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339B1 -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9339B1 KR100629339B1 KR1020050002957A KR20050002957A KR100629339B1 KR 100629339 B1 KR100629339 B1 KR 100629339B1 KR 1020050002957 A KR1020050002957 A KR 1020050002957A KR 20050002957 A KR20050002957 A KR 20050002957A KR 100629339 B1 KR100629339 B1 KR 1006293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drain
- condensate
- guide rib
- chassis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1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는 섀시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서포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받아 배수하도록 상기 섀시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좌우 드레인부와, 상기 좌우 드레인부의 일측에서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의 옆으로 돌출된 전후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제 1 드레인부와; 상기 섀시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와 상기 제 1 드레인부에서 배수된 응축수를 받아 배수하는 제 2 드레인부가 형성된 디스챠지 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내 열교환기 표면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실내기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assis; A heat exchanger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A first drain part including a left and right drain part formed on the chassis in a lengthwise direction to receive and drain 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a front and rear drain part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heat exchanger supporter from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drain parts; And a discharge grill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hassis, the discharge grill having a condensate flowing down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a second drain portion receiving and condensing the condensate drained from the first drai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generated condensate falls to the bottom of the indoor unit.
공기조화기, 실내 열교환기, 섀시, 제 1 드레인부, 디스챠지 그릴, 제 2 드레인부, 열교환기 서포터, 가이드 리브Air Conditioner, Indoor Heat Exchanger, Chassis, First Drain, Discharge Grill, Second Drain, Heat Exchanger Supporter, Guide Rib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수 구조가 적용된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to which a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전면이 개방일 때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1 is ope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전면이 밀폐일 때의 사시도, 3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1 is hermetically seal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1;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가 도시된 일부 절결 정면도,6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showing the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8;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내기의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8.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실내기 101: 섀시100: indoor unit 101: chassis
102c: 배면 공기 흡입구 104: 좌측 유로 가이드102c: rear air inlet 104: left flow guide
105: 열교환기 서포터 106: 우측 유로 가이드105: heat exchanger supporter 106: right flow guide
107: 제 1 드레인부 108: 좌우 드레인부107: first drain portion 108: left and right drain portions
109: 전후 드레인부 110; 프론트 그릴109: front and
111: 전면 공기 흡입구 112: 전면 프리 필터111: front air inlet 112: front pre-filter
113; 상면 공기 흡입구 114: 상면 흡입 그릴 113; Top air inlet 114: Top intake grill
115: 상면 좌측 프리 필터 116: 상면 우측 프리 필터115: Top left prefilter 116: Top right prefilter
119a: 흡입 가이드 119b: 환기용 홀119a: suction guide 119b: ventilation hole
120: 디스챠지 그릴 121: 제 2 드레인부120: discharge grill 121: second drain portion
122: 공기 토출구 123: 디스 챠지 본체122: air discharge port 123: discharge body
124: 루버 125: 베인124: Louver 125: vane
126: 드레인 호스 130: 송풍용 모터126: drain hose 130: blowing motor
132: 송풍용 팬 134: 실내 열교환기132: blower fan 134: indoor heat exchanger
134a: 수직부 134b: 제 1 경사부134a:
134c: 제 2 경사부 140: 프론트 패널134c: second inclined portion 140: front panel
161: 상부 체결부재 162: 하부 체결부재161: upper fastening member 162: lower fastening member
163: 체결부 164: 제 1 가이드 리브163: fastening portion 164: first guide rib
164a: 경사부 164b: 상측 수직부164a:
164c: 하측 수직부 165: 제 2 가이드 리브164c: lower vertical portion 165: second guide rib
165a: 경사부 165b: 수직부165a:
166: 제 3 가이드 리브 167: 제 4 가이드 리브166: third guide rib 167: fourth guide rib
170: 열교환기 지지부170: heat exchanger suppor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 열교환기 표면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실내기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eventing condensate generated at the surface of an indoor heat exchanger from falling down to an indoor uni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를 냉/난방시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크게 나누어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In general, the air conditioner is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cooling / heating the room, and divided into two types (window type) and separate (seperate or split type).
