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3261B1 -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261B1
KR100623261B1 KR1020040014082A KR20040014082A KR100623261B1 KR 100623261 B1 KR100623261 B1 KR 100623261B1 KR 1020040014082 A KR1020040014082 A KR 1020040014082A KR 20040014082 A KR20040014082 A KR 20040014082A KR 100623261 B1 KR100623261 B1 KR 10062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etwork
node
servic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677A (ko
Inventor
김정은
지희찬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에스넷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넷시스템(주) filed Critical 에스넷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04001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2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5Network analysis or design involving simulating, designing, planning or modelling of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망의 서비스 연결(connection) 정보를 설정, 해제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는 다중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복수개의 망 장비를 포함하는 대상 관리망; 대상 관리망과 결합되며, 수신한 설정 정보를 망 장비에 반영하거나, 망 장비로부터의 보고 메시지를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프록시 에이전트; 미리 설정된 망관리 정보 모델을 이용하여, 프록시 에이전트로 통하여 대상 관리망의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 해제 및 관리하기 위한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를 포함하되,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는 입력된 연결 설정 정보 바탕으로 망 장비와의 실제 연결을 설정, 변경, 해제하되, 미리 설정된 백본링을 통해 대상 관리망의 노드 종단에서 이루어지며, 종단 및 중간 노드들에 대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을 설정, 변경 및 해제하며, 연결 설정 도중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설정 서버는 롤백(roll-back) 기능을 통해 오류 발생 직전에 설정된 노드의 설정 정보로 복원하기 위한 설정 서버부;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를 포함하는 토폴로지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백본링을 구성하는 노드 중 하나의 IP 주소를 입력받아, IP 주소를 이용하여 토폴로지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토폴로지 빌더부; 토폴로지 빌더부로부터 새로운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 객체의 생성 요구 가 발생하면, 토폴로지 정보 객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설정 정보 관리 서버; 망 설정 정보를 저장하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가 재기동될 때 종료되기 이전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가 제공하는 토폴로지 정보를 바탕으로 시각적인 망 구성도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서비스, 플랫폼, 클래스, 구성, 서비스 연결, 운용관리시스템

Description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sioning connection of end-to-end service in a multi 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 빌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정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에이전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 관리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 클래스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정 클래스 모델을 나 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 빌더부의 망관리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정 서버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
110 : 설정 서버부(Provisioning Server)
120 : 설정 정보 관리 서버(Common Service Interface)
130 : 토폴로지 빌더부(Topology Builder)
140 : 영구 저장데이터베이스 150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
160 : 프록시 에이전트 170 : 대상 관리망
본 발명은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망의 서비스 연결(connection) 정보를 설정, 해제 및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메트로폴리탄과 백본망은 기존의 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유연성을 요구하며 진화되어 가고 있다. 아울러, 기업 및 대도시 일반 가입자들의 고대역 서비스 수요가 폭증하고 기존의 대도시 통신망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충분한 대역을 공급하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결과 "대역 병목" 현상이 발생하여 새로운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을 필요로 하는 대도시 지역에서 특히 정보 유통에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으며, 부가 가치형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함께, 필요한 대역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한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부가가치 서비스들은 SDH/SONET, ATM, IP/MPLS, Ethernet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프로토콜들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전송 장비의 일종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MSPP : Multi Service Provisioning Platform)이 통합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백본으로 급속히 부상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장비는 Ethernet 중심의 LAN과 SONET/SDH 중심의 WAN이라는 상이한 두 가지 기술로 발전되어 온 정보통신망을 기반으로 구축되고 있다. 그러나 Ethernet은 SONET/SDH 망에 직접 연결할 수 없으므로 Ethernet 기반의 LAN망을 SONET/ SDH 기반의 WAN 망과 연계하기 위해서는 상호 연동 프로토콜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대표적인 상호연동 프로토콜은 FR(Frame Relay), ATM, POS(Packet Over SONET), ML-PPP(Multi-Link Point-to-Point Protocol) 등이 있다. 대부분의 상호연동 기술은 Ethernet 프레임을 제거하고 payload인 IP 트래픽에 새로운 2계층(L2) 프레임을 대응시키거나 또는 새로운 2계층(L2) 프로토콜로 캡슐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LAN-to-WAN 연동을 위한 부수적인 복잡성과 비용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Ethernet과 SONET/SDH를 직접 상호 연동하기 어려웠던 가장 큰 이유는 상이한 전송속도와 캡슐화 기술의 비효율성을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망 장비업체들은 독자적인 EOS(Ethernet over SONET) 기술을 개발해 상호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상호연동(inter-operability)이 많은 기술적 제약과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해외 장비업체에서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제품을 발표하고 있고 국내의 몇몇 업체에서도 새로운 제품을 발표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다중서비스플랫폼 제품은 종래 EMS 수준의 관리 시스템만을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망의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원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망 운용자가 쉽고 효과적으로 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망관리시스템의 개발이 필수적이나,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종래 기술은 존재하지 아니한다. 특히, 링과 트리의 복합 토폴로지 구조를 갖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망을 종래 EMS를 통해 관리한다는 것은 망 운용의 효율성을 심각하 게 저해하며 많은 시간, 인력, 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망의 서비스 연결(connection) 정보를 설정, 해제, 관리하기 위한 망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즉, 본 발명은 망 관리 영역 중에서 종단간(end-to-end) 연결 서비스를 설정하고 해제하는 망 설정 관리와 장애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설정 시스템 (MSPP-PS : Multi 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Provisioning System)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S1, DS3, Ethernet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를 SONET/SDH 망을 통해 end-to-end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생성, 편집, 삭제하는 관리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종래 EMS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종단간 연결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망 토폴로지 및 자원 검색 기능, 트랩 리포트 처리 기능 등 망 서비스 연결 정보 관리 및 상태 확인을 위한 제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망 토폴로지 정보 및 서비스 연결 정보를 기술하기 위한 객체 지향 모델 설계, 망 토폴로지 정보 검색 알고리즘, 서비스 연 결 정보의 설정 및 해제 알고리즘을 기술하고 세부 모듈 별 기능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공함과 아울러,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종단간 연결 서비스 관리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는 다중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복수개의 망 장비를 포함하는 대상 관리망; 상기 대상 관리망과 결합되며, 수신한 설정 정보를 상기 망 장비에 반영하거나, 상기 망 장비로부터의 보고 메시지를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프록시 에이전트; 미리 설정된 망관리 정보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프록시 에이전트로 통하여 상기 대상 관리망의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 해제 및 관리하기 위한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는 입력된 연결 설정 정보 바탕으로 상기 망 장비와의 실제 연결을 설정, 변경, 해제하되, 미리 설정된 백본링을 통해 대상 관리망의 노드 종단에서 이루어지며, 종단 및 중간 노드들에 대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을 설정, 변경 및 해제하며, 연결 설정 도중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설정 서버는 롤백(roll-back) 기능을 통해 오류 발생 직전에 설정된 노드의 설정 정보로 복원하기 위한 설정 서버부;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를 포함하는 토폴로지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상기 백본링을 구성하는 노드 중 하나의 IP 주소 를 입력받아, 상기 IP 주소를 이용하여 토폴로지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토폴로지 빌더부; 상기 토폴로지 빌더부로부터 새로운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 객체의 생성 요구가 발생하면, 토폴로지 정보 객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설정 정보 관리 서버; 망 설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가 재기동될 때 종료되기 이전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가 제공하는 토폴로지 정보를 바탕으로 시각적인 망 구성도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는 망 토폴로지를 구성하고 연결 서비스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 설정 서버부 및 토폴로지 빌더부가 공유하는 정보들이 중복 관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는 토폴로지 정보 및 연결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복수개의 관리자 