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2421B1 - 차량의 시트벨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421B1
KR100622421B1 KR1020040074181A KR20040074181A KR100622421B1 KR 100622421 B1 KR100622421 B1 KR 100622421B1 KR 1020040074181 A KR1020040074181 A KR 1020040074181A KR 20040074181 A KR20040074181 A KR 20040074181A KR 100622421 B1 KR100622421 B1 KR 10062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occupant
vehicle
retractor
seat be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393A (ko
Inventor
강동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4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42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는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몸을 감싸 상기 시트에 탑승자를 안착시키는 웨빙과; 상기 웨빙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웨빙을 권입하는 2개의 리트랙터와; 상기 웨빙의 착용 시 적어도 하나는 탑승자의 머리 측에 위치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탑승자의 복부 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벨트와; 상기 웨빙이 관통되고, 상기 복수개의 쿠션 사이에 위치되는 텅과; 상기 차량의 실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텅이 탈/장착되는 버클과;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에어벨트를 작동시키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설치 위치가 구분된 복수개의 에어벨트 중 하나는 탑승자의 머리 측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를 탑승자의 복부 측에 설치함으로서 웨빙의 양단에 설치되는 리트랙터의 권입력을 균등하게 분배할 뿐만 아니라 균등한 권입력을 갖는 리트랙터가 설치되기 때문에 시트벨트의 착용 시 탑승자에게 과다한 압박감을 주지 않고, 탑승자의 시트벨트 착용에 대한 거부감을 줄임으로서 시트벨트의 착용율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벨트{Seat belt of automobi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벨트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벨트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 : 웨빙 30, 35 : 리트랙터
40 : 텅 50 : 버클
60 : 디링 65 : 가이드
70 : 센터필러 80 : 에어벨트
82 : 인플레이터 84 : 쿠션
86 : 튜브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에어벨트를 웨빙에 분리하여 설치함으로서 균등한 권입력을 갖는 리트랙터를 설치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에는 차량의 충돌 또는 전복 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 벨트(seat belt)가 설치되고, 상기 시트벨트는 탑승자의 몸을 감싸는 웨빙(webbing, 1)과, 상기 웨빙(1)을 팽팽하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웨빙(1)을 권입하는 리트랙터(2)(8)와, 차량의 실내에 고정되어 상기 웨빙(1)이 탑승자의 어깨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웨빙(1)의 방향을 가이드하는 디링(D-ring, 3)과, 상기 웨빙(1)의 중간에 위치되어 차량의 실내에 고정된 버클(4)과, 상기 웨빙(1)에 장착되어 상기 버클(4)과 결합되는 텅(tongue, 5)과, 상기 웨빙(1)에 고정되어 차량의 충돌 시 전개되는 에어벨트(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트랙터(2)(8) 중 하나는 차량의 센터필러(6) 내부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웨빙(1)의 양단은 상기 리트랙터(2)(8)에 고정되며, 상기 웨빙(1)은 상기 리트랙터(2)(8)에 의해 권입된다.
상기 에어벨트(7)는 차량의 충돌 시 차량에 설치된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에어벨트(7)는 상기 웨빙(1)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웨빙(1)의 권입 시 상기 웨빙(1)과 함께 이동된다.
한편, 종래 에어벨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쿠션(7a)(7b)이 구비 되고, 상기 각 쿠션(7a)(7b)은 차량의 충돌 시 전개되어 탑승자를 보호한다.
여기서 상기 쿠션 중 하나(7a)는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7b)는 탑승자의 가슴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시트벨트는 상기 쿠션(7a)(7b)이 어깨 웨빙(1a)에 장착되고, 상기 리트랙터(2)(8) 중 어깨 웨빙(1a)을 주로 감는 리트랙터(2)에 의해 권입되기 때문에 상기 리트랙터(2)에 상당한 크기의 권입력이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시트벨트는 상기 쿠션(7a)(7b)을 권입하기 위해 설치된 리트랙터(2)의 권입력이 크기 때문에 웨빙(1)을 권입하는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할 경우 상기 리트랙터(2)의 권입력에 의해 상당한 압박감을 받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리트랙터 중 어느 하나의 리트랙터 권입력이 강할 경우 탑승자는 상술한 압박감에 의해 시트벨트의 착용을 꺼리게 되고, 차량의 충돌 시 더 큰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웨빙에 에어벨트의 복수개 쿠션이 설치된 경우 상기 쿠션을 각각 분리하여 설치하고, 각각의 분리된 쿠션쪽에 리트랙터를 설치하여 웨빙을 보다 균일하게 권입함과 아울러 탑승자에게 압박을 가하지 않는 차량의 시트벨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는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몸을 감싸 상기 시트에 탑승자를 안착시키는 웨빙과; 상기 웨빙의 착용 시 적어도 하나는 탑승자의 머리 측에 위치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탑승자의 복부 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벨트와; 상기 웨빙이 관통되고, 상기 복수개의 쿠션 사이에 위치되는 텅과; 상기 차량의 실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텅이 탈/장착되는 버클과;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에어벨트를 작동시키는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웨빙의 양단에 고정되어 동일한 권입력을 갖으며 상기 웨빙을 권입하는 2개의 리트랙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벨트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벨트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는 시트(100)에 착석한 탑승자를 시트(100)에 안착시켜 차량의 충돌 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벨트는 탑승자를 감싸는 웨빙(20)과, 상기 웨빙(20)의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웨빙(20)을 권입하는 복수개의 리트랙터(30)(35)와, 상기 웨빙(20)이 관통되어 상기 웨빙(20)을 따라 이동되는 텅(40)과, 상기 텅(40)이 탈/장착되는 버클(50)과, 상기 웨빙(20)에 장착되어 차량의 충돌 시 전개되는 복수개의 에어벨트(80)와, 상기 리트랙터(30)로 상기 웨빙(20)이 안내되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디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트랙터(30)(35)는 상기 웨빙(20)을 권입하도록 상기 웨빙(20)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리트랙터 중 하나(30)는 센터필러(7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트랙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차량의 실내(35)에 설치된다.
