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5291B1 - 찜 조리용 가열기구 - Google Patents

찜 조리용 가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291B1
KR100625291B1 KR1020050007564A KR20050007564A KR100625291B1 KR 100625291 B1 KR100625291 B1 KR 100625291B1 KR 1020050007564 A KR1020050007564 A KR 1020050007564A KR 20050007564 A KR20050007564 A KR 20050007564A KR 100625291 B1 KR100625291 B1 KR 100625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container
steam
heating
stea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675A (ko
Inventor
최광선
Original Assignee
최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선 filed Critical 최광선
Priority to KR102005000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2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2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찜 조리용 가열기구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트여지는 내부용기(11)와;
이 내부용기(11)의 외부를 감싸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한 외부용기(12)와;
상기 내부용기(11) 및 외부용기(12)의 상부를 막혀지게 하는 받침턱(13)과;
상기 내부용기(11)내 수용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턱(13)과 내부용기(11)를 연결하는 연결관(30)이 설치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가열기구의 내부용기로 물, 육수, 각종국물 등을 공급하고 증기를 발생시켜 찜 요리를 하게 되면, 상기 증기가 덮개와 찜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다시 내부용기로 수용되게 하므로, 반복적으로 물을 보충하지 않게 된다.
또, 물을 보충하기 위해 덮개를 자주 여닫지 않게 되어, 뜨거운 증기가 찜용기에 놓여진 음식물 등을 균일하게 요리할 수 있어 음식물의 맛이 향상되게 된다.

