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904B1 -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에폭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아민 수분산 수지 - Google Patents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에폭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아민 수분산 수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5904B1 KR100625904B1 KR1019990067912A KR19990067912A KR100625904B1 KR 100625904 B1 KR100625904 B1 KR 100625904B1 KR 1019990067912 A KR1019990067912 A KR 1019990067912A KR 19990067912 A KR19990067912 A KR 19990067912A KR 100625904 B1 KR100625904 B1 KR 1006259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poxide
- water
- hydroxyl group
- polyalkanol
- polyoxyalkyleneam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06—Polyalkylene(poly)ami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33—Polyamines derived from (poly)oxazolines, (poly)oxazines or having pendant acyl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반응물 | 중량부(g) |
2-부톡시에탄올 | 303.9 |
N80101 | 314.9 |
디에탄올아민 | 33.9 |
제파민 디- 2000N2 | 301.2 |
2-부톡시에탄올 | 46.1 |
락트산 | 33.9 |
탈이온수 | 1566.1 |
반응물 | 중량부(g) |
2-부톡시에탄올 | 288.3 |
N80101 | 298.7 |
디에탄올아민 | 22.9 |
제파민 디- 2000N2 | 328.4 |
2-부톡시에탄올 | 61.7 |
락트산 | 32.2 |
탈이온수 | 1567.8 |
반응물 | 중량부(g) |
2-부톡시에탄올 | 299.6 |
N80101 | 317.8 |
N-메틸에탄올아민 | 24.8 |
제파민 디- 2000N2 | 307.4 |
2-부톡시에탄올 | 50.4 |
락트산 | 24.0 |
탈이온수 | 1576.0 |
반응물 | 중량부(g) |
2-부톡시에탄올 | 291.0 |
N80101 | 298.7 |
N-메틸에탄올아민 | 16.4 |
제파민 디- 2000N2 | 334.9 |
2-부톡시에탄올 | 59.0 |
락트산 | 22.6 |
탈이온수 | 1577.4 |
반응물 | 중량부(g) |
제파민 디- 2000N1 | 630 |
2-부톡시에탄올 | 612 |
N80102 | 262 |
락트산 | 42.3 |
탈이온수 | 2021.7 |
성분 | 중량부 |
에폰 8283 | 462.0 |
비스페놀 A | 104.0 |
1,6-헥산디올 | 33.0 |
엥커 아민 10401 | 2.0 |
2-부톡시에탄올 | 64.0 |
N-메틸에탄올 아민 | 52.6 |
경화제2 | 453.8 |
락트산 | 22.3 |
탈이온수 | 2173.0 |
에폰 828, 비스페놀 A, 엥커아민 1040을 에폭시 당량 950이 될때까지 180℃ 에서 가열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80℃로 냉각시킨 후, 2-부톡시에탄올, N-메틸 에탄올 아민를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120℃로 가열하여 2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에폭시 당량이 30,000 이상이 될 때 락트산을 가하여 중화시킨다. 1시간동안 유지 후 경화제를 가하고 30분동안 교반한다. 반응종료 후 탈이온수를 고속교반하면서 서서히 적하한다. 제조된 수분산 수지의 입자 크기를 오토사이저(말버른사)로 측정결과 186nm였고, 수분산의 고형분은 39%이었다.
