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090B1 - Display position switcher of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Display position switcher of mobile pho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0090B1 KR100630090B1 KR1020000003509A KR20000003509A KR100630090B1 KR 100630090 B1 KR100630090 B1 KR 100630090B1 KR 1020000003509 A KR1020000003509 A KR 1020000003509A KR 20000003509 A KR20000003509 A KR 20000003509A KR 100630090 B1 KR100630090 B1 KR 1006300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unit
- folder
- hole
- mobile phone
- displ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의 표시부 위치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부를 갖는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폴더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힌지장치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폴더에 소정의 크기를 갖고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가 결합되는 구멍과, 상기 표시부의 일측면과 상기 표시부의 일측면에 접하는 상기 구멍의 내측 일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position switching device of the mobile ph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er having a main body including a main board, a folder having a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a hinge device provided to mechanically connect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to open and close the folder from the main body. In the cellular phone,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folder to which the display unit is coupled, and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hol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It comprises a rotating part mounted to rotate from.
휴대폰, 표시부, 회동부Mobile Phone, Display, Rotating Uni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폴더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a folder of a folding cell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폴더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folder of the clamshell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폴더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folder of a clamshell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폴더가 열려진 상태에서 표시부를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unit is rotated while a folder of a clamshell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5는 도 4의 회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unit of FIG. 4.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보드와 표시부 보드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display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인보드와 표시부 보드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display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의 표시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phone.
통상적으로 휴대폰은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추세에 따라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을 개발 단계에 따라 구분하면, 제1세대로 바형(bar-type)의 휴대폰이 보편화되었고, 제2세대로 플립형(flip-type)의 휴대폰이 일반화되었으며, 현재에는 플립형과 폴더형(folder-type)의 휴대폰이 공존하여 보편화된 추세에 있다. 여기서 폴더형 휴대폰은 폴더가 본체에 장착된 키패드를 보호하여 키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모드시 통화중의 음의 반사판 역할을 수행하여 음을 모아준다. 더욱이, 폴더형 휴대폰은 폴더에 스피커장치나 표시부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 소형화에 유리하다.In general, mobile phones are being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electronic components. When the mobile phon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ge of development, the bar-type mobile phones are generally used as the first generation, and the flip-type mobile phones are generalized as the second generation. -type) mobile phones coexist in the trend. In this case, the folder-type mobile phone protects the keypad mounted on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key, and collects the sound by acting as a reflector of the sound during the call mode. Moreover, the folding cellular phone is advantageous in miniaturizing the main body since the speaker device and the display portion can be provided in the folder.
도 1에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이 도시되었다. 도 1은 온 후크상태이다. 폴더형 휴대폰은 본체(10)와, 폴더(20)와, 본체와 폴더를 연결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된다. 폴더(20)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본체(10)로부터 개폐된다. 1 shows a folding cell 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is an on hook state. The folding cellular phone is composed of a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폴더를 닫게되면 표시부 화면을 볼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표시부에 나타나는 각종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폴더를 열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closes the folder when using the conventional clamshell mobile phone, the display screen cannot be seen. As a result,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user must open a folder in order to check variou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에 장착된 표시부의 위치를 전환시킬 수 있는 휴대 폰의 표시부 위치 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unit position switching device of a mobile phone that can switch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mounted on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개의 표시부를 사용하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표시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휴대폰의 표시부 위치 전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unit position switching device of a mobile phone which can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display unit even when the folder is closed in the folder-type mobile phone using one display unit.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보드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메인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부를 갖는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폴더를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힌지장치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폴더에 소정의 크기를 갖고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가 결합되는 구멍과, 상기 표시부의 일측면과 상기 표시부의 일측면에 접하는 상기 구멍의 내측 일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including a main board, a folder having a displa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mechanic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a folder to open and close the folder from the main body. A clamshell-type mobile phone having a hinge device, which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in the folder, and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is formed in a hole to which the display unit is coupled, and an inner surface of the hol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each rotating part is formed to be mounted so that the display part is rotated from the ho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le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are shown to provid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hese specific details are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meant to limit the invention there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폴더(40)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폴더(40)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폴더(40)가 열려진 상태에서 표시부(50)를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회동부(6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보드(70)와 표시부 보드(56)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의 기본적인 구성은 본체(30)와, 폴더(40)와, 본체(30)와 폴더(40)를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폴더(40)를 본체(30)로부터 개폐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된다. 폴더(40)는 도 2에 도시된 회전축(A)을 중심으로 본체(30)에서 회전운동을 한다. 본체(30)는 적어도 한 개이상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32)가 장착되고, 키패드(32) 하측으로 마이크장치(34)가 설치된다. 