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5690B1 - 신규 면역 억제제 - Google Patents

신규 면역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690B1
KR100625690B1 KR1020047000227A KR20047000227A KR100625690B1 KR 100625690 B1 KR100625690 B1 KR 100625690B1 KR 1020047000227 A KR1020047000227 A KR 1020047000227A KR 20047000227 A KR20047000227 A KR 20047000227A KR 100625690 B1 KR100625690 B1 KR 10062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compound
reaction
higher fat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431A (ko
Inventor
야마자키타카유키
수가와라후미오
오타케이수케
사카구치켄고
아사노노리코
다케노우치미카
마사키카즈요시
사토노리유키
후지타타츠야
사하라히로에키
Original Assignee
토요 수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수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수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8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69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polyol, i.e.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free or esterified hydroxy groups, including the hydroxy group involved in the glycosidic linkage, e.g. monoglucosyldiacylglycerides, lactobionic acid,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4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non-specific disorders of the connectiv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 C07H15/06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being a hydroxyalkyl group esterified by a fatty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
Figure 112006004915368-pct00027
(식 중, R101은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내며, R102는 수소원자 또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에 의해 나타나는 화합물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면역 억제제.

Description

신규 면역 억제제{Novel Immunosuppressive Agent}
본 발명은 신규 면역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술포푸코실 아실글리세롤 유도체, 보다 구체적으로는 술포푸코실 모노아실글리세롤 {3-O-(6-디옥시-6-술포-α/β-D-갈락토피라노실)-1-O-아실글리세롤} 및 술포푸코실 디아실글리세롤 {3-O-(6-디옥시-6-술포-α/β-D-갈락토피라노실)-1,2-O-디아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면역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임상에 있어서는, 화학요법에서는 치유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질병에 있어서 그 원인 장기 또는 그 일부를 다른 사람에게서 이식받음으로써 회복을 도모하는 방법이 선택될 수 있게 되었다. 신장, 간장, 폐, 소화관, 심장, 췌장, 각막 등 다종 장기에 있어서 이식치료가 예의 진행되어 그 건 수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또, 피부조직은 원래 면역성능이 높은 조직인데, 타인의 피부를 이식할 경우, 불과 수주간 정착을 유지할 수 있으면 그 후 자기 피부재생에 의해 치유가능하게 되므로, 고도의 광범위한 화상이나 열상 등에서는 타인의 피부를 이식함으로써 형태적 회복을 도모하는 방법이 선택된다.
이러한 각 조직 및 장기를 다른 사람으로부터 이식받는 경우 가장 염려되는 것은 피이식자의 면역력에 유래하는 거부반응이다.
그래서, 1970년대부터 구미를 중심으로 피이식자의 거부반응을 방지하고, 이식장기의 영속적 정착을 목적으로 면역 억제제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또 한편으로 류머티즘, 교원병(膠原病) 등 소위 자기 면역질환에 있어서도 면역 억제제는 그 증상의 완화에 있어서 중요한 약제가 될 수 있다.
과거에 시클로스포린A, FK506 등의 면역 억제제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면역 억제제는 작용기구도 유사하고 또 만성 독성이 염려되어, 장기적 연명을 목적으로 하는 차세대 장기 이식에 대해서는 다른 화학구조로 다른 작용 기구를 기대할 수 있는, 보다 독성이 낮은 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천연에서 얻어진 황 함유 당지질(糖脂質)에는, 이제까지 제암성(사하라 외, British Journal of Cancer, 75(3), 324-332, (1997)), DNA합성효소저해활성(미즈시나 외, Biochemical Pharmacology, 55, 537-541, (1998), 오오타 외,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46(4), (1998)), HIV억제제(특표평5-501105호 공보)와 약리 활성이 발견되어 있다. 그러나, 황 함유 당지질, 특히 술포푸코실 아실글리세롤 유도체에 관한 면역 억제반응에 관한 지견은 아직 없다.
본 발명은, 신규 면역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독성이 낮고 장기 투여가 가능하여 또 그 면역 억제활성이 높은 면역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연구한 결과, 특정한 술포푸코실 아실글 리세롤 유도체에 현저한 면역 억제활성을 인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의 화학식 1 :
Figure 112006004915368-pct00022
(식 중, R101은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내며, R102는 수소원자 또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에 의해 나타나는 화합물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면역 억제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면역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면역 억제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보호기의 '탄소 수'란 해당 보호기를 비치환으로서 간주한 경우의 탄소원자의 수를 말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R1에 의해 나타나는 기가 치환 알킬기인 경우, R1의 탄소 수란 해당 알킬기로 치환하는 치환기의 탄소원자를 포함하지 않는, 알킬기의 골격 부분의 탄소원자의 수를 말한다. 보호기가 알킬기 이외의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선, 본 발명의 면역 억제제의 유효성분인 화학식 1 :
(화학식 1)
Figure 112006004915368-pct00023
(식 중, R101은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내며, R102는 수소원자 또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술포푸코실 아실글리세롤 유도체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01에 의해 나타나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제공하는 지방산에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고급 지방산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101에 의해 나타나는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에는 R-C(=O)-(식 중, R은 탄소 수 13 이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기가 포함된다. 이 아실잔기:R-C-(=O)-의 R에 의해 나타나는 알킬기 및 알케닐기의 탄소 수는 면역 억제활성, 제조비용 등을 고려하면 13 이상 25 이하(아실잔기로서의 탄소 수는 14 이상 26 이하)가 바람직하고, 13∼25의 홀수(아실잔기로서의 탄소 수 14∼26의 짝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02는 수소원자 또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 타낸다. R102에 의해 나타나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는 상술한 R101의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와 마찬가지이다. R102는 세포를 이용한 면역 억제활성 등의 결과로 판단하면 수소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에 있어서, R101과 R102이 같이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인 경우, 이들 아실잔기는 서로 같아도 달라도 되지만, 제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푸코실부분의 당(糖) 골격은, 선(船)형, 의자형의 어떤 배좌(配座)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의자형 쪽이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글리세리딜 부분의 2위(位)의 탄소(부제(不齊)탄소)에 있어서의 절대 배치는 S 또는 R의 어떤 것이어도 된다. 또한, 푸코실 부분과 글리세리딜 부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이성체는 α-아노머 및 β-아노머의 어떤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나타나는 술포푸코실 아실글리세롤 유도체는,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출원에 관한 국제특허출원(WO 00/5202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합성할 수 있다.