객체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관리자 객체는 노드 관리자, 인터페이스 관리자, 링크 관리자, TDM 링크 관리자, VC 관리자 및 VLAN 관리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폴로지 빌더부는 상기 백본링을 구성하는 노드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에게 노드 객체의 생성을 요구하는 노드 객체 생성 요구부; 링을 따라 상기 노드에 대한 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각 노드별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부 수집부; 상기 수집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에게 인터페이스 객체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객체 생성 요구부; 상기 노드별 인터페이스 정보 수집 중에 피어(peer)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RT 노드들을 검색하고, 상기 RT 노드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RT 노드 객체 생성부; 및 노드 및 인터페이스 정보 검색이 완료되면, 상기 노드 간의 연결 정보를 분석하여 링크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링크 객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서버부는 연결 서비스 설정 정보를 망 노드에 반영하기 위한 설정부; 상기 노드에 반영된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부; 및 상기 망 노드로부터 설정 정보를 해제하기 위한 철회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록시 에이전트는 미리 설정된 게이트웨이 및 에이전트를 포함하며,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노드의 정보 조회 및 설정을 위하여 상기 대상 관리망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에이전트와 송수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코바 메시지로 상호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대상 관리망은 COT 장비로 구성된 백본링 토폴로지 및 상기 COT 장비를 중심으로 연결된 다수의 RT 장비로 구성된 스타 토폴로지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망관리 정보 모델은 토폴로지 클래스 모델 및 설정 클래스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폴로지 클래스 모델은 상기 망을 구성하는 노드클래스 객체와 노드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클래스 객체 및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 클래스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클래스 모델은 노드 종단 또는 노드 그룹 간의 연결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Link, VC(Virtual Channel), VLAN(Virtual LAN) 클래스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 법 및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망 토폴로지 정보 및 서비스 연결 정보를 기술하기 위한 객체 지향 모델 설계, 망 토폴로지 정보 검색 알고리즘, 서비스 연결 정보의 설정 및 해제 알고리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망의 서비스 연결(connection) 정보를 설정, 해제, 관리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 EMS가 지원하지 못하는 종단간 연결 서비스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DS1, DS3, VLAN, MPLS 등 다양한 망 연결 서비스의 설정, 변경, 해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서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을 전체 구성을 설명하고, 도 2a 내지 도 2d에서는 각 구성 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은 DS1, DS3, VLAN, MPLS 등 다양한 망 연결 서비스에 있어서, 망의 서비스 연결(connection) 정보를 설정, 해제, 관리할 수 있고, 종단간 연결 서비스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은 망 토폴로지 및 자원 검색 기능, 트랩 리포트 처리 기능 등 망 서비스 연결 정보 관리 및 상태 확인을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은 하나의 광전송장비(SDH)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킹 장비로 기존 전송망으로 구축된 동기식 디지털 계위(SDH)나 TDM, DWDM, 이더넷 등 다양한 전송 신호를 하나의 장비에서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기업 등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던 IP 신호를 비롯한 음성, 화상, 기가비트 이더넷 스위칭 기능 등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장비의 서비스 연결 정보를 시각적으로 설정, 해제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기술은 DS1, DS3, Ethernet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망을 SONET/SDH 기반의 WAN 망과 연동시키는 기술이다. 특히, 본 발명은 Ethernet 사용자망의 경우 가상 연접(VC, Virtual Concatenation) 기술을 통해 다양한 대역폭을 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종단간 연결 서비스 관리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은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100) 및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100)는 프록시 에이전트(160)를 통하여 대상 관리망(170)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100)는 설정 서버부(Provisioning Server)(110),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Common Service Interface)(120) 및 토폴로지 빌더부(Topology Builder)(130)를 포함하며, 설정 정보를 영구 저장하기 위하 데이터베이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서버부(Provisioning Server)(11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입력된 연결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망 장비와의 실제 연결을 설정, 변경, 해제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 및 프록시 에이전트(160)와 상호 연동하여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설정 서비스는 종단 및 중간 노드들에 대한 설정 정보 및 백본링을 통해 노드 종단간에 이루어진다. 연결 설정 도중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설정 서버는 롤백(roll-back) 기능을 통해 오류 발생 직전에 설정된 노드의 설정 정보들을 원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토폴로지 빌더부(130)는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 등과 같은 토폴로지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토폴로지 빌더부(130)는 백본링을 구성하는 COT 노드 중 하나의 IP 주소를 입력받아, 이를 씨드(seed) 주소로 인식하고 토폴로지 검색을 시작한다.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는 대상 관리망(170) 내의 토폴로지 및 서비스 연결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영구 저장 데이터베이스부(140)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토폴로지 빌더부(130)로부터 새로운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 객체의 생성 요구가 발생하면,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는 토폴로지 정보 객체를 생 성함과 동시에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또한,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새로운 TDM Link, VC, VLAN 연결 설정 객체의 생성 요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객체 정보는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가 재 기동될 때 종료 직전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150)는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가 제공하는 토폴로지 정보를 바탕으로 망 관리자에게 시각적인 망 구성도를 제공하며, 망 관리자는 이를 바탕으로 망에 반영할 연결 서비스 설정 정보를 작성한다. 또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작성된 설정 정보는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에 저장 관리되며, 토폴로지 정보와 마찬가지로 영구 저장 데이터베이스(140)에 기록되어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가 재 기동될 때, 종료 이전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는 토폴로지 정보 및 연결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복수개의 관리자 객체로 구성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관리자 객체는 노드 관리자(121), 인터페이스 관리자(122), 링크 관리자(123), TDM 링크 관리자(124), VC 관리자(125), VLAN 관리자(126) 및 MPLS 관리자(1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150), 설정 서버부(110) 및 토폴로지 빌더부(130) 등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정보 객체를 일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정보의 일관성(consistency)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는 토폴로지 정보 및 연결 설정 정보의 영속성(persistency)을 보장하기 위해, 백엔드(back-end)에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토폴로지 정보 및 연결 설정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는 망 토폴로지를 구성하고 연결 서비스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150), 설정 서버부(110) 및 토폴로지 빌더부(130)와 같은 별개의 기능 모듈들이 공유해야 할 정보들을 중복하지 않고 한 곳에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망으로부터 수집되거나 망 관리자에 의해 작성된 정보들을 영구 저장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이 재가동될 때 원래의 정보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는 토폴로지 정보와 TDM Link, VC, VLAN, MPLS 등의 연결 서비스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모듈들로 구성된다. 각 관리자는 자신이 담당하는 관리 대상 객체의 생성, 유지, 삭제, 변경 등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관리 대상 객체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후술하기로 한다.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가 관리하는 망 토폴로지 정보는 토폴로지 빌더부(130)에 의해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이 기동되면 토폴로지 빌더부(130)는 관리망의 토폴로지 정보를 CORBA 게이트웨이를 통해 장비로부터 얻어오고, 이를 바탕으로 설정 정보 관 리 서버부(120)의 Node, Interface, Link 관리자에게 관리 대상 객체의 생성을 요구한다.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는 토폴로지 빌더부의 요청에 의해 새로운 대상 객체를 생성하고 영구 저장 데이터베이스(140)에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각 망 관리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TDM link, DS1/DS3 VC(Virtual Channel), VLAN (Virtual LAN) 등의 서비스 연결정보를 관리하며 이를 망에 반영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 빌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토폴로지 빌더부(130)의 노드 객체 생성 요구부(131)는 우선 백본링을 구성하는 노드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에게 노드 객체의 생성을 요구하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내의 노드 관리자는 요구에 따라 노드 객체를 생성하고 그 목록을 관리한다. 정부 수집부(132)는 링을 따라 COT 노드에 대한 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각 노드별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한다. 인터페이스 객체 생성 요구부(133)는 상기 수집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에게 인터페이스 객체의 생성을 요구한다. RT 노드 객체 생성부(134)는 노드별 인터페이스 정보 수집 중에 peer 주소를 참고하여 RT 노드들을 검색하며 RT 노드 객체의 생성을 수행한다. 링크 객체 생성부(135)는 상기 모든 노드 및 인터페이스 정보 검색이 완료되면, 노드 간의 연결 정보를 분석하여 링크 객체를 생성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정 서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 면이다.
