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554B1 - Electronic device having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having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7554B1 KR100627554B1 KR1020040115084A KR20040115084A KR100627554B1 KR 100627554 B1 KR100627554 B1 KR 100627554B1 KR 1020040115084 A KR1020040115084 A KR 1020040115084A KR 20040115084 A KR20040115084 A KR 20040115084A KR 100627554 B1 KR100627554 B1 KR 1006275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ory card
- attachment
- detachment
- recognition
- storage mea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에 따른 인지 신호 및 현재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 상태에 따라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메모리 카드로의 접속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기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of the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of the memory card and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state of the current memory card, and thereby controls whether the memory card data is secured by controlling the connection to the memory car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thereof for protecting and preventing malfunction.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이탈/부착이 가능한 저장 수단;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저장 수단을 부착시키기 위한 연결 수단; 상기 저장 수단이 이탈 또는 부착에 따라 인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인지 수단; 및 상기 인지 수단으로부터의 인지 신호 및 현재 상기 저장 수단의 이탈/부착 상태에 따라 근거하여 상기 저장 수단의 이탈/부착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으로의 접속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함.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comprising: storage means capable of detachment / attachment to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means for attaching the storage means to the electronic device; Recognition means for generating a recognition signal as the storage means is detached or attached; And control means for determining the detachment / attachment of the storage means based on the recognition signal from the recognition means and the current detachment / attachment state of the storage means and controlling whether to connect to the storage means accordingly. .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외장형 메모리 카드의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한 전자기기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electronic devices that can attach and detach an external memory card.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이탈/부착 상태, 접속 제어, 핫 리젝션(Hot Rejection), 메모리 카드Memory Card Release / Attachment, Release / Attachment Status, Access Control, Hot Rejection, Memory Card
Description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1A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메모리 카드를 이탈/부착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도면,1B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aching / attaching a memory car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제어부 120 : 연결부110: control unit 120: connection unit
130 : 인지부 140 : 저장부(메모리 카드)130: recognition unit 140: storage unit (memory card)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에 따른 인지 신호 및 현재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 상태에 따라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메모리 카드로의 접속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기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ment of a memory card according to a recognition signal according to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and a current memory card detachment or attachment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safely protecting data of a memory card and preventing a malfunction by determining attachment and controlling connection to the memory card accordingly.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란 무선통신 단말기, 노트북(notebook) 컴퓨터,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등과 같이 메모리 카드가 이탈/부착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refers to a device to which a memory card can be detached / attached,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notebook computer, a camcorder, a digital camer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the like.
그리고,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CS),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DA), a smart 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T-2000), such as a wireless terminal while carrying a person A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이하의 일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 중 무선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mong electronic device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통화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동성에 최대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가입자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고, 근래에는 무선통신 단말기가 일반인에게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Advantag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various, but above all, it is said that the greatest advantage is in the mobility provided to the user who is calling. Due to this mobility, the number of wireless communication subscribers has increased exponentially, and in recent year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re widely used by the general public.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이동성의 메리트(merit)는 점점 사라지고, 좀 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무선통신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However, as time goes by, the merits of mobility have gradually disappeared to users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nd a multifun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mor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s required.
이에 따라, 최근 출시되고 있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대부분 카메라 기능은 물론,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 음악(일예로, MP3 : MPEG layer 3) 재생 기능, 지압 기능, 혈당량 감지 기능, 초음파 촬영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음악 재생 기능은 젊은 세대들로부터 각광을 받고 있는 부가 기능들 중 하나다. Accordingly, most recently release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camera function, radi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music (for example, MP3: MPEG layer 3) playback function, acupressure function, blood glucose detection function, ultrasonic imaging function, etc. It has a function. In particular, the music playback function is one of the additional features that are in the spotlight of the young generation.
한편, 무선통신 단말기에 상기와 같이 부가 기능들이 추가됨에 따라 요구되는 메모리의 용량도 커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한 후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또는 음악 재생을 위한 음악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메모리의 용량도 커지게 되었다. Meanwhile, as the additional functions are add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required memory capacity also increases. For example, the capacity of the memory required to store an image file or to store a music file for music playback after taking a picture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s also increased.
하지만, 상기와 같은 대용량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만을 이용하기에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hysical limitation in using only the memory embedd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store such a large multimedia file.
그리하여, 최근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이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메모리의 용량이 필요할 때 이용하기도 한다.Therefore, recently, a memory card that can be detached / attach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when additional memory capacity is required.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 이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메모리 카드를 이탈시키는 경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메모리 카드가 이탈되는 시점을 인지하지 못한다.However, conventionally, after storing data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detachable / attachable memory card, when the memory card is detached, the time point at which the memory card is detach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recognized.
