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417B1 - Ground bait forming tool - Google Patents
Ground bait forming to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5417B1 KR100625417B1 KR1020050052530A KR20050052530A KR100625417B1 KR 100625417 B1 KR100625417 B1 KR 100625417B1 KR 1020050052530 A KR1020050052530 A KR 1020050052530A KR 20050052530 A KR20050052530 A KR 20050052530A KR 100625417 B1 KR100625417 B1 KR 1006254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substrate
- molding tool
- cup
- underc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0
- 241000276420 Lophius piscatori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VQBLGZPHOPPFO-LBPRGKRZSA-N (S)-metolachlor Chemical compound CCC1=CC=CC(C)=C1N([C@@H](C)COC)C(=O)CCl WVQBLGZPHOPPF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16 vomi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2—Devices for laying ground-bait, e.g. chum dispensers, e.g. also for throwing ground-bai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과제] 낚시꾼이 용이하게 원투(遠投)할 수 있는 밑밥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성형하는 밑밥 성형구(成形具)의 제공.[Problem] Providing a rice paddle molding tool that can easily and surely shape the rice that can be easily thrown by an angler.
[해결 수단] 이 밑밥 성형구(10)는 본체(11)와 안내판(12)을 구비한다. 본체(11) 및 안내판(12)은 모두 수지에 의하여 구성된다. 본체(11) 및 안내판(12)은 단면이 대략 C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내판(12)이 본체(11)의 내부에 끼워 넣어져 있다. 본체(11)는 기판(13)을 구비하고, 안내판(12)은 기판(16)을 구비한다. 양 기판(13, 16)은 본체(11)의 내부에서 대향되어 있다. 기판(16)은 기판(13)에 대해서 경사하고 있고, 하방을 향하여 기판(13)과 기판(16)의 간극이 점차 작아지고 있다. 기판(16)에는 노치(notch)부(19)가 설치되어 있다. 노치부(19)는 대략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Remedy] The undercut molding tool 10 includes a main body 11 and a guide plate 12. Both the main body 11 and the guide plate 12 are made of resin. The main body 11 and the guide plate 12 are formed in substantially C-shaped cross sections, and the guide plate 12 is fitted inside the main body 11. The main body 11 includes a substrate 13, and the guide plate 12 includes a substrate 16. Both substrates 13 and 16 oppose inside the main body 11. The board | substrate 16 inclines with respect to the board | substrate 13, and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board | substrate 13 and the board | substrate 16 is gradually becoming downward. The notch part 19 is provided in the board | substrate 16. FIG. The notch part 19 is formed in substantially U shape.
밑밥 성형구, 본체, 안내판, 기판, 노치부 Bottom mold, body, guide plate, board, notch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lay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derlay molding sp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종단면도이다.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derlay mold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의 IV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4 is a view seen from IV direction in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lay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lay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cut molding to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측면도이다.Fig. 8 is a side view of the undercut molding to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undercut molding tool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밑밥 성형구 11: 본체10: bottom mold 11: body
12: 안내판 13: 기판12: guide plate 13: substrate
16: 기판 19: 노치부16: Substrate 19: Notch
22: 주걱 23: 컵22: spatula 23: cup
25: 밑밥 성형구 30: 밑밥 성형구25: undercut molding 30: undercut molding
40: 밑밥 성형구 53: 전면부40: bottom mold 53: front
54: 배면부 60: 밑밥 성형구54: back portion 60: bottom mold
본 발명은 밑밥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for shaping a base into a predetermined shape.