또, 다음의 스킴 1에 나타나는 (공정A)∼(공정J)를 거침으로써, 본 발명의 화학식 1에서 β-아노머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스킴 1
Figure 112004000562854-pct00003
(공정A)갈락토오스의 C1∼C4 및 C6 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아실계 보호기로 보호한 후, C1 탄소를 브롬과 같은 할로겐으로 치환하여, 갈락토오스 유도체(α-아노머)를 얻는다. (공정B)갈락토실 부분의 C1 탄소에 결합하는 할로겐을 2-프로페닐기로 치환하여 인접 기(基) 관여에 의해 갈락토오스 유도체(β-아노머)를 선택적으로 얻는다. (공정C)갈락토실 부분의 C2∼C4 및 C6 탄소의 보호기를 탈보호한다. (공정D)갈락토실 부분의 C6 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보호한다. (공정E)갈락토실 부분의 C2, C3 및 C4 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보호한 후, C6 탄소의 보호기를 탈보호한다. (공정F)갈락토실 부분의 C6 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카르보닐티오기로 변환할 수 있는 기(예를 들면, 알킬술포닐옥시기 또는 아릴술포닐옥시기)로 치환한다. (공정G)갈락토실 부분의 C6 탄소를 카르보닐티오화한다. (공정H)갈락토실 부분의 C1 탄소에 결합하는 2-프로페닐기를 디올(diol)화한다. (공정I)얻어진 디올을 소망의 고급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한다. (공정J)갈락토실 부분의 C6 탄소의 카르보닐티오기를 술폰산 염화한다. (공정K)얻어진 술폰산염의 C2, C3 및 C4 탄소의 보호기를 탈보호함으로써, 염의 형태로 있는 술포푸코실 아실글리세롤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염은, 염산 등의 산에 의한 적정(滴定)으로 공급함으로써, 화학식 1로 나타나는 술포푸코실 아실글리세롤 유전제로 할 수 있다.
상기 공정 A∼J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정 A에 있어서의 갈락토오스의 C1∼C4 및 C6 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보호는, 과염소산과 같은 촉매 존재하에 무수초산과 같은 산과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 반응은, 통상 30∼40℃의 온도로 30분∼3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따라 반응시간은 다르다.
다음으로, 브롬 등의 할로겐을 반응시켜 갈락토오스의 C1 탄소에 브롬 등의 할로겐 원자를 결합시킨다. 이 할로겐화 반응은, 수산기가 보호된 갈락토오스를 적(赤) 인과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브롬 등의 할로겐과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반응은, 통상 20℃ 이하의 온도에서 2∼5시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따라 반응시간은 다르다.
공정 B에서의 2-프로페닐화는 공정A에서 얻어진 식 (II)의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등의 용매에 용해하고, 아릴알콜을 시안화 제2수은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 통상 0∼40℃의 온도에서 한나절∼2일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의해 반응시간은 다르다.
이 반응에 의해, 갈락토실 부분의 C1 탄소에서의 입체이성체 중, β-아노머가 얻어진다. 이 β-아노머의 입체배치는 뒤의 반응에서도 유지되어 소망하는 갈락토실 유도체(β-아노머)를 제조할 수 있다.
공정 C에 있어서의 갈락토실 부분의 C2∼C4 및 C6 탄소의 탈보호는 메탄올 등의 용매에 용해한 식 (III)의 화합물을 나트륨 메톡시드 등의 알칼리 존재하에 실온에서 한나절∼1일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의해 반응시간은 다르다.
공정 D에서는, 식 (IV)의 화합물의 C6 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보호하고, C6 탄소에 -OR6(여기서 R6은 알킬기 또는 치환 시릴기를 나타낸다.)이 결합한 식 (V)의 화합물을 얻는다.
R6에 의해 나타나는 기가 알킬기인 경우, 부피가 큰 치환기의 저급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그 치환기에는 메틸기, 페닐기 등이 포함된다. 치환 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t-부틸기, 트리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6에 의해 나타나는 기가 치환 시릴기인 경우, 치환 시릴기의 치환기에는 저급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1∼4의 알킬기(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이소프로필기, t-부틸기) 및 아릴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6의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 등이 포함된다. R6에 의해 나타나는 치환 시릴기는 바람직하게는 3치환의 시릴기이며, 예를 들면 t-부틸 디페닐시릴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공정 D에 있어서 R6이 알킬기인 식 (V)의 화합물을 얻는 경우에는, 건조 피리딘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한 식 (IV)의 화합물의 용액에, R6-X로 나타나는 화합물(식 중, R6은 상기 식 (II)의 R6으로서 규정한 알킬기, X는 염소원자 등의 할로겐원자.)을 첨가하여, p-디메틸 아미노 피리딘(DMAP)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 실온으로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화합물 R6-X로서는 트리틸클로라이드가 제조 비용, 반응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공정 D에서 R6이 치환 시릴기인 식(V)의 화합물을 얻을 경우에는, 화합물 R6-X로서 t-부틸디페닐시릴클로라이드 등을 이용하여, 이미다졸 등의 촉재의 존재하 실온에서 한나절∼2일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의해 반응시간은 다르다.
공정 E에서는 식(V)의 화합물의 C2, C3 및 C4 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보호한 후, C6 탄소의 보호기(-OR6)를 탈보호하여, 각각 -OR1, -OR2 및 -OR 3(여기서 R1∼R3은 서로 독립하여 알킬기 또는 치환 시릴기를 나타낸다.)이 결합한 식(VI)의 화합물을 얻는다.
C2, C3 및 C4 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의 보호는, 식 (V)의 화합물을,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등의 유기용매에 용해하여, 식 (V)의 화합물의 C2, C3 및 C4 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수소화나트륨 등에 의해 활성화하여, 수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화합물과 실온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수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화합물로서는, 벤질브로마이드, p-메톡시벤질브로마이드, t-부틸디메틸시릴클로라이드, 트리에틸시릴클로라이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수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이용할 경우의 반응은, 각각의 보호기에 적합한 반응조건에 의해 행할 수 있다.
C6 탄소의 보호기의 탈보호는 R6이 트리틸기의 경우에는, p-톨루엔 술폰산과 같은 산 촉매의 존재하에, 또 R6이 시릴기의 경우에는 산 촉매 또는 테트라 부틸암모늄 플루오리드와 같은 불화물염의 존재하에 탈보호할 수 있다.
공정 F에서는, 식(VI)의 화합물의 C6 탄소에 결합하는 수산기를 -OR4(여기서 R4는 알킬술포닐기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낸다.)로 변화시켜 식(VII)의 화합물을 얻는다.
이 -OR4기로의 반응은, 유기용매에 용해한 식(VI)의 화합물의 용액에, 아릴술포닐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알킬술포닐기를 가지는 화합물 등을 첨가하여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아릴술포닐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아릴기로서는 비치환 또는 치환의 아릴기로서,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6의 아릴기(예를 들면 페닐기)가 포함된다. 치환 아릴기의 경우, 그 치환기로서는 p-메틸기, p-메톡시기 등이 포함된다. 아릴술포닐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식 : R4'-X(식 중, R4'는 아릴술포닐기를 나타내며,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를 들면, p-톨루엔 술포닐 클로라이드, p-메톡시 벤젠 술포닐 클로라이드, 벤젠 술포닐 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알킬술포닐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알킬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비치환 알킬기 또는 치환 알킬기(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기)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급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1∼2의 알킬기(메틸기, 에틸기)가 포함된 다. 알킬술포닐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식 : R4"-L(식 중, R4"는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내며, L은 탈리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나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탄 술폰산 무수물, 메탄 술포닐 클로라이드, 에탄 술포닐 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된다.