상기 웨빙(20)의 일단(20a)은 상기 센터필러(70)를 관통하여 상기 리트랙터(30)에 의해 권/출입되며, 상기 센터필러(70) 외측에는 상기 권/출입되는 웨빙(20)을 안내하는 디링(6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리트랙터(30)는 상기 웨빙(20)에 소정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웨빙(20)을 권입하는 장치이고, 상기 리트랙터(30)는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웨빙(20)이 급격히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더불어 상기 센터필러(70)에는 상기 웨빙(2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65)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65)는 상기 웨빙(20)의 이동경로가 탑승자의 머리 옆 측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가이드(65)는 상기 센터필러(70)에서 힌지 연결되어 설치됨으로서 상기 웨빙(20)의 이동 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웨빙(20)에는 차량의 충돌 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복수개의 에어벨트(80)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벨트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미도시)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82)와, 상기 웨빙(20)에 폴딩되어 고정되는 쿠션(84)과,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고압의 가스를 상기 쿠션(84)으로 안내하는 튜브(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웨빙(20)에 폴딩되는 쿠션(84)은 탑승자의 체격조건에 의한 상기 웨빙(20)의 안출량에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82)에 의한 전개시 큰 부피를 갖는 상기 쿠션(84)을 수 겹으로 접어 전개되기 전에는 작은 부피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탑승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를 착용할 경우 탑승자의 머리 옆 측에서 권출되는 상기 웨빙(20)은 상기 디링(60)을 통과한 후 상기 가이드(65)를 통과하면서 시트벨트의 착용이 이루어지고, 상기 웨빙(20)에 고정된 에어벨트(8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링(60)과 상기 가이드(65) 사이에 위치되어 차량의 충돌 시 상기 탑승자의 머리 옆에서 전개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벨트(80)의 쿠션(84) 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탑승자의 복부 측에 위치되어 차량의 충돌 시 탑승자의 복부를 보호하도록 전개된다
상기 인플레이터(82)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감지된 충돌신호를 전달받아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가스는 상기 튜브(86)를 통해 상기 쿠션(84)에 공급되며, 상기 쿠션(84)은 상기 고압 가스에 의해 폴딩된 부분이 펼쳐지면서 급격히 전개됨으로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삭제
삭제
특히 상기 튜브(86)는 상기 웨빙(20)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쿠션(84)에 고압의 가스를 전달한다.
더불어 상기 쿠션(84)은 상기 웨빙(20)의 외측에 고정되되, 수 겹으로 폴딩되어 상기 고압 가스가 공급될 경우 상기 폴딩된 부분이 펼쳐지면서 일 방향으로 전개된다.
그리고 상기 텅(40)에는 상기 웨빙(20)이 관통되되, 상기 쿠션(84)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웨빙(2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에 설치된 에어벨트의 작동과정을 도 4를 중심으로 살며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탑승자는 시트(100)에 착석 한 후 상기 텅(40)을 버클(50)에 결합시킴으로서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웨빙(20)에 설치된 텅(40)의 상측 부분은 탑승자의 어깨부분을 감싸 고정시키고, 상기 텅(40)의 하측부분은 탑승자의 무릎 또는 복부부분을 감싸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웨빙(20)에 고정된 상기 에어벨트(80)의 쿠션(84)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 시 상기 디링(60)과 상기 가이드(65)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에어벨트(80)의 쿠션(84) 중 나머지 하나는 탑승자의 무릎 또는 복부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착용된 시트벨트는 웨빙(20)을 통해 탑승자를 시트(100)에 안착시키고, 상기 탑승자를 눌러주는 상기 웨빙(20)의 힘은 상기 리트랙터(30)(35)로부터 제공된다.
