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6678B1 -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증류장치 - Google Patents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증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678B1
KR100626678B1 KR1020040058612A KR20040058612A KR100626678B1 KR 100626678 B1 KR100626678 B1 KR 100626678B1 KR 1020040058612 A KR1020040058612 A KR 1020040058612A KR 20040058612 A KR20040058612 A KR 20040058612A KR 100626678 B1 KR100626678 B1 KR 100626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ing point
tower
space
distillation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046A (ko
Inventor
김영한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Priority to KR102004005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67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67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26Fractionating columns in which vapour and liquid flow past each other, or in which the fluid is sprayed into the vapour, or in which a two-phase mixture is passed in one direction
    • B01D3/28Fractionating columns with surface contact and vertical guides, e.g. film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141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where at least one distillation column contains at least one dividing wal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탑, 전처리탑과 주탑 또는 주탑과 후처리탑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는 증류장치에서, 주탑 내에 1개 또는 2개의 분할 벽을 설치하여 형성된 공간이 전처리탑 또는 주탑 또는 후처리탑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상기 주탑과 후처리탑의 기능을 하는 공간의 증류곡선이 평형증류 곡선과 유사하게 되도록 설계하여 사용 에너지를 현저히 감소하면서 분별 증류가 가능토록 한 것이 특징인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류장치는 본 발명에서 제시된 설계방법으로 새로운 공정을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증류장치는 기존의 열복합 증류시스템과는 달리 1기 또는 2기의 증류탑으로 3기의 증류탑을 설치한 것과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의 절감은 물론 증류탑의 개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너지를 절감할 수 뿐 아니라 설비비도 줄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분할 벽, 열복합 증류탑, 전처리탑, 주탑, 후처리탑, 3성분 증류

Description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 {A Fractionation System Using Divided Wall Distillation Column with Prefractionator and Postfractionator}
도 1은 종래의 열복합 증류탑을 사용한 증류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열복합 증류탑을 사용한 증류장치의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전처리탑, 주탑 및 후처리탑으로 구성된 열복합 증류탑을 이용한 증류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분할 벽이 주탑에 설치되어 있는 열복합 증류탑을 이용한 증류장치의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1개의 분할 벽이 설치된 주탑과 후처리탑으로 구성되어 있는 열복합 증류탑을 이용한 증류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전처리탑과 1개의 분할 벽이 설치된 주탑으로 구성되어 있는 열복합 증류탑을 이용한 증류장치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이용한 증류시스템의 액체조성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도 7의 액체조성 분포 중 후처리탑 조성분포를 확대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13 : 전처리탑 121, 122, 123 : 주탑
132 : 후처리탑 141, 142, 143 : 응축기
151, 152, 153 : 재비기 161, 162, 163 : 제 1 분할 벽
171 : 제 2 분할 벽 F : 원료
B : 고비점 제품 D : 저비점 제품
S : 중간비점 제품 NRU : 주탑의 최상부단
NR : 주탑의 중간단 NSL : 주탑의 최하부단
NRR : 후처리탑의 중간단 NRF : 전처리탑의 중간단
본 발명은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 공정에서 얻어진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각각을 성분별로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증류장치에 있어서, 1기의 주탑 내에 1개 또는 2개의 분할 벽을 설치하여 형성된 공간이 각각 3기의 증류탑 즉 전처리탑 또는 주탑 또는 후처리탑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증류 장치의 시설 간소화와 함께 사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나프타 개질반응기에서 얻은 방향족 탄화수소 혼합물에서 저비점 성분인 벤젠과 톨루엔을 분리하는 증류공정은 도 1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두 개의 증류탑을 사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공정은 제1탑(11)에서 가장 저비점 성분인 벤젠(D)을 분리하고, 제2탑(21)에서 톨루엔(S)과 고비점 혼합물(B)을 분리하는 2 탑 방식이다. 