이들 알킬 술포닐기 또는 아릴술포닐기를 가지는 화합물 중, 토실기(p-톨루엔 술포닐기)를 가지는 것이 반응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공정 F의 반응에 있어서, 유기용매로서는 피리딘, 디클로로메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반응은, 필요에 따라서 DMAP와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 실온에서 2시간∼1일간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의해 반응시간은 다르다.
공정 G에 있어서, 식(VII)의 화합물의 술포닐옥시기(-OR4)를 카르보닐티오기 {-SC(=O)R5(여기서 R5는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낸다.)}로 치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유기용매 중의 식(VII)의 화합물과 식(VII)의 화합물의 알킬술포닐 옥시기 또는 아릴술포닐 옥시기를 카르보닐티오기로 치환할 수 있는 화합물(이하, 「O-치환기→S-치환기 화합물」이라고도 한다.)을 반응시킴으로써 식(VIII)의 화합물이 얻어진다.
O-치환기→S-치환기 화합물에는, 티오카르본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토류 금속염이 포함된다. 티오카르본산에는, 티오기산 및 저급 티오카르본산,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1∼5의 지방족 탄화수소가 치환된 지방족 티오카르본산(예를 들면, 티오초산, 티오프로피온산) 및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6∼10의 방향족 탄화수소가 치환된 방향족 티오카르본산(예를 들면 티오안식향산) 등이 포함된다.
이들의 티오카르본산과 염을 형성하는 알칼리금속에는 세슘, 칼륨, 나트륨 등이 포함되고, 알칼리토류 금속에는 마그네슘, 칼슘 등이 포함된다.
상기 O-치환기→S-치환기 화합물 중, 티오초산의 염은 반응 안정성의 점 및 뒷공정에 있어서 유황원자를 산화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반응에 이용하는 유기용매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알콜{바람직하게는 저급 알콜(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디메틸술폭시드 등이 포함된다.
상기 반응은 통상 실온 내지 이용하는 용매의 융점에 있어서, 통상 1시간∼1일간 교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의해 반응시간은 다르다.
공정 H의 디올화는 t-부탄올 및 물 등의 용매 혼액에 용해한 식 (VIII)의 화합물의 용액에 사산화 오스뮴 등의 산화제를 첨가하고, 트리메틸아민N-옥시드 등의 재(再)산화제를 공존시켜, 실온에서 1시간∼3일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의해 반응시간은 다르다.
공정 I에 있어서, 식 (IX)의 화합물의 글리세리딜 부분의 수산기를 에스테르화한다.
이 반응은, 디클로로메탄 등의 적당한 유기용매에 용해한 식 (IX)의 화합물의 용액에 최종 생성물에 대응하는 고급 지방산을 첨가하여 필요에 따라서 에틸 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본 이미드(EDCI)-DMAP계 등의 적당한 에스테르화제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공정 I의 반응에서, 첨가해야할 지방산으로서는 상술한 화학식 1의 R101에 의해 나타나는 아실잔기를 가지는 고급 지방산, 즉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고급 지방산을 이용할 수 있다.
공정 I의 반응에 의해 식 (X)의 화합물에 있어서, R101 및 R102가, 첨가한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인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나타나는 디에스테르(β-아노머)와, R101에만 아실잔기가 결합하고, R102가 수소원자인 모노에스테르(β-아노머)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공정 I의 반응에 있어서는, 소망에 따라서 첨가해야하는 고급 지방산을 2종 이상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R101 및 R102가 같은 아실잔기 또는 서로 다른 아실잔기인 화학식 1로 나타나는 디에스테르(β-아노머)와, R101이 서로 다른 아실잔기인 모노에스테르(β-아노머)와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이 모노에스테르와 디에스테르의 혼합물들은,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각각의 에스테르로 단리(單離)하여, 다음 공정 J 이후의 반응에 제공할 수 있다. 또, 지방산의 첨가량을 식 (IX)의 화합물의 2∼3배 몰로 설정함으로써 모노에스테르의 생성을 극력 억제하고 디에스테르를 우선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공정 J의 술폰산염화는 식 (X)의 화합물의 초산 및 초산칼륨을 이용하여 완충한 유기용매용액에 OXONE(2KHSO5, KHSO4, K2SO4) 등의 산화제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한나절∼2일간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단, 반응조건의 설정에 의해 반응 시간은 다르다.
공정 K에서의 식 (XI)의 화합물의 C2∼C4 탄소에 결합하는 보호기를 탈보호하여 소망의 술포푸코실 아실글리세롤의 염이 얻어진다. 이 탈보호는 이용한 보호기 및 결합하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에 맞는 탈보호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기가 벤질기이고 R101 및 R102가 포화의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인 경우,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한 식 (XI)의 화합물의 용액을 파라듐- 활성탄(Pd-C) 등의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가스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 R101 및 R102에 의해 나타나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의 적어도 한쪽이 불포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인 경우에는, 이용한 보호기에 맞는 탈보호법이고 또 불포화 지방산의 이중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릴계의 보호기의 경우는, 산 촉매(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초산)로 탈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억제제는, 상술한 본 발명의 화학식 1에서 나타나는 술포푸코실 아실글리세롤 유도체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그 이상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 1로 나타나는 술포푸코실 아실글리세롤 유도체에는, 갈락토실 부분의 배좌 이성체나 글리세리딜 부분의 C2 탄소(부제(不齊)탄소)에서의 이성체, 갈락토실 부분과 글리세리딜 부분과의 입체 배치(α/β)에 의한 입체이성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면역 억제제는 그 활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이 이성체들을 단독으로 함유할 수 도, 2종 이상의 이성체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면역 억제제는 그 활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다른 면역 억제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이나 그 이외의 약학적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과 병용하여 약학적 조제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면역 억제제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예를 들면 나트륨 및 칼륨과 같은 일가(一價)의 양이온의 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나타나는 술포푸코실 아실글리세롤 유도체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의 화합물을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은, 예를 들면 경구투여, 비경구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은, 이들의 투여경로에 따라서 적절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賦形劑) 또는 희석제 등으로 조합함으로써 약학적 조제로 할 수 있다.