이때, 상기 탑승자의 어깨 및 무른 또는 복부 부분을 눌러주는 웨빙(20)은 거의 동일한 권입력을 제공하는 리트랙터(30)(35)에 의해 권입되기 때문에 어느 한 쪽만을 특별히 압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웨빙(20)에 분리 설치된 상기 쿠션(84)의 자중은 어느 한 쪽의 리트랙터(30)(35)에 치우쳐 가중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웨빙(20)의 양측에 설치된 각 리트랙터(30)(35)에 의해 균일하게 권입된다.
그리고 차량이 충돌 또는 전복되는 사고를 당할 경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차량의 사고를 감지하고, 작동 조건이 충분할 경우 상기 에어벨트(8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탑승자의 머리 옆 측에 위치되는 에어벨트(80)의 쿠션(84)은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전개되고, 상기 탑승자의 무릎 또는 복부 측에 위치되는 에어벨트(80)의 쿠션(84)은 탑승자의 복부 또는 무릎 등을 보호하기 위해 전개된다.
특히, 상기 탑승자의 머리 측에서 전개되는 쿠션(84)은 차량의 측면에서 발생되는 충돌 시 탑승자의 머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벨트(80)의 쿠션(84)은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제어에 따라 각각 작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차량에 측면충돌을 감지하는 측면충돌센서와 정면충돌을 감지할 수 있는 정면충돌센서를 장착한다.
상기 측면충돌센서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측면인플레이터(미도시)를 측면튜브(미도시)를 이용하여 탑승자의 머리 측에 위치된 쿠션(84)과 연결한다.
상기 정면충돌센서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정면인플레이터(미도시)를 정면튜브(미도시)를이용하여 복부 측에 위치된 쿠션(84)과 연결한다.
그래서 차량의 충돌이 전면에서 발생된 경우 탑승자의 머리 측에 위치된 쿠션(84)은 전개되지 않고, 복부 측에 위치된 쿠션(84) 만이 전개되며, 차량의 충돌이 측면에서 발생된 경우 상기 머리 측 쿠션(84)만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벨트는 복수개의 에어벨트 설치 위치를 구분하여 하나는 탑승자의 머리 측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를 탑승자의 복부 측에 설치함으로서 웨빙의 양단에 설치되는 리트랙터의 권입력을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벨트는 균등한 권입력을 갖는 리트랙터 가 설치되기 때문에 시트벨트의 착용 시 탑승자에게 과다한 압박감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시트벨트 착용에 대한 거부감을 줄임으로서 시트벨트의 착용율을 증가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벨트는 어느 한 쪽의 리트랙터가 과도한 권입력을 갖지 않기 때문에 상기 웨빙의 권입이 종래에 비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몸을 감싸 상기 시트에 탑승자를 안착시키는 웨빙과;
    상기 웨빙의 착용 시 적어도 하나는 탑승자의 머리 측에 위치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탑승자의 복부 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벨트와;
    상기 웨빙이 관통되고, 상기 복수개의 쿠션 사이에 위치되는 텅과;
    상기 차량의 실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텅이 탈/장착되는 버클과;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에어벨트를 작동시키는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웨빙의 양단에 고정되어 동일한 권입력을 갖으며 상기 웨빙을 권입하는 2개의 리트랙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실내 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쿠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탑승자의 머리 옆에 위치되도록 상기 웨빙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벨트.
KR1020040074181A 2004-09-16 2004-09-16 차량의 시트벨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62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181A KR100622421B1 (ko) 2004-09-16 2004-09-16 차량의 시트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181A KR100622421B1 (ko) 2004-09-16 2004-09-16 차량의 시트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93A KR20060025393A (ko) 2006-03-21
KR100622421B1 true KR100622421B1 (ko) 2006-09-19

Family

ID=3713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1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2421B1 (ko) 2004-09-16 2004-09-16 차량의 시트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0232B2 (en) * 2019-10-31 2022-07-19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Vehicle safety systems including inflatable seatbelt restra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93A (ko) 200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641B2 (en) Inflatable seat belt system
JP4621281B2 (ja) シートベルトプリテンショナー
US8038170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US9346430B2 (en) Inflatable seatbelt
CN107284391B (zh) 乘员保护装置
CN111094077B (zh) 用于机动车的车辆座椅的安全气囊组件
US7905514B2 (en) Motor vehicle safety restraint system
CN102649415B (zh) 乘员保护装置
JP498680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EP1640223B1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KR100616008B1 (ko) 차량의 시트벨트
JP4458387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US8469396B2 (en) Restraint system with belt tensioner and airbag
JP2010105544A (ja) 乗員拘束装置
EP1745987B1 (en) Occupant restraint apparatus
US11590922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external tethering
US7004498B2 (en) Compact tethering system and method for an inflatable curtain
KR20120019622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622421B1 (ko) 차량의 시트벨트
JP4792935B2 (ja) 乗員拘束装置
KR100616003B1 (ko) 차량용 시트벨트 구조
KR102316656B1 (ko) 차량용 안전벨트
JP2011005910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7254757B2 (ja) 乗員拘束装置
KR100384031B1 (ko) 시트벨트 연동형 사이드 에어백 전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