설정 서버부(110)는 연결 서비스 설정 정보를 망 노드에 반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설정 서버부(110)는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로부터 필요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며, 이를 CORBA 게이트웨이에게 전달하여 노드에 반영시킨다. 또한, 설정 서버부(110)는 노드로부터 발생되는 오류나 경고 메시지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를 위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 CORBA 게이트웨이 등과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설정 서버부(110)는 연결 서비스 설정 정보를 망 노드에 반영하기 위한 설정부(enforce1 unit)(111), 망 노드에 반영된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부(modify unit)(112) 및 망 노드로부터 설정 정보를 해제하기 위한 철회부(withdraw unit)(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설정 서버부(110)는 다중 CORBA 게이트웨이를 관리한다. 설정 서버부(110)가 기동된 후 CORBA 게이트웨이는 자신의 위치 및 관리 정보를 설정 서버에 등록한다. 이때 CORBA 게이트웨이의 관리 정보는 하나의 CORBA 게이트웨이가 관리하는 노드들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정 서버부(110)와 CORBA 게이트웨이 간의 일대다 관계는 관리망의 규모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설정 시스템의 확장성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설정 서버부(110)가 연결 서비스 설정 정보를 망에 반영하기 위한 요구를 수신하면, CORBA 게이트웨이의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대상 노드와 관련된 CORBA 게이트웨이를 검색하고, 상기 CORBA 게이트웨이에 설정 정보를 송신한다.
도 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에이전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프록시 에이전트(160)는 미리 설정된 게이트웨이(161) 및 에이전트(162)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게이트웨이(161)는 객체기술 표준단체인 객체관리그룹(OMG)이 규정한 코바(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표준 스펙에 기반을 둔 코바 게이트웨이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에이전트(162)는 간이 망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에 기반을 둔 SNMP 에이전트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록시 에이전트(160)는 코바 게이트웨이와 SNMP 에이전트 모듈로 구성되며, 설정 서버부(110)로부터 수신한 설정 정보를 망 장비에 반영하거나 망 장비로부터의 보고 메시지를 설정 서버부(110)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SNMP 에이전트(162)는 노드의 정보 조회 및 설정을 위해 SNMP GET/SET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코바 게이트웨이(161)는 SNMP 메시지를 코바 메시지로 상호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 관리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 관리망(170)은 임의의 구성이라도 무방하나, 설명의 편의상, COT 장비로 구성된 백본(backbone)링 토폴로지(171)와 각 COT 장비를 중심으로 연결된 다수의 RT 장비로 구성된 스타(star) 토폴로지(172)를 포함하는 대상 관리망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정보 모델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은 망 토폴로지 정보, 연결 설정 정보, 리포트(report)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망 토폴로지 정보는 관리망의 물리적인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설정 정보는 종단간 연결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TDM Link, DS1/DS3 가상채널(VC, Virtual Channel), VLAN(Virtual LAN)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포트 정보는 노드로부터 발생되는 보고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 성능, 이벤트, 오류 정보로 구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망관리 정보 모델은 객체지향 모델링(Object oriented Modeling)을 기반으로 하며 토폴로지 클래스와 설정 클래스 모델로 구분할 수 있다. 토폴로지 클래스 모델은 망을 구성하는 노드(COT와 RT 장비) 클래스 객체와 노드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클래스 객체 및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 클래스 객체로 구성되며, 설정 클래스 모델은 노드 종단 또는 노드 그룹 간의 연결(connection)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구분되며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Link, VC(Virtual Channel), VLAN(Virtual LAN) 클래스 객체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하, 도 3에서는 토폴로지 클래스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4a 내지 도 4d에서는 설정 클래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 클래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폴로지 클래스 모델은 물리적인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SDH 토폴로지(310), 망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VLAN 토폴로지(320) 및 MPLS 토폴로지(330)로 분류될 수 있으며, 모든 토폴로지는 노드(340)와 링크(360)의 상호 연결되는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때,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정보 모델은 객체지향 모델링(Object-oriented Modeling)으로 정의될 수 있다. 토폴로지 정보 모델이 도시된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토폴로지 정보 모델은 망을 구성하는 노드(예를 들면, COT 장비 또는 RT 장비) 객체(340)와 노드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객체(350),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 객체(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노드 객체(340)는 시스템 이름, 관리 IP 주소, 관리 포트 번호, 이웃 노드의 IP 주소, 시스템 위치, 동작 상태 등 일반적인 노드의 속성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노드 인터페이스 객체(350)는 노드에 포함된 물리적, 논리적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정의하며, 인터페이스가 속한 노드의 고유 식별자, 인터페이스 이름, 인터페이스 유형, 대역폭, peer 주소, 동작 상태 등을 포함하고 있다. 링크 객체(360)는 링크의 종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노드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각 토폴로지 정보 객체는 대응되는 관리자 객체와 종속 관계를 가지도록 정의될 수 있다. 각 관리자 객체는 관리 대상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 객체의 목록을 관리하며 관리 대상 객체에 대한 생성, 변경, 삭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노드 클래스 객체는 망을 구성하는 노드 객체(340)의 속성(attribute)을 정의하며, 노드에 속한 인터페이스 클래스 객체의 생성 및 삭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드의 속성을 정리한 것이다.