경구투여에 적합한 제형(劑型)으로서는,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상태인 것이 포함되며, 구체적으로는 정제, 캡슐제, 분말제, 과립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을 정제, 캡슐제, 분말제, 과립제, 용액제, 현탁제 등으로 조제화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을 바인더, 정제 붕괴제, 윤활제 등과 혼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희석제, 완충제, 침윤제, 보존제, 플레이버제 등과 혼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상기 바인더에는 결정 셀루로오스, 셀루로오스 유도체, 콘스타치, 젤라틴 등 이, 정제 붕괴제에는 콘스타치, 감자전분, 카르복시 메틸셀루로오스 나트륨 등이, 윤활제에는 탤크,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등이 포함되고, 또한 락토오스, 마니톨 등과 같은 종래 이용되고 있는 첨가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은 액체, 미세분말 형태의 것을, 기체 또는 액체의 분무제와 같이, 또는 필요에 따라서 침윤성 부여제와 같은 기존의 조제와 같이, 에어로솔 용기, 네뷸라이저와 같은 비가압용기에 충전하여, 에어로솔제 또는 흡입제의 형태로 투여할 수도 있다. 분무제로서는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프로판, 질소 등의 가압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을 비경구투여할 경우, 예를 들면 주사, 경피투여, 직장투여 및 안내(眼內)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주사에 의한 투여로서는, 피하, 피내(皮內), 정맥내, 근육내 등에 투여할 수 있다. 이 주사용 조제들은, 그 자체로 기존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을 식물성유, 합성 지방산 글리세리드, 고급 지방산의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수성 또는 비수성의 용매중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화고, 또한 소망에 따라 가용화제, 침투압조절제, 유화제, 안정제 및 보존료와 같은 종래 이용되고 있는 첨가제와 함께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을 용액, 현탁액, 시럽, 엘릭시르 등의 형태로 하기 위해서는, 주사용 멸균수나 규정 생리식염수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경피투여는, 대상이 되는 피부의 상태 등에 따라서 연고제, 유화제, 파스타 제, 파프제, 리니먼트제, 로션제, 현탁제 등으로써 투여할 수 있다.
연고제는, 그 자체는 기존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을 바셀린, 파라핀 등과 같은 소수성(疎水性) 기재 또는 친수성 바셀린, 마크로골 등과 같은 친수성 기재와 연합(練合)함으로써 조제화할 수 있다. 유화제 기타 경피투여제도 통상 이용되는 방법에 의해 조제화할 수 있다.
직장투여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좌약으로서 투여할 수 있다. 좌약은 그 자체는 기존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을 체온으로 융해하지만 실온에서는 고화되어 있는 카카오 버터, 카본 왁스,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부형제와 혼합하여 형성함으로써 조제화할 수 있다.
눈 안에 투여하는 경우에는 점안제, 안연고 등과 같은 안(眼)용 조제 등으로서 투여할 수 있다. 점안제는 그 자체는 기존 방법에 의해 멸균정제수와 같은 수성용제에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을 용해 또는 현탁하여, 필요에 따라서 보존제, 완충제,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조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 억제물질의 투여량은, 투여형태, 투여경로, 대상으로 하는 질병의 정도나 단계 등에 따라서 적시 설정, 조절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경구투여할 경우는 면역 억제물질로서 1∼100mg/kg체중/일, 바람직하게는 1∼10mg/kg체중 /일, 주사제로서 투여할 경우는 면역 억제물질로서 1∼50mg/kg체중/일, 바람직하게는 1∼5mg/kg체중/일, 경피투여할 경우는 면역 억제물질로서 1∼100mg/kg체중/일, 바람직하게는 1∼10mg/kg체중/일, 직장 투여할 경우는 면역 억제물질로서 1∼50mg/kg체중/일, 바람직하게는 1∼5mg/kg체중/일, 눈 안에 투여할 경우는 면역 억제물질로서 0.01∼3% 정도의 용액을 1일 수 회로 나누어 점안하는 등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본 발명의 면역 억제제에서 이용하는 유효성분 중, 술포푸코실 스테아로일 글리세롤 유도체의 합성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예 1>
반응a ; 2,3,4,6-테트라-O-아세틸-α-D-갈락토피라노실·브로마이드(ii)
무수초산 400mL에 0℃ 조건하, 60% 과염소산 2.4mL를 적하하였다. 용액을 실온으로 되돌린 후, 교반하면서 D-갈락토오스 100g(555mmol)을 액체온도가 30∼40℃로 유지되도록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20℃로 냉각후, 적 인 30.0g(969mmmol)을 첨가하였다. 또한 액체온도를 20℃ 이하로 유지하면서 브롬 180g(2.25mol)을, 이어서 물 36mL를 적하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방치후, 냉 클로로포름 300mL를 가하여 글래스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냉수 800mL에 부어, 분액 깔대기로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하였다. 물층을 클로로포름 50mL로 추출하고, 클로로포름층과 합해 냉수 300mL로 세정하였다. 클로로포름층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용액 500mL에 부어, 분액 깔대기로 충분히 흔들어 클로로포름층을 회수하였다.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후, 여과,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으로 정 제하였다. 얻어진 결정상물질은 냉 디이소프로필에텔을 이용하여 재결정을 행하여 순수한 결정을 얻었다.
수량 164g(399mmol), 수율 71.9%, 융점;75∼81℃, [α]D=+215°(c 1.78 CHCl3)
1H NMR(400MHz CDCl3+TMS, δ);6.70(1H, d, J=3.9, H1), 5.52(1H, dd, J=3.0 & 0.6, H4), 5.40(1H, dd, J=10.6 & 3.3, H3), 5.05(1H, dd, J=10.6 & 4.0, H2), 4.49(1H, app t, J=6.5, H5), 4.19(1H, dd, J=11.4 & 6.3, H6a), 4.11(1H, dd, J=11.4 & 6.8, H6b), 2.16(3H, s, Me), 2.12(3H, s, Me), 2.07(3H, s, Me), 2.02(3H, s, Me)
Figure 112004000562854-pct00004
반응b ; 2,3,4,6-테트라-0-아세틸-1-0-(2-프로페닐)-β-D-갈락토오스 (iii)
화합물(ii) 170g(413mmol)을 디클로로메탄 350mL에 용해하고, 아릴알콜 60.0mL(830mol)를 가한 후, 시안화 제2수은 104g(412mmol)을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세라이트를 이용하여 흡인 여과하여, 냉수로 세정후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후, 여과,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산:초산에틸=6:1→3:1)로 정제하고, 냉(冷)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이용하여 재결정을 하여 순수한 결정을 얻었다.
수량 151g(389mmol), 수율 94.2%, 융점;55∼57℃, [α]D=-15.4°(c 2.26 CHCl3)
1H NMR(400MHz CDCl3+TMS, δ);5.86(1H, m, H2), 5.39(1H, dd, J=3.4 & 1.0, H4'), 5.28(1H, dq, J=17.3 & 1.6, H3a), 5.25(1H, dd, J=10.5 & 7.9, H2'), 5.21(1H, dq J=10.5 & 1.6, H3b), 5.03(1H, dd, J=10.5 & 3.4, H3'), 4.53(1H, d, J=8.0, H1'), 4.36(1H, ddt, J=13.2 & 4.9 & 1.4, H1a), 4.19(1H, dd, J=11.2 & 6.6, H6'a), 4.13(1H, dd, J=11.2 & 6.9, H6'b), 4.11(1H, ddt, J=13.2 & 6.1 & 1.4, H1b), 3.91(1H, dt, J=6.7 & 1.1, H5'), 2.16(3H, s, Me), 2.06(3H, s, Me), 2.05(3H, s, Me), 1.99(3H, s, Me)
Figure 112004000562854-pct00005
반응c ; 1-0-(2-프로페닐)-β-D-갈락토오스 (iv)
화합물(iii) 151g(389mmol)을 메탄올 300mL에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28% 나트륨 메톡시드·메탄올 용액을 7.50mL(38.9mmol)를 적하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농축하여,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 =6:1→3:1)로 정제하여 무색침상 결정을 얻었다.
