 오존처리부(7)의 오존공급공(15a)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오존처리부(7)에서 주방배기와 오존을 혼합하여 그 주방배기의 냄새의 오존에 의한 산화분해 처리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난류를 형성하도록 돌출판과 같은 난류형성수단(7a)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무노즐(16)은, 오존처리후의, 기름연기성분을 포함한 다양한 냄새와 분진을 오존과 함께 물입자(16a)로 처리하여 물입자들과 함께 배출되도록 노즐공급관(12)을 통해 물을 공급하여 물입자(16a)를 형성하기 위한 분무노즐(16)이 상기 오존처리부(7)와 토출부(6)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물입자(16a)의 수분에 오존과 분진 등을 미리 용해시켜 여과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9)이 주방배기에 있어 분무노즐(16)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조(2)내의 하부부분의 물이 물입자(16a)로 재이용가능한 정도로 정화된 때에는 그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펌프모터(13)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일리미네이터(10)는, 상기 토출부(6)를 통과하면서 처리된 후의 주방배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토출부(6)와 물입자(16a)사이에 설치되며, 그 일리미네이터(10)에는 수분유출방지수단(10a)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수분의 배출을 방지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 수분유출방지수단(10a)도,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지만, 사각형상의 경우가 난류발생효율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에서 상기 오존처리부(7)가 흡입부(8)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고, 주방배기가 상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에 물입자(16a)가 수직하향으로 형성되어 처리후의 물이 하향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분무노즐(16)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건물의 벽을 관통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수평으로 레인지 후드에 연장하여 흡입부(8) 및 오존처리부(7)가 설치되고, 그 오존처리부(7)의 단부로부터 연장하여 건물의 벽의 외부를 따라 수직 상향으로 몸체내에 스크린(9), 물입자(16a)의 영역, 분무노즐(16), 일리미네이터(10) 및 토출부(6)가 설치되고, 수직 상향으로는 몸체의 바닥에 후술하는 배출관(17), 수조(2) 등이 설치됨으로써 최소의 실내공간만을 이용함과 동시에 상향하는 주방배기의 부력과 하향하는 물입자들의 중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오염제거 효율과 에너지 절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배치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수직으로 주방배기가 유동하는 동안에 오존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오존처리부(7)가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수평으로 주방배기가 유동하는 동안에 분무되는 물입자에 의해 처리되도록 분무노즐(16)과 몸체(3)가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오존처리부(7)가 상류에 설치되고, 물입자(16a)가 하류에 설치됨으로써 오존의 대기중으로의 방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 수조(2)는, 수직방향 덕트인 몸체(3)속에 설치되는 분무노즐(16)의 하부로서 오존처리부(7)가 연결되는 부분아래에 설치되며, 주방배기의 효율적인 배출을 위해 주방배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몸체(3)의 하부가 밀폐되고, 그 바닥에 수집되는, 기름 등을 포함하는 물이 배출관(17)을 통해 수조(2)로 배출되도록 배출관(17)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2)에는, 입구부에 필터(21)를 구비하여 분진 등을 여과시키고, 수조(2)의 상부부분에 기름성분을 고형화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식 스크린망이나 오일세퍼레이터와 같은 기름제거수단(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응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물과 함께 또는 수조(2)의 상부로부터 응고제를 투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조(2)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방수시키기 위한 드 레인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부호 "1"은, 프레임으로 상술한 수조(2), 몸체(3) 등을 고정되게 설치하기 위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수조(2), 몸체(3) 등에 고정설치구조를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배기탈취장치의 상세한 작용을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인지 후드를 통해 수집된 주방배기는, 흡입부(8)를 통해 오존처리부(7)로 유입되면서 오존처리부(7)로 공급되는 오존발생기(15)의 오존과 혼합되면서 특히 난류형성수단(7a)에 의해 난류를 이루어 더욱 혼합효과를 증대시키면서 오존에 의해 냄새 등이 오존에 의해 산화분해되어 탈취되게 된다. 그 오존발생기(15)에서 공급되는 오존의 양은, 물입자(16a)의 양 및 팬(14)의 송풍량과 함께 주방배기의 성분이나 배기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분무노즐(16)에서는 펌프모터(13)에 의해 물공급관(1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몸체(3)내에서 하향의 물입자(16a)로 분출되게 되며, 이러한 수분이 스크린(9)에 적셔 하향으로 적하되거나 몸체(3)의 내벽을 따라 유동하게 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이 오존에 의해 처리된 주방배기가 스크린(9)을 통과하면서 오존에 의해 산화분해된 분진, 기름 등이나 미처 산화분해되지 아니한 분진, 기름 등이 일차 걸러지게 되고, 또한, 여분의 오존도 일차 스크린(9)을 적신 물이나 몸체(3)의 내벽을 유동하는 물에서 물에 용해되어 제거되게 되며, 그 스크린(9)이나 몸체(3)의 내벽으로부터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물이 하향하여 유동 내지 낙하하게 된다.