찌 낚시에서는 일반적으로 밑밥이 사용된다. 낚시꾼은 밑밥용의 버킷(bucket, 일반적으로 「바칸(bakkan)」이라고 칭해진다.)에 미리 소요량의 밑밥을 넣어 이것을 낚시터에 반입한다. 낚시꾼은 예를 들어, 밑밥용의 주걱을 사용하여 먹이를 뿌리지만, 이때 낚시꾼은 밑밥을 주걱의 컵으로 건져 올려, 이것을 소망하는 포인트에 투입한다. 낚시터의 상황에 따라서는 낚시꾼은 밑밥을 원투(遠投)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 경우, 낚시꾼은 밑밥을 건져 올린 컵을 바칸의 내벽면에 꽉 눌러 밑밥을 당해 컵 내에서 굳힌다. 이와 같이 밑밥이 컵 내에서 굳혀져 당해 컵의 형상으로 성형되면, 낚시꾼은 주걱을 조작하여 밑밥을 원투할 수 있다.Bobber fishing is commonly used in bobber fishing. An angler puts a required amount of rice in a bucket for a rice (a bucket, generally called a bakkan) in advance, and brings it to the fishing ground. The angler uses, for example, a spatula to sprinkle the food, but at this time the angler raises the base with a cup of spatula and puts it at the desired point.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fishing field, anglers may want to throw their rice. In that case, the angler presses the cup which raised the base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Bakan, and puts the base in the cup. In this way, when the base is hardened in the cup and molded into the shape of the cup, the angler can mantle the base by operating the spatula.
덧붙여, 밑밥을 굳혀 성형하는 도구에 관한 문헌은, 본원 출원 시점에서 출원인이 파악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re is no thing which the applicant grasps about the tool which hardens | cures a rice | brawl, and shape | molds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전술과 같이, 컵으로 건져 올려진 밑밥은 당해 컵이 바칸에 꽉 눌려지는 것에 의하여 성형되지만, 컵을 바칸에 꽉 누르는 작업은 낚시꾼에게 있어서 반드시 용이한 것이 아니고, 어느 정도의 숙련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밑밥이 확실히 성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던져진 밑밥이 공중에서 분해, 확산하여 낚시꾼이 소망하는 포인트에 밑밥이 투입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ndercut raised by the cup is formed by pressing the cup tightly on the vacant, but pressing the cup tightly on the vacant is not necessarily easy for an angler and requires some skill. In addition, when the undercut is not molded certainly, there is a fear that the undercut is disintegrated and diffused in the air, and the undercut may not be introduced at the point desired by the angler.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꾼이 용이하게 원투할 수 있도록 밑밥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성형하는 밑밥 성형구(成形具)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derlay molding tool for forming the underlay simply and surely so that the angler can easily vomit.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는 서로 점차 근접하는 한 쌍의 대향 벽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밑밥은 일반적으로 밑밥용 주걱의 컵으로 건져 올려진다. 낚시꾼이 이 컵을 한 쌍의 대향 벽면 간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컵은 상기 한 쌍의 대향 벽면에 의하여 사이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하여, 한 쪽의 대향 벽면이 컵의 개구부(開口部)에 상대적으로 압압(押壓)되고, 따라서 컵 내의 밑밥이 압압된다. 컵 내의 밑밥은 당해 컵의 형상으로 굳혀져 확실히 성형된다.(1)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ndercut mold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air of opposing wall surfaces gradually closer to each other. The undercut is usually raised with a cup of underlay. By the angler inserting the cup between the pair of opposing walls, the cup is sandwiched by the pair of opposing walls. Thereby, one opposing wall surface is pressed relatively to the opening part of a cup, and therefore the rice in a cup is pressed. The undercut in the cup is hardened into the shape of the cup and is reliably molded.
(2) 상기 한 쌍의 대향 벽면 중 어느 한 쪽은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당해 한 쪽의 대향 벽면은 상기 컵의 개구부를 확실히 폐색(閉塞)하도록 당해 컵으로 압압된다. 따라서 상기 컵 내의 밑밥은 균등하게 압압되어 당해 컵의 형상으로 확실히 굳혀진다.(2) It is preferable that either one of said pair of opposing wall surfaces is planar. In this structure, the said opposing wall surface is pressed by the said cup so that the opening part of the said cup may be surely closed. Thus, the undercut in the cup is pressed evenly and firmly in the shape of the cup.