수량 77.2g(351mmol), 수율 90.2%, 융점;93∼95℃, [α]D=-1.21°(c 2.28 MeOH)
1H NMR(400MHz CD3OD, δ);5.96(1H, m, H2), 5.32(1H, dq, J=17.2 & 1.6, H3a), 5.15(1H, dq, J=10.4 & 1.6, H3b), 4.37(1H, ddt, J=12.8 & 5.2 & 1.4, H1a), 4.26(1H, d, J=7.2, H1'), 4.15(1H, ddt, J=12.8 & 6.2 & 1.2, H1b), 3.83(1H, app d, J=3.2, H4'), 3.75(1H, dd, J=10.8 & 6.8, H6'a), 3.71(1H, dd, J=10.8 & 5.6, H6'a), 3.54(1H, dd, J=7.6 & 9.6, H2'), 3.49(1H, app t, J=6.4, H5'), 3.47(1H, dd, J=10.0 & 3.2, H3')
Figure 112004000562854-pct00006
반응d ; 1-0-(2-프로페닐)-6-0-트리페닐메틸-β-D-갈락토오스 (v)
화합물(iv) 77.2g(351mmol)을 건조 피리딘 300mL에 용해하고, 그 용액에 트리틸클로라이드 117g(420mmol), p-디메틸 아미노 피리딘(DMAP) 4.29g(35.1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메탄올 약 10mL를 가하여 남아 있는 트리틸클로라이드를 분해한 후, 농축하여 냉수를 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쳐 1.0N 및 0.1N 염산으로 pH4까지 중화하여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황산 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100:1 → 10:1)로 정제하여 무색분말결정을 얻었다.
수량 160g(346mmol), 수율 98.6%, 융점;75∼78℃, [α]D=-2.51°(c 2.82 CHCl3)
1H NMR(400MHz CD3OD, δ);7.47∼7.44(6H, m, Ar), 7.29∼7.19(9H, m, Ar), 5.99(1H, m, H2), 5.33(1H, dq, J=17.4 & 1.6, H3a), 5.16(1H, dq, J=10.4 & 1.6, H3b), 4.38(1H, ddt, J=12.8 & 5.2 & 1.6, H1a), 4.27(1H, d, J=7.6, H1'), 4.20(1H, ddt, J=12.8 & 6.0 & 1.2, H1b), 3.77(1H, dd, J=3.4 & 1.0, H4'), 3.56(1H, ddd, J=7.2 & 4.8 & 1.0, H5'), 3.52(1H, dd, J=7.6 & 9.6, H2'), 3.45(1H, dd, J=9.6 & 7.2, H6'a), 3.44(1H, dd, J=9.6 & 3.2, H3'), 3.24(1H, dd, J=9.6 & 4.8, H6'b)
Figure 112004000562854-pct00007
반응e ; 2,3,4-트리-0-벤질-1-0-(2-프로페닐)-β-D-갈락토오스 (vi)
미네랄 오일 중에 확산되어 있는 80% 수소화 나트륨 22.4g(748mmol)을 반응기에 담아 건조헥산으로 잘 세정한 후 헥산을 제거하고, 건조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에 용해한 화합물(v) 69.1g(149mmol)을 빙랭하(氷冷下)에서 적하하고, 15분후 실온으로 돌아가 교반하면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다시 빙랭하에서 벤질 브로마이드 102g(598mmol)을 적하하여 15분후 실온으로 되돌려 3시간 반응시켰다. 그후 메탄올로 과잉 수소화 나트륨을 분해하고, 냉수를 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쳐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 감압 농축하여 유상(油狀)물질을 얻었다(반응 e-1).
이어서 유상물질을 톨루엔:메탄올=1:1로 용해하고, p-톨루엔 술폰산-수화물(水和物) 9.99g(52.5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그 후 냉수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쳐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황산 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산:초산에틸=6:1→3:1)로 정제하여 무색 침상(針狀)결정을 얻었다(반응 e-2).
수량 49.5g(101mmol), 수율 71.9%, 융점;74∼75℃, [α]D=-2.82°(c 2.45 CHCl3)
1H NMR(400MHz CDCl3+TMS, δ);7.37∼7.27(15H, m, Ar), 5.94(1H, m, H2), 5.31(1H, dq, J=17.2 & 1.6, H3a), 5.17(1H, dq, J=10.4 & 1.6, H3b), 4.95(1H, d, J=11.8, Ar-CH 2 ), 4.94(1H, d, J=10.8, Ar-CH 2 ), 4.80(1H, d, J=11.6, Ar-CH 2 ), 4.77(1H, d, J=10.8, Ar-CH 2 ), 4.73(1H, d, J=11.6, Ar-CH 2 ), 4.65(1H, d, J=11.8, Ar-CH 2 ), 4.41(1H, d, J=7.6, H1'), 4.40(1H, ddt, J=12.8 & 5.2 & 1.6 H1a), 4.13(1H, ddt, J=12.8 & 6.0 & 1.6, H1b), 3.86(1H, dd, J=9.6 & 7.6, H2'), 3.77(1H, app d, J=2.4, H4'), 3.76(1H, dd, J=11.2 & 7.2, H6'a), 3.44(1H, dd, J=9.6 & 2.8, H3'), 3.49(1H, dd, J=11.2 & 5.6, H6'b), 3.36(1H, app t, J=6.2, H5')
Figure 112004000562854-pct00008
반응f ; 2,3,4-트리-0-벤질-1-0-(2-프로페닐)-6-0-(4-트릴술포닐)-β-D-갈락토오스 (vii)
화합물(vi) 21.6g(44.0mmol)을 건조 피리딘 200mL에 용해하고, DMAP 538mg(4.40mmol), p-톨루엔 술포닐 클로라이드 12.6g(66.1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그 후 냉수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쳐 1.0N 및 0.1N 염산으로 pH4까지 중화하여 포화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산:초산에틸=6:1 → 3:1)로 정제하여, 유상물질을 얻었다.