상기한 일체형과 분리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고,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다.The one-piece type and the separate type are functionally the same, but the one-piece type integrates the function of cooling heat dissipation, and is directly installed by drilling a hole in a wall of a house or by hanging a device on a window. The separate type installs a cooling device on the indoor side and heat dissipation on the outdoor side. And a compression device to connect the two devi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refrigerant pipe.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 중 분리형은 크게 냉각기능을 수행하도록 실내 열교환기가 내장된 실내기와, 방열 및 압축기능을 수행하는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와 팽창기구가 내장된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으로 구성된다. The separate type of the air conditioner is an indoor unit having an indoor heat exchanger to perform a cooling function largely, an outdoor heat exchanger performing a heat dissipation and compression function, an outdoor unit having a compressor and an expansion device, and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connected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refrigerant piping.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내기의 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8,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8.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50)와, 상기 실내기(1)와 실외기(50)를 연결하는 냉매배관(52)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cludes an
상기 실내기(1)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와, 상기 섀시(2)의 전면에 결합되고 공기 흡입구(4) 및 흡입 그릴(6)이 형성되며 전면 하측 또는 저면에 공기 토출구(8)가 형성된 프론트 그릴(10)과, 상기 프론트 그릴(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흡입 그릴(12)과, 상기 섀시(2)에 장착되는 모터(14)와, 상기 모터(14)에 연결된 송풍팬(16)과, 상기 송풍팬(16)과 상기 공기 흡입구(4) 및 흡입그릴(6)의 사이에 배치된 실내 열교환기(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8 to 10, the
상기 프론트 그릴(10)은 전면에 전면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이 일체 형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그릴(10)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 필터(5)가 배치된다.The
상기 흡입 그릴(12)은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 및 프리 필터(5)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가 상기 프론트 그릴(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상기 프론트 그릴(10)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8)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부(19)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 토출구(8)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시키는 루버(20)와 상하 풍향을 변경시키는 베인(22)을 포 함하는 디스챠지 그릴(24)이 장착된다.The louver for changing the left and right wind directions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상기 실내 열교환기(18)는 상기 송풍팬(16)과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4) 사이의 수직부(18a)와, 상기 수직부(18a)의 상단에서 상기 섀시(2)의 상부를 향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부(18b)로 구성된다.The indoor heat exchanger (18) is a vertical portion (18a) between the blower fan (16) and the front air intake port (4), and predetermined from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8a) toward the top of the chassis (2) It consists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시 상기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송풍팬(16)이 회전되면, 상기 흡입 그릴(12) 전방의 실내 공기가 상기 흡입 그릴(12)과 전면 공기 흡입구(4)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5)에 의해 이물질이 걸름되고, 상기 프론트 그릴(10)과 섀시(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In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그리고, 상기 프론트 그릴(10) 상측의 실내 공기가 상기 상면 흡입 그릴(6)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 그릴(10)과 섀시(2)의 사이 공간으로 흡입된다.In addition, indoor air above the
상기와 같이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8)를 통과하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18)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송풍팬(16)을 통과한 후 상기 루버(20) 및 베인(22)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8)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The indoor air sucked as described above is cooled by a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와 같은 냉방 운전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8)의 표면에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고, , 응축된 수분은 상기 실내 열교환기(18)의 경사부(18b)와 수직부(18a)를 따라 흘러 상기 디스챠지 그릴(24)의 드레인부(19)로 낙하되고, 이후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수된다.Meanwhile, the air conditioner condenses moisture in the air on the surface of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8)가 수직부(18a)와, 상기 수직부(18a)의 상단에서 상기 섀시(2)의 상부를 향해 경사지 게 배치된 경사부(18b)로 이루어져, 열교환 면적이 작고, 냉방 능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상기 경사부(18b)를 상기 수직부(18a)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제 1 경사부와, 상기 제 1 경사부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제 2 경사부로 구성하는 경우,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어 냉방 능력이 향상되게 되나, 이 경우 상기 제 2 경사부에서 낙하되는 응축수가 상기 섀시(2)의 하부로 낙하되어 상기 섀시(1)와 프론트 그릴(10) 사이의 틈을 통해 실내기의 하부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inclined portion inclin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 열교환기 표면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실내기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that can prevent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to fall to the bottom of the indoor uni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는 섀시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서포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받아 배수하도록 상기 섀시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좌우 드레인부와, 상기 좌우 드레인부의 일측에서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의 