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206B1 - Thin Containers for Contents - Google Patents
Thin Containers for Cont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7206B1 KR100627206B1 KR1019990031370A KR19990031370A KR100627206B1 KR 100627206 B1 KR100627206 B1 KR 100627206B1 KR 1019990031370 A KR1019990031370 A KR 1019990031370A KR 19990031370 A KR19990031370 A KR 19990031370A KR 100627206 B1 KR100627206 B1 KR 1006272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ntainer
- contents
- thin
- out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박형 내용물이 수납된 용기에서 1개씩 확실하게 내용물을 뽑아낼 수 있는 박형 내용물용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판(11)과 4개의 측판(12,13,14,15) 및 바닥판(16)을 가진 용기(10)내에, 다수의 화장용 퍼프(2)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수납되어 있다. 이 퍼프(2)는 2열로 수납되고서, 상부판(11)에 2열의 퍼프(2)에 대응해서 2개의 취출구(20)가 형성된다. 이 취출구(20)의 폭(L1)은 퍼프(2)의 폭(L2)보다 작게 되어 있다. 퍼프(2)를 잡아당기면, 인접한 퍼프(2)가 취출구(20)의 가장자리(20a)에 걸려 용기(10) 내에 남게 되고, 잡아당긴 퍼프(2)만 뽑아낼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for thin contents that can be reliably pulled out of the contents one by one from a container containing a plurality of thin contents, the top plate 11 and four side plates (12, 13, 14, 15) And in the container 10 having the bottom plate 16, a plurality of cosmetic puffs 2 are stor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uffs 2 are stored in two rows, and two blowout ports 20 are formed in the top plate 11 corresponding to the two rows of puffs 2. The width L 1 of the outlet 20 is smaller than the width L 2 of the puff 2. When the puff 2 is pulled out, the adjacent puff 2 is caught by the edge 20a of the outlet 20 and remains in the container 10, and only the pulled puff 2 can be pulled ou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박형 내용물용 용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ntainer for thi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박형 내용물용 용기를 만들기 위한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FIG. 2 is a plan view of a blank for making the container for the thin contents shown in FIG. 1. FIG.
도 3은 화장용 퍼프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puff.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형 내용물용 용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tainer for thi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박형 내용물용 용기를 만들기 위한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FIG. 5 is a plan view of a blank for making the container for the thin contents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박형 내용물용 용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container for thi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박형 내용물용 용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container for thi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박형 내용물용 용기를 만들기 위한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FIG. 8 is a plan view of a blank for making the container for the thin contents shown in FIG. 7. FIG.
도 9는 취출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outlet.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와 같은 박형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된 박형 내용물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thin contents intended to receive thin contents such as cosmetic puffs.
일반적으로, 화장용 퍼프(puff)는 부직포나 면으로 만들어져서 1개씩 박형(薄型)의 형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박형의 퍼프는 용기내에 길이방향으로 여러 개가 나란히 배치되게 된다. Generally, cosmetic puffs are made of nonwoven fabric or cotton to form a thin shape one by one. Such thin puff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ontainer.