(3) 상기 한 쌍의 대향 벽면 중 어느 한 쪽은, 다른 쪽의 대향 벽면과의 간격이 넓은 측으로부터 좁은 측으로 연장되는 노치(notch)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노치부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컵은 상기 한 쌍의 대향 벽면 간에 간단하게 삽입된다.(3) One of the pair of opposing wall surfaces may be provided with a notch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 having a larger distance to the other opposing wall surface to the narrower side. By installing this notch, the cup is simply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opposing wall surfaces.
(4) 상기 한 쌍의 대향 벽면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밑밥은 소정의 탄성력으로 압압되게 되어, 상기 컵의 형상에 의하여 확실히 굳혀진다.(4)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opposing wall surfaces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s a result, the base is pressed by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firmly solidified by the shape of the cup.
<실시예><Example>
이하, 적당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ppropriate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사시도이다. 이 밑밥 성형구(1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밑밥용 주걱의 컵에 수용된 밑밥을 당해 컵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도구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ice ball forming too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밑밥 성형구(10)는 본체(11)와 안내판(12)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수지 또는 금속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전형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공중합체(ABS)로 이루어진다.The
본체(11)는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C형의 봉상(棒狀) 부재이다. 즉, 본체(11)는 기판(13)과 기판(13)에 설치된 측판(14, 15)을 구비하고 있다. 측판(14, 15)은 기판(13)의 양연부(兩緣部, 양 가장자리부)에 연장 설치되어 있고, 각 측판(14, 15)은 기판(13)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고 있다. 본체(11)의 높이 치수 H는 150mm ~ 300mm로 설정된다. 본체(11)의 폭치수 W는 30mm ~ 60mm로 설정된다. 본체(11)이 깊이 치수 D1는 30mm ~ 50mm로 설정된다. 본체(11)의 두께 치수는 0.8mm ~ 3.0mm로 설정된다.As shown in FIG. 1, the
안내판(12)은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C형의 봉상 부재이다. 즉, 안내판(12)은 기판(16)과 기판(16)에 설치된 측판(17, 18)을 구비하고 있다. 측판(17, 18)은 기판(16)의 양연부에 연장 설치되어 있고, 각 측판(17, 18)은 기판(16)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고 있다. 안내판(12)의 높이 치수는 상기 본체(11)의 높이 치수에 대응되어 있다. 안내판(12)의 폭 치수는 상기 본체(11)의 측판(14)과 측판(15) 간의 거리에 대응되어 있다. 안내판(12)의 깊이 치수 D2는 10mm ~ 30mm로 설정된다. 안내판(12)의 두께 치수는 0.8mm ~ 3.0mm로 설정된다.As shown in FIG. 1, the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판(12)은 본체(11)의 내측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때 본체(11)의 측판(14, 15)은 각각 안내판(12)의 측판(17, 18)과 고착되어 있다. 양자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하여 고착된다. 안내판(12)은 상기 기판(16)이 본체(11)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11)의 기판(13)과 안내판(12)의 기판(16)은 서로 대향하고, 이들은 한 쌍의 대향 벽면을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the
또한, 상기 안내판(12)의 기판(16)은 상기 본체(11)의 기판(13)에 대해서 경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내판(12)의 깊이 치수 D2는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있고, 이것에 의하여 당해 기판(16)이 상기 기판(1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경사하고 있다. 이 기판(16)이 경사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당해 기판(16)과 상기 기판(13)의 거리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한 쌍의 대향 벽면을 구성하는 기판 (13)과 기판(16)은 하방을 향하여 점차 접근하고 있다.The
나아가, 상기 기판(16)의 상방에 노치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19)는 상기 기판(16)이 노치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홈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19)는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노치부(19)의 폭 치수는 하방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 노치부(19)의 형상은 대략 U자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Furthermore, the