4차화제 | |
성분 | 중량부(g) |
2-에틸헥산올 1/2 차단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 334.4 |
디메틸에탄올아민 | 95.8 |
아세트산 | 66 |
2-부톡시에탄올 | 60.7 |
성분 | 중량부(g) |
N8030 | 900 |
메틸이소부틸케톤 | 700 |
2-에틸헥산올 1/2 차단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 524.8 |
2-부톡시에탄올 | 1,450 |
탈이온수 | 60 |
제조예 2의 4차화제 | 630 |
성분 | 중량부(g) |
제조예 3의 안료 분산 비히클 | 174 |
디부틸틴 옥사이드 | 240 |
탈이온수 | 385.9 |
성분 | 중량부(g) |
티타늄 디옥사이드 | 733.6 |
레드 실리케이트 | 42.9 |
카본 블랙 | 21.5 |
상기 피그먼트 그라인딩 비히클 | 294.3 |
탈이온수 | 505.6 |
제조예 4의 촉매 페이스트 | 113.6 |
성 분 | 중량부 |
제조예 1의 양이온 전착수지 | 1052.8 |
파라플렉스 WP-11 | 25.3 |
제조예 5의 안료 페이스트 | 273.4 |
탈이온수 | 1308.4 |
성 분 | 중량부 |
제조예 1의 양이온 전착수지 | 1052.8 |
비교예 1의 수지 | 142.7 |
파라플렉스 WP-11 | 25.3 |
제조예 5의 안료 페이스트 | 273.4 |
탈이온수 | 1308.4 |
성 분 | 중량부 |
제조예 1의 양이온 전착수지 | 1052.8 |
실시예1에서 제조한 하이드록실기 함유 수분산 수지 | 142.7 |
파라플렉스 WP-11 | 25.3 |
제조예 5의 안료 페이스트 | 273.4 |
탈이온수 | 1308.4 |
성 분 | 중량부 |
제조예 1의 양이온 전착수지 | 1052.8 |
실시예 2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수분산 수지 | 142.7 |
파라플렉스 WP-11 | 25.3 |
제조예 5의 안료 페이스트 | 273.4 |
탈이온수 | 1308.4 |
성 분 | 중량부 |
제조예 1의 양이온 전착수지 | 1052.8 |
실시예 3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수분산 수지 | 142.7 |
파라플렉스 WP-11 | 25.3 |
제조예 5의 안료 페이스트 | 273.4 |
탈이온수 | 1308.4 |
성 분 | 중량부 |
제조예 1의 양이온 전착수지 | 1052.8 |
실시예 4의 하이드록실기 함유 수분산 수지 | 142.7 |
파라플렉스 WP-11 | 25.3 |
제조예 5의 안료 페이스트 | 273.4 |
탈이온수 | 1308.4 |
전착예 | DOI* | 백색상 도부착 | DOI | 회색상 도부착 | 오일에 오염된 시편 전착의 육안 평가 | 열안정성 (60℃ ×2주) | 크레타링 갯수 (9×20cm시편당) | |
(0.5 밀) | (1밀) | |||||||
비교예 2 | 87.8 | 2-3 | 95 | 3 | 1 | 0 | 침전비발생 | 다량 |
비교예 3 | 90.4 | 2 | 94 | 2-3 | 6 | 4 | 침전발생 | 1∼2개 |
실시예 5 | 90.1 | 7 | 92.1 | 6 | 5.5 | 3 | 침전비발생 | 0∼1개 |
실시예 6 | 89.3 | 7 | 91 | 6 | 6 | 3.5 | 침전비발생 | 0∼1개 |
실시예 7 | 89.8 | 6 | 94 | 5 | 6.5 | 4 | 침전비발생 | 0∼1개 |
실시예 8 | 89.2 | 6 | 91 | 5 | 6 | 2 | 침전비발생 | 0∼1개 |
Claims (9)
- 용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에폭사이드-폴리알칸올 모노아민 유도체 1당량과, 분자량 150∼3500의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 디아민 및/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 모노아민 1.05∼3.0당량을 50∼150℃에서 반응시켜 제조된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에폭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 아민 수분산 수지.화학식 1여기서, R1 및 R2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R1 및 R2중 적어도 하나는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한 탄소수 1∼4의 알킬라디칼이고, R3는 에테르기를을 함유한 탄소수 21∼57의 지환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이다.화학식 2여기서, R은 서로 같거나 다를수 있으며,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라디 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n은 1∼50의 정수이다.화학식 3여기서, R은 서로 같거나 다를수 있으며, 수소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n은 1∼50의 정수이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폭사이드-폴리알칸올 모노아민 유도 체는 분자당 0.5∼1개의 에폭시기와 적어도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수지.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폭사이드는 사이클릭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수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릭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는 분자량 340∼2000의 비스페놀-A 또는 수소화된 비스페놀-A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수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 수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산에 의해 중화되어 양이온 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 수지.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67912A KR100625904B1 (ko) | 1999-12-31 | 1999-12-31 |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에폭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아민 수분산 수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67912A KR100625904B1 (ko) | 1999-12-31 | 1999-12-31 |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에폭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아민 수분산 수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6312A KR20010066312A (ko) | 2001-07-11 |