상기와 같은 박형의 퍼프를 뽑아내려면 용기에서 1개씩 뽑아내게 되는데, 이 경우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퍼프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개의 퍼프를 용기에서 뽑아낼 때 인접한 퍼프도 함께 따라나오기도 한다. To pull out the thin puff as described above, one is drawn out of the container. In this case, since the surface of the puff made of nonwoven fabric or the like is formed with irregularities, when one puff is taken out of the container, the adjacent puff is also accompanied. Also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용기에서는 1개의 퍼프를 뽑아낼 때, 인접한 퍼프도 함께 따라나오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container, when one puff is taken out, adjacent puffs are also accompani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박형 내용물을 1개씩 확실하게 뽑아낼 수 있는 박형 내용물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for thin contents, which can reliably pull out thin contents one by one.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유연한 박형 내용물을 수납하는 박형 내용물용 용기에서, 상부판과 4개의 측판 및 바닥판을 구비하고서, 상부판 또는 측판의 일부에 내용물취출구를 설치하되, 이 취출구의 폭을 그에 대응하는 박형 내용물의 폭보다 작게 하여서 내용물을 뽑아낼 때 내용물이 취출구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tainer for thin contents containing a plurality of flexible thin content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ing a top plate and four side plates and bottom plate, The contents outlet is provided in a part, but the width of the outle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rresponding thin contents so that the contents are caught by the edge of the outlet when the contents are extracted.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의 박형 내용물을 취출구를 통해 잡아당기면, 손에 잡힌 내용물에 인접한 내용물도 함께 끌려나오게 되지만, 이 인접한 내용물이 취출구의 가장자리에 걸려 용기 내에 남게 된다. 그 후, 손에 잡힌 내용물만 취출구로부터 뽑아내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in contents in the container are pulled through the outlet, the contents adjacent to the contents held by the hand are also drawn out together, but the adjacent contents are caught in the edge of the outlet and remain in the container. After that, only the contents held in the hand can be extracted from the outlet.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 ( First embodiment)
삭제delet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형 내용물용 용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to 3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ntainer for thin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형 내용물용 용기(10)는 상부판(11)과 4개의 측판(12,13,14,15) 및 바닥판(16)을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ntainer for
또, 측판(15) 상에는 상부판(11)에 겹쳐지는 덮개판(17)이 설치되고, 이 덮개판(17)의 앞끝에는 측판(13)에 겹쳐지는 멈춤판(18)이 부착되어 있다. 또, 이 멈춤판(18)은 박리편(剝離片;19)을 갖추고 있다. Moreover, the
이러한 용기(10) 내에 박형 내용물인 화장용 퍼프(2)가 수납되게 되는 바, 이 퍼프(2)는 부직포나 면 등으로 만들어져, 용기(1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2열로 배치되어 수납되게 된다. The
또, 용기(10)의 상부판(11)에는 2열로 배치된 퍼프(2)에 대응해서 2개의 취출구(2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취출구(20)의 폭(L1)은 동일방향 퍼프(2)의 폭(L2)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퍼프(2)를 취출구(20)에서 뽑아낼 때 퍼프(2)가 취출구(20)의 가장자리(20a)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wo
이와 같이 구성된 박형 내용물용 용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11)으로 되는 상부판패널(11a)과, 측판(13)으로 되는 측판패널(13a), 바닥판(16)으로 되는 바닥판패널(16a), 측판(15)으로 되는 측판패널(15a) 및, 덮개판(17)으로 되는 덮개판패널(17a)을 갖춘 블랭크(blank:10a)를 접어 조립함으로써 만들어지게 된다. 또, 상부판패널(11a) 및 바닥판패널(16a)의 양측에는 측판(12)으로 되는 측판패널(12a)과 측판(14)으로 되는 측판패널(14a)이 각각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판패널(17a)에는 멈춤판(18)으로 되는 멈춤판패널(18a)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The