또한, 더욱 주방배기가 상향하여 즉 하류로 유동하여 물입자(16a)를 통과하면서 잔존하는 분진, 기름, 오존 등이 거의 완전하게 수분에 용해되거나 부착 또는 응집되어 하향으로 유동하게 되어 거의 완벽하게 기름, 분진 등이 제거되게 되고, 탈취되게 된다. 특히, 오존의 경우에는, 일예로, 주방배기의 유량 10 liter/min.을 오존 100 ppm으로 산화분해시킨 후, 3 liter/min.의 미스트(16a)로 오존은 전부 용해되었으며,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물입자(16a)를 통과한 주방배기는 거의 완전하게 기름이나 분진, 오존 등이 제거되지만, 처리 유량에 따라서는 그 유량이 높을수록 물입자(16a)를 통과한 주방배기에 오염된 미세한 수분이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수분도 그 하류의 일리미네이터(10)를 통과하면서 완벽하게 제거되어 하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일리미네이터(10)의 단수는 유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실험에서는 45도, 5cm×5cm의 규격을 3-5단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한 후, 토출구에서 배출되는 냄새에 대해 냄새센서에 의하거나, 6인 관능검사요원에 의하는 관능검사법 또는 가스텍사의 검지관에 의한 시험법(가스텍이라는 회사의 검지관을 피검사샘플팩에 삽입하여 시험하는 방법)에 의하여 효과를 측정한 결과, 오존처리부(7)만을 가동시킨 경우에 비해 물입자(16a)만으로 처리한 경우가 훨씬 제거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오존과 물입자(16a)로 함께 처리한 때에 냄새의 제거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악조건의 주방배기에 대해서도 90%이상으로 나타났다.
또, 도 1의 상세한 도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리미네이터(10)의 단부에 수분유출방지수단(10a)이 설치된 때에 거의 완벽하게 수분의 방출을 방지할 수 있었으며, 더욱, 삼각형상의 수분유출방지수단(10a)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한편, 몸체(3)내에서 낙하하거나, 그 내벽을 따라 하향으로 유동되는 오염된 물은, 몸체(3)의 바닥에서 배출관(17)을 통해 수조(2)로 유동된다. 수조(2)에서는 입구에 설치된 필터(21)를 통해 물속에 있는 분진 등이 제거되고, 수조(2)내에서는 물의 온도나 응고제에 의해 고형화되어 부유되는 기름 등이 스크린망이나 오일세퍼레이터와 같은 기름제거수단(22)에 걸러지게 되고, 그 기름제거수단(22)을 외부로 인출하여 기름성분만을 별도로 모아 처리함으로써 수조(2)내의 물은 방류가 가능한 정도로 정화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조(2)내의 물이 정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아래부분의 정화수를 물입자(16a)로 재이용하도록 구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보충, 청소 등의 필요에 따라 깨끗한 물을 수조(2)로 공급할 수 있도록 파이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배기탈취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주방배기로부터 냄새와 분진 등을 제거하는 효율이 높으며, 이러한 효율을 지니는 본 발명만이 강화될 대기공기의 정화와 관련된 법규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간단한 