옆으로 돌출된 전후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제 1 드레인부와; 상기 섀시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와 상기 제 1 드레인부에서 배수된 응축수를 받아 배수하는 제 2 드레인부가 형성된 디스챠지 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chassis; A heat exchanger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A first drain part including a left and right drain part formed on the chassis in a lengthwise direction to receive and drain 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a front and rear drain part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heat exchanger supporter from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drain parts; And a discharge grill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hassis, the discharge grille including a condensate flowing down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a second drain portion receiving and condensing the condensate drained from the first drain portion.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는 상기 제 1 응축수 드레인부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 2 응축수 드레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 드레인부는 상기 섀시의 전면 상부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exchanger support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rib for guiding the condensate dropped from the first condensate drain portion to the second condensate drain portion.
The left and right drains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an upper surface of the chassis.
상기 전후 드레인부는 좌우 중 일측에 경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and rear drai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는 상기 섀시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직교하게 형성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 exchanger supporter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astening portion fastened to the chassis by a fastening member, and a heat exchanger support portion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portion to support the indoor heat exchanger.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 1 드레인부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상기 체결부재의 옆으로 흐르도록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rib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down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first drain portion flows to th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상기 경사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clined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부 중에서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 중에서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n upper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an upp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and a lower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a lower part of the fastening part.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 1 드레인부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상기 상부 체결부재의 옆으로 흐르도록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제 1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rib may include a first guide rib having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downwar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first drain portion flows to the side of the upper fastening member.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 1 드레인부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상기 하부 체결부재의 옆으로 흐르도록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제 2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rib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rib having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downwar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first drain portion flows to the side of the lower fastening member.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제 1 가이드 리브와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체결부에서 돌출된 제 3 가이드 리브와; 상기 제 3 가이드 리브와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 사이를 따라 안내되는 응축수의 낙하 속도를 줄이도록 상기 제 3 가이드 리브에서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된 제 4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rib comprises: a third guide rib protruding from the fastening part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uide rib and the heat exchanger support part; And a fourth guide ri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third guide rib in a left-right direction so as to reduce a drop speed of the condensate guided between the third guide rib and the heat exchanger support.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수 배수 구조가 적용된 공기조화기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ir conditioner to which a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 및 실외기(200)와; 실내기(100)에 형성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 유닛(150)과; 실외기(200)에 형성되어 실내기(100)를 통해 실내로 산소(O″)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기(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0)에서 찬 공기 혹은 따뜻한 공기(I′)가 토출되는 냉/난방 운전과, 실내의 공기(I)가 실내기(100)로 흡입되어 실외로 배출되는 환기 운전과, 실내기(100)를 통해 산소(O″)가 공급되는 산소 운전을 포함하고, 상기 냉/난방 운전과 환기 운전과 산소 운전은 함께 혹은 독립적으로 실시된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oling / heating operation in which cold or warm air (I ′) is discharged from the indoor unit (100), a ventilation operation in which indoor air (I)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0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n indoor unit. Oxygen O " is supplied through 100, wherein the cooling / heating operation, the ventilation operation and the oxygen operation are performed together or independently.