또, 용기(10)의 상부판(11)에 형성된 취출구(20)는 미리 밀폐부(22)에 의해 덮여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 밀폐부(22)를 덮개판(17)에다 접착시켜 놓으면, 덮개판(17)을 열 때 밀폐부(22)가 덮개판(17) 쪽으로 밀착되어 상부판(11)에서 떨어지게 됨으로써 취출구(20)가 개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이 경우, 상기 밀폐부(22)는 블랭크(10a)의 상부판패널(11a)에 절취선을 매개로 미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sealing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블랭크(10a)를 상자모양으로 조립하여 용기(10)를 만들고, 이 용기(10) 내에 퍼프(2)가 수납되도록 한 다음, 용기(10)의 풀붙임패널(4)에 대해 필요한 풀붙임을 행하여 용기를 밀폐시킨다. First, the blank 10a is assembled into a box shape to make a
사용시에는, 멈춤판(18)의 박리편(19)을 잡고서 멈춤판(18)을 측판(13)에서 떨어지게 하여 덮개판(17)을 연다. 이때, 상부판(11)에 설치된 밀폐부(22)가 덮개판(17) 쪽으로 밀착되어 상부판(11)으로부터 떨어지게 됨으로써 취출구(20)가 개봉되게 된다. 다음에, 취출구(20)로부터 용기(10) 내의 퍼프(2)를 1개씩 잡아당긴다. 이 경우, 잡힌 퍼프(2)에 인접한 퍼프도 잡힌 퍼프(2)에 끌려 취출구(20)로부터 빠져나오려 하지만, 취출구(20)의 폭(L1)이 퍼프의 폭(L2)보다 작기 때문에 인접한 퍼프(2)가 취출구(20)의 가장자리(20a)에 걸려 용기(10) 내에 남게 된다. 그 후, 잡힌 퍼프(2)는 취출구(20)로부터 뽑혀나가게 된다. In us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잡힌 퍼프(2)만을 1개씩 확실하게 용기(10) 밖으로 뽑아낼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nly the
(제2실시예) ( Second embodiment)
다음에는, 도 4 및 도 5에 의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멈춤판(18)을 삭제한 것으로, 그 밖의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4 and 5 delete the
따라서, 도 4 및 도 5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refore, in FIG. 4 and FIG. 5, the same parts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 ( 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도 6에 의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덮개판(17) 및 멈춤판(18)이 삭제됨과 더불어, 상부판(11)과 측판(13)의 사이 및 상부판(11)과 측판(15)의 사이에 취출구(20)가 형성된 것으로, 그 밖의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the
따라서, 도 6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서, 용기(10) 내에 수납된 2열의 퍼프(2)는 2곳의 취출구(20)로부터 뽑아내도록 되어 있다. Therefore, in FIG. 6, the same parts as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FIG. 6, the two rows of
(제4실시예) ( Example 4)
다음에는 도 7 및 도 8에 의거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4실시예는 상부판(11) 상에 미리 취출구(20)를 형성시켜 놓고서, 덮개판(17)에 돌출편(27)을 형성하여 덮개판(17)을 개방위치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In the fourth embodiment shown in FIGS. 7 and 8, the
도 7 및 도 8에서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에서는, 블랭크(10a)에 대해 보는 방향이 화살표(P)로 나타내어져 있다. 7 and 8, the same par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FIG. 8, the direction seen with respect to the blank 10a is shown by the arrow P. In FIG.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11)의 취출구(20)는 블랭크(10a)의 상부판패널(11a)에 미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판(12) 및 측판(14)은 브랭크(10a)의 상부판패널(11a) 및 바닥판패널(16a)에 부착된 측판패널(12a) 및 측판패널(14a)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예컨대 측판(12) 쪽에는 측판패널(12a)의 안쪽에 그리고 측판(14) 쪽에는 측판패널(14a)의 안쪽에, 각각 측판패널(13a) 및 측판패널(15a)에 부착되는 한쌍의 보조패널(24)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보조패널(24)에는 퍼프(2)를 누르기 위한 퍼프누름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관통하는 절결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용기(10) 내에 퍼프(2)를 채울 때 상기 퍼프누름부재가 절결부(24a)를 관통하여 퍼프(2)를 누르게 되고, 그 후 퍼프누름부재가 떨어져 측판패널(12a) 또는 측판패널(14a)이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7 and FIG. 8, the