도 2는 상기 밑밥 성형구(10)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당해 밑밥 성형구(10)가 바칸(2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밑밥 성형구(10)는 상기 본체(11)의 기판(13)이 바칸(20)의 벽면(21)에 접촉하도록 당해 바칸(20)의 모서리부에 배치된다. 이 바칸(20)에는 밑밥이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밑밥 성형구(10)는 당해 밑밥의 내부에 찔린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도 4는 도 3의 IV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낚시꾼은 밑밥용의 주걱(22)으로 바칸(20) 내에 수용된 밑밥을 건져 올린다. 이때 주걱(22)의 컵(23)에 밑밥이 담긴다. 낚시꾼은 이 밑밥을 원투하고 싶을 때는,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컵(23)을 상기 밑밥 성형구(10)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밑밥 성형구(10)는 상기 기판(13) 및 상기 기판(16)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컵(23)은 이들 기판(13, 16)에 의하여 구성되는 한 쌍의 대향 벽면 간에 삽입되게 된다.The angler raises the rice housed in the
상기 기판(16)은 상기 기판(13)에 점차 근접하도록 경사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컵(23)이 하방으로 밀어 넣어지는 것에 의하여, 이 컵(23)이 양 기판(13, 16)에 의하여 사이에 끼워진다. 따라서 기판(13)이 상기 컵(23)의 개구부에 상대적으로 꽉 눌려지고 이 컵(23) 내의 밑밥은 당해 컵(23)의 형상으로 굳혀져 확실히 성형된다. 낚시꾼은 이 상태로 주걱(22)을 밑밥 성형구(10)로부터 뽑아내어, 당해 밑밥을 소망하는 포인트로 투입할 수 있다.Since the board |
특히, 상기 기판(13)의 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기판(13)은 상기 컵(23)의 개구부를 확실히 폐색하고, 이것에 의하여 당해 컵(23) 내의 밑밥은 확실하고 또한 균등하게 압압된다. 따라서 상기 컵 내의 밑밥은 균등하게 압압되어 당해 컵의 형상으로 확실히 굳혀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surface of the
나아가, 상기 기판(16)에 상기 노치부(1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밑밥을 주걱(22)으로 건져 올린 후에 당해 컵(23)을 노치부(19)에 관통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컵(23)을 간단하게 밑밥 성형구(1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하면, 만일 상기 노치부(19)가 없는 경우에는, 낚시꾼은 밑밥을 건져 올린 컵(23)을 일단 상방으로 들어 올려 밑밥 성형구(10)의 상방으로부터 삽입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에, 컵(23) 내의 밑밥이 넘쳐 흐를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치부(1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주걱(22)을 조작하여 상기 컵(23)을 가로로 이동시키면서 밑밥 성형구(10)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밑밥이 흘러 넘치는 일은 없다.Furthermore, since the sai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밑밥 성형구(10)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판(13) 및 상기 기판(16)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 컵(23)이 양 기판(13, 16) 사이에 밀어 넣어졌을 때에는, 양 기판(13, 16)이 탄성 변 형하여 컵(23) 내의 밑밥은 당해 탄성력에 의하여 압압된다. 따라서 컵(23) 내의 밑밥은 당해 컵(23)의 형상으로 한층 확실하고 또한 균등하게 굳혀진다는 이점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도 5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25)의 사시도이다. 이 밑밥 성형구(25)가 상기 밑밥 성형구(10)와 다른 점은, 상기 밑밥 성형구(10)에 설치되어 있던 상기 노치부(19, 도 1 참조)가 생략되어 있는 점이다. 덧붙여, 밑밥 성형구(25)의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밑밥 성형구(10)와 같다. 이 밑밥 성형구(25)는 상기 노치부(19)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밑밥 성형구(25)의 강성(剛性)이 높다. 따라서 낚시꾼은 주걱의 컵을 강하게 밑밥 성형구(25)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고, 그 결과, 수분이 적은 밑밥이어도 확실히 당해 컵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cut
도 6은 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30)의 사시도이다. 이 밑밥 성형구(30)가 상기 밑밥 성형구(10)와 다른 점은, 상기 밑밥 성형구(10)에서는 상기 기판(16)에 상기 노치부(19)가 설치되어 있던 것에 대해서, 이 밑밥 성형구(30)에서는 상기 기판(13)에 상기 노치부(19)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덧붙여, 밑밥 성형구(30)의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밑밥 성형구(10)와 같다. 이 밑밥 성형구(30)도 상기 밑밥 성형구(10)와 마찬가지로, 상기 기판(13, 16)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밑밥 성형구(10)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져온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dercut molding too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40)가 상기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10)와 다른 점은, 상기 밑밥 성형구(10)에서는 본체(11)와 안내판(12)이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이들이 접합되어 있던 것에 대해서 (도 1 참조),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40)에서는 본체(41)가 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및 밑밥 성형구(40)를 바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42)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The undercut