상기 실내기(100)에는 냉매가 증발/응축되면서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 내 열교환기(134)와,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시켜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를 통과시킨 후 실내로 송풍시키는 실내 송풍기가 설치된다.The
상기 환기 유닛(150)은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에 설치된 환기용 송풍기(152)와, 상기 환기용 송풍기(152)에 의해 송풍된 실내 공기(I″)를 실외로 안내하는 환기 덕트(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환기용 송풍기(152)는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 좌,우 중 일측에 설치된다.The
상기 환기 덕트(154)는 일단이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기(100)에 형성된 덕트 관통홀(103a)을 관통하며 타단이 실외로 연장되게 배치된다.One end of the
상기 실외기(200)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실외 공기에 의해 냉매가 응축/증발되는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와, 실외 공기를 실외기 내부로 흡입시켜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실외로 송풍시키는 실외 송풍기가 설치된다.The
상기 실외기(200)에는 상기 실내기(100)가 냉방과 난방을 겸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절환하는 사방 밸브가 설치된다.The
상기 산소 공급기(250)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산소를 발생하는 산소 발생 유닛(252)과, 상기 산소 발생 유닛(252)에서 발생된 산소(O″)를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안내하는 산소 호스(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산소 발생 유닛(252)은 실외 공기(I)에서 질소(O′)와 산소(O″)를 분 리하여, 산소(O″)는 상기 산소 호스(254)로 공급하고, 질소(O′)는 실외로 다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실외기(200)의 상면에 설치된다.The
상기 산소 안내 호스(254)는 상기 산소 발생기(252)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실내기(100)에 형성된 호스 관통홀(103b)을 관통하며 타단이 상기 실내기(100)의 실내 열교환기(134) 전방 혹은 상측에 배치된다. One end of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전면이 개방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전면이 밀폐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1 is ope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1 is hermetically sealed,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상기 실내기(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101)와; 상기 섀시(101)의 전방에 설치된 프론트 그릴(110)과;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하측에 설치된 디스챠지 그릴(120)와; 상기 섀시(101)에 설치된 송풍용 모터(130) 및 송풍 팬(132)으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와; 상기 송풍 팬(132)과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사이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섀시(101)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 연결된 냉매 배관(135)이 통과하는 냉매 배관 통과홀(102a)이 형성되고, 상기 냉매 배관 통과홀(102a)을 통과하는 냉매 배관(135)을 지지하는 배관 홀더(102b)가 설치된다.4 and 5, the refrigerant
상기 섀시(101)에는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의 배면 상부를 통해 흡입될 수 있도록 배면 공기 흡입구(102c)가 형성된다.The
상기 섀시(101)의 전면 좌측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서 열교환된 공 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좌측 유로 가이드(104)가 돌출 형성된다.A left flow path guide 104 is formed at the front left side of the
상기 좌측 유로 가이드(104)에는 상기 송풍팬(132)을 지지하는 베어링(133)이 수납되는 수납부(104a)가 형성된다.The
상기 섀시(101)의 전면 좌측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좌측을 지지하는 열교환기 서포터(105)가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된다.The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105)에는 상기 베어링(133)이 수납되는 수납부(105a)가 형성된다.The
상기 섀시(101)의 전면 우측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우측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우측 유로 가이드(106)가 형성된다.A right flow path guide 106 is formed on the front right side of the
상기 우측 유로 가이드(106)는 상기 섀시(101)의 전면 우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송풍용 모터(130)의 회전축(131)이 관통되는 축 관통홀(106a)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right flow path guide 106 protrudes forward from the right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섀시(101)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아 배수하는 제 1 드레인부(107)가 돌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제 1 드레인부(107)는 상기 섀시(101)의 전면 상부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좌우 드레인부(108)와; 상기 좌우 드레인부(108)의 일측에서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105)의 옆으로 돌출된 전후 드레인부(1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그릴(11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공기 흡입구(1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 프리 필터(112)가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11)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상면에 상면 공기 흡입구(113)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 흡입 그릴(114)이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113)에 위치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상기 상면 흡입 그릴(114)의 저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117)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17)에는 상기 상면 흡입 그릴(114)을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상면 좌,우 프리 필터(115)(116)가 설치된다.A sliding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둘레에는 데코 패널(118)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그릴(110)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11) 및 상면 공기 흡입구(113)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옆으로 새지 않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로 안내되록 흡입 가이드(119a)가 형성된다.The