속성 설명
Node identifier 노드 클래스 객체의 인스턴스마다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자
IP address 노드의 IPv4 주소
Port address SNMP 연결을 위한 port 번호로서 161번을 기본으로 사용
Node type 노드의 유형을 나타내며 TM, UPSR, BLSR2, BLSR4로 구분. TM 타입은 RT 장비를 나타내며, 나머지는 COT 장비의 유형이다.
West node 링을 구성하는 COT 장비의 좌측으로 인접한 노드의 IP 주소
East node 링을 구성하는 COT 장비의 우측으로 인접한 노드의 IP 주소
System location 노드의 지리적인(물리적인) 위치를 설명하는 부가 정보
System name 사람이 인식할 수 있도록 명명된 노드의 명칭
Office network name 관리망에 포함된 서브 망(sub network)의 이름
Network name 관리망의 이름
Vendor 장비 업체 명칭
Model 장비 모델명
Contact info 망 관리자의 연락처 정보
Coordinates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드를 표시하기 위한 좌표 값
Operational status 노드의 운용 상태로서 Enable과 disable로 표시
본 발명에서, 하나의 노드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이하 '노드 객체'라 칭함)는 노드마다 다른 고유한 속성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노드에 속한 인터페이스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이하 '인터페이스 객체'라 칭함)를 생성, 유지, 삭제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객체를 생성하며, 객체마다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하는 생성(create) 서비스, 인터페이스 객체를 삭제하며, 삭제된 객체의 식별자는 재사용하기 위한 삭제(delete) 서비스 및 전체 객체의 목록을 반환하거나 특정 속성 (이름, 식별자, 인터페이스 번호 등)을 통한 탐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회(get) 서비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객체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객체(350)는 노드가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물리적, 논 리적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객체의 속성은 일반적인(generic) 속성과 설정(configuring) 속성으로 세분되며, 하기의 표 2는 인터페이스의 일반적인 속성을 기술한 것이다.
속성 설명
Interface identifier 인터페이스 클래스 객체의 인스턴스마다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자
Node identifier 인터페이스 객체가 속한 노드의 식별자
Interface name 사람이 인식하기 쉽도록 명명된 인터페이스 이름
Interface type 인터페이스의 유형을 나타내며 SONET, VC3, ETHERNET_CSMACD, VC12, DS1, DS3, EOS 등으로 세분됨
Interface index 장비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식별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식별자와 일대 일로 대응됨
Bandwidth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회선 속도 또는 대역폭
Available bandwidth 사용 가능한 회선 대역폭. 단위는 bandwidth 속성과 일치함
Bandwidth Unit 대역폭의 단위로서 BPS, KBPS, MBPS로 표시함
Peer address 인터페이스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대 노드의 IP 주소
Link state 인터페이스의 운용 상태로서 up과 down으로 표시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설정 속성은 인터페이스의 유형에 따라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상기 설정의 속성은 하기 도 4의 설정 클래스 모델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링크(360)에 대한 링크 클래스 객체는 링크의 종단을 구성하는 노드 객체를 참조하며, 한 쌍의 노드 식별자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관리자 클래스 객체의 인스턴스는 자신이 담당하는 관리 대상 객체의 생성, 삭제, 조회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노드 클래스 객체는 인터페이스 클래스 객체에 대한 관리자이며, 동시에 노드 클래스 객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폴로지 클래스 모델에서 정의하고 있는 관리자 클래스 객체는 노드 관리자(370), 인터페이스 관리자(노드 클래스 객체)(340), 링크 관리자(380) 등을 포함하여 구성 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정 클래스 모델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는 설정 클래스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연결 설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c는 TDM Link 연결과 VC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d는 VLAN 클래스 모델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설정 클래스 모델은 망이 제공하는 연결 서비스 유형에 따라 TDM Link 클래스 객체(410), VC 클래스 객체(420), VLAN 클래스 객체(430)로 분류되며, 상기 VC 클래스 객체(430)는 다시 DS1 VC와 DS3 VC로 세분된다.
TDM Link 클래스 객체(410)는 인접한 두개의 노드 간에 설정되는 물리적인 STM-x 연결을 위해 필요한 설정 속성을 정의한다. 인접한 노드간의 물리적인 연결은 COT-to-COT, COT-to-RT, RT-to-RT 장비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하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TDM Link 클래스 객체에 정의된 속성이 정리되어 있다,
속성 설명
TDM Link identifier TDM Link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마다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자
TDM Link name 사람이 알기 쉽게 명명한 TDM Link 객체의 이름
Description TDM Link 객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
Operational status TDM Link 객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며, SAVED, ENFORCED 또는 ENFORCED_SAVED 중에 한 값을 가짐
TDM spec TDM spec identifier 하나의 TDM Link 객체 내에서 고유하게 식별되는 식별자. 하나의 TDM Link 객체에는 두개의 TDM spec이 존재하며 이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됨
Node identifier TDM Link 설정이 이루어지는 대상 노드 객체의 식별자
Node IP address 설정 대상 노드의 IP 주소
Node Port address 설정 대상 노드의 port 번호
Interface index 설정 대상 인터페이스 객체의 인덱스 값
PST flag 장비의 STM 인터페이스의 물리적인 동작 상태. IS(In Service) 또는 OOS(Out Of Service)로 표시
SD threshold 신호 감쇄 임계 값 (Signal Degraded Threshold). 10-5 ~ 10-9의 범위를 가짐
SF threshold 신호 오류 임계 값 (Signal Fault Threshold). 10-1 ~ 10-5의 범위를 가짐
RDI/AIS flag RDI/AIS 설정 여부를 표시하며, YES 또는 NO 값을 가짐
Laser flag Optical signal 설정 여부를 표시하며 ON 또는 OFF 값을 가짐
Status 장비의 STM 인터페이스의 설정 상태. enable 또는 disable
VC 클래스 객체(420)에 있어서, 가상 채널(VC, Virtual Channel)은 하나의 관리 망 내에 있는 다중 노드를 걸쳐 이루어지는 종단간(end-to-end) 연결을 의미한다. 가입자 또는 가입자 망으로부터 발생되는 트래픽은 RT 장비 또는 COT 장비의 사용자 포트(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상 관리망(170) 내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사용자 포트의 유형은 Ethernet CSMA-CD, DS1, DS3 등이 있는데, Ethernet CSMA-CD 포트는 VLAN 설정을 통해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DS1 포트는 2Mbps 대역폭을, DS3 포트는 45Mbps의 대역폭을 제공하며 연결 설정에 필요한 정보들은 VC 클래스 객체(410)를 통해 정의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VC 클래스 객체(410)는 종단간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상 채널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므로 하나의 가상 채널을 구성하는 시작 노드, 중간 노드 및 종단 노드들에 대해 설정되어야 할 속성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노드마다의 설정 정보를 VC 스펙( Specification)(440)이라 칭하며, 하나의 VC 클래스 객체(420)는 다중 VC 스펙(440) 객체의 생성, 유지, 삭제, 조회 등의 관리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VC 연결은 물리적인 TDM Link 연결 안에서 이루어지는 논리적인 연결이며, 따라서 종단간 VC의 설정을 위해서는 노드 간의 TDM Link 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하기의 표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VC 속성을 정리한 표이다.