수량 27.5g(42.6mmol), 수율 96.8%, [α]D=+3.08°(c 1.17 CHCl3)
1H NMR(400MHz CDCl3+TMS, δ);7.37∼7.27(2H, d, J=8.3, Ts-SO2측의 H), 7.37∼7.26(15H, m, Ar), 7.20∼7.18(2H, m, Ts-CH3측의 H), 5.90(1H, m, H2), 5.30(1H, dq, J=17.2 & 1.5, H3a), 5.17(1H, dq, J=10.4 & 1.3, H3b), 4.91(1H, d, J=11.4, Ar-CH 2 ), 4.90(1H, d, J=10.8, Ar-CH 2 ), 4.78(1H, d, J=11.8, Ar-CH 2 ), 4.73(1H, d, J=10.8, Ar-CH 2 ), 4.71(1H, d, J=11.8, Ar-CH 2 ), 4.48(1H, d, J=11.4, Ar-CH 2 ), 4.36(1H, d, J=7.7, H1'), 4.32(1H, ddt, J=13.0 & 5.1 & 1.4 H1a), 4.08(1H, dd, J=10.0 & 6.4, H6'a), 4.05(1H, ddt, J=13.0 & 6.0 & 1.2, H1b), 3.95(1H, dd, J=10.3 & 6.0, H6'b), 3.79(1H, app d, J=2.4, H4'), 3.79(1H, dd, J=9.6 & 7.8, H2'), 3.59(1H, app t, J=6.4, H5'), 3.49(1H, Hdd, J=9.7 & 2.9, H3'), 2.42(3H, s, Me)
Figure 112004000562854-pct00009
반응g ; 2,3,4-트리-0-벤질-1-0-(2-프로페닐)-6-디옥시-6-아세틸티오-β-D-갈락토오스 (viii)
화합물(vii) 27.5g(42.6mmol)을 건조 DMF 200mL에 용해하고, 티오초산칼륨 7.32g(64.1mmol)을 첨가하고, 80℃에서 교반하면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냉수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포화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얻어진 결정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백색 결정상물질을 얻었다.
수량 16.4g(29.9mmol), 수율 70.2%, 융점 : 74∼76℃, [α]D=-2.84°(c 2.48 CHCl3)
1H NMR(400MHz CDCl3+TMS, δ);7.37∼7.25(15H, m, Ar), 5.95(1H, m, H2), 5.33(1H, dq, J=17.4 & 1.6, H3a), 5.19(1H, dq, J=10.4 & 1.6, H3b), 5.01(1H, d, J=11.6, Ar-CH 2 ), 4.94(1H, d, J=11.2, Ar-CH 2 ), 4.80(1H, d, J=11.8, Ar-CH 2 ), 4.75(1H, d, J=11.2, Ar-CH 2 ), 4.74(1H, d, J=11.8, Ar-CH 2 ), 4.65(1H, d, J=11.6, Ar-CH 2 ), 4.42(1H, ddt, J=13.2 & 5.2 & 1.6 H1a), 4.36(1H, d, J=7.6, H1'), 4.13(1H, ddt, J=13.2 & 6.0 & 1.6, H1b), 3.82(1H, dd, J=9.6 & 7.6, H2'), 3.81(1H, app d, J=2.8, H4'), 3.50(1H, dd, J=9.6 & 2.9, H3'), 3.33(1H, app t, J=6.8, H5'), 3.13(1H, dd, J=13.8 & 7.8, H6'a), 3.01(1H, dd, J=13.8 & 5.6, H6'b), 2.31(3H, s, Me)
Figure 112004000562854-pct00010
반응h ; 3-0-(2,3,4-트리-0-벤질-6-디옥시-6-아세틸티오-β-D-갈락토피라노실)-글리세롤 (ix)
화합물(viii) 6.50g(11.8mmol)을 t-부틸알콜:물=4:1용액 150mL에 용해하고, 트리메틸아민 N-옥시드 이수화물 2.90g(26.1mmol), 0.04M 사산화 오스뮴-t-부틸알콜용액 15.0m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이틀밤 교반하였다. 그 후, 활성탄을 가하여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고 세라이트를 이용하여 흡인 여과하였다. 냉수를 가하여 초산에틸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합쳐 포화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결정을 클로로포름과 헥산을 이용하여 재결 정하여 백색 결정상물질을 얻었다.
수량 4.73g(8.12mmol), 수율 68.8%, 융점 : 108∼110℃, [α]D=+8.02° (c 1.74 CHCl3)
1H NMR(400MHz CDCl3+TMS, δ);7.37∼7.25(15H, m, Ar), 5.03∼4.63(6H, m, Ar-CH 2 ), 4.33(1H, m, H1'), 3.90∼3.50(9H, m, H1a, b & H2 & H3a, b & H2' & H3' & H4'), 3.37(1H, m, H5'), 3.10(1H, m, H6'a), 2.98(1H, m6, H6'b), 2.31(3H, app s, Me)
Figure 112004000562854-pct00011
반응i ; 3-0-(2,3,4-트리-0-벤질-6-디옥시-6-아세틸티오-β-D-갈락토피라노실)-1,2-디-0-스테아로일-글리세롤 (x-1)
3-0-(2,3,4-트리-0-벤질-6-디옥시-6-아세틸티오-β-D-갈락토피라노실)-1-0-스테아로일-글리세롤 (x-2)
화합물(ix) 1.00g(1.72mmol)을 건조 디클로로메탄 50mL에 용해하고, 1-에틸-3-(3-디메틸 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EDCI) 560mg(2.92mmol), DMAP 336mg(2.75mmol), 스테아린산 733mg(2.58mmol)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디클로로메탄 50mL를 가하여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후, 여과,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헥산:초산에틸=7:1→3:1)로 디에스테르, 모노에스테르를 순서로 용출시켜 정제하여, 백색 비결정상 고형물질의 디에스테르(수량 798mg 715μmol)과 모노에스테르(수량 784mg 923μmol)을 얻었다(수율 95.2%).
디에스테르(x-1) 융점;49∼53℃, [α]D=+2.70° (c 1.63 CHCl3)
1H NMR(400MHz CDCl3+TMS, δ);7.37∼7.25(15H, m, Ar), 5.26(1H, m, H2), 5.02∼4.62(6H, m, Ar-CH 2 ), 4.42∼4.11(3H, m, H1a, b & H1'), 4.07∼4.01(1H, m, H3a), 3.80∼3.76(2H, m, H2' & H4'), 3.70∼3.63(1H, m, H3b), 3.49(1H, app dd, J=9.7 & 2.6, H3'), 3.32(1H, app t, J=6.0, H5'), 3.14∼3.05(1H, m, H6'a), 3.00∼2.94(1H, m, H6'b), 2.31∼2.22(7H, m, SAc & COCH 2 ), 1.60∼1.57(4H, m, COCH2CH 2 ), 1.25(56H, br, -CH 2 -), 0.88(6H, br t, J=6.6, Me)
모노에스테르(x-2) 융점;46∼49℃, [α]D=+4.12° (c 1.69 CHCl3)
1H NMR(400MHz CDCl3+TMS, δ);7.35∼7.25(15H, m, Ar), 5.03∼4.63(6H, m, Ar-CH 2 ), 4.32(1H, br d, J=7.7, H1'), 4.19∼3.69(7H, m, H1a, b & H2 & H3a, b & H2' & H4'), 3.52(1H, app dd, J=9.7 & 2.6, H3'), 3.37(1H, app t, J=6.4, H5'), 3.13∼3.07(1H, m, H6'a), 3.01∼2.91(1H, m, H6'b), 2.35∼2.27(5H, m, SAc & COCH 2 ), 1.64∼1.59(2H, m, COCH2CH 2 ), 1.25(28H, br, -CH 2 -), 0.88(3H, br t, J=6.6, Me)
Figure 112004000562854-pct00012
반응j-1 ; 3-0-(2,3,4-트리-0-벤질-6-디옥시-6-술포-β-D-갈락토피라노실)-1,2-디-0-스테아로일-글리세롤·나트륨염 (xi-1)
화합물(x-1) 500mg(448μmol)을 초산 20mL에 용해하고, 초산칼륨 500mg, OXONE(2KHSO5, KHSO4, K2SO4) 826m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그 후 냉수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쳐 수산화나트륨용액 및 포화탄산나트륨용액으로 중화하고, 또한 포화식염수로 세정하여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여과,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100:0→10:1)로 정제하여 백색 비결정상 고형물질을 얻었다.