Description

찜 조리용 가열기구{Heating Device for Steaming Cooking}
도 1은 본 발명인 찜 조리용 가열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찜 조리용 가열기구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찜 조리용 가열기구의 받침턱 형상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열기구 11 - 내부용기
12 - 외부용기 13 - 받침턱
14 - 수용홈부 20 - 가열수단
30 - 연결관 40 - 찜용기
50 - 덮개
본 발명은 찜 조리용 가열기구에 관한 것으로, 만두나 빵 또는 그 외의 증기 열을 이용해 음식물 등을 요리하는 기구에서, 증기에 의해 형성된 수분이 용기내로 공급되도록 하여 기기 외부가 더럽혀 지거나 전기 회로 등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찜 요리는 증열을 이용한 것으로서, 찜 요리를 위한 가열기구는 본체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찜용기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층식으로 내장하고, 이렇게 다적층된 각 찜용기에는 음식물을 놓은 상태에서 뜨거운 증기가 상기 찜용기를 통과하며, 내부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한 것이다.
증기로 가열하기 위한 액상의 물질은 예로써 물, 육수, 각종 국물 등을 넣어 사용하며, 일정한 온도로 가열 및 보온시키는 가열기구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형성시켜 내측에 중공부를 갖도록 하였으며, 몸체 하부에는 히터가 직접 액체에 닿지 않도록 중공부 내에 설치하여 히터의 과열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찜 조리용 가열기구는 음식물을 놓여지는 찜용기를 몸체상부에 얹어 가열수단에 의해 내부용기에 수용된 액체에서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만두 또는 호빵과 같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다.
가열기구에서 발생되는 증기가열 방식은 대체적으로 상향식으로서 즉, 본체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증열이 자연대류작용에 의해 상승되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에서 고온의 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가열기구내에 다층 설치되어 있는 각 찜용기로 증기가 통과된 후에는 덮개로 증기가 모여 물방울이 형성된 후 덮개와 찜용기의 내면을 따라 가열기구의 받침턱으로 흘러내린 후에 외부용기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어 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용기로 수분이 흘러내리면 가열기구의 청결함이 저해되거나, 전기 회로로 침투되는 회로를 훼손시키거나 심하게는 전기 합선과 같은 사고가 유발되기도 한다.
또, 내부용기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감소되어 가열수단이 과열돼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가열기구 내에 공급된 물이 증기가 되어 외부로 누출됨으로서, 내부용기 내의 수용된 유체가 감소되어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증기가 제대로 발생되지 못하였다.
또한, 내부용기 내의 감소된 유체를 보충하기 위해 덮개를 자주 여닫는 과정에서 뜨거운 증기가 바로 외부로 유출되고, 가열기구 내부의 온도를 감소시켜 찜용기에 놓여진 음식물이 균일하게 요리되지 못하여 음식물 맛을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에 수분이 모여 찜용기 내부를 따라 흘러내리는 수분이 다시 내부용기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받침턱과 내부용기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형성된 찜 조리용 가열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열기구의 받침턱으로 수분이 모여지도록 오목하게 수용홈부를 성형하여 물방울이 연결관을 통해 내부용기로 유입되는 것을 원활히 한 찜 조리용 가열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트여지는 내부용기(11)와;
이 내부용기(11)의 외부를 감싸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한 외부용기(12)와;
상기 내부용기(11)와 외부용기(12)의 상단부 사이를 막혀지게 연결하는 받침턱(13)과;
상기 내부용기(11)내 수용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20)과;
상기 받침턱(13)에 수분이 모여지도록 오목하게 성형되는 수용홈부(14)와;
이 수용홈부(14)에 모여진 수분을 내부용기로 재수집토록 수집수단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집수단은 받침턱(13)과 내부용기(11)를 연결하는 연결관(30)이 설치되어서 구성되어 달성된다.
삭제
따라서, 가열기구의 내부용기로 물, 육수, 각종국물 등의 유체를 수용 한 후 가열수단에 의해 증기가 발생되면, 상기 증기는 가열기구의 상부에 적층된 찜용기를 통과하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또, 상기 찜용기를 통과하여 상부에 위치된 덮개 저면으로 증기가 모여 수분이 형성되면, 상기 수분이 흘러 받침턱으로 이동되어, 연결관을 지나 내부용기로 복귀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내부용기로 유체를 보충하기 위해 덮개를 자주 여닫지 않게 되어, 뜨거운 증기가 찜용기에 놓여진 만두나 호빵과 같은 음식물 등을 균일하게 요리할 수 있어 음식물의 맛이 향상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찜 조리용 가열기구에 찜 용기가 적층되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찜 조리용 가열기구에 찜 용기가 적층되고 가열수단에 의해 내부용기에 수용된 유체를 가열시켜 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구성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찜 조리용 가열기구의 받침턱 형상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찜 조리용 가열기구(10)는 유체가 저장되는 내부용기(11)와, 내부용기(11)를 감싸 그 내측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하는 외부용기(12)로 이루어진다.
또, 내부용기(11)와 외부용기(12)의 상단부 사이를 막혀지도록 연결하는 받침턱(13)이 몸체 상부에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찜용기(40) 및 덮개(50)가 놓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열기구(10)의 몸체 하부로는 내부용기(11)와 외부용기(12)의 중공부로 가열수단(20)이 설치되어 내부용기(11)내 수용되는 유체를 가열하도록 하였다.
즉, 찜 조리용 가열기구(10)는 내부용기(11)와 외부용기(12)로 구성되며, 하부의 중공부에 가열수단(20)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가열수단(20)은 온도 조절기 (21)에 의해 내부용기(11)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가열수단(20)은 원판형의 몸체 내부로 열선이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있도록 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열수단을 이용한 것이며, 가열수단(20)이 내부용기(11)와 외부용기(12) 사이의 중공부에 위치되어 있어 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외부전원이 상기 열선을 발열시켜 원판형의 몸체가 가열되면 내부용기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온도가 상승된 유체에서 증기가 발생되어 가열기구(10)상부에 적층되어 설치된 찜용기(40)내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내부용기(11)내부로 일정량의 유체를 채운 후 가열기구(10)상부의 받침턱(13)으로 복수개의 찜용기(40)를 적층시킨 후에 내부용기(11)를 가열하면, 증기가 발생되며 찜용기(40)에 담겨진 만두, 떡과 같은 음식이 조리되는 것이다.
상기, 찜용기(40)는 만두나 떡과 같은 음식물이 수납되는 바닥판(41)에 증기가 통과하는 통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상부에는 손잡이겸 다른 찜용기(40)가 적층되기 위한 걸림턱(43)이 구비되어 있고, 하부로는 걸림턱(43)에 놓여지는 고정턱(44)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찜용기(40)의 하부 고정턱(44)으로 가열기구(10)의 받침턱(13)상부에 놓여지고, 다른 찜용기(40)를 그 상부에 적층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고정턱(44)에 걸림턱(43)이 쌓이는 과정에서 몸체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여 내부용기(11)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찜용기(40)의 틈새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용기(11)에서 가열된 증기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제일 상부에 위치된 찜용기(40) 상부로 놓여진 덮개(50)까지 상승이 가능하게 되며, 덮개(50) 내측에 모이는 증기는 점차 수분이 모여 물방울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덮개(50)는 투명한 재질을 이용해 제작함으로써, 내부의 찜용기(40)에 놓여진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인식하도록 하여 덮개(50)의 개폐를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 중앙부로는 덮개 손잡이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덮개(50) 내측면에 증기가 모여 형성된 물방울은 찜용기(40)의 통공(42)을 따라 바닥면으로 흘러 내려가고 제일 하부에 위치된 찜용기(40)는 받침턱(13)에 놓여져 있어 물방울이 받침턱(13)에 고이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턱(13)에 이동되는 물방울이 모여지도록 오목하게 수용홈부(14)를 성형하게 되면 덮개(50)와 찜용기(40)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는 물방울이 더욱 쉽게 받침턱(13)에 모여질 수 있으며,이 받침턱(13)에 수분이 모여질 수 있도록 오목하게 수용홈부(14)를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이 수용홈부(14)에 모여진 수분을 내부용기로 재수집토록 수집수단이 설치되는 데, 본 발명의 수집수단은 받침턱(13)과 내부용기(11)를 연결하는 연결관(30)이 설치되어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턱(13)에 모여진 수분은 내부용기(11)를 연결하는 연결관(30)을 따라 수분이 내부용기(11)내로 수집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30)은 일정간격을 갖고 수개가 받침턱(13)과 내부용기(11)의 내벽으로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용기(11)에 저장된 물이 증기가 되어 덮개(50)와 찜용기(40)를 따라 받침턱(13)으로 모이게 되면, 연결관(30)을 통해 다시 내부용기(11)로 수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결관(30)은, 받침턱(13)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찜용기(40)의 고정턱(44)이 연결관(30)을 막지 않도록 하였으며, 받침턱(13)에 오목한 수용홈부(14)를 성형하여 수분이 연결관(30)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가열기구(10)의 받침턱(13)외부로 물이 흐르는 것이 방지되어 가열기구(10)의 외면이 청결해지며, 외부로는 소량의 증기만이 배출되므로 내부용기(11)로 유체를 보충해주어야 하는 과정을 감소시켜,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물을 보충해주는 불편이 감소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가열기구의 내부용기로 물, 육수, 각종국물 등을 공급하고 증기를 발생시켜 찜 요리를 하게 되면, 상기 증기가 덮개와 찜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다시 내부용기로 수용되게 하므로, 반복적으로 물을 보충하지 않게 된다.
또, 물을 보충하기 위해 덮개를 자주 여닫지 않게 되어, 뜨거운 증기가 찜용기에 놓여진 음식물 등을 균일하게 요리할 수 있어 음식물의 맛이 향상되게 된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유체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트여지는 내부용기(11)와;
    이 내부용기(11)의 외부를 감싸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한 외부용기(12)와;
    상기 내부용기(11)와 외부용기(12)의 상단부 사이를 막혀지게 연결하는 받침턱(13)과;
    상기 내부용기(11)내 수용되는 유체를 가열하는 가열수단(20)과;
    상기 받침턱(13)에 수분이 모여지도록 오목하게 성형되는 수용홈부(14)와;
    이 수용홈부(14)에 모여진 수분을 내부용기로 재수집토록 수집수단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수집수단은 받침턱(13)과 내부용기(11)를 연결하는 연결관(30)이 설치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찜 조리용 가열기구.
  2. 삭제
KR1020050007564A 2005-01-27 2005-01-27 찜 조리용 가열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625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64A KR100625291B1 (ko) 2005-01-27 2005-01-27 찜 조리용 가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64A KR100625291B1 (ko) 2005-01-27 2005-01-27 찜 조리용 가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675A KR20060086675A (ko) 2006-08-01
KR100625291B1 true KR100625291B1 (ko) 2006-09-20