폴더(40)는 스피커장치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42)가 위치하며, 이어 피스(42) 하측으로 각종 표시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부(50)가 장착된다.First,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clamshell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표시부(50) 위치 전환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메인보드(70)를 포함하는 본체(30)와, 메인보드(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부(50)를 갖는 폴더(40)와, 본체(30)와 폴더(40)를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폴더(40)를 본체(30)로부터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힌지장치를 갖는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폴더(40)에 소정의 크기를 갖고 형성되어 표시부(50)가 결합되는 구멍(44)과, 표시부(50)의 일측면과 표시부(50)의 일측면에 접하는 구멍(44)의 내측 일면에 각각 형성되어 표시부(50)가 구멍(44)으로부 터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회동부(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표시부 보드(56)와 메인보드(70)간의 연결장치인 회동부(6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0)는 구멍(44)으로부터 착탈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회동부(60)는 고정 결합구조가 아니라 착탈 분리구조이다. 회동부(60)는 표시부(50)의 일측면으로부터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돌출되는 돌기(52)와, 돌기(52)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잭(54)과, 표시부(50)의 일측면에 접하는 구멍(44)의 내측 일면에 돌기(52)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홈(46)과, 홈(46)의 중심축 방향 내부로 신장되도록 형성되어 표시부(50)의 잭(54)이 결합되는 잭홀(48)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잭홀(48)과 메인보드(70)의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표시부 보드(56)와 메인보드(70)간에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연결선(62)이 내장된다. 메인보드(70)에는 제1커넥터(72)가 설치되고, 제1커넥터(72)와 접속된 제2커넥터(74)에는 연결선(62)이 접속된다.5 and 6, the rotat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폰의 폴더(40)에 장착된 표시부(50)를 회동부(60)를 중심으로 구멍(44)으로부터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회전방향에 부합하도록 전환하여 도 2의 사시도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표시부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두 개의 표시부를 갖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휴대폰의 폴더(40)가 열린 상태에서 표시부(50)를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더(40)가 열린 상태에서 회동부(60)를 중심으로 표시부(50)를 180도 회전시켜 표시부(50)의 화면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폴더(40)가 닫힌 상태에서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0)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을 폴더(40)가 닫힌 상태로 휴대할 시에는 표시부(50) 화면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가 폴더(40)를 열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통화를 하고자 할 때에는 폴더(40)를 열고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표시부(50)를 통해 화면정보를 확인하면서 통화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시부(5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키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50)를 위치시킨 후 표시부(50)의 화면정보를 확인하면서 통화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otates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표시부(50) 위치 전환장치는 휴대폰을 보관하거나 휴대하는 경우 폴더(40)에 장착되는 표시부(50)의 화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도록 위치시킨 후 각종 화면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을 사용하여 발신할 때나 수신하는 경우에는 표시부(50) 화면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도록 위치시켜 화면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부 위치 전환장치를 돌기와 잭으로 형성하여 회동부의 회전동작에 따라 표시부의 위치가 전환되도록 구성하였으나, 표시부의 위치 전환방법을 배터리팩의 탈부착 방법과 같이 착탈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보드와 표시부 보드간의 전기적 연결수단이 연결선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연성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rt position switching device is formed as a protrusion and a jack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isplay part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pivoting part. It can be configured as, can be configured to be removable in a slide manner. In addi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between the main board and the display boar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nnection line,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 flexible circuit.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를 직접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폴더 자체를 회전하는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폴더의 하단에는 원통형의 돌기(76)를 구성하고, 돌기(76)와 대응되는 힌지장치 외면에는 소정의 구멍(78)을 형성하여 돌기(76)가 끼워지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폴더가 힌지장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폴더의 회전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폴더의 회전운동은 일반적인 회전운동 기구를 적용할 수 있으며, 폴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기구도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folder itself may be rotated instead of directly rotating the display unit.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folder constitutes a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표시부 위치 전환장치는 한 개의 표시부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폰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부를 회전시켜 폴더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표시부에 나타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폴더의 개폐구동에 따른 배터리 전원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position switching device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information appearing on the display unit even when the folder is closed by rotating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the clamshell-type mobile phone equipped with one display unit.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consumption of battery power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ld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3509A KR100630090B1 (en) | 2000-01-25 | 2000-01-25 | Display position switcher of mobile pho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03509A KR100630090B1 (en) | 2000-01-25 | 2000-01-25 | Display position switcher of mobile pho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6089A KR20010076089A (en) | 2001-08-11 |
KR100630090B1 true KR100630090B1 (en) | 2006-09-27 |
Family
ID=1964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0350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0090B1 (en) | 2000-01-25 | 2000-01-25 | Display position switcher of mobile pho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009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1494B1 (en) * | 2000-11-15 | 2003-02-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lephone Turnable Folder Over |
KR20010035318A (en) * | 2001-02-02 | 2001-05-07 | 신용호 | dual folder-type hand-phone |
KR20020065702A (en) * | 2001-02-07 | 2002-08-14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2000
- 2000-01-25 KR KR1020000003509A patent/KR1006300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76089A (en) | 2001-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207671B1 (en) | Opening/closing structure for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
EP1530346B1 (en) |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 |
KR100575998B1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20010068807A (en) |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 |
KR100651412B1 (en) | Swing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JP3764922B2 (en) | Flip type mobile phone microphone connection device | |
US7532915B2 (en) |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ree modes of operation | |
JP4578717B2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KR100630090B1 (en) | Display position switcher of mobile phone | |
KR100663553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lens assembly | |
KR100819277B1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0325246B1 (en) | Hinge device with automatic switching unit in flip-type portable telephone | |
KR200276837Y1 (en) | Folder type celluar phone | |
KR100442689B1 (en) |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 |
KR200174762Y1 (en) |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mobile phone | |
KR100585736B1 (en) |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359074B1 (en) | Rotary connector of celluar phone's folder | |
KR100540240B1 (en) | Swivel hinge device of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313143B1 (en) | Hinge device of flip type mobile phone | |
KR20040078725A (en) | Mobile terminal having rotatable function module | |
KR20010103976A (en) | Hinge devic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
KR20000014212U (en) | Coupling device between flip and hinge device | |
KR100557166B1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JP3640049B2 (en) | Adapter for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equipment | |
KR100536395B1 (en)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1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