상기 흡입 가이드(119a)는 좌,우 각각 형성되고, 그 중 좌측 흡입 가이드에는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I) 중 일부가 상기 환기 유닛(150) 특히, 상기 환기용 송풍기(152)로 흡입되도록 다수개의 환기용 홀(119c)이 형성된다.The
상기 디스챠지 그릴(1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받아 배수하는 제 2 드레인부(121)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에 상기 공기 토출구(122)가 형성된 디스 챠지 본체(123)와, 상기 공기 토출구(122)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루버(124)와, 상기 공기 토출구(122)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하도록 설치된 베인(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상기 디스 챠지 본체(123)에는 상기 제 2 드레인부(121)의 응축수가 상기 공기조화기 외부로 배수되는 드레인 호스(126)가 연결된다.The discharge
상기 송풍 팬(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배치되고, 좌측단에 상기 베어링(1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측 회전축(132a)이 돌출되고, 우측단에 상기 송풍용 모터(130)의 회전축(131)에 연결되는 우측 회전축(132b)이 돌출된다.As shown in FIG. 4, the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11) 후방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부(134a)와, 상기 수직부(134a)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1 경사부(134b)와, 상기 제 1 경사부(134b)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제 2 경사부(134c)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상기 수직부(134a)는 하단이 상기 디스챠지 그릴(120)의 제 2 드레인부(121) 상측에 배치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제 2 경사부(134b)는 하단이 상기 섀시(101)의 제 1 드레인부(121) 특히, 상기 좌우 드레인부(108)에 배치된다.A lower end of the second
한편, 상기 실내기(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11)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프론트 패널(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 to 5, the
상기 프론트 패널(140)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 회동 및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술하는 투명부를 위해 일측에 개구홀(140c)이 형성된 패널 프레 임(140a)과, 상기 패널 프레임(140a) 전방에 배치된 도어 글래스(140b)와, 상기 도어 글래스(140)의 배면에 인쇄되되, 상기 개구홀(140c)의 전방에는 인쇄되지 않는 인쇄물(140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배면 하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하부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하부에 걸림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걸이 리브(140e)가 돌출 되고,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하부에는 걸이 리브(140e)가 좌우방향, 하측방향, 전방 방향으로 걸림되고 상측 방향 및 프론트 패널(140)의 회동 방향으로 걸림되지 않는 걸이 리브용 포킷(110a)이 형성된다.A
상기 프론트 패널(140)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하부에 링크 수단으로 연결된다.The
상기 링크 수단은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 하부에 힌지 연결된 제 1 링크(141)와, 상기 제 1 링크(141)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배면에 힌지 연결된 제 2 링크(142)와, 상기 제 2 링크(142)를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거는 링크 서포터(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nk means may include a
상기 프론트 그릴(110)과 상기 프론트 패널(140)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을 회동 개폐 동작시키는 프론트 패널 구동 수단이 설치된다.The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 수단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배면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144)과, 상기 프론트 그릴(110)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와,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의 회전축에 축설되고 상기 랙(144)이 치합되는 피니언(146)으로 구성된다.The front panel driving means includes a
상기 프론트 패널(140)은 상기 패널 프레임(140a)의 개구홀(140c) 및 도어 글래스(140b)에 의해 투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의 후방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8)가 설치된다.The
상기 프론트 패널(140)의 배면 및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140)이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배치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148)를 상기 투명부의 후방에 위치시키고, 상기 프론트 패널(140)이 상기 프론트 그릴(1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148)를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측에 유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착 수단(149)이 형성된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180은 상기 송풍용 모터(130)를 덮도록 상기 섀시(101)에 나사나 후크 등으로 체결되는 모터 커버이다.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190은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 부품이 장착되고 상기 모터 커버(180)의 전방 혹은 상측에 배치되는 컨트롤 박스이다.