그리하여,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모리 카드가 이탈되는 시점에 무선통신 단 말기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또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오기 위해 접속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Thus, at the time when the memory card is detached by the us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store data in the memory card or to read data stored in the memory card.
그리하여, 메모리 카드가 이탈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 카드로 접속함으로 인해 무선통신 단말기가 리셋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지워져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오동작하는 핫 리젝션(Hot Rejection)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Thus, when the memory card is detache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reset or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card is erased due to the connection to the memory card, causing a hot rejection phenomenon in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lfunctions. Sometime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에 따른 인지 신호 및 현재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 상태에 따라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메모리 카드로의 접속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기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determines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of the memory car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of the memory card and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state of the current memory card, and thus accesses the memory card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safely protecting data of a memory card and preventing malfunction by controlling whether or not it is controll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에 이탈/부착이 가능한 저장 수단; 상기 전자기기에 상기 저장 수단을 부착시키기 위한 연결 수단; 상기 저장 수단이 이탈 또는 부착에 따라 인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인지 수단; 및 상기 인지 수단으로부터의 인지 신호 및 현재 상기 저장 수단의 이탈/부착 상태에 따라 근거하여 상기 저장 수단의 이탈/부착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으로의 접속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comprising: storage means capable of detachment / attachment to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means for attaching the storage means to the electronic device; Recognition means for generating a recognition signal as the storage means is detached or attached; And control means for determining the detachment / attachment of the storage means based on the recognition signal from the recognition means and the current detachment / attachment state of the storage means and controlling whether to connect to the storage means accordingly. .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전자기기에서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에 따라 인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지 신호 발생 단계; 상기 발생한 인지 신호와 메모리 카드의 현재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을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로의 접속을 제어하는 메모리 카드 접속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method in an electronic device, the recognition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recognition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of the memory card; And determining a detachment or attachment of the memory card based on the generated recognition signal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memory card, and controlling a connection to the memory car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이탈/부착이 가능한 저장부(140),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상기 저장부(140)를 부착시키기 위한 연결부(120), 상기 저장부(140)의 이탈 또는 부착에 따라 인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인지부(130), 및 상기 인지부(130)로부터의 인지 신호 및 현재 상기 저장부(140)의 이탈 또는 부착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부(140)의 이탈 또는 부착을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저장부(140)로의 접속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A,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하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부(140)가 상기 연결부(120)에서 외력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그 힘에 상응하여 인지부(130)에서 인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예 : 적외선 센서로 인지)으로 상기 저장부(140)가 이탈 또는 부착되는 것을 인지하여 인지 신호를 발생시키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emplary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저장부(140)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부착될 때 상기 저장부(140)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간에 전기적인 교신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는 접속핀들을 포함한다. The
따라서, 상기 저장부(140)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부착되면 상기 저장부(140)의 접속핀과 상기 연결부(120)의 접속핀이 서로 일대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140)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전기적인 교신이 가능하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한편, 상기 저장부(140)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탈되기 위해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120)에서 한번 눌려져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부(140)가 눌려지면 그 힘의 반동으로 인해 상기 저장부(140)의 접속핀과 상기 연결부(120)의 접속핀의 물리적인 연결이 끊어져 상기 저장부(140)가 이탈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be detached from the
또한, 상기 저장부(140)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부착되기 위해서도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120)에서 한번 눌려져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부(140)가 눌려지면 그 힘으로 인해 상기 저장부(140)의 접속핀과 상기 연결부(120)의 접속핀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장부(140)가 부착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be attach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인지부(130)는 상기 연결부(120)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저장부(140)가 이탈되기 위해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그 힘이 상기 인지부(130)에도 전해진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인지부(130)는 저장부(140)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에서 부착되기 위해 눌려지는 경우에도 그 힘에 상응하여 인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10)로 하여금 저장부(140)의 이탈 또는 부착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그리고, 제어부(110)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인지부(130)에서 발생시키는 인지 신호와 현재 저장부(140)의 이탈 또는 부착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부(140)의 이탈 또는 부착을 판단한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저장부(140)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지부(130)에서 인 지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저장부(140)가 이탈되려한다고 판단하고, 저장부(140)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지부(130)에서 인지 신호가 발생하면, 저장부(140)가 부착되려한다고 판단한다.For example, when a recogni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제어부(110)가 인지 신호에 의해 저장부(140)의 이탈을 판단하는 동시에 제어부(110)는 상기 저장부(140)로의 접속을 중지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보호되도록 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이탈/부착이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바탕으로 제작된 소형의 저장장치인 메모리 카드를 포함한다. 이하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부(140)가 이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메모리 카드 이탈/부착 인지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외력에 의해 메모리 카드(140)가 눌려진다(210).First, the