이와 같이 현재의 석유화학 공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증류 방법은 시스템의 증류곡선이 평형증류 곡선과 상이하기 때문에 증류탑 효율이 낮아 에너지 소모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출원한 특허 제2002-05619호는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2기의 증류탑으로 구성되어진 증류장치만을 사용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처리탑(12)과 주탑(22)이 각각 1 개씩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주탑(22)은 그 상단부로 전처리탑(12)의 상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저비점 성분(D')이 유입되고, 그 하단부로 전처리탑(12)의 하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고비점 성분(B')이 유입되기 때문에 즉, 1개의 전처리탑(12)과 1개의 주탑(22)만을 사용하여 3 성분을 분류하기 때문에 이러한 열복합형 증류 장치는 주탑(22)에서 고비점 제품, 저비점 제품 및 중간비점 제품의 3가지 제품을 모두 생산하기 때문에 증류효율이 낮다. 이점은 주탑의 증류곡선이 평형증류 곡선과 차이를 가지는 점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이는 3가지 제품의 조성을 모두 만족하는 완전한 평형증류 곡선을 얻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 선 출원한 제2004-57444호는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전처리탑(13)과 주탑(23)으로 구성된 증류장치에 후처리탑(33)을 부가하여 주탑(23)과 후처리탑(33) 모두 평형증류 곡선과 유사한 증류곡선을 가지도록 설계하면 탑 증류효율을 크게 할 수 있고 결국 사용하는 에너지의 양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반면 상기 증류장치는 증류탑을 3기나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증류장치의 설비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탑 내에 1개 또는 2개의 분할 벽을 설치하여 형성된 공간이 전처리탑 또는 주탑 또는 후처리탑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3기의 증류탑으로 구성된 증류장치와 같은 효과를 갖고, 주탑과 후처리탑의 기능을 하는 증류탑의 공간에서 증류곡선이 평형증류 곡선과 유사하게 되도록 설계함으로서 에너지 소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탑의 증류탑 내에 1개 또는 2개의 분할 벽을 설치하여 형성된 공간이 전처리탑 또는 주탑 또는 후처리탑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서, 증류탑의 개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너지를 절감할 수 뿐 아니라 설비비도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주탑 또는 전처리탑과 주탑 또는 주탑과 후처리탑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는 증류장치에서, 주탑 내에 1개 또는 2개의 분할 벽을 설치하여 형성된 공간이 전처리탑 또는 주탑 또는 후처리탑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상기 주탑과 후처리탑의 기능을 하는 공간의 증류곡선이 평형증류 곡선과 유사하게 되도록 설계하여 사용 에너지를 현저히 감소하면서 분별 증류가 가능토록 한 것이 특징인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은 3성분 혼합물에 대한 증류시스템의 탑 효율 개선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 시스템은 주탑 내에 1개 또는 2개의 분할 벽을 설치하여 고효율인 평형증류의 증류시스템과 유사한 액 조성 분포를 가지는 전처리탑, 주탑 및 후처리탑의 기능을 하는 공간이 형성토록 하여 3기의 증류탑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계된 시스템에 대해 증류탑 설계용 프로그램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별 증류방법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이하'BTX'라 한다) 혼합물에는 BTX의 3가지 성분이 혼합되어 있고, 그 중 비점에 따라 BTX를 각각 분리하여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다. 성분의 수는 3가지이지만 비점과 함량에 따라 우선 전처리탑 또는 전처리탑의 기능을 하는 주탑의 제 1 공간에서 우선 저비점 성분과 고비점 성분의 2가지 그룹을 전처리 조작으로 분류한 후 이를 각각 주탑 및 후처리탑의 역할을 하는 제 2 공간 또는 제 3 공간을 이용하여 최종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탑 내에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로서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분할 벽이 주탑에 설치되어 있는 열복합 증류탑을 이용한 증류장치는 도 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상부에는 응축기(141), 하부에는 재비기(151)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그 내부에 설치된 두 개의 제 1 및 제 2 분할 벽(161, 171)에 의해 제 1 공간(①), 제 2 공간(②) 및 제 3 공간(③)이 형성되어진 주탑(121)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주탑(121)의 제 1 공간(①)의 중간단(NR)으로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가 유입되어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은 주탑(121)의 최상부단(NRU)에서 저비점 제품(D), 주탑(121)의 최하부단(NSL)에서 고비점 제품 (B),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은 제 3 공간(③)의 중간단(NR)을 거쳐 중간비점 제품(S)으로 각각 생산되어진다.
상기 제 1 공간(①)에서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B')과 고비점 성분(D')의 일부는 다시 제 2 공간(②)으로 유입되어 재증류되어진 후 일부는 재차 저비점 제품(D)과 고비점 제품(B)으로 생산되어지고, 그 나머지의 저비점 성분(B')과 고비점 성분(D')은 제 3 공간(③)으로 유입되어 다시 재증류되어진 후 일부는 다시 저비점 제품(D)과 고비점 제품(B)으로 생산되어지고, 그 나머지의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은 중간단(NR)을 거쳐 중간비점 제품(S)으로 각각 생산되어진다.