구조이고 설치가 간편하여 주방배기탈취장치로 채용되기 적합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주방배기를 흡입부(8)로 유입시켜 탈취 또는 여과시킨 후, 토출부(6)로 배출시키며, 그 흡입부(8)로부터 유입된 주방배기로부터 냄새가 오존에 의해 산화분해되도록 오존발생기(15)로부터 발생하는 오존이 공급되는 오존처리부(7)가 설치되는 주방배기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존처리부(7)에서 오존에 의해 처리한 후, 그 오존과 함게 기름연기성분을 포함한 다양한 냄새와 분진을 물입자(16a)로 처리하여 물입자들과 함께 배출되도록 노즐공급관(12)과 펌프모터(13)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물입자(16a)를 형성하기 위한 분무노즐(1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처리부(7)가 흡입부(8)로부터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고, 주방배기가 상향으로 유동하는 영역에 물입자(16a)가 수직하향으로 형성되어 하향으로 처리된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분무노즐(1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
  4. 주방배기를 흡입부(8)로 유입시켜 탈취 또는 여과시킨 후, 토출부(6)로 배출시키며, 그 흡입부(8)로부터 유입된 주방배기로부터 냄새가 오존에 의해 산화분해되도록 오존발생기(15)로부터 발생하는 오존이 공급되는 오존처리부(7)가 설치되는 주방배기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존처리부(7)에서 주방배기와 오존을 혼합하여 그 주방배기의 냄새의 오존에 의한 산화분해 처리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난류를 형성하도록 돌출판과 같은 난류형성수단(7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
  5. 주방배기를 흡입부(8)로 유입시켜 탈취 또는 여과시킨 후, 토출부(6)로 배출시키는 주방배기탈취장치에 있어서,
    기름연기성분을 포함한 다양한 냄새와 분진을 오존과 함께 물입자(16a)로 처리하여 물입자들과 함께 배출되도록 노즐공급관(12)과 펌프모터(13)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물입자(16a)를 형성하기 위한 분무노즐(1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6)로 처리된 후의 주방배기에 포함되어 배출되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일리미네이터(10)가 토출부(6)와 물입자(16a)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입자(16a)로 주방배기를 처리한 후 하향으로 유출되는 물이 배출관(17)을 통해 주방배기 통로로부터 하부로 배출된 후, 일시 저장되도록 수조(2)가 그 물입자(16a) 아래에서 설치되며, 수조(2)에서는 오염물질과 기름성분이 제거된 후, 배수되도록 수조(2)에 필터(21)와 기름제거수단(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물입자(16a)의 수분에 오존과 분진 등을 용해시키도록 스크린(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리미네이터(10)에는 사각형상의 수분유출방지수단(10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배기탈취장치.