상기와 같이, 메모리 카드(140)가 눌려짐에 따라 그 힘에 상응하여 상기 인지부(130)에서 인지 신호가 발생한다(220).As described above, as the
상기와 같이, 인지부(130)에서 인지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인지 신호와 현재 메모리 카드(140)의 이탈 또는 부착 상태에 근거하여 메모리 카드(140)의 이탈 또는 부착을 판단한다(230). 즉, 현재에 메모리 카드(140)가 이탈되어 있는 상태라면 현재 인지부(130)에서 발생한 인지 신호는 상기 메모리 카드(140)를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메모리 카드(140)가 눌려짐으로 인해 발생한 인지 신호라고 판단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recogni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한편, 현재 메모리 카드(140)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라면 현재 상기 인지부(130)에서 발생한 인지 신호는 상기 메모리 카드(140)를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메모리 카드(140)가 눌려짐으로 인해 발생된 인지 신호라고 판단한다.Meanwhile, if the
상기 판단 결과(230), 상기 발생한 인지 신호가 메모리 카드(140)를 부착시키기 위한 인지 신호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리 카드(140)로의 접속을 시작한다(240).As a result of the
한편, 상기 판단 결과(230), 상기 발생한 인지 신호가 메모리 카드(140)를 이탈시키기 위한 인지 신호라면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리 카드(140)의 이탈을 인지함과 동시에 상기 메모리 카드(140)로의 접속을 중지한다(250).On the other hand, if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140)의 이탈/부착을 인지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카드(140)로의 접속여부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 카드(140)의 이탈 시점을 미리 인지함으로써 상기 메모리 카드(140)가 이탈되려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 카드(140)로의 접속으로 인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140)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가 사라지거나 또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connection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Since this proces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에 따른 인지 신호 및 현재 메모리 카드의 이탈 또는 부착 상태에 따라 메모리 카드의 이탈/부착을 판단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로의 접속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메모리 카드가 이탈되려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 카드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card is controll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memory card is detached / attach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of the memory card and the detachment or attachment state of the current memory car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connection to the memory card at the time of departure.
또한,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가 이탈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 카드로의 접속을 중지시킴으로써,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호하고 해당 전자기기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topping the connection to the memory card at the time when the memory card is detached, thereby protecting data stored in the memory card and preventing the electronic device from malfunctioning.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5084A KR100627554B1 (en) | 2004-12-29 | 2004-12-29 | Electronic device having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5084A KR100627554B1 (en) | 2004-12-29 | 2004-12-29 | Electronic device having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6606A KR20060076606A (en) | 2006-07-04 |
KR100627554B1 true KR100627554B1 (en) | 2006-09-21 |
Family
ID=3716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50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7554B1 (en) | 2004-12-29 | 2004-12-29 | Electronic device having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755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189420B2 (en) * | 2009-06-04 | 2012-05-29 | Micron Technology, Inc. | Advanced detection of memory device removal, and methods, devices and connector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7512A (en) * | 1992-12-16 | 1994-07-08 | Fuji Photo Film Co Ltd | Ic memory card control system |
KR20000009441A (en) * | 1998-07-24 | 2000-02-15 | 구자홍 | Apparatus for preventing wrong operation caused by removal of external memory card |
-
2004
- 2004-12-29 KR KR1020040115084A patent/KR1006275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87512A (en) * | 1992-12-16 | 1994-07-08 | Fuji Photo Film Co Ltd | Ic memory card control system |
KR20000009441A (en) * | 1998-07-24 | 2000-02-15 | 구자홍 | Apparatus for preventing wrong operation caused by removal of external memory car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6606A (en) | 2006-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115444B (en) | Unlock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3498124B (en) | SIM card and eSIM card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04461290B (en) |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 |
WO2014121741A1 (en) | Mobile power supply for implementing mobile device loss prevention function on the basis of environment identification | |
KR20210042953A (en) | Security service dele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CN110336910A (en) | A privacy data protection method and terminal | |
US9635164B2 (en) | Remote control for electronic device | |
CN107635069A (en) | UART and USB multiplexing circuit and mobile terminal | |
WO2014121742A1 (en) | Cable for implementing loss prevention of mobile device | |
CN105068632A (en) | Terminal charg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 |
CN105975063B (en) |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controlling intelligent terminal | |
KR100651479B1 (en) | How to Save and Read Data in a Portable Terminal | |
CN106470241A (en) |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 |
CN105554255A (en) |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equipment | |
CN102869121A (en)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 |
CN107609407A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information security in user terminal | |
KR100623351B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
CN105426065B (en) | Browse position mark method and device | |
KR100627554B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memory card detachment / attachment recogni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
CN109471666A (en) | Charge starting processing metho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CN114077519A (en) | System service recovery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0109529B (en) | SD car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US9560476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
CN114692094A (en) | Application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JP2009159564A (en) | Controller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controlle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