수량 452mg(395μmol), 수율 88.2%, 융점 : 49∼53℃, [α]D=+2.70° (c 1.63 CHCl3)
1H NMR(400MHz CDCl3+TMS, δ);7.23(15H, br, Ar), 5.27(1H, br, H2, 4.84∼3.30(17H, br m, Ar-CH 2 & H1a, b & H3a, b & H1' & H2' & H3' & H4' & H5' & H6'a, b), 2.14(4H, br, COCH 2 ), 1.46(4H, br, COCH2CH 2 ), 1.25(56H, br, -CH 2 -), 0.88(6H, br t, J=6.2, Me)
반응j-2; 3-0-(2,3,4-트리-0-벤질-6-디옥시-6-술포-β-D-갈락토피라노실)-1-0-스테아로일-글리세롤·나트륨염 (xi-2)
화합물(x-2) 500mg(589μmol)을 초산 20mL에 용해하고, 초산칼륨 500mg, OXONE 1.09g(1.77mmol)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그 후 냉수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쳐 수산화나트륨용액 및 포화탄산나트륨용액으로 중화하고, 또한 포화식염수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100:0→10:1)로 정제하여 백색 비결정상 고형물질을 얻었다.
수량 187mg (207μmol), 수율 35.1%, 융점 : 46∼49℃, [α]D=+4.12° (c 1.69 CHCl3)
1H NMR(400MHz CDCl3+TMS, δ);7.23(15H, br, Ar), 4.82∼3.30(18H, br m, Ar-CH 2 & H1a, b & H2 & H3a, b & H1' & H2' & H3' & H4' & H5' & H6'a, b), 2.11(2H, br, COCH 2 ), 1.44(2H, br, COCH2CH 2 ), 1.25(28H, br, -CH 2 -), 0.88(3H, br t, J=6.2, Me)
Figure 112004000562854-pct00013
반응k-1; 3-0-(6-디옥시-6-술포-β-D-갈락토피라노실)-1,2-디-스테아로일-글리세롤·나트륨염 (xii-1)
화합물(xi-1) 452mg(395μmol)을 에탄올 50mL에 용해하여 10% 파라듐-활성탄(Pd-C) 1.00g을 첨가하고, 플라스크 내를 수소로 치환하여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그 후, 세라이트를 이용하여 흡인여과지, 감압 농축 후,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10:1→클로로포름메탄올:물=65:25:4)로 정제하여 백색 비결정상 고형물질을 얻었다.
수량 210mg (240μmol), 수율 53.8%, 융점 및 비선광도는 미측정
1H NMR(400MHz CDCl3+CD3OD+D2O+TMS δ);5.27(1H, m, H2), 4.45∼4.10(4H, m, H1a, b & H1' & H3'a) 4.02∼3.94(2H, m, H2' & H4'), 3.74∼3.68(1H, m, H3b), 3.64∼3.61(1H, m, H3'), 3.55∼3.49(1H, m, H5'), 3.45∼3.38(1H, m, H6'a), 3.18∼3.14(1H, m, H6'b), 2.36∼2.29(4H, m, COCH 2 ), 1.60(4H, br, COCH2 CH 2 ), 1.25(56H, br, -CH 2 -), 0.89(6H, br t, J=6.6, Me)
반응k-2; 3-0-(6-디옥시-6-술포-β-D-갈락토피라노실)-1-0-스테아로일-글리 세롤·나트륨염 (xii-2)
화합물(xi-2) 187mg(213μmol)을 에탄올 30mL에 용해하여 10% Pd-C 500mg을 첨가하고, 플라스크 내를 수소로 치환하여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그 후, 세라이트를 이용하여 흡인여과지, 감압 농축 후, 실리카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10:1→클로로포름 메탄올:물=65:25:4)로 정제하여 백색 비결정상 고형물질을 얻었다.
수량 32.0mg (52.7μmol), 수율 24.7%, 융점 및 비선광도는 미측정
1H NMR(400MHz CDCl3+CD3OD+D2O+TMS δ);4.30∼3.54(10H, m, H1a, b & H2 & H3a, b & H1' & H2' & H3' & H4' & H5') 3.30∼3.15(1H, m, H6'a, b), 2.36∼2.29(2H, br t, J=7.6, COCH 2 ), 1.60(2H, br t, J=7.1, COCH2 CH 2 ), 1.30(28H, br, -CH 2 -), 0.89(3H, br t, J=6.7, Me)
Figure 112004000562854-pct00014
<측정 1>
혼합 림프구 반응
자극세포, 반응세포가 되는 림프구를 각각 다른 건강한 사람에게서 채취한 혈액으로 제조하였다.
림프구 중 반응세포가 되는 것은 더욱 선별을 하여 T림프구로만 하였다.
반응세포는 무처리, 자극세포는 증식을 정지시키기 위해 106/mL의 세포에 대하여 10㎍/mL의 마이트마이신C으로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96구멍 플레이트에 반응세포를 105개/웰씩 파종하여, 피험물질(이하의 표1에 나타나는 화합물 No. 1∼No. 12)을 소정 농도의 수용액으로서 첨가하여, 37℃에서 한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자극세포를 105개/웰씩 첨가하여, CO2 인큐베이터에서 37℃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그 배양 후, 반응세포의 증식능을 정량시키기 위해서, [3H]-티미딘을 1μCi/웰씩 첨가하여, 16시간 배양하여 세포핵내로 거두어들였다. 세포가 거두어들인 [3H]-티미딘의 양을 신틸레이션카운터로 계측하였다.
Figure 112004000562854-pct00015
얻어진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다. 양 도면 모두 세로축은 방사능의 세기를 나타낸다.
도 1은, 각 농도(2.5㎍/mL, 5㎍/mL, 10㎍/mL, 25㎍/mL)의 상기 화합물 No.1∼No.6을 첨가했을 때의 세포로의 [3H]-티미딘의 취입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는, 대조 시료인 [3H]-티미딘의 취입량도 같이 나타내었다. [3H]-티미딘의 핵 내 취입량이 낮을수록 면역 억제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각 농도(5㎍/mL, 10㎍/mL, 25㎍/mL)의 상기 화합물 No.7∼No.12를 첨가했을 때의 세포로의 [3H]-티미딘의 취입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에는, 대조 시료인 [3H]-티미딘의 취입량도 같이 나타내었다. [3H]-티미딘의 핵 내 취입량이 낮을수록 면역 억제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험한 화합물은 모두 유의한 면역 억제활성을 가진다. 특히, 화학식 1에 있어서 R102가 수소원자인 술포푸코실 모노아실글리세롤의 면역 억제활성이, 술포푸코실 디아실글리세롤의 그것보다도 높은 경향에 있었다. 또한, 화합물 No.12(β-SFDG18:0)는, 이 측정방법으로는 유의한 면역 억제능이 인정되지 않았다.