본체(41)는 단면이 구형(矩形)의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41)는 상연부(上緣部, 상 가장자리부)에 스테이(4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구(42)는 이 스테이(43)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 본체(41)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공중합체(ABS)로 이루어진다. 본체(41)의 전면부(53)와 배면부(54)는 대향 배치되어 있고, 이들은 한 쌍의 대향 벽면을 구성한다.The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부(53)는 배면부(5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경사하고 있고, 전면부(53)와 배면부(54)의 거리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고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대향 벽면을 구성하는 전면부(53)와 배면부(54)는 하방을 향하여 점차 접근하고 있다. 전면부(53)에는 노치부(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노치부(19)는 상기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10)에 설치된 노치부(19)와 같은 구성이다.As shown in FIG. 7, the
고정구(42)는 상기 스테이(43)에 연결되는 연결부(44)와 바칸에 장착되는 협 지부(45, 挾持部)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44) 및 협지부(45)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공중합체(ABS)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연결부(45)는 대향하는 2매의 연결판(46, 47)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연결판(46, 47)은 상기 스테이(43)의 표측(表側) 및 이측(裏側)에 배치된다. 스테이(43)와 연결판(46, 47)은 예를 들어, 스냅(48)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43)의 표측에 소켓이 고정되고, 연결판(46)에 스터드가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스테이(43)의 후측에도 소켓이 설치되고, 연결판(47)에도 스터드가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들 소켓과 스터드가 끼워 맞춰지는 것에 의하여 연결부(44)가 스테이(43)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43)에 소켓이 3개 설치되어 있다. 각 소켓은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테이(43)에 대한 연결부(44)의 장착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켓이 3개 설치되어 있지만, 더 다수의 소켓이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스테이(43) 측에 스터드가 설치되고, 연결판(46, 47) 측에 소켓이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The connecting
협지부(45)는 가늘고 긴 평판이 굴곡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향하는 2매의 협지판(49, 50)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협지판(49, 50)은 후술과 같이 바칸의 측벽을 사이에 끼워 붙인다.The clamping
도 8은 밑밥 성형구(40)의 측면도이고, 밑밥 성형구(40)가 바칸(20)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밑밥 형성구(40)의 본 체(41)는 고정구(42)를 통하여 바칸(20)의 측벽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낚시꾼이 고정구(42)의 협지부(45)를 바칸(20)의 상연(51)에 꽉 누르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협지판(49, 50)이 바칸(20)의 상연부를 협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본체(41)는 바칸(20)의 벽면(21)을 따라 배치된다.FIG. 8 is a side view of the
바칸(20)의 상연(51)은 협지부(45)의 내오부(內奧部, 내측의 깊숙한 부분)까지 상대적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바칸(20)의 상연(51)은 협지부(45)에 의하여 확실히 협지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이(43)에 대한 연결부(44)의 장착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본체(41)의 하단이 바칸(20) 내저면(52)으로부터 낚시꾼이 소망하는 거리 d만큼 떨어진다. 이 거리 d는 도 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걱(22)이 본체(41)에 밀어 넣어졌을 때에, 주걱(22)의 선단부(先端部)만이 돌출하도록 설정된다. 바꾸어 말하면, 주걱(22)이 본체(41)에 밀어 넣어져 컵(23)의 선단이 바칸(20) 내저면(52)에 접촉한 상태에서 컵(23)의 두께 치수가 최대치 A로 되는 부위(68)가 본체(41)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거리 d가 설정되어 있다. 