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3355B1 -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355B1
KR100623355B1 KR1020040106181A KR20040106181A KR100623355B1 KR 100623355 B1 KR100623355 B1 KR 100623355B1 KR 1020040106181 A KR1020040106181 A KR 1020040106181A KR 20040106181 A KR20040106181 A KR 20040106181A KR 100623355 B1 KR100623355 B1 KR 10062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ubstrate
reg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seal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411A (ko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35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은 실란트가 분배되는 영역(기판의 캡 부착 영역에 부착되는 영역)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실란트 분배 영역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기 때문에 비수평 상태 및 변형 부위가 쉽게 정상적인 상태로 교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캡의 모든 실란트 분배 영역은 기판의 캡 부착 영역에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캡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Encapsulation cap}
도 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캡을 제거한 상태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
도 3은 캡을 기판에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구성 부분의 일부가 변형된 상태의 캡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단면도.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란트 분배 영역 전체가 기판에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는 캡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은 유기물(저분자 또는 고분자) 박막에 음극과 양극을 통하여 주입된 전자와 정공(hole)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형성된 여기자로부터의 에너지에 의해 특정한 파장의 빛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조를 갖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성은, 유리 기판(1), 유리 기판(1) 상부에 형성되어 애노드(anode) 전극으로 사용되는 인듐 주석 산화물 층(2; Indium Tin Oxide film ; 이하, "ITO 층"이라 칭함), 절연층과 유기물층(3) 및 캐소드(cathode) 전극인 금속 전극(4)이 순서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 여기서, 각 격벽(W)은 ITO 층(2) 상에 다수의 금속막(4)을 분리된 상태로 증착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로서,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캡(6)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A)에 형성된 다수의 ITO층(2)과 금속층(4)은 액티브 영역(A) 외곽으로 연장되며, 각 단부가 기판(1)의 한 부분으로 집중되어 패드부(P)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각 요소들(2, 3, 4 및 W)로 이루어진 액티브 영역(A)을 형성한 후, 실란트(5; sealant)를 이용하여 캡(6)을 기판(1)의 외곽부에 부착한다. 캡(6)이 부착되는 영역은 기판(1) 외곽부, 즉 액티브 영역(A)의 외측 영역(S1 및 S2)이다. 캡(6)에 의하여 모든 액티브 영역(A)은 외부와 완전히 격리되며, ITO층(2)과 금속층(4)이 집중된 패드부(P)만이 캡(6)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과 기판(1) 사이에는 소정의 밀폐 공간이 형성되며, 이 밀폐 공간 내에 위치한 상술한 요소들(2, 3, 4 및 W)은 습기 등과 같은 외부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한편, 캡(6)은 주로 금속으로 제조되며, 실란트(5)로서는 자외선 (U.V.) 경화성 접합제가 사용된다.
미설명 부호 8은 흡습(吸濕)제인 게터(8; getter)로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테이프(7)에 의하여 캡(6)의 중앙부 저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3은 캡을 기판에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캡(6) 외곽부의 실 란트 분배 영역에 실란트(5)를 도포한 후, 푸싱 유니트(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캡(6)을 밀어 올림으로서 캡(6)은 기판(1)의 표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기판(1)에는 각 소자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형성되며, 또한 다수의 캡(6)들은 캡 트레이에 적재된 상태로 동시에 상승된다. 따라서 푸싱 유니트의 가동으로 다수의 캡(6)들이 기판(1)에 부착됨으로서 다수의 소자들(즉, 각 소자의 액티브 영역)을 밀봉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m"은 실란트 경화용 마스크를, "m1"은 마스크에 형성된 광불투과성 패턴을 각각 나타낸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캡(6)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규격이 커짐에 따라 그 규격 역시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캡의 규격이 커짐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캡은 금속 재료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서 제조되며, 그 두께는 약 0.5 내지 1.0 mm이다. 이러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금속성 캡(6)은 그 규격(면적)이 클 경우, 실란트 분배 영역(즉, 기판 표면에 부착되는 영역)을 정확하게 수평 상태로 가공하기 어렵다.
도 4는 비정상적 상태인 캡의 단면도로서, 캡(6)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어느 한 쪽으로 처져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일점쇄선은 캡이 부착되는 기판의 표면 나타냄). 이는 금속성 캡(6)이 두께에 비하여 그 면적이 넓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이러한 캡(6)을 수평의 기판에 부착할 때 외곽부인 실란트 분배 영역 전체가 기판 표면에 균일하게 상태로 부착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도 5는 프레스 가공 과정에서 또는 가공 후, 발생하는 부분적인 변형을 도시 한 캡의 단면도로서, 얇은 두께로 인하여 캡(6)의 실란트 분배 영역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위로 꺽여지거나(좌측 부분) 또는 아래로 처지는(우측 부분)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실란트 분배 영역 전체가 기판 표면에 균일하게 상태로 부착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밀봉하는 캡에서 나타나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수평을 이루지 못하거나 변형이 부분적으로 발생하더라도 실란트 분배 영역이 기판에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는 구조의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은 실란트가 분배되는 영역(기판의 캡 부착 영역에 부착되는 영역)의 두께가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실란트 분배 영역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기 때문에 비수평 상태 및 변형 부위가 쉽게 정상적인 상태로 교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캡의 모든 실란트 분배 영역은 기판의 캡 부착 영역에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16)의 가장 큰 특징은 실란트 분배 영역(16A; 기판에 부착되는 영역)의 두께(t)를 다른 부분의 두께(T)보다 얇게 구성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캡은 전체적으로 약 0.5 내지 1mm의 두께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 따른 캡(16)에서 실란트 분배 영역(16A)은 0.05 내지 0.1mm의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캡(16)을 기판에 부착하는 과정은 도 3을 통하여 설명한 캡 부착 과정과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특징적인 부분만을 설명한다.
도 6에는 캡뿐만 아니라 캡을 상승시키기 위한 푸셔(20; pusher)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16)을 기판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푸셔(20)는 중앙부에 캡의 본체(소자의 액티브 영역 대응부)를 수용할 수 있는 요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 외곽부(22)는 캡의 실란트 분배 영역(16A)에 대응한다.
기판에 캡(16)을 부착하기 위하여 푸셔(20)가 상승하면, 푸셔(20)의 요부(21)에는 캡(16)의 본체가 수용되며, 캡(16)의 실란트 분배 영역(16A)은 외곽부(22)에 대응한다. 따라서, 푸셔(20)의 상승에 따라 캡(16)의 실란트 분배 영역(16A)은 푸셔(20)의 외곽부(212 평면에 접촉되면서 기판의 표면(도 1의 캡 부착 영역(S1 및 S2)에 대응, 부착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않거나, 도 5에서와 같이 캡의 실란트 분배 영역이 부분적으로 변형되었을지라도, 실란트 분배 영역(16A)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얇기 때문에 비수평 상태 및 변형 부위가 쉽게 정상적인 상태로 교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실란트 분배 영역(16A)은 기판의 캡 부착 영역에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은 제조 공정 중에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캡 부착 과정에서 쉽게 정확한 자세로 교정되며, 결과적으로 모든 실란트 분배 영역은 기판의 캡 부착 영역에 균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2)