시판하는 면역 억제제 중, 피부이식시험에서 거부반응 방지에 효과를 보이는 것은 FK506 등 소수가 알려져 있는데, 저독성으로 효과가 높은 면역 억제제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Claims (5)

  1. 다음의 화학식 1 :
    (화학식 1)
    Figure 112006004915368-pct00024
    (식 중, R101은 RCO-(식 중, R은 탄소 수 13∼25의 포화알킬기이다.)에 의해 표시되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내며, R102는 수소원자 또는 RCO-(식 중, R은 탄소 수 13∼25의 포화알킬기이다.)에 의해 표시되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에 의해 나타나는 화합물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면역 억제제.
  2. 다음의 화학식 2 :
    (화학식 2)
    Figure 112006004915368-pct00025
    (식 중, R101은 RCO-(식 중, R은 탄소 수 13∼25의 포화알킬기이다.)에 의해 표시되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내며, R102는 수소원자 또는 RCO-(식 중, R은 탄소 수 13∼25의 포화알킬기이다.)에 의해 표시되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에 의해 나타나는 화합물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면역 억제제.
  3. 다음의 화학식 3 :
    (화학식 3)
    Figure 112006004915368-pct00026
    (식 중, R101은 RCO-(식 중, R은 탄소 수 13∼25의 포화알킬기이다.)에 의해 표시되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내며, R102는 수소원자 또는 RCO-(식 중, R은 탄소 수 13∼25의 포화알킬기이다.)에 의해 표시되는 고급 지방산의 아실잔기를 나타낸다.)에 의해 나타나는 화합물 및 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면역 억제제.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01이 RCO-(식 중, R은 탄소수 13∼25의 포화알킬기이다.)이며, R102 가 수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억제제.
KR1020047000227A 2001-07-09 2001-07-09 신규 면역 억제제 Expired - Fee Related KR100625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5942 WO2003006028A1 (fr) 2001-07-09 2001-07-09 Nouveaux immunosuppresseu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431A KR20040018431A (ko) 2004-03-03
KR100625690B1 true KR100625690B1 (ko) 2006-09-20

Family

ID=1173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2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5690B1 (ko) 2001-07-09 2001-07-09 신규 면역 억제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19316B2 (ko)
EP (1) EP1405640B1 (ko)
JP (1) JP5014563B2 (ko)
KR (1) KR100625690B1 (ko)
AT (1) ATE426406T1 (ko)
AU (1) AU2001269486B2 (ko)
CA (1) CA2452530C (ko)
DE (1) DE60138142D1 (ko)
WO (1) WO20030060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0996A (en) 1979-03-30 1980-10-11 Rikagaku Kenkyusho Novel maltose derivative and its preparation
JPS6040159A (ja) 1983-08-15 1985-03-02 Nissan Motor Co Ltd 強化形防錆ワツクス
JPH0698392B2 (ja) 1989-07-03 1994-12-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イル状鋼材搬送用天井クレーンの制御装置
JP2872694B2 (ja) 1989-07-19 1999-03-17 エーザイ株式会社 血管内血液凝固症候群の治療剤
JPH0366603A (ja) 1989-08-04 1991-03-22 Mikio Nakanishi 界面活性剤を用いる赤潮プランクトンの駆除方法
ES2064748T3 (es) 1989-08-15 1995-02-01 Us Health Composiciones antiviricas conteniendo derivados del sulfoquinovosil glicerol y analogos del mismo y su uso.
JPH03246203A (ja) 1990-02-20 1991-11-01 Mikio Nakanishi 赤潮プランクトンの駆除方法
US5695752A (en) * 1992-09-11 1997-12-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reating inflammation via the administration of specific sulfatase enzymes and/or sulfation inhibitor
AU1255695A (en) * 1993-11-19 1995-06-0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e Sulfated ligands for l-selectin and methods of preventing sulfate addition
US5783693A (en) * 1993-11-19 1998-07-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for synthesizing sulfated disaccharide inhibitors of selectins
JPH07149786A (ja) 1993-11-26 1995-06-13 Sagami Chem Res Center グリセロ糖脂質及び発癌プロモーター阻害剤
JPH07242691A (ja) 1994-01-17 1995-09-19 Sankyo Co Ltd 1位にカルボキシメチレン基を有する4−ホスホノグルコサミン類
JPH09268198A (ja) 1996-04-02 1997-10-14 Sanei Touka Kk DNAポリメラーゼα阻害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SE9601677D0 (sv) 1996-05-02 1996-05-02 Scotia Lipidteknik Ab New use
JP4454051B2 (ja) * 1997-01-24 2010-04-21 東洋水産株式会社 新規な糖脂質、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3851461B2 (ja) * 1998-09-04 2006-11-29 東洋水産株式会社 ピラノシ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764246B2 (en) * 1999-02-26 2003-08-14 Toyo Suisan Kaisha, Ltd. Medicament containing a sulfopyranosylacylglycerol derivative
US6518410B2 (en) * 1999-02-26 2003-02-11 Toyo Suisan Kaisha, Ltd. Sulfoquinovosylacylglycerol derivative, and use thereof as medicaments
DE60003794T2 (de) * 1999-02-26 2004-06-17 Toyo Suisan Kaisha, Ltd. Sulforhamnosylacylglycerin-derivate und ihre verwendung als medikamente
WO2000052021A1 (fr) * 1999-02-26 2000-09-08 Toyo Suisan Kaisha, Ltd. Nouveaux derives du sulfofucosylacylglycerol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DK1172108T3 (da) 1999-03-11 2005-02-07 Toyo Suisan Kaisha Anvendelse af sulfoquinovosyldiacylglycerolderivater som immunsuppressive mid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431A (ko) 2004-03-03
US6919316B2 (en) 2005-07-19
EP1405640A1 (en) 2004-04-07
JP5014563B2 (ja) 2012-08-29
EP1405640B1 (en) 2009-03-25
EP1405640A4 (en) 2006-08-09
ATE426406T1 (de) 2009-04-15
CA2452530A1 (en) 2003-01-23
CA2452530C (en) 2008-11-18
WO2003006028A1 (fr) 2003-01-23
AU2001269486B2 (en) 2005-02-17
US20040142881A1 (en) 2004-07-22
JPWO2003006028A1 (ja) 2004-10-28
DE60138142D1 (de)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2703A1 (en) Method for treating cancer
KR100473935B1 (ko) 신규 면역 억제제
US6518410B2 (en) Sulfoquinovosylacylglycerol derivative, and use thereof as medicaments
KR100625690B1 (ko) 신규 면역 억제제
JP3740017B2 (ja) 新規なスルホラムノシルアシルグリセロ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医薬としての用途
JP3740018B2 (ja) 新規なスルホフコシルアシルグリセロール誘導体およびその医薬としての用途
WO2003044033A1 (fr) Nouveaux immunosuppresseu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