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072B1 - Ornament case - Google Patents
Ornament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2072B1 KR100622072B1 KR1020040037498A KR20040037498A KR100622072B1 KR 100622072 B1 KR100622072 B1 KR 100622072B1 KR 1020040037498 A KR1020040037498 A KR 1020040037498A KR 20040037498 A KR20040037498 A KR 20040037498A KR 100622072 B1 KR100622072 B1 KR 1006220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opening
- upper cover
- cover
- deco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6—Jewel 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는 각종 액세서리, 노리게, 보석 및 그림 등의 장식물을 수납하는 케이스(100)에 있어서, 일측면에 개구부(111)를 형성시키고 그 개구부(111) 내부 테두리를 돌출되도록 걸림턱(113)을 형성시키면서 타측 단부에는 결합홈(114)을 형성시켜 밀착부재(150)를 내입시키며 외주연 양측으로 경첩(160)과 걸림고리(112)를 각각 결합시킨 상커버(110)와, 상기 상커버(110)의 경첩(16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외주연에는 걸림고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쇠(123)를 결합하여 상커버(110)의 개폐를 단속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에는 장식물(10)을 안착할 수 있도록 다단의 안착부(121)를 형성시킨 하커버(120)와, 상기 상커버(110)의 걸림턱(113)에 밀착되게 내부에 수납되어 상커버(110)의 개구부(111)를 막고 후면으로 상커버(110)에 접착되는 받침부재(140)에 의해 고정되는 투명창(130)으로 구성한다.The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100 for storing various accessories, ornaments, jewelry, and decorations such as, forming an opening 111 on one side and the locking jaw so as to project the inner edge of the opening 111 While forming the 113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14 to insert the close contact member 150, and the upper cover 110 to combine the hinge 160 and the locking ring 112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y, It is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by the hinge 160 of the top cover 110 and coupled to the locking ring 123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ring 112 on the outer periphery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op cover 110. At the same time, the lower cover 120 having a multi-stage mounting portion 121 formed thereon so as to seat the decoration 10 therein, and close to the engaging jaw 113 of the upper cover 110 therein. It is accommodated to block the opening 111 of the top cover 110 and the top cover 110 to the rear It consists of a transparent window 130 is fixed by the support member 140 is bonded to.
장식물, 케이스, 보관, 전시, 조명Decoration, case, storage, exhibition, light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portion of the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장식물 100 : 케이스10: ornament 100: case
110 : 상커버 111 : 개구부110: upper cover 111: opening
112 : 걸림고리 113 : 걸림턱112: jam hook 113: jam jaw
114 : 결합홈 120 : 하커버 114: coupling groove 120: lower cover
121 : 안착부 122 : 보강리브 121: seating portion 122: reinforcing rib
123 : 걸림쇠 124 : 조명등 123: brace 124: light
125 : 걸이공 130 : 투명창 125: hanger 130: transparent window
140 : 받침부 150 : 밀착부재 140: support portion 150: contact member
160 : 경첩 170 : 받침대160: hinge 170: pedestal
본 발명은 장식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액세서리 및 보석 등의 장식물을 전시 및 보관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장식물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장식물의 내부 배치를 효율적으로 공간 이동시킬 수있도록 하는 장식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v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facilitate the replacement of the decoration while displaying and storing various accessories and ornaments, such as jewelry, and at the same time can efficiently move the internal arrangement of the decoration. It is about a decorative case to make.
일반적인 액자는 유화(油畵) ·소묘(素描) ·수채화 ·판화 등의 회화작품을 끼워, 보존과 전시(展示), 이동을 위하여 쓰여지는 틀을 말하는 것으로서, 그림 이외에도 각종 증서나 문서 등의 표지를 틀의 내부에 표구하여 이를 전시 및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A general frame is a frame used for preservation, exhibition, and movement by inserting paintings such as oil paintings, drawings, watercolors, and prints, and covers various certificates and documents in addition to pictures. Mark the inside of the frame so that it can be displayed and enjoyed.