도 4에 도시된 참조 부호 198은 상기 컨트롤 박스(190)의 서비스를 위해 상기 컨트롤 박스(196)의 전방에 형성된 서비스 홀을 막는 박스 커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가 도시된 일부 절결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6 is a partially cutaway front view illustrating the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10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섀시(101)에 체결부재(161)(162)로 체결되는 체결부(163)와, 상기 체결부(163)와 직교하게 형성 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지지부(17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상기 체결부재(161)(162)는 상기 체결부(163) 중에서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부재(161)와, 상기 체결부(163) 중에서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부재(162)로 구성된다.The
상기 체결부(163)는 상기 상부 체결부재(161)와 하부 체결부재(162)에 의해 상기 섀시(101) 특히, 상기 좌측 유로 가이드(104)에 체결된다.The
즉, 상기 체결부(163)에는 상기 상부 체결부재(161)가 체결되는 상부 체결공(163a)과, 상기 하부 체결부재(162)가 체결되는 하부 체결공(163b)이 형성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섀시(101), 특히 상기 좌측 유로 가이드(104)에는 상기 상부 체결공(163a)와 대응되는 상부 체결공(104b)과, 상기 하부 체결공(163b)와 대응되는 하부 체결공(104c)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한편,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105), 특히, 상기 체결부(163)에는 상기 제 1 응축수 드레인부(106), 특히 상기 전후 드레인부(109)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 2 응축수 드레인부(121)로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164)(165)(166)(167)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가이드 리브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 드레인부(109)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105)의 좌측단 옆으로 흐르지 않고, 상기 제 2 드레인부(121)로 안내되도록 상기 체결부(163)의 전면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 1 가이드 리브(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front and
상기 제 1 가이드 리브(164)는 상기 제 2 드레인부(121)를 향해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164a)와, 상기 경사부(164a)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상,하측 수직부(164b)(16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제 1 가이드 리브(164)는 상기 전후 드레인부(109)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상기 하부 체결부재(162) 및 하부 체결공(163b)(104c)측으로 흐르지 않고 상기 하부 체결부재(162)의 옆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경사부(164a)가 상기 하부 체결부재(162)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꺽인다.The
상기 경사부(164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되는 응축수가 상기 경사부(164a)의 선단을 따라 하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한편, 상기 가이드 리브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 드레인부(109)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상기 상부 체결부재(161) 및 상부 체결공(163a)(104b)측으로 흐르지 않고, 상기 상부 체결부재(161)의 옆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 리브(164)에서 옆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2 가이드 리브(16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6 and 7, the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front and
상기 제 2 가이드 리브(165)는 상기 제 1 가이드 리브(164)에서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165a)와, 상기 경사부(165a)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부(16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상기 경사부(165a)가 상기 상부 체결부재(161)의 상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상기 경사부(165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되는 응축수가 상기 경사부(165a)의 선단을 따라 하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한편, 상기 가이드 리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가이드 리브(164)와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17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체결부(163)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 3 가이드 리브(166)와, 상기 제 3 가이드 리브(166)와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170) 사이를 따라 안내되는 응축수의 낙하 속도를 줄이도록 상기 제 3 가이드 리브(166)에서 좌우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게 형성된 제 4 가이드 리브(16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guide rib has a third guide projecting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상기 제 3 가이드 리브(166)는 상기 제 1 가이드 리브(164) 및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170)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The
한편, 상기 제 1 드레인부(106) 중에서 상기 전후 드레인부(109)에는 안내되는 응축수가 상기 열교환기 지지부(170)와 제 3 가이드 리브(166)의 사이를 따라 안내될 수 있도록 좌측부에 우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부(109a)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condensate guided to the front an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이 입력되면, 상기 실외기(200)의 압축기가 구동되고, 상기 실외기(200)의 사방 밸브는 냉방 모드로 절환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는 개방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실내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130)는 구동되며, 상기 실외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가 구동된다.First, when a cooling operation is input to the air conditioner, a compressor of the