이때 제 1 공간(①)에서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B')과 고비점 성분(D')의 일부는 제 2 공간(②)으로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제 3 공간(③)에도 소량 유입되게 된다.
실시예 2로서 1개의 분할 벽이 설치된 주탑과 후처리탑으로 구성되어 있는 열복합 증류탑을 이용한 증류장치는 도 5a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상부에는 응축기(142), 하부에는 재비기(152)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그 내부에 제 1 분할 벽(162)에 의해 제 1 공간(①), 제 2 공간(②)이 형성된 주탑(122)과 그 주탑(122)으로부터 유입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을 정제하는 후처리탑(132)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주탑(122)의 제 1 공간(①)의 중간단(NR)으로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가 유입되어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D') 및 고비점 성분(B')과 제 1 공간(①)으로부터 제 2 공간(②)으로 일부 유입된 저비점 성분(D') 및 고비점 성분(B')은 재증류되어 주탑(122)의 최상부단(NRU)에서 저비점 제품(D), 주탑(122)의 최하부단(NSL)에서 고비점 제품(B)으로 각각 생산되어지고, 제 2 공간(②)에서 후처리탑(132)으로 유입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은 정제되어진 후 일부가 후처리탑(132)의 중간단(NRR)에서 중간비점 제품(S)으로 생산되고, 그 나머지의 액상 유량(Ls)과 기상 유량(Vs)은 주탑(122)으로 환류되어진다.
실시예 3으로서 도 5b의 증류장치는 도 5a의 증류장치와 같이
상부에는 응축기(142), 하부에는 재비기(152)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그 내부에 제 1 분할 벽(162)에 의해 제 1 공간(①), 제 2 공간(②)이 형성된 주탑(122)과 그 주탑(122)으로부터 유입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을 정제하는 후처리탑(132)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주탑(122)의 제 1 공간(①)의 중간단(NR)으로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가 유입되어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D') 및 고비점 성분(B')과 제 1 공간(①)으로부터 제 2 공간(②)으로 일부 유입된 저비점 성분(D') 및 고비점 성분(B')은 재증류되어 주탑(122)의 최상부단(NRU)에서 저비점 제품(D), 주탑(122)의 최하부단(NSL)에서 고비점 제품(B), 주탑(122)의 중간단(NR)에서 중간비점 제품(S)이 생산되어지고, 제 2 공간(②)으로부터 후처리탑(132)으로 유입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은 정제되어진 후 전량 액상 유량(Ls)과 기상 유량(Vs)은 주탑(122)으로 환류되어진다.
실시예 3의 증류장치는 도 5a의 증류장치에서 중간비점 제품(S)이 후처리탑(132)의 중간단(NRR)에서 생산되는 것과는 달리 주탑(122)의 중간단(NR)에서 생산하고, 후처리탑(132)은 주탑(122)에서 이송되어온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을 정제하는 역할만을 담당한다.
실시예 4로서 전처리탑과 1개의 분할 벽이 설치된 주탑으로 구성되어 있는 열복합 증류탑을 이용한 증류장치는 도 6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가 유입되는 전처리탑(113)과,
상부에는 응축기(143), 하부에는 재비기(153)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그 내부에 제 1 분할 벽(163)에 의해 제 1 공간(①)과 제 2 공간(②)이 형성된 주탑(123)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전처리탑(113)의 중간단(NRF)으로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가 유입되어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d) 및 고비점 성분(b)은 주탑(123)의 제 1 공간(①)과 제 2 공간(②)으로 유입된 후 재증류되어 저비점 성분(D')은 주탑(123)의 최상부단(NRU)에서 저비점 제품(D), 고비점 성분(B')은 주탑(123)의 최하부단(NSL)에 서 고비점 제품(B),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은 제 2 공간(②)의 중간단(NR)에서 중간비점 제품(S)이 생산되어진다.
이때 제 1 공간(①)에서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은 그 일부가 제 2 공간(②)으로 유입된 후 재증류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주탑(1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분할 벽(161, 162, 163) 및 제 2 분할 벽(171)의 길이는 각각 제 1, 2, 3 공간(①, ②, ③)의 증류곡선에 의해 산출된 단수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되어진다.