또한, 덮개판(17)은 상부판(11)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기단부(25)와, 이 기단부(25)에 대해 자유로이 요동할 수 있게 부착되고서 상기 상부판(11)을 덮는 덮개판본체(31)를 갖추고 있는데, 이 덮개판(17)은 전체로서 덮개판패널(17a)로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즉, 덮개판패널(17a)이 기단부(25)로 되는 기단부패널(25a)과, 덮개판 본체(31)로 되는 덮개판본체패널(31a) 및, 상부판(11) 상에 고착되어 상부판(11)에 남게 되는 고착편(29)을 갖추고 있다. 이 경우, 기단부패널(25a)과 덮개판본체패널(31a) 사이에는 꺽임선(26)이 형성되고, 덮개판본체패널(31a)과 고착편(29) 사이에는 절취선(28)이 형성되어 있다. That is, the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본체패널(31a)로부터 기단부패널(25a)을 향해 절결부가 형성되고, 이 절결부에 의해 덮개판본체(31)로부터 기단부(25) 쪽으로 돌출하는 돌출편(27)이 형성되어 있다. 8, a cutout portion is formed from the cover plate body panel 31a toward the
이 돌출편(27)은 덮개판본체(31)를 기단부(25)에 대해 요동시켜 개방위치로 오게 했을 때 상부판(11)에 닿아 덮개판본체(31)가 개방위치에 있게 하는 것이다. The protruding
그리고, 덮개판본체(31)에는 절결부에 의해 걸림편(30)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걸림편(30)은 덮개판본체(31)가 폐쇄위치로 왔을 때 취출구(20)의 가장자리(20a)에 걸려 덮개판본체(31)가 폐쇄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도 7 및 도 8에서, 블랭크(10a)를 조립하면 용기(10)가 얻어지게 되는 바, 예컨대 용기(10)의 측판(12) 쪽으로부터 퍼프(2)가 용기(10) 내에 채워지게 된다. 그 후에, 용기(10) 내의 퍼프(2)가 보조패널(24)의 절결부(24a)를 관통하는 퍼프 누름부재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 측판패널(12a)이 닫히게 된다. In FIGS. 7 and 8, assembling the blank 10a results in the
다음에, 덮개판(17)의 덮개판본체(31)를 잡아올리면, 덮개판본체(31)가 절취선(28)을 매개로 고착편(29)과 분리되게 된다. 이때, 이 고착편(29)은 상부판(11)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판(11) 상에 남아 있고, 덮개판본체(31)가 꺽임선(26)을 매개로 열려서 덮개판본체(31)가 돌출편(27)에 의해 개방위치로 지지되게 된다. Next, when the
다음으로, 상부판(11)에 미리 형성된 취출구(20)를 통해 퍼프(2)를 뽑아낸다. 이 경우, 상기 취출구(20)의 가장자리(20a)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원호형상 돌기(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한 퍼프(2)가 돌기(35)에 의해 쉽게 걸려 용기(10) 내에 남아 있게 된다. Next, the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상부판(11) 또는 측판(13,15)에 취출구(20)를 형성시켜 이 취출구(20)의 가장자리(20a)에 의해 퍼프(2)가 걸리도록 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 가장자리(20a)에 복수의 연속하는 돌기(35)를 형성함과 더불어 이 돌기(35)의 형상이 여러 가지로 되게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예컨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5)를 삼각형상으로 해도 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도 9의 (b),(f),(g) 참조). 또는, 돌기(35)를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도 9의 (c),(d),(e) 참조).For example, as shown in Fig. 9A,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박형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1개씩 확실하게 뽑아낼 수 있는 박형 내용물용 용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ntainer for the thin contents, which can reliably pull out the thin contents one by one from the container.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31370A KR100627206B1 (en) | 1998-07-30 | 1999-07-30 | Thin Containers for Cont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16141/98 | 1998-07-30 | ||
JP69280/99 | 1999-03-15 | ||
KR1019990031370A KR100627206B1 (en) | 1998-07-30 | 1999-07-30 | Thin Containers for Conten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2115A KR20000012115A (en) | 2000-02-25 |
KR100627206B1 true KR100627206B1 (en) | 2006-09-25 |
Family
ID=1960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3137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7206B1 (en) | 1998-07-30 | 1999-07-30 | Thin Containers for Conte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72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75057B2 (en) * | 2015-03-27 | 2019-02-27 | 興和紡株式会社 | Assembly packing box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077A (en) * | 1859-03-01 | Improvement in harvesters | ||