  1. 기판에 부착되어 소자의 구성 요소를 밀폐시키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에 있어서,
    기판에 부착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캡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부착되는 부분은 0.05 내지 0.1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
KR1020040106181A 2004-12-15 2004-12-15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 Expired - Lifetime KR10062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181A KR100623355B1 (ko) 2004-12-15 2004-12-15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181A KR100623355B1 (ko) 2004-12-15 2004-12-15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411A KR20060067411A (ko) 2006-06-20
KR100623355B1 true KR100623355B1 (ko) 2006-09-19

Family

ID=3716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181A Expired - Lifetime KR100623355B1 (ko) 2004-12-15 2004-12-15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3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411A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268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455897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0444686B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装置
JP2022545490A (ja) 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EP1605516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666437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100736573B1 (ko) 전계발광소자
KR10062335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
CN112864340B (zh) 一种显示面板、显示面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
EP1724853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7638942B2 (en) Encapsulation cap having a gett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700002B1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30544B1 (ko) 디스플레이 소자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소자용 기판
KR10062336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23356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94547B1 (ko) 글라스 캡 부착 방법
KR100746987B1 (ko) 기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밀봉 캡 및 이를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076433B1 (ko) 캡 부착 방법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23367B1 (ko) 디스플레이 소자
KR100674019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제조 방법
KR100588062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23366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38039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캡
KR10062336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20187961A (ja)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50615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