상기의 실시예는 모두 저비점 성분(D')은 주탑((121, 122, 123)의 최상부단(NRU)과 응축기(141, 142, 143)를 거친 후 일부는 저비점 제품(D)으로 생산되고, 그 나머지는 액상 유량(LD)으로 다시 주탑(121, 122, 123)의 상부로 환류되고, 고비점 성분(B')은 주탑((121, 122, 123)의 최하부단(NSL)과 재비기(151, 152, 153)를 거친 후 일부는 고비점 제품(B)으로 생산되고, 그 나머지는 기상 유량(VB)으로 다시 주탑(121, 122, 123)의 하부로 환류되어진다.
상기 각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전처리탑(113), 제 1 공간(①), 제 2 공간(②), 제 3 공간(③) 및 후처리탑(132)이 하는 역할을 각각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전처리탑(113)은 원료공급단(NRF)으로부터 공급된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를 상부에서 저비점 성분(d), 하부에서 고비점 성분(b)으로 분리시켜 각각 주탑(123)의 상부 전처리탑 연결단으로 저비점 성분(d), 하부 전처리탑 연결단으로 고비점 성분(b)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 1 공간(①)의 상부에서 발생된 액체(L3)의 일부가 전처리탑(113)의 상부로 이송되므로 전처리탑(113)에는 냉각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제 2 공간(②)의 하부에서 발생된 증기(V3)의 일부가 전처리탑(113)의 하부로 이송되므로 전처리탑(113)에는 재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둘째, 상기 제 1 공간(①)은 주탑(121, 122)의 중간단(NR)으로 유입된 3성분의 혼합물 원료(F)를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으로 분리한 후 그 일부는 각각 주탑(121, 122)의 최상부단(NRU)과 응축기(141, 142)을 거쳐 저비점 제품(D), 그리고 주탑(121, 122)의 최하부단(NSL)과 재비기(151, 152)를 거쳐 고비점 제품(B)으로 생산하고, 그 나머지는 제 1 분할 벽(161, 162)을 상·하부단을 거쳐 제 2 공간(②)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상기 제 2 공간(②)은 실시예 1 , 실시예 2 , 3 및 실시예 4로 구분하 여 설명하여 보면,
ⅰ) 실시예 1의 경우 제 2 공간(②)은 제 1 분할 벽(161)의 상하부를 거쳐 각각 유입되어진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을 재증류시켜 다시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으로 분리한 후 그 일부는 각각 주탑(121)의 최상부단(NRU)과 응축기(141)을 거쳐 저비점 제품(D), 그리고 주탑(121)의 최하부단(NSL)과 재비기(151)를 거쳐 고비점 제품(B)으로 생산하고, 그 나머지는 제 2 분할 벽(171)을 상·하부단을 거쳐 제 3 공간(③)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ⅱ) 실시예 2 및 3의 경우 제 2 공간(②)은 제 1 분할 벽(162)의 상하부를 거쳐 각각 유입되어진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을 재증류시켜 다시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으로 분리한 후 그 일부는 각각 주탑(122)의 최상부단(NRU)과 응축기(142)을 거쳐 저비점 제품(D), 그리고 주탑(122)의 최하부단(NSL)과 재비기(152)를 거쳐 고비점 제품(B)으로 생산하고, 실시예 2의 제 2 공간(②)에서 후처리탑(132)으로 유입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은 정제되어진 후 일부가 후처리탑(132)의 중간단(NRR)에서 중간비점 제품(S)으로 생산되며, 실시예 3의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은 제 2 공간(②)의 중간단(NR)에서 중간비점 제품(S)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ⅲ) 실시예 4의 경우 제 2 공간(②)은 제 1 분할 벽(163)의 상하부를 거쳐 각각 유입되어진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을 재증류시켜 다시 저비점 성 분(D')과 고비점 성분(B')으로 분리한 후 그 일부는 각각 주탑(123)의 최상부단(NRU)과 응축기(143)을 거쳐 저비점 제품(D), 그리고 주탑(123)의 최하부단(NSL)과 재비기(153)를 거쳐 고비점 제품(B), 중간비점 제품(S)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상기 제 3 공간(③)은 제 2 공간(②)의 제 2 분할 벽(171)의 상하부를 거쳐 각각 유입되어진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을 재증류시켜 다시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으로 분리한 후 그 일부는 각각 주탑(121)의 최상부단(NRU)과 응축기(141)를 거쳐 저비점 제품(D), 그리고 주탑(121)의 최하부단(NSL)과 재비기(151)를 거쳐 고비점 제품(B)으로 생산하고, 그 나머지 성분인 중간비점 제품(S)을 중간단(NR)을 통해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섯째, 상기 후처리탑(132)은 주탑(122)의 상부 후처리탑 연결단에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이 후처리탑(132) 상부로 공급되고 후처리탑(132) 상부에서 저비점 성분의 기상 유량(VS)이 주탑(122)의 상부 후처리탑 연결단으로 환류되므로 후처리탑(132)에는 냉각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 후처리탑(132)의 하부에서 고비점 성분의 액상 유량(LS)이 주탑(122)의 하부 후처리탑 연결단으로 공급되고 주탑(122)의 하부 후처리탑 연결단에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가 후처리탑(132)의 하부로 환류되므로 후처리탑(132)에는 재비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이 높은 증류 시스템으로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증류법을 제안한 것이다.