바칸의 깊이 치수는 당해 바칸의 사양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연결부(44)의 장착 위치가 조정되는 것에 의하여, 바칸의 사양에 관계없이 본체(41)의 하단이 바칸(20) 내저면(52)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로 설정된다.The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40)는 상기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1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대향 벽면을 구성하는 전면부(53) 및 배면부(54)를 구비하고 전면부(53)에 노치부(19)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낚시꾼은 밑밥을 확실히 성형하여 굳힐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본체(41)가 바칸(20)에 고정 되는 것으로부터 낚시꾼은 밑밥 성형구(40)를 밑밥용 주걱의 홀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undercut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Next,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undercut molding tool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 밑밥 성형구(60)가 상기 밑밥 성형구(40)와 다른 점은, 본체(41) 및 고정구(42)의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41)에는 상기 스테이(43, 도 7 참조)가 설치되지 않은 점 및 고정구(42)는 본체(41)의 배면부(54)에 고착되어 있는 점이다. 덧붙여,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밑밥 성형구(40)와 같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undercut
고정구(42)는 상기 본체(41)의 배면부(54)에 장착되는 연결부(61)와 바칸에 장착되는 협지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61) 및 협지부(52)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공중합체(ABS)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구(42)는 본체(41)에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 경우, 고정구(42)가 본체(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고정구(42)와 본체(41)가 고정되지 않고, 후술과 같이 본체(41)가 고정구(42)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The
연결부(61)는 한 쌍의 다리부(63)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다리부(63)는 대향하는 2매의 연결판(64, 65)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연결판(64, 65)은 상기 배면부(54)의 표측 및 이측에 배치된다. 연결판(64)은 가늘고 긴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판(64)의 상단부는 연결판(65)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판(64)은 연결판 (65)을 따라 배치되며, 양자 간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41)의 배면부(54)는 이 간극에 관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판(65)은 상기 연결부(61)를 구성하는 부재 (협지판(66))를 겸하고 있다. 또한, 협지부(62)는 평판이 굴곡되는 것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대향하는 2매의 협지판(66, 67)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협지판(66, 67)은 상기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40)의 협지판(49, 50, 도 7 참조)과 마찬가지로 바칸의 측벽을 사이에 끼워 붙인다. 다만,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협지판(66, 67)은 상기 협지판(49, 50)보다도 폭 치수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협지판(66, 67)은 바칸의 측벽을 강력하게 협지하여 본체(41)를 바칸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The connecting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60)에서는, 상기 협지판(66, 67)이 바칸의 측벽을 협지하는 것에 의하여, 당해 밑밥 성형구(60)가 바칸에 대해서 고정된다. 게다가, 낚시꾼이 바칸의 측벽에 대한 상기 협지판(66, 67)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바칸에 대한 본체(41)의 위치가 무단계로 조정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도, 바칸의 사양에 관계없이 본체(41)의 하단이 바칸 내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위치로 설정된다.In the undercut
더하여, 상기 연결판(64, 65)과 상기 본체(41)의 배면부(54)가 고착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본체(41)의 배면부(54)는 상기 연결판(64, 65)에 의하여 협지된다. 이 연결판(64, 65) 간의 간극이 소정 치수로 설정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본체(41)는 상기 다리부(63)에 의하여 소정의 유지력으로 유지된다. 즉, 상기 본체(41)는 상기 다리부(6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칸에 대한 본체(41)의 위치가 조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협지부(62) 및 상기 다리부(63)의 쌍방에 의하여 바칸에 대한 본체(41)의 위치가 조정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덧붙여,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고정구(42)가 상기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밑밥 성형구(10)에도 같은 요령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의하면, 밑밥은 밑밥용 주걱의 컵 내에서 굳혀져 확실히 성형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꾼은 밑밥을 간단하게 원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hardened in the cup of the base spatula to be surely molded. By this, the angler can grapple the bottoms simply.