속성 설명
VC identifier VC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마다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자
VC name 사람이 알기 쉽게 명명한 VC 객체의 이름
Description VC 객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
VC path VC 경로를 나타내며 노드 객체 식별자의 그룹으로 표시됨
Operational status VC 객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며, SAVED, ENFORCED 또는 ENFORCED_SAVED 중에 한 값을 가짐
VC spec VC spec identifier 하나의 VC 객체 내에서 고유하게 식별되는 spec식별자. 하나의 VC 객체에는 최소 두개 이상의 VC spec이 존재하며 이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됨
Node identifier VC 설정이 이루어지는 대상 노드 객체의 식별자
Node IP address 설정 대상 노드의 IP 주소
Node Port address 설정 대상 노드의 port 번호
From interface index 가입자 트래픽이 유입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인덱스의 집합. 중간 노드의 경우 유입(ingress) 인터페이스의 인덱스
To interface index 장비 내부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크로스 연결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인터페이스 인덱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DS1인 경우 VC12 인터페이스와 크로스 연결되며, DS3의 경우는 VC3과 크로스 연결됨. 중간 노드에서는 유출(egress) 인터페이스 인덱스
Signal Spec DS1 또는 DS3 인터페이스 설정에 필요한 세부 정보. 자세한 내용은 CORBA IDL 정의를 참조
Status VC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의 동작 상태. enable 또는 disable
VLAN 클래스 객체(430)에 있어서, 가상 LAN(VLAN, Virtual LAN) 서비스는 관리 망 내의 특정 가입자 또는 가입자 망 그룹을 형성하여 가상의 독자적인 망을 구성하기 위한 연결 서비스를 지칭한다.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시스템이 제공하는 VLAN 설정의 유형은 Pure VLAN과 MPLS-VLAN의 두 가지로 나뉜다.
도 4d를 참조하면, 두 가지 유형의 VLAN 모델이 도시되어 있다. Pure VLAN(이하 VLAN) 클래스 모델(450)은 VLAN(451), VCAT(452), QoS(453), VC(454) 객체로 구성되며 각 객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VLAN 객체(451)는 가입자 또는 가입자 망이 연결되는 가입자 포트(from ports)를 묶어 하나의 그룹을 생성하며, 각 그룹에는 고유의 VLAN ID가 할당되고, 가입자 포트는 Ethernet CSMA-CD 유형의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VCAT 객체(452)는 물리적인 VC12 또는 VC3 유형의 논리적인 인터페이스들을 가상 결합(Virtual conCATenation)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종단 노드의 입장에서 VLAN 객체(451)는 가입자로부터 유입(ingress, from) 되는 인터페이스를 묶는 역할을 담당하며, VCAT 객체(452)는 망 내로 유출(egress, to) 되는 인터페이스를 묶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QoS 객체(453)는 VLAN(451) 및 VCAT 객체(452)를 연관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VLAN ID와 VCAT ID 외에 사용 대역폭 및 최대 대역폭 등의 설정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VC 객체(451)는 가상 연결 서비스 객체가 아니라 장비 내의 논리적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상기 VC 객체(451)는 VC12(2Mbps), VC3(45Mbps) 유형의 VC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PSL-VLAN(460)은 하나의 VLAN을 통해 유입되는 트래픽에 LSP(Label Switched Path)(465) Label을 할당하여 지정된 경로로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한 명시적 라우팅(explicit routing) 연결 서비스이다. FEC(Forward Equivalence Class) 객체(470)는 유입 인터페이스 그룹인 VLAN과 LSP Label을 결합하여 VLAN ID별로 label을 할당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LSP 객체(465)는 label과 VCAT 객체 결합하여 특정 label을 갖는 트래픽이 어떤 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될 지를 결정한다. 하기의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VLAN 클래스 객체의 속성이 정의되어 있고, 표 6을 참조하면, VCAT spec 속성이 정리되어 있다.
속성 설명
VLAN identifier VLAN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마다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자
VLAN name 사람이 알기 쉽게 명명한 VLAN 객체의 이름
Description VLAN 객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
Operational status VLAN 객체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며, SAVED, ENFORCED 또는 ENFORCED_SAVED 중에 한 값을 가짐
VLAN spec VLAN spec identifier 하나의 VLAN 객체 내에서 고유하게 식별되는 spec식별자. 하나의 VLAN 객체에는 최소 두개 이상의 VLAN spec이 존재하며 이 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됨
VLAN ID 장비에서 사용되는 VLAN 번호. 사용 범위는 1 ~ 4094
Node identifier VLAN 설정이 이루어지는 대상 노드 객체의 식별자
Node IP address 설정 대상 노드의 IP 주소
Node Port address 설정 대상 노드의 port 번호
Tagged port list Tagged port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인덱스의 목록
Untagged port list Untagged port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인덱스의 목록
Ingress filter list 유입 필터링 기능을 활성화 시키려는 인터페이스 인덱스의 목록
VCAT spec 표 6 참조
Guaranteed b/w QoS 속성의 하나로 보장 대역폭을 표시. 범위는 2 ~ 160 Mbps
Maximum b/w QoS 속성의 하나로 최대 사용 대역폭을 표시. 범위는 상동
Queue number QoS를 위해 사용될 큐의 개수, 범위는 0 ~ 3
From interface index COT 또는 RT-R과 같은 중간 노드에서의 유입 인터페이스 인덱스의 집합.
To interface index COT 또는 RT-R과 같은 중간 노드에서의 유출 인터페이스 인덱스의 집합.
Status VC에 포함된 인터페이스의 동작 상태. enable 또는 disable
속성 설명
Group identifier VCAT 그룹 식별자. 하나의 장비에 총 8개의 논리적인 VCAT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며, VCAT 유형의 인터페이스 인덱스로 표시
Source port list VCAT 모듈 안에서 관리되는 가상 VC 인터페이스 인덱스 목록
Destination port list VC12 또는 VC3 유형의 VC 인터페이스 인덱스 목록
Port type VC 인터페이스 인덱스의 유형. VC12 또는 VC3
LCAS mode 하나의 VCAT 내에 특정 인터페이스 인덱스 장애가 발생한 경우의 복구 메커니즘. STATIC, DYNAMIC 또는 DISABLE로 표시
Status VCAT 인터페이스의 동작 상태. enable 또는 disable
본 발명에 따른 각 설정 클래스 객체는 설정에 필요한 속성뿐만 아니라 TDM Link/VC/VLAN 의 스펙 속성을 생성, 변경, 삭제, 조회하기 위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다음과 같은 구성을 지닌다. 즉, 스펙 속성 객체를 생성하며 객체마다 고유한 식별자를 할당하기 위한 생성(add)부, 상기 스펙 속성 객체를 삭제하며 삭제된 객체의 식별자는 재사용하기 위한 삭제(remove)부, 속성 객체 값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modify)부 및 전체 스펙 속성 객체의 목록을 반환하거나 특정 인덱스(이름, 식별자, 인터페이스 번호 등)를 통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조회(get)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망에서의 연결 설정은 다양한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의된 연결 설정 정보 모델은 종단간 연결 서비스의 유형에 따라 연결 설정 정보 객체도 다양하게 생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TDM Link, VC, VLAN 정보 객체로 분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DM Link 정보 객체는 인접한 두 노드간의 STM-1/4/16/64 연결 서비스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가상채널 정보 객체는 종단간 DS1 또는 DS3 연결 서비스에 필요한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VLAN 연결 서비스는 EOS 연동 서비스로서 다중의 Ethernet 인터페이스를 임의 개수의 SONET 논리 채널(2Mbps-VC12 또는 45Mbps-VC3)과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VLAN 객체는 종단간 VLAN 연결 설정에 필요한 속성을 정의한다.