상기 실외기(200)의 압축기가 구동되고, 상기 실외기(200)의 사방 밸브가 냉방 모드로 절환되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사방 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와 팽창 기구와 실내 열교환기(134)와 사방 밸브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로 순환되고, 이 때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는 주변의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되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 주변의 공기는 냉각된다.When the compressor of the
한편, 상기 프론트 패널 구동용 모터(145)가 개방 모드로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146)은 회전되어 상기 랙(144)을 전진시키고, 상기 프론트 패널(140)은 도 1과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과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실내기(50)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11)를 통한 실내 공기의 흡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ont
그리고, 상기 실내 송풍기의 송풍용 모터(130)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 팬(132)은 회전되고, 상기 실내기(50)의 전방과 상측과 후방의 실내 공기(I)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11)와 상면 공기 흡입구(113)과 배면 공기 흡입구(102c)로 흡입된다.Then, when the blowing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111)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I)는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전면에 장착된 전면 프리 필터(112)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전면 프리 필터(112)에 걸름된다.The indoor air I sucked into the
상기 전면 프리 필터(11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름된 실내 공기(I)는 상기 흡입 가이드(119a)의 안내를 받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수직부(134a) 또는 제 1 경사부(134b)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The indoor air I,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erial has been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한편, 상기 상면 공기 흡입구(113)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I)는 상기 프론트 그릴(110)의 상면에 장착된 상면 프리 필터(115)(116)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상면 프리 필터(115)(116)에 걸름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indoor air (I) sucked into the upper
상기 상면 프리 필터(115)(116)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름된 실내 공기(I)는 상기 흡입 가이드(119a)의 안내를 받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제 1 경사부(134b) 또는 제 2 경사부(134c)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The indoor air I,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또한, 상기 배면 공기 흡입구(102c)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I)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제 2 경사부(134c)를 통과하면서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In addition, the indoor air I sucked into the
상기와 같이 냉각된 실내 공기(I′)는 상기 송풍팬(132)을 통과한 후 상기 디스챠지 그릴(120)의 루버(123) 및 베인(124)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공기 토출구(12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The indoor air (I ′) cooled as described above is guided by the
한편, 상기와 같은 냉방 운전시 상기 실내 열교환기(134)의 표면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고, 응축된 수분 중 일부는 상기 제 1 드레인부(106)의 좌우 드레인부(108)로 흘러 내리고, 나머지는 상기 제 2 드레인부(121)로 흘러 내린다.Meanwhile,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moisture in the air is condensed on the surface of the
상기 제 1 드레인부(106)의 좌우 드레인부(108)로 흘러 내린 응축수는 상기 전후 드레인부(109)로 이동되고, 상기 전후 드레인부(109)를 통과하면서 상기 경사부(109a)에 의해 전후 드레인부(109)의 우측으로 모아지며, 이후 제 3 가이드 리브(166)와 열교환기 지지부(170)의 사이를 따라 하측으로 흘러내린다.The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the left and
상기 응축수는 상기 제 2 드레인부(121)로 흘러내려, 상기 제 2 드레인부(121)에 흘러내린 응축수와 합쳐지고, 상기 드레인 호스(126)를 통해 상기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수된다.The condensed water flows down to the
한편, 상기 전후 드레인부(109)에서 낙하된 응축수는 일부가 상기 제 3 가이드 리브(166)와 제 1 가이드 리브(164)의 사이를 따라 흐르게 된다.Meanwhile, part of the condensed water dropped from the front and
상기 제 3 가이드 리브(166)와 제 1 가이드 리브(164)의 사이를 따라 흐르는 응축수는 상기 제 1 가이드 리브(164)에 막힘되어 상기 열교환기 서포터(105)의 좌측단 옆으로 흐르지 않고, 상기 제 2 가이드 리브(165)의 경사부(165a) 및 수직부(165b)에 막힘되어 상기 상부 체결부재(161)측으로 흐르지 않으며, 상기 제 1 가이드 리브(164)의 경사부(164a)에 의해 막힘되어 상기 하부 체결부재(162)로 흐르지 않고, 상기 제 1 가이드 리브(164)와 상기 제 3 가이드 리브(166)를 하단 사이를 지나 상기 제 2 드레인부(121)에 흘러 내린다.Condensed water flowing betwee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 구조는 섀시에 실내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받아 배수하는 제 1 드레인부가 형성되고, 섀시의 전면 하부에 실내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받아 배수하는 제 2 드레인부가 형성된 디스챠지 그릴이 설치되며, 실내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열교환기 서포터에 제 1 응축수 드레인부에서 낙하된 응축수를 상기 제 2 응축수 드레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어, 실내 열교환기 표면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실내기의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irst drain portion for receiving and condensing the condensate flowed down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in the chassis, the condensate flowed down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in the lower front of the chassis A discharge grill having a second drain portion for receiving and draining is installed, and a guide rib for guiding condensate dropped from the first condensate drain portion to the second condensate drain portion is formed in a heat exchanger supporter for supporting an indoor heat exchang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condensate generated at the surface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indoor unit.