KR100625904B1 true KR100625904B1 (ko) | 2006-09-20 |
Family
ID=1963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6791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5904B1 (ko) | 1999-12-31 | 1999-12-31 |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에폭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아민 수분산 수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590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595356A2 (en) * | 1992-10-30 | 1994-05-04 | Nippon Paint Co., Ltd. | Cationic electrocoating composition |
JPH09227658A (ja) * | 1996-02-26 | 1997-09-02 | Asahi Denka Kogyo Kk | 水性エポキシ樹脂用硬化剤 |
KR19980019950A (ko) * | 1996-09-02 | 1998-06-25 | 김충세 | 글리시돌변성 안료 분산용수지 및 이를 함유한 양이온 전착 도료조성물 |
-
1999
- 1999-12-31 KR KR1019990067912A patent/KR10062590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595356A2 (en) * | 1992-10-30 | 1994-05-04 | Nippon Paint Co., Ltd. | Cationic electrocoating composition |
JPH09227658A (ja) * | 1996-02-26 | 1997-09-02 | Asahi Denka Kogyo Kk | 水性エポキシ樹脂用硬化剤 |
KR19980019950A (ko) * | 1996-09-02 | 1998-06-25 | 김충세 | 글리시돌변성 안료 분산용수지 및 이를 함유한 양이온 전착 도료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66312A (ko) | 2001-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06084B1 (ko) | 전기전도기판의 코팅방법, 수성 페인트, 에폭시드-아민 첨가물 및 안료페이스트의 제조시 연마수지로서의 에폭시드-아민 첨가물의 용도 | |
KR100315846B1 (ko) | 양이온 전기코팅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
JPH0426627B2 (ko) | ||
US4976833A (en) | Electrodeposition coatings containing blocked tetramethylxylene diisocyanate crosslinker | |
KR20040034738A (ko) | 히드록실-카보네이트로 블로킹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교제를 함유하는 음극 전기코팅 조성물 | |
JPH03430B2 (ko) | ||
KR20060129973A (ko) | 아민 변성 에폭시 수지의 제조방법 및 양이온 전착 도료조성물 | |
EP0352677A2 (de) | Trägerharz für Pigmentpasten, seine Herstellung und Verwendung | |
KR100891156B1 (ko) | 안료 분산용 양이온 수지 및 그를 포함하는 전착 도료조성물 | |
EP0159363B1 (en) | Self-curing resin composition | |
KR910004791B1 (ko) | 폴리우레탄 수지분산제를 함유한 양이온 전해석출성 수지조성물 | |
US5095051A (en) | Amide diol extended cathodic electrodeposition resins | |
US5108575A (en) | Polyamine enamine containing cationic resin | |
JPH0717875B2 (ja) | 陰極電着用被覆剤組成物 | |
KR100625904B1 (ko) |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한 폴리에폭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아민 수분산 수지 | |
US5089100A (en) | Method of incorporating polyamine into a cationic resin | |
JP2006002003A (ja) | 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 |
US4980398A (en) | Polyamine enamine containing cationic resin | |
AU650310B2 (en) | Polyol extended cathodic electrodeposition resins | |
KR101406140B1 (ko) | 폴리에폭사이드-폴리옥시알킬렌 아민 수지 및 그를포함하는 전착 도료 조성물 | |
KR100277273B1 (ko) | 양이온 전착 도료를 위한 내크레터링 첨가제의 제조방법 | |
KR100540815B1 (ko) | 알킬 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아민 도막 형성 첨가제를함유한 양이온 전착 도료 조성물 | |
KR100576404B1 (ko) | 베타히드록시알킬 카바메이트 변성 안료분산용 수지 및 이를 함유한 양이온 전착 도료 조성물 | |
KR100974766B1 (ko) | 양이온 마이크로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착도료조성물 | |
KR100562114B1 (ko) | 글리시돌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폭사이드-아민 화합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504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