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의 설계는 기존의 열복합형 증류탑의 설계를 기초로 하며 최소단 탑 설계에 기초를 두고 있다. 증류탑의 효율은 탑내 증류단의 액체조성 분포가 평형증류곡선과 유사할 때 최대가 되므로 우선 전환류 조작으로 증류탑이 운전된다고 가정하여 최소단 증류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즉, 원료공급단에서의 액체조성과 원료의 조성이 같다고 가정하고 전처리 탑 또는 전처리탑 역할을 하는 제 1공간을 설계하며, 주탑의 역할을 하는 제 2 공간은 중간비점 제품의 농도를 시작으로 계단식 평형조성 설계법에 의해 탑중간에서 상부로 탑내의 액체조성을 계산하고 다시 주탑의 역할을 하는 제 2 공간의 하부를 중간비점 제품의 농도를 시작으로 탑중간에서 탑저로 평형조성 계산법에 의해 계단식으로 탑내의 액체조성을 차례차례 계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액체조성의 분포로부터 원료공급단과 제품의 조성을 가지는 단의 수를 헤아리면 전처리탑 또는 전처리탑 역할을 하는 제 1 공간과 주탑의 역할을 하는 제 2 공간의 단수를 각각 알아낼 수 있다. 여기서 얻어진 탑의 단수는 이상적인 최소단의 구조이기 때문에 실제 탑에서 단수는 통상의 설계기준에 따라 최소단의 2배로 하였다. 아울러 증류시스템의 운전변수인 환류유속과 증기유속은 프로그램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요구하는 제품의 조성이 얻어지도록 계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기존의 열복합형 증류시스템의 주탑의 단조성 분포에서 중간비점 제품 생산단 전후의 농도 밀집영역을 후처리탑 또는 후처리탑 역할을 하는 제 3 공간으로 분리하여 제 2 공간과 후처리탑 또는 후처리탑 역할을 하는 제 3 공간의 단수를 결정하였다.
예를 들어 BTX 혼합물을 본 발명에 따른 증류방법 의해 증류를 하면, 고비점 성분인 크실렌(o-크실렌 bp 144℃, m-크실렌 bp 139.3℃, p-크실렌 bp 138℃), 중간비점 성분인 톨루엔(bp 110.8℃), 저비점 성분인 벤젠(bp 80.1℃)이 각각 분리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실제공정은 나프타 분해공정에서 얻어진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의 혼합물을 분별증류하는 BTX 분별증류 공정으로서, 이 공정의 원료와 제품의 유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BTX공정에서의 3기 탑의 원료와 생산품의 유량
(단위 : kmol/h )
조성 원료 기존 열복합 증류탑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저비점 고비점 중비점 저비점 고비점 중비점
(저비점)
benzene 87.850 86.835 0.0000 1.0145 86.472 0.0000 1.7015
dimethyl c-pentane 0.0124 0.0113 0.0000 0.0011 0.0116 0.0000 0.0008
(중간체)
methyl c-hexane 0.0075 0.0002 0.0000 0.0073 0.0000 0.0000 0.0064
toluene 338.10 0.0028 2.4983 335.60 0.0002 2.2289 335.62
n-octane 0.0490 0.0000 0.0035 0.0455 0.0000 0.0016 0.0474
(고비점)
ethyl benzene 14.975 0.0000 14.747 0.2280 0.0000 14.782 0.0971
p-xylene 57.798 0.0000 57.593 0.2051 0.0000 57.443 0.1046
m-xylene 128.55 0.0000 128.14 0.4066 0.0000 127.81 0.2043
o-xylene 60.160 0.0000 60.107 0.0525 0.0000 60.004 0.0149
n-nonane 0.0057 0.0000 0.0057 0.0000 0.0000 0.0057 0.0000
n-pentyl benzene 0.3300 0.0000 0.3300 0.0000 0.0000 0.3297 0.0000
methyl-ethyl benzene 26.010 0.0000 26.010 0.0000 0.0000 25.991 0.0000
tri-methyl benzene 75.950 0.0000 75.950 0.0000 0.0000 75.919 0.0000
methyl-n- propyl bz 0.5700 0.0000 0.5700 0.0000 0.0000 0.5698 0.0000
di-ethyl benzene 0.3300 0.0000 0.3300 0.0000 0.0000 0.3299 0.0000
o-cymen 4.1200 0.0000 4.1200 0.0000 0.0000 4.1183 0.0000
tetra-methyl benzene 4.7500 0.0000 4.7500 0.0000 0.0000 4.7491 0.0000
penta-methyl benzene 2.2389 0.0000 2.2389 0.0000 0.0000 2.2388 0.0000
합 계 801.81 86.850 377.40 337.56 86.484 376.52 337.80
[표 2]는 BTX 혼합물의 분별증류를 위한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의 설계결과를 기존의 열복합형 증류탑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표 2] BTX 혼합물의 분별증류 공정에서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과 기존의 열복합형 증류탑의 설계결과
항목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 기존 열복합형 증류탑
제1증류탑1) 제2증류탑2) 제3증류탑3) 전처리탑 주탑
(구조설계)
단수 22 54 35 21 89
원료단/중간제품단 15 20 7 28
전처리탑 연결단 16, 39 16, 84
후처리탑 연결단 26, 30
(운전설계)
원료유량 (kmol/h) 801.8 801.8
상부제품유량 (kmol/h) 86.48 86.85
하부제품유량 (kmol/h) 376.5 377.4
중간제품유량 (kmol/h) 337.8 337.8
환류 유량 (kmol/h) 340.0 1236 529.8 290.1 1792
증기 유량 (kmol/h) 529.2 1169 340.1 492.9 1634