KR1020050045863A 2005-05-31 2005-05-31 주방배기탈취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30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863A KR100630422B1 (ko) 2005-05-31 2005-05-31 주방배기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5863A KR100630422B1 (ko) 2005-05-31 2005-05-31 주방배기탈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365U Division KR200398391Y1 (ko) 2005-05-31 2005-05-31 주방배기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0422B1 true KR100630422B1 (ko) 2006-10-09

Family

ID=3763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8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0422B1 (ko) 2005-05-31 2005-05-31 주방배기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4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46B1 (ko) * 2007-08-18 2008-09-22 삼원금속공업 주식회사 세정액 순환장치를 구비한 배기후드
KR101846046B1 (ko) * 2014-04-03 2018-04-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원을 이용한 직화구이의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CN109621595A (zh) * 2018-12-29 2019-04-16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根据厨房油烟成分的除油喷雾系统及油烟除油喷雾方法
CN110860419A (zh) * 2019-12-03 2020-03-06 安徽众品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喷雾装置及其喷雾系统
KR102184745B1 (ko) * 2020-07-08 2020-12-01 (주)유성엔비텍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
KR102265699B1 (ko) * 2020-12-07 2021-06-16 (주)코발트테크놀러지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용 실내공기 배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041A (ja) 2001-10-05 2003-04-18 Toshio Sakurazawa 空気清浄器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JP2003202145A (ja) 2002-01-04 2003-07-18 Takahiro Okazaki 排煙換気システム
JP2003329277A (ja) 2002-05-08 2003-11-19 Toshio Sakurazawa 空気清浄化手段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JP2004045004A (ja) 2002-07-11 2004-02-12 Fumiyuki Shoji 空気循環型フード、その方式と循環用装置
US6817356B2 (en) 2003-04-18 2004-11-16 Arlen W. Gallagher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grease, smoke and odor from exhaust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041A (ja) 2001-10-05 2003-04-18 Toshio Sakurazawa 空気清浄器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JP2003202145A (ja) 2002-01-04 2003-07-18 Takahiro Okazaki 排煙換気システム
JP2003329277A (ja) 2002-05-08 2003-11-19 Toshio Sakurazawa 空気清浄化手段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JP2004045004A (ja) 2002-07-11 2004-02-12 Fumiyuki Shoji 空気循環型フード、その方式と循環用装置
US6817356B2 (en) 2003-04-18 2004-11-16 Arlen W. Gallagher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l of grease, smoke and odor from exhaust system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5114041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446B1 (ko) * 2007-08-18 2008-09-22 삼원금속공업 주식회사 세정액 순환장치를 구비한 배기후드
KR101846046B1 (ko) * 2014-04-03 2018-04-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원을 이용한 직화구이의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CN109621595A (zh) * 2018-12-29 2019-04-16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根据厨房油烟成分的除油喷雾系统及油烟除油喷雾方法
CN109621595B (zh) * 2018-12-29 2023-09-22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根据厨房油烟成分的除油喷雾系统及油烟除油喷雾方法
CN110860419A (zh) * 2019-12-03 2020-03-06 安徽众品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喷雾装置及其喷雾系统
CN110860419B (zh) * 2019-12-03 2020-10-30 安徽众品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喷雾装置及其喷雾系统
KR102184745B1 (ko) * 2020-07-08 2020-12-01 (주)유성엔비텍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
KR102265699B1 (ko) * 2020-12-07 2021-06-16 (주)코발트테크놀러지 악취 및 유해가스 제거용 실내공기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4742B2 (ja) 汚染ガスの水洗式除塵浄化装置
US96384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air pollution from exhaust
KR101653544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CN100498094C (zh) 空气净化装置
JP2010519015A (ja) 都市環境内の大気を濾過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930987B1 (ko) 오존발생부가 내장된 고효율 탈취 조합 스크러버 시스템을 이용한 통합형 악취처리장치
KR100630422B1 (ko) 주방배기탈취장치
CN105042728A (zh) 室内空气滤尘及杀菌装置
EP1122105A2 (en) System for purifying the ventilation air in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motor vehicles or the like and of flows of air containing dust, exhaust fumes or the like, by atomization filtration
KR20040031624A (ko) 공기 청정 장치
KR101086728B1 (ko) 4차 여과식 공기 여과 장치
KR101463216B1 (ko) 효율이 향상된 악취제거장치
KR20150042902A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160622B1 (ko) 수막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1611538B1 (ko) 가스 처리용 와류 발생 분사 구조의 집진기
KR101806404B1 (ko) 공기정화 및 악취제거 시스템
KR200398391Y1 (ko) 주방배기탈취장치
KR20190031062A (ko) 분진 및 냄새 제거장치
JP2008221047A (ja) 排出空気処理装置
JPH11207136A (ja) 排気浄化装置
KR20200115845A (ko) 미세 분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200100922A (ko) 연기정화장치
KR102331252B1 (ko) 내부공기 순환공급식 탈취정화장치
CN210473440U (zh) 一种厕所除臭机
CN112902266A (zh) 多功能空气净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