여기서, 각 연결 서비스 정보 객체는 해당 관리자 객체에 의해 관리되며, 연결 서비스 정보가 반영될 대상 노드와 대상 인터페이스 객체를 참조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할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리포트 정보 모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포트 정보 모델에 의하여 노드로부터 발생되는 보고 메시 지는 성능 보고, 이벤트 보고, 오류 보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할 때, 상기 리포트 정보 객체는 세 가지 유형의 보고에 포함되는 속성 외에 발생 노드 IP 주소, 발생 인터페이스 번호, 발생 시간 등의 속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상기 보고 메시지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오류, 이벤트, 성능 보고 순으로 우선순위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모든 정보 객체들은 속성을 검색, 추가, 삭제하기 위한 기능을 공통적으로 제공하여 객체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하며, 모든 관리자 객체는 자신이 관리하는 대상 객체의 목록 유지, 생성, 변경, 삭제 기능을 제공한다. 대상 정보 객체의 인스턴스는 고유한 식별자를 관리자로부터 할당 받으며 객체의 라이프 사이클 동안 유지된다.
순서도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은 기존 종래 EMS가 제공하던 장비별 설정 기능을 뛰어넘어 망 차원의 종단간 연결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되거나 생성된 토폴로지 정보 및 연결 설정 정보를 영구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하며, 종단간 연결 설정시 발생되는 장비의 오류에 대비하여 롤백 기능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5a 및 도 5b에서는 토폴로지 빌더부의 동작을 설명하고, 도 6a 내지 도 6d에서는 설정 서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폴로지 빌더부의 동작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5a는 토폴로지 빌더부의 동작을 설명한 순서도이고, 도 5b는 이를 상세히 나타난 순서도이다.
토폴로지 빌더부(Topology Builder)(130)는 대상 관리망(170)의 토폴로지 정보를 파악하여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에 등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은 토폴로지 빌더부(130)를 통해 관리망의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 등의 구성 정보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이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시각적인 맵 형태로 도시할 수 있다. 이하, 도 5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다른 토폴로지 빌더부의 동작 절차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 5b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S500에서 토폴로지 빌더부(130)는 조회를 시작할 첫번째 노드의 IP 주소(이를 Seed 주소로 인식)를 입력 받고, 단계 S505에서 조회를 시작하며, 이때 상기 Seed 주소로 조회되는 노드는 COT 타입의 노드이다. 단계 S510에서 COT 노드로 구성된 링의 서쪽(West) 방향을 따라 모든 COT 노드의 검색이 끝나면 각 노드별 인터페이스 정보를 조회한다. 단계 S515에서 노드로부터 인터페이스의 목록을 검색한 후 차례로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할 때, 각 인터페이스가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연결을 맺고 있는 peer 노드의 주소가 있는지 검사한 후 주소가 존재하면 해당 노드의 정보를 검색한다. 단계 S520에서 모든 노드의 인터페이스 정보에 대한 수집이 완료되면 발견된 노드들 간의 연결 관계를 파악하여 링크 정보를 작성한다.
망 노드로부터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토폴로지 빌더부(130)는 코바(CORBA) 게이트웨이와 통신하고, 발견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와 통신한다. 상기 동작은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이 처음으로 관리망에 적용될 때 수행되며, 이후 망 구성이 변경되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망의 서비스 연결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정 서버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설정 서버부(11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며, 단계 S600에서, 상기 제어 명령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판단 결과,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TDM 링크 설정인 경우, 단계 S610으로 진행하고, TDM 링크 변경인 경우, 단계 S62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 명령이 TDM 링크 해제 인 경우, 단계 S630으로 진행하고, VC 설정인 경우, 단계 S64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 명령이 VC 변경인 경우, 단계 S650으로 진행하고, VC 해제인 경우, 단계 S660으로 진행하며, VLAN 설정인 경우, 단계 S670으로 진행한다. 제어 명령이 VLAN 변경인 경우, 단계 S680으로 진행하고, VLAN 해제인 경우, 단계 S690으로 진행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 명령이 상기 TDM 링크 설정인 경우, 단계 S610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TDM 링크 설정을 수행한다. 단계 S611에서, 상기 링크가 미리 설정(enforce)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 단계 S612에서, 상기 코바 게이트웨이에 송신한 코바 게이트웨이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 계 S613에서, 새로운 TDM 링크 설정하고, 단계 S614에서, 노드 인터페이스 속성을 변경한다. 그리고 단계 S615에서, TDM 링크 객체의 동작 상태(status)를 미리 지정된 상태(예를 들면, 'ENFORCED')로 변경한다.
상기 제어 명령이 TDM 링크 변경인 경우, 단계 S620으로 진행하여 TDM 링크 변경을 수행한다. 단계 S621에서, 상기 링크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S622에서, 코바 게이트웨이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 S623에서, 이전의 TDM 링크를 파악하고, 단계 S624에서, TDM 링크가 변경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TDM 링크가 성공적으로 변경되면, 단계 S614에서, 노드 인터페이스 속성을 변경한다. 그리고 단계 S615에서, TDM 링크 객체의 동작 상태(status)를 변경한다. 그리고 TDM 링크 변경에 실패하면, 단계 S626에서, 이전 TDM 링크로 복구한다.
제어 명령이 TDM 링크 해제인 경우, 단계 S630으로 진행하여, TDM 링크를 해제한다. 먼저, 단계 S631에서, 이미 TDM 링크가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S632에서, TDM 링크 해제를 위한 코바 게이트웨이 메시지를 생성한다. 단계 S633에서, 이전 TDM 링크를 파악하고, 단계 S634에서, 상기 메시지의 상태값을 'disabled'로 변경한다. 단계 S635에서, 변경된 TDM 링크를 설정하고, 단계 S636에서, 노드 인터페이스 속성을 변경한다. 그리고 단계 S637에서, VC 객체의 동작 상태를 미리 설정된 상태(예를 들면 'SAVED')로 변경한다.