에너지 소비량 (GJ/h) 42.44 59.35
* (단의 수는 탑정에서 계산)
주 1) 제 1 증류탑은 전처리탑 또는 주탑의 제 1 공간에 해당됨.
2) 제 2 증류탑은 주탑의 제 1 공간 또는 제 2 공간에 해당됨.
3) 제 3 증류탑은 주탑의 제 3 공간 또는 후처리탑에 해당됨.
상기의 [표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은 기존의 열복합형 증류탑보다 에너지 효율이 29%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도 7과 도 8의 액체 조성분포는 평형증류 곡선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어 기존 시스템보다 탑효율이 우수함을 보였다.
여기서 도 7은 실제단을 사용한 증류탑의 액체 조성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기호 +는 전처리탑(113) 또는 주탑의 제 1 공간(①)의 조성을 나타내고, 기호 o는 주탑의 기능을 하는 제 2 공간(②)의 조성이며, 기호 × 는 후처리탑 또는 후처리탑 기능을 하는 제 3 공간(③)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7의 증류탑의 액체 조성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 중 상부의 후처리탑(132) 또는 주탑의 제 3 공간(③) 부분을 확장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따라서,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은 기존의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보다 탑의 수는 같으나 하나의 증류탑을 더 추가하는 기능이 있고, 흐름의 연결을 조절하면 쉽게 고효율의 증류탑 시스템으로 바꿀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는 본 발명에서 제시된 설계방법으로 새로운 공정을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증류장치는 기존의 열복합 증류시스템과는 달리 1기 또는 2기의 증류탑으로 3기의 증류탑을 설치한 것과 같은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의 절감은 물론 증류탑의 개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너지를 절감할 수 뿐 아니라 설비비도 줄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Claims (6)

  1. 상부에는 응축기(141), 하부에는 재비기(151)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그 내부에 두 개의 제 1 및 제 2 분할 벽(161, 171)에 의해 제 1 공간(①), 제 2 공간(②) 및 제 3 공간(③)이 형성되어진 주탑(121)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주탑(121)의 제 1 공간(①)의 중간단(NR)으로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가 유입되어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D')과 고비점 성분(B')은 최상부단(NRU)에서 저비점 제품(D), 최하부단(NSL)에서 고비점 제품(B),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은 제 3 공간(③)의 중간단(NR)을 거쳐 중간비점 제품(S)으로 각각 생산되어지며,
    상기 주탑(1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분할 벽(161) 및 제 2 분할 벽(171)의 길이는 제 1, 2, 3 공간(①, ②, ③)의 증류곡선에 의해 산출된 단수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
  2. 상부에는 응축기(142), 하부에는 재비기(152)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그 내부에 제1 분할 벽(162)에 의해 제 1 공간(①), 제 2 공간(②)이 형성된 주탑(122)과 그 주탑(122)으로부터 유입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을 정제하는 후처리탑(132)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주탑(122)의 제 1 공간(①)의 중간단(NR)으로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가 유입되어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D') 및 고비점 성분(B')과 제 1 공간(①)으로부터 제 2 공간(②)으로 일부 유입된 저비점 성분(D') 및 고비점 성분(B')은 재증류되어 주탑(122)의 최상부단(NRU)에서 저비점 제품(D), 주탑(122)의 최하부단(NSL)에서 고비점 제품(B)으로 각각 생산되어지고, 제 2 공간(②)에서 후처리탑(132)으로 유입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은 정제되어진 후 일부가 후처리탑(132)의 중간단(NRR)에서 중간비점 제품(S)으로 생산되고, 그 나머지의 액상 유량(LS)과 기상 유량(VS)은 주탑(122)으로 환류되어지며,
    상기 주탑(1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분할 벽(162)의 길이는 제 1, 2 공간(①, ②)의 증류곡선에 의해 산출된 단수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
  3. 상부에는 응축기(142), 하부에는 재비기(152)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그 내부에 제 1 분할 벽(162)에 의해 제 1 공간(①), 제 2 공간(②)이 형성된 주탑(122)과 그 주탑(122)으로부터 유입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을 정제하는 후처리탑(132)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주탑(122)의 제 1 공간(①)의 중간단(NR)으로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가 유입되어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D') 및 고비점 성분(B')과 제 1 공간(①)으로부터 제 2 공간(②)으로 일부 유입된 저비점 성분(D') 및 고비점 성분(B')은 재증류되어 주탑(122)의 최상부단(NRU)에서 저비점 제품(D), 주탑(122)의 최하부단(NSL)에서 고비점 제품(B), 주탑(122)의 중간단(NR)에서 중간비점 제품(S)이 생산되어지고, 제 2 공간(②)으로부터 유입된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S', S")은 정제되어진 후 전량 액상 유량(LS)과 기상 유량(VS)은 주탑(122)으로 환류되어지며,