Family

ID=3717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5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5291B1 (ko) 2005-01-27 2005-01-27 찜 조리용 가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854B1 (ko) * 2007-05-21 2008-05-06 김병갑 구이물에 수분이 공급되게 하는 오븐용 구이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267Y1 (ko) * 1991-11-19 1994-01-19 조석구 찜통
KR200170864Y1 (ko) 1999-09-20 2000-03-15 윤광영 찜통기
JP2001269268A (ja) 2000-03-23 2001-10-0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蒸し器
KR200238469Y1 (ko) 2001-04-10 2001-10-11 주식회사 에너세이브 찜통기
KR200260864Y1 (ko) 2001-10-26 2002-01-17 주식회사 신성사 전기 찜기의 물방울 낙하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267Y1 (ko) * 1991-11-19 1994-01-19 조석구 찜통
KR200170864Y1 (ko) 1999-09-20 2000-03-15 윤광영 찜통기
JP2001269268A (ja) 2000-03-23 2001-10-02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蒸し器
KR200238469Y1 (ko) 2001-04-10 2001-10-11 주식회사 에너세이브 찜통기
KR200260864Y1 (ko) 2001-10-26 2002-01-17 주식회사 신성사 전기 찜기의 물방울 낙하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675A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7130B1 (en) Vapor cooker
RU26243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рки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на пару
JP5831520B2 (ja) 炊飯器
KR102381053B1 (ko) 에어프라이어
US5586487A (en) Pasta percolator
CN112075839B (zh) 用于烹饪蛋和其它食物的器具和方法
EP1658794B1 (en) Steam cooker
JP3244471B2 (ja) 電気鍋
KR20040055591A (ko) 튀김 음식물의 열을 유지 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전기튀김기
KR20200123629A (ko) 당질 저감 밥솥
KR100625291B1 (ko) 찜 조리용 가열기구
CA2530825C (en) Combined food cooker and steamer
KR102309098B1 (ko) 하이라이트를 이용한 일인용 전기 조리장치
JP2004329488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040071024A (ko) 그릴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200447943Y1 (ko) 젖병 소독기능을 가지는 찜통
EP3736502A1 (en) Cooking hob integrated with steam system
JP4877357B2 (ja) 炊飯器用蒸し板
JP3678214B2 (ja) 電気調理器
KR102372427B1 (ko) 일회용 컵설기
JP5304267B2 (ja) 加熱調理器
KR200238469Y1 (ko) 찜통기
KR102491819B1 (ko) 열선부의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에어 프라이어
JP4429959B2 (ja) 炊飯器用蒸し板
EP4388944A1 (en) Water heating and sanitizing devices for countertop installation and countertop arrangement for use in a kitc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0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052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2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