이하,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 명령이 VC 설정인 경우, 단계 S64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41에서, 상기 VC 설정이 이미 실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되지 아니한 경우, 단계 S642에서, 각 VC 스펙의 인터페이스 인덱스가 모두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두 사용 가능한 경우, 단계 S643에서, 미리 설정된 테이블(예를 들면, 크로스 커넥션 테이블, 이하, 크로스 커넥션 테이블이라 칭함)에 엔트리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S645에서, 노드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변경하고 단계 S646에서, 상기 VC 객체의 동작 상태를 미리 지정된 상태(예를 들면, 'ENFORCED')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 명령이 VC 변경인 경우, 단계 S650으로 진행한다. 먼저, 단계 S651에서, 상기 VC 변경이 이미 실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단계 S652에서, 코바 게이트웨이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S653에서, 크로스 커넥션 테이블의 설정을 파악하고, 단계 S654에서, VC 변경을 수행한다. 상기 VC 변경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면, 단계 S645에서, 노드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변경한다. 그리고 단계 S646에서, 상기 VC 객체의 동작 상태를 미리 지정된 상태(예를 들면, 'ENFORCED')로 변경한다. 상기 VC 변경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단계 S656에서, 이전의 크로스 커넥션 테이블의 설정을 복구한다.
제어 명령이 VC 해제인 경우, 단계 S660으로 진행한다. 먼저, 단계 S661에서, 상기 VC 해제가 이미 실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실행된 상태가 아닌 경우, 단계 S662에서, 각 VC 스펙의 인터페이스 인덱스가 모두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두 사용 가능한 경우, 단계 S663에서, 크로스 커넥션 테이블에서 엔트리를 삭제한다. 그리고 단계 S664에서, 노드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변경하고, 단계 S665에서, 상기 VC 객체의 동작 상태를 미리 지정된 상태(예를 들면, 'SAVED')로 변경한다.
이하, 도 6d를 참조하면, 제어 명령이 VLAN 설정인 경우, 단계 S670으로 진행한다. 먼저, 단계 S671에서, 상기 VLAN 설정이 이미 실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되지 아니한 경우, 단계 S672에서, 코바 게이트웨이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S673에서, 새로운 VLAN으로 설정하고, 단계 S674에서, 노드 인터페이스 속성을 변경하고, 단계 S675에서, VLAN 객체의 설정 동작 상태를 미리 지정된 상태(예를 들면, 'ENFORCED')로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 명령이 VLAN 변경인 경우, 단계 S680으로 진행한다. 먼저, 단계 S681에서, 상기 VLAN 설정이 이미 실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되지 아니한 경우, 단계 S682에서, 코바 게이트웨이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S683에서, 변경된 VLAN으로 설정하고, 단계 S674에서, 노드 인터페이스 속성을 변경하고, 단계 S675에서, VLAN 객체의 설정 동작 상태를 미리 지정된 상태(예를 들면, 'ENFORCED')로 변경한다.
VLAN 해제인 경우, 단계 S690으로 진행한다. 먼저, 단계 S690에서, 상기 VLAN 설정이 이미 실행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되지 아니한 경우, 단계 S692에서, 코바 게이트웨이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S693에서, VLAN 설정을 취소하고, 단계 S694에서, 노드 인터페이스 속성을 변경하고, 단계 S695에서, VLAN 객체의 설정 동작 상태를 미리 지정된 상태(예를 들면, 'SAVED')로 변경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및 구현 모델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설정 정보의 설정, 변경, 해제 및 관리는 미리 설정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설정 시스템도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며, 바람직한 구현예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50)는 CORBA 연동을 통해서 설정 서버부(110)와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와 정보를 공유하거나 실제 장비에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한다. 관리자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서 객체를 생성하려면 객체를 관리하는 관리자 객체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객체를 생성해서 구성 요소를 설정한 후에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100)와의 연동을 시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100)의 대역폭 설정은 2Mbyte 단위로 구현되며, 서비스 중지없이 이러한 대역폭이 조정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상기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100)의 연동과 관련된 명령어는 Save, Edit, Delete, Enforce, Modify, withdraw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Save, Edit, Delete 의 경우는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와의 연동과 관련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Enforce, Withdraw, Modify의 경우는 설정 서버부(110)와 연동해서 실제 장비에 적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Save, Edit 경우는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와 연동해서 설정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먼저, 관리자 객체를 통해서 객체를 생성한 후, 상기 객체의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하고, 생성된 객체를 관리하기 쉽도록 해당 객체를 관리자 객체에 등록한다.
그리고 Delete 경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와 연동해서 설정된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삭제할 객체를 선택하고, 상기 관리자 객체에서 해당 객체를 삭제하도록 구성된다.
Enforce, Modify인 경우, 설정된 정보를 설정 서버부(110)를 통해 장비에 적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관리자 객체를 통해서 객체를 생성하고, 객체의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생성된 객체의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 서버부(110)와 연동해서 장비에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Withdraw 경우, 설정 서버부(110)를 통해 장비에 설정된 정보를 삭제하기 위해 withdraw할 객체를 선택하고, 장비에서 객체에 대한 설정을 삭제한다. 여기서, Withdraw의 경우, TDM 링크, VC 및 VLAN 등 각 설정 정보를 Withdraw하더라도 설정 정보는 완전히 삭제되지 아니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소정 부분에 저장되며, 이후 설정을 위한 다시 참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a와 도 7b에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설명하기로 하고,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VLAN 연결 서비스 정보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망 관리자는 도 7a와 같이 시각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그래픽 유 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망 토폴로지 구성을 파악하고 종단간의 DS1/DS3/VLAN 연결 설정 정보를 작성하여 망에 반영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우측 토폴로지 맵 창(710)은 테스트 베드로부터 수집된 토폴로지 정보를 바탕으로 구성한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 정보를 표시한다. 토폴로지 맵(710)을 통해 사용자는 특정 노드의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 및 상태를 검색하고 도 7b와 같은 종단간 연결 설정 정보를 작성하여 망에 반영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두 개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좌측 화면(750)은 새로운 연결 설정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VLAN 연결 설정 마법사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Ethernet 인터페이스의 목록과 VCG(Virtual Concatenated Group) 목록을 통해 현재 사용 중인 인터페이스 및 가용 대역폭을 파악하고 새로운 VLAN 설정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화면(760)은 VCG 편집 화면으로서 이를 통해 2.176Mbps-VT(Virtual Tributary)2 속도의 SONET 가상 채널 그룹을 임의대로 작성하여 원하는 대역폭을 얻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시스템의 구현 환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정 서버부(110),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 및 토폴로지 빌더부(130) 등은 Solaris OS 기반 PC의 MICO CORBA 플랫폼 상에서 구현할 수 있고, 각 서버 모듈들은 CORBA IDL 인터페이스로 정의되었으며, MICO IDL-to-C++ 컴파일러를 통해 프로그래밍 코드를 얻고 GNU C/C++ 컴파일러 및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영구저장 데이터베이스(140)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120)와 영구저장 데이터베이스(140) 간의 연동을 위해 Unix-ODBC 개발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에이전트는 Windows 2000 기반의 PC 상에서 Visual C++ 및 Java JDK 개발 도구를 이용해 구현할 수 있고, CORBA Gateway는 C++ 언어로, SNMP 에이전트는 Java 언어로 구현할 수 있으며, 두 모듈 간에는 Socket 통신을 통해 메시지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GUI 기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는 이식성(portability)을 위해 Java JDK를 이용한 Java 응용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백본링은 COT 장비로 구축하고, RT 노드는 각 COT 장비를 중심으로 연결된 다수의 RT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은 상기 대상 관리망에 포함된 많은 종류의 각종 장비에 대한 멀티벤더 (Multi-Vendor) 지원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는 망의 서비스 연결(connection) 정보를 편리하게 설정, 해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망관리 영역 중에서 종단간(end-to-end) 연결 서비스를 설정하고 해제하는 망 설정 관리와 장애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S1, DS3, Ethernet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를 SONET/SDH 망을 통해 end-to-end로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생성, 편집, 삭제하는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망 토폴로지 및 자원 검색 기능, 트랩 리포트 처리 기능 등 망 서비스 연결 정보 관리 및 상태 확인을 위한 제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망 토폴로지 정보 및 서비스 연결 정보를 기술하기 위한 객체 지향 모델 설계, 망 토폴로지 정보 검색 알고리즘, 서비스 연결 정보의 설정 및 해제 알고리즘을 기술하고 세부 모듈 별 기능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에 있어서,