    상기 주탑(1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분할 벽(162)의 길이는 제 1, 2 공간(①, ②)의 증류곡선에 의해 산출된 단수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
  4.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가 유입되는 전처리탑(113)과,
    상부에는 응축기(143), 하부에는 재비기(153)가 각각 설치되어지고, 그 내부에 제 1 분할 벽(163)에 의해 제 1 공간(①)과 제 2 공간(②)이 형성된 주탑(123)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전처리탑(113)의 중간단(NRF)으로 3성분이 혼합된 혼합물 원료(F)가 유입되어 분리되어진 저비점 성분(d) 및 고비점 성분(b)은 주탑(123)의 제 1 공간(①)과 제 2 공간(②)으로 유입된 후 재증류되어 저비점 성분(D')은 주탑(123)의 최상부단(NRU)에서 저비점 제품(D), 고비점 성분(B')은 주탑(123)의 최하부단(NSL)에서 고비점 제품(B), 중간비점 혼합물 성분은 제 2 공간(②)의 중간단(NR)에서 중간비점 제품(S)이 생산되어지며,
    상기 주탑(123)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분할 벽(163)의 길이는 제 1, 2 공간(①, ②)의 증류곡선에 의해 산출된 단수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비점 성분(B')은 주탑(121, 122, 123)의 최상부단(NRU)과 응축기(141, 142, 143)를 거친 후 일부는 저비점 제품(D)으로 생산되고, 그 나머지는 액상 유량(LD)으로 다시 주탑(121, 122, 123)의 상부로 환류되고, 고비점 성분(D')은 주탑(121, 122, 123)의 최하부단(NSL)과 재비기(151, 152, 153)을 거친 후 일부는 고비점 제품(B)으로 생산되고, 그 나머지는 기상 유량(VB)으로 다시 주탑(121, 122, 123)의 하부로 환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
  6. 삭제
KR1020040058612A 2004-07-27 2004-07-27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증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2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612A KR100626678B1 (ko) 2004-07-27 2004-07-27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증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612A KR100626678B1 (ko) 2004-07-27 2004-07-27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증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046A KR20060010046A (ko) 2006-02-02
KR100626678B1 true KR100626678B1 (ko) 2006-09-25

Family

ID=3712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6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6678B1 (ko) 2004-07-27 2004-07-27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증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6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752B1 (ko) 2008-04-08 2010-06-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존 증류탑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형 연속 분별증류방법 및장치
KR101592498B1 (ko) * 2014-11-12 2016-02-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분리벽 증류탑을 이용한 해상 액화천연가스 분별증류장치
KR101674660B1 (ko) * 2015-12-07 2016-11-0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추출공정의 부하를 감소시킨 방향족 화합물 분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방법
KR20190086944A (ko) * 2018-01-15 2019-07-24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분리벽형 증류탑을 이용한 석유수지 제조 공정의 중합용매 정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145B1 (ko) * 2013-07-18 2016-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증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2367A2 (de) 1983-01-26 1984-10-24 BASF Aktiengesellschaft Destillationskolonne
KR20020094002A (ko) * 2000-05-04 2002-12-16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γ-부티로락톤 및(또는)1,4-부탄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증류 분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2367A2 (de) 1983-01-26 1984-10-24 BASF Aktiengesellschaft Destillationskolonne