본 발명은 밑밥을 성형하는 밑밥 성형구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underlay molding tools for forming underlays.
Claims (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4182144A JP2006000081A (en) | 2004-06-21 | 2004-06-21 | Chum forming tool |
JPJP-P-2004-00182144 | 2004-06-2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49630A KR20060049630A (en) | 2006-05-19 |
KR100625417B1 true KR100625417B1 (en) | 2006-09-15 |
Family
ID=3571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525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5417B1 (en) | 2004-06-21 | 2005-06-17 | Ground bait forming tool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06000081A (en) |
KR (1) | KR100625417B1 (en) |
CN (1) | CN1711835B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22481U (en) * | 1992-05-25 | 1992-11-25 | 陈中新 | Fish bait 'baozhashi' former |
US5891489A (en) * | 1996-11-13 | 1999-04-06 | Rockwell; Kirk | Apparatus and method for molding fish bait on a fish hook |
CN2327184Y (en) * | 1998-03-27 | 1999-07-07 | 徐燕飞 | Mould for baits for expansive hooks |
CN2378935Y (en) * | 1999-07-16 | 2000-05-24 | 屈国强 | Apparatus for forming bait for angling |
CN2403236Y (en) * | 2000-01-07 | 2000-11-01 | 李学华 | Clamp for preparing bait |
-
2004
- 2004-06-21 JP JP2004182144A patent/JP2006000081A/en active Pending
-
2005
- 2005-06-17 KR KR1020050052530A patent/KR1006254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6-20 CN CN2005100773212A patent/CN1711835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6000081A (en) | 2006-01-05 |
CN1711835A (en) | 2005-12-28 |
CN1711835B (en) | 2010-05-05 |
KR20060049630A (en) | 2006-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14594B1 (en) | Buckle | |
JPH0350630Y2 (en) | ||
JP5031904B2 (en) | Fixing tool for fixing the mounting member to the support member, and fixing device including the fixing tool | |
EP3152448B1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profiled-section elements | |
JP2004529493A5 (en) | ||
KR100625417B1 (en) | Ground bait forming tool | |
CN106493762B (en) | Slicing device | |
KR102043465B1 (en) | Structure for installing bidet | |
EP4501165A1 (en) | Invisible zipper slider with puller capable of being suspended at any angle | |
US20060080925A1 (en) | Skirting board | |
CN208605443U (en) | Clip assembly | |
KR0139484B1 (en) | Clip Attachment Sheet | |
CA2358911A1 (en) | Ski pole handle | |
JPH0530265Y2 (en) | ||
CN221454299U (en) | Pressing bar structure of die casting die | |
WO2022259580A1 (en) | Slide fastener ornament | |
JP2778934B2 (en) | Shelf support | |
CN110190487B (en) | Pin needle vertical placement protection device | |
EP2181956B1 (en) | Sliding element and telescopic device comprising such a sliding element | |
CN207238975U (en) | The outer location structure of stage die activity | |
CN209964479U (en) | Guide rail type electric box mounting mechanism | |
CN207611880U (en) | A kind of mounting structure | |
JP2001137007A (en) | Shoe buckle | |
JP2565217Y2 (en) | Container support structure | |
JP4318156B2 (en) | Semiconduct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