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2957A KR100629339B1 (en) | 2005-01-12 | 2005-01-12 |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2957A KR100629339B1 (en) | 2005-01-12 | 2005-01-12 |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2458A KR20060082458A (en) | 2006-07-18 |
KR100629339B1 true KR100629339B1 (en) | 2006-09-29 |
Family
ID=3717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2957A KR100629339B1 (en) | 2005-01-12 | 2005-01-12 |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933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0955642Y (en) * | 2006-08-31 | 2007-10-0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Novel connecting device of drain pipe |
CN111503729B (en) * | 2019-01-31 | 2022-01-28 | Lg电子株式会社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JP7588296B2 (en) * | 2021-01-21 | 2024-11-22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Air conditioners |
CN115950000A (en) * | 2023-02-14 | 2023-04-11 | 小米科技(武汉)有限公司 |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4793A (en) * | 1995-06-28 | 1997-01-17 | Nippondenso Co Ltd | Laminated heat exchanger |
JPH09329343A (en) * | 1996-06-07 | 1997-12-22 | Toshiba Ave Corp | Air conditioner |
KR20000020603A (en) * | 1998-09-22 | 2000-04-15 | 구자홍 | Device for draining condensed water of air conditioner |
KR20000010140U (en) * | 1998-11-17 | 2000-06-15 | 구자홍 | Condensate treatment unit of air conditioner |
KR20000055579A (en) * | 1999-02-08 | 2000-09-05 | 구자홍 | device for guiding liquid comming into being from heat change of air conditioner |
-
2005
- 2005-01-12 KR KR1020050002957A patent/KR10062933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4793A (en) * | 1995-06-28 | 1997-01-17 | Nippondenso Co Ltd | Laminated heat exchanger |
JPH09329343A (en) * | 1996-06-07 | 1997-12-22 | Toshiba Ave Corp | Air conditioner |
KR20000020603A (en) * | 1998-09-22 | 2000-04-15 | 구자홍 | Device for draining condensed water of air conditioner |
KR20000010140U (en) * | 1998-11-17 | 2000-06-15 | 구자홍 | Condensate treatment unit of air conditioner |
KR20000055579A (en) * | 1999-02-08 | 2000-09-05 | 구자홍 | device for guiding liquid comming into being from heat change of air conditioner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020000055579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2458A (en) | 2006-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1206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1417050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727461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EP1950501A1 (en) | Air conditioner | |
KR100629339B1 (en) |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EP1950503A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inlet via movable front panel and air outlet via bottom/top towards rearside | |
KR100728672B1 (en) | Condensate Drainag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KR100748965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162168B1 (en) |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 |
KR100629338B1 (en) | Pip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KR20070078250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748958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660968B1 (en) | Filte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0758952B1 (en) | Air conditioner | |
KR100657462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105766B1 (en) | Air conditioner and filter control method | |
KR100748959B1 (en) | Air conditioner | |
KR101144801B1 (en) | Dehumidifier | |
KR100591322B1 (en) | Display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 |
KR20060005028A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20100025341A (en) |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 |
KR20070013827A (en) | Display mounting assembly of air conditioner | |
JP4468839B2 (en) | Integrated air conditioner | |
KR100629535B1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
KR101155480B1 (en) | Air conditioner and Discharge direction control method of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