KR20020094002A (ko) * 2000-05-04 2002-12-16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γ-부티로락톤 및(또는)1,4-부탄디올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증류 분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752B1 (ko) 2008-04-08 2010-06-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존 증류탑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형 연속 분별증류방법 및장치
KR101592498B1 (ko) * 2014-11-12 2016-02-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일체형 분리벽 증류탑을 이용한 해상 액화천연가스 분별증류장치
KR101674660B1 (ko) * 2015-12-07 2016-11-0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추출공정의 부하를 감소시킨 방향족 화합물 분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방향족 화합물의 분리방법
KR20190086944A (ko) * 2018-01-15 2019-07-24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분리벽형 증류탑을 이용한 석유수지 제조 공정의 중합용매 정제방법
KR102414715B1 (ko) * 2018-01-15 2022-06-28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분리벽형 증류탑을 이용한 석유수지 제조 공정의 중합용매 정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046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74B1 (ko) 듀얼 모드 분리벽형 증류탑
CN102281931A (zh) 用于制备高纯度正丁醇的分隔壁蒸馏塔和正丁醇的蒸馏方法
KR20120026051A (ko) 선형 알파 올레핀 생산을 위한 시스템 및 공정
ITTO20010963A1 (it) Schema di procedimento per l'idro-trattamento e l'idro-cracking in sequenza di combustibile diesel e di gasolio ottenuto sotto vuoto.
US20120048714A1 (en) Energy Conservation in Heavy-Hydrocarbon Distillation
US4680042A (en) Extractive stripping of inert-rich hydrocarbon gases with a preferential physical solvent
NO174251B (no) Fremgangsm}te for fremstilling av alkylaromatiske hydrokarboner fra naturgass
US20130233698A1 (en) Method for Recovering Products Using Adsorption Separation and Fractionation
KR100626678B1 (ko) 분할 벽이 있는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증류장치
US20120048711A1 (en) Energy Conservation in Heavy-Hydrocabon Distillation
Minh et al.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of dimethyl ether purification process by utilizing dividing wall columns
CN100513365C (zh) 双溶剂萃取精馏分离碳九芳烃的方法
US8916740B2 (en) Energy conservation in heavy-hydrocarbon distillation
KR100554388B1 (ko) 후처리탑이 부착된 열복합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증류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분별 증류방법
Biasi et al. Parastillation and metastillation applied to bioethanol and neutral alcohol purification with energy savings
KR101673491B1 (ko) 에너지 절감형 원유정제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원유정제방법
CN1319915C (zh) 一种苯与干气烃化制乙苯节能方法
CN107935805A (zh) 基于原料乙烯含量上升的干气制乙苯装置扩产方法
RU2688150C2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потоков в целях получения подаваемого потока трансалкилирования в комплексе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аромат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KR100554396B1 (ko) 3기의 증류탑 시스템을 이용한 분별 증류장치 및 그장치를 이용한 분별 증류방법
Bagajewicz On the design flexibility of atmospheric crude fractionation units
KR100961752B1 (ko) 기존 증류탑을 활용한 에너지 절감형 연속 분별증류방법 및장치
KR20040089354A (ko) 나프타 개질공정 유출 혼합물로부터 벤젠, 톨루엔,자일렌의 에너지 절감형 연속 분별 증류방법 및 장치
US20110240525A1 (en) Distillation Column Pressure Control
KR100483171B1 (ko) 나프타 개질반응기 유출 혼합물로부터 벤젠과 톨루엔의 분별증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709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91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