US80636A (en) * | 1868-08-04 | Willoughby f | ||
JPS5214833U (en) * | 1975-07-21 | 1977-02-02 | ||
JPH04100481U (en) * | 1991-02-01 | 1992-08-31 | ||
JPH05278767A (en) * | 1992-04-01 | 1993-10-26 | Sekisui Chem Co Ltd | Tissue paper box storage case |
JPH0740556U (en) * | 1993-06-28 | 1995-07-18 | 大阪電気工業株式会社 | Tissue paper packaging |
JPH09323771A (en) * | 1996-05-31 | 1997-12-16 | Yamani Package:Kk | Case for tissue paper |
JPH10175684A (en) * | 1996-12-18 | 1998-06-30 | Koji Suzuki | Tissue paper box with two discharge openings |
KR100246320B1 (en) * | 1996-12-18 | 2000-03-15 | 김영환 | Probe card for testing wafer |
KR101107630B1 (en) * | 2002-10-16 | 2012-01-25 | 듀크 유니버시티 | Biosensor |
-
1999
- 1999-07-30 KR KR1019990031370A patent/KR1006272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077A (en) * | 1859-03-01 | Improvement in harvesters | ||
US80636A (en) * | 1868-08-04 | Willoughby f | ||
JPS5214833U (en) * | 1975-07-21 | 1977-02-02 | ||
JPH04100481U (en) * | 1991-02-01 | 1992-08-31 | ||
JPH05278767A (en) * | 1992-04-01 | 1993-10-26 | Sekisui Chem Co Ltd | Tissue paper box storage case |
JPH0740556U (en) * | 1993-06-28 | 1995-07-18 | 大阪電気工業株式会社 | Tissue paper packaging |
JPH09323771A (en) * | 1996-05-31 | 1997-12-16 | Yamani Package:Kk | Case for tissue paper |
JPH10175684A (en) * | 1996-12-18 | 1998-06-30 | Koji Suzuki | Tissue paper box with two discharge openings |
KR100246320B1 (en) * | 1996-12-18 | 2000-03-15 | 김영환 | Probe card for testing wafer |
KR101107630B1 (en) * | 2002-10-16 | 2012-01-25 | 듀크 유니버시티 | Biosen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2115A (en) | 2000-02-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66606A (en) | Dispenser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premoistened web of material | |
US4583681A (en) | Extensible handle carton with leakage preventing flap structure | |
RU2518803C1 (en) | Pack for smoking articles with hole for their extension | |
US4949841A (en) | Cigarette pack, especially hinge-lid pack | |
RU2126348C1 (en) | Opener | |
KR100424801B1 (en) | Cigarette pack | |
KR910002434B1 (en) | Spout for packaging containers | |
KR890014342A (en) | Resealable Dispenser Containers for Wet Tissues | |
TR201819206T4 (en) | Cigarette box | |
EP0323596A1 (en) | Sealable dispenser, provided with overturning cover, for dispensing paper napkins or the like articles | |
US4778962A (en) | Device for opening seal of package | |
KR200417212Y1 (en) | Cake packaging box | |
KR100627206B1 (en) | Thin Containers for Contents | |
KR100673361B1 (en) | Wet Sheet Laminate | |
JPS5852214Y2 (en) | Paper box with unopened inner bag | |
US2199476A (en) | Carton | |
FI70186B (en) | HOPVIKT ASK ELLER KARTONG OCH AEMNE FOER TILLVERKNING AV EN DYIK ASK | |
US6209780B1 (en) | Quiz game french fry scoop | |
KR910006010Y1 (en) | Drink pack | |
US2735610A (en) | Fflnged paper box with hinge covering | |
JP2000050947A (en) | Puff storage container | |
JPH055142Y2 (en) | ||
US2136338A (en) | Dispensing container | |
KR20020093207A (en) | Tissue Box having Inside Cover | |
JPH1059356A (en) | Packaging box having separable unsealing cut l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7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