    다중 플랫폼으로 동작하는 복수개의 망 장비를 포함하는 대상 관리망;
    상기 대상 관리망과 결합되며, 수신한 설정 정보를 상기 망 장비에 반영하거나, 상기 망 장비로부터의 보고 메시지를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프록시 에이전트;
    미리 설정된 망관리 정보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프록시 에이전트로 통하여 상기 대상 관리망의 서비스 연결 정보를 설정, 해제 및 관리하기 위한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 서비스 설정 서버는,
    연결 설정 정보 바탕으로 상기 망 장비와의 실제 연결을 설정, 변경, 해제하되, 미리 설정된 백본링을 통해 대상 관리망의 노드 종단에서 이루어지며, 종단 및 중간 노드들에 대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을 설정, 변경 및 해제하며, 연결 설정 도중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롤백(roll-back) 기능을 통해 오류 발생 직전에 설정된 노드의 설정 정보로 복원하기 위한 설정 서버부;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를 포함하는 토폴로지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상기 백본링을 구성하는 노드 중 하나의 IP 주소를 입력받아, 상기 IP 주소를 이용하여 토폴로지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토폴로지 빌더부;
    상기 토폴로지 빌더부로부터 새로운 노드, 인터페이스, 링크 객체의 생성 요 구가 발생하면, 토폴로지 정보 객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설정 정보 관리 서버;
    망 설정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가 재기동될 때 종료되기 이전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가 제공하는 토폴로지 정보를 바탕으로 시각적인 망 구성도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는,
    망 토폴로지를 구성하고 연결 서비스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부, 설정 서버부 및 토폴로지 빌더부가 공유하는 정보들이 중복 관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는,
    토폴로지 정보 및 연결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복수개의 관리자 객체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관리자 객체는 노드 관리자, 인터페이스 관리자, 링크 관리자, TDM 링크 관리자, VC 관리자, VLAN 관리자 및 MPLS 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폴로지 빌더부는,
    상기 대상 관리망에 포함되는 백본링을 구성하는 노드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에게 노드 객체의 생성을 요구하는 노드 객체 생성 요구부;
    상기 백본링을 따라 상기 노드에 대한 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각 노드별 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정부 수집부;
    상기 수집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 정보 관리 서버부에게 인터페이스 객체의 생성을 요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객체 생성 요구부;
    상기 노드별 인터페이스 정보 수집 중에 피어(peer)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관리망에 포함되는 RT 노드를 검색하고, 상기 RT 노드에 상응하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RT 노드 객체 생성부; 및
    노드 및 인터페이스 정보 검색이 완료되면, 상기 노드 간의 연결 정보를 분석하여 링크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링크 객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서버부는,
    연결 서비스 설정 정보를 망 노드에 반영하기 위한 설정부;
    상기 노드에 반영된 설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부; 및
    상기 망 노드로부터 설정 정보를 해제하기 위한 철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에이전트는,
    미리 설정된 게이트웨이 및 에이전트를 포함하며,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노드의 정보 조회 및 설정을 위하여 상기 대상 관리망의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에이전트와 송수신하기 위한 메시지를 코바 메시지로 상호 변환함으로써, 상기 대상 관리망에 포함된 장비에 대한 멀티벤더 지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관리망은
    COT 장비로 구성된 백본링 토폴로지 및 상기 COT 장비를 중심으로 연결된 다수의 RT 장비로 구성된 스타 토폴로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대상 관리망에 포함된 장비에 대한 멀티벤더 지원이 가능한 것을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망관리 정보 모델은 토폴로지 클래스 모델 및 설정 클래스 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토폴로지 클래스 모델은 상기 망을 구성하는 노드클래스 객체와 노드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클래스 객체 및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 클래스 객체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클래스 모델은 노드 종단 또는 노드 그룹 간의 연결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Link, VC(Virtual Channel), VLAN(Virtual LAN) 클래스 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장치.
KR1020040014082A 2004-03-02 2004-03-02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장치 KR10062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082A KR100623261B1 (ko) 2004-03-02 2004-03-02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082A KR100623261B1 (ko) 2004-03-02 2004-03-02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677A KR20050088677A (ko) 2005-09-07
KR100623261B1 true KR100623261B1 (ko) 2006-09-18

Family

ID=3727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082A KR100623261B1 (ko) 2004-03-02 2004-03-02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089B1 (ko) * 2006-02-24 2007-08-21 에스넷시스템(주) 고객 서비스 기반의 다중 서비스 지원 플랫폼 기반망의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521362B1 (ko) * 2018-08-29 2023-04-12 주식회사 케이티 전송망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을 이용한 전송망 대량 회선 재배치 장치 및 방법
KR102688464B1 (ko) * 2019-09-27 2024-07-24 주식회사 케이티 네트워크 설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677A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2758B2 (en) Dynamic bandwidth management using signaling protocol and virtual concatenation
US6052722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resources using distributed intelligence and state management
US7016379B2 (en) Integrated network element
US6891793B1 (en) Network system
US8929735B2 (en) Dynamic trail termination point creation for optical transport networks
US71708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topology provisioning for SONET networks
Ryoo et al. Ethernet ring protection for carrier ethernet networks
US7002907B1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ic equipment provisioning for SONET networks
US70580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end-to-end path provisioning for SONET networks
EP1463235B1 (en) OSPF monitor and monitoring process
CN101394310B (zh) 一种构建管理通信网和信令通信网的装置和方法
US20030035411A1 (en) Service discovery using a user device interface to an optical transport network
KR100623261B1 (ko) 다중서비스지원플랫폼의 종단간 서비스 연결 설정 방법 및장치
Cisco S Commands
CN201388200Y (zh) 多业务接入sdh光传输设备
Cisco S Commands
Cisco S Commands
Cisco S Commands
Cisco S Commands
Cisco Overview
JP2005198293A (ja) 一対多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イーサーネットオーバーソネット拡張装置
Cisco Overview
Cisco Cisco ONS 15454 SDH Product Overview, Release 3.3
Cisco Cisco MGX 8850 Routing Switch Command Reference Release 2 September 2000
US6970428B1 (en) Apparatus using in-band type acc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