이러한, 액자는 장방형체로 이루어진 틀의 전면에 유리를 부착하고 후면으로는 틀 내부에 수납한 내용물이 퇴색, 방지, 방충 및 방습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판을 접착제나 기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틀의 후면에 영구히 고정시켜 사용하여 왔다.The frame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frame made of a rectangular body, the rear of the frame using an adhesive or other fixing means to prevent the contents stored in the frame from fading, preventing, insect repellent and moisture-proof It has been permanently fixed to it.
상기와 같은 전시를 주 목적으로 사용되는 액자 뿐만 아니라 보관의 목적을 두고 사용되는 보관함은 각종 고가의 내용물 즉, 보석, 액세서리 등의 일정한 크기나 부피를 갖고 있는 장식물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As well as the picture frame used for the main purpose of the exhib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box used for the purpose of storage is used for the purpose of safely storing various expensive contents, that is, ornaments having a certain size or volume such as jewelry and accessories.
이러한 보관함은, 대략 장방형체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함에 개폐가 가능한 커버를 부착하되 커버와 함에는 외부에서 내용물을 확인하는 별도의 확인창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The storage box is mad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dy and is attached to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box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but the cover and the box are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confirmation window for checking the contents from the outside.
이와 같은, 액자는 내용물을 수납한 틀에 판을 영구히 고정시키기 때문에 내용물을 한 번 표구하고 나면 내용물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the picture fram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contents once the contents because the plate is fixed permanently to the frame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또한, 보관함은 비교적 고가의 제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는 있으나 커버를 열어야만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어 전시효과를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torage box can safely store relatively expensive products, but the contents can only be checked by opening the cover, which does not have an exhibition effect.
더불어, 보관함은 내부에 수납하는 장식물을 보관시 자유로운 공간배치가 어려워 디스플레이를 효과적으로 이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storage box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reely arrange the storage space when storing the decorations to be stored therein, so that the display cannot be effectively implemented.
나아가. 장식물을 보관하는 보관함 및 액자는 벽걸이용이나 책상 안착용으로 구별되게 제작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방법에 있어 장소 적용에 유동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more. The storage box and the frame for storing the decoration have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flexibly for application in place because it is used and manufactured to be distinguished for wall mounting or desk seating.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각종 문서나 그림 및 일정크기를 갖는 장식물을 내부에 수납하되 외부에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에 개폐가 가능한 상커버를 설치하여 내용물의 교체를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물 케이스를 제공 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ommodate the various documents, pictures and decorations having a certain size inside, but to install the top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case to check the contents from the outside to easily and easily replace the contents Is to provide a decorative cas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물 케이스 내부에 안치되는 장식물의 공간배치를 자유롭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식물의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식물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orative case to improve the advertising effect of the decoration to be able to display the space arrangement of the decoration placed inside the decoration case freely.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식물을 수납한 케이스를 사용용도에 따라 벽이나 책상 등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장소 적용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식물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orative case tha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wall or desk, etc.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ase containing the decora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lace application sp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액세서리, 노리게, 보석 및 그림 등의 장식물을 수납하는 케이스(100)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일측면에 개구부(111)를 형성시키고 그 개구부(111) 내부 테두리를 돌출되도록 걸림턱(113)을 형성시키면서 타측 단부에는 결합홈(114)을 형성시켜 밀착부재(150)를 내입시키며 외주연 양측으로 경첩(160)과 걸림고리(112)를 각각 결합시킨 상커버(110)와, 상기 상커버(110)의 경첩(16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외주연에는 걸림고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쇠(123)를 결합하여 상커버(110)의 개폐를 단속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에는 장식물(10)을 안착할 수 있도록 다단의 안착부(121)를 형성시킨 하커버(120)와, 상기 상커버(110)의 걸림턱(113)에 밀착되게 내부에 수납되어 상커버(110)의 개구부(111)를 막고 후면으로 상커버(110)에 접착되는 받침부재(140)에 의해 고정되는 투명창(13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ning 111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또한, 케이스(100)의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물 케이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decorativ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의 후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use of the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portion of the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액세서리, 노리게, 보석 및 그림 등의 장식물을 수납하는 케이스(100)에 있어서,First, as shown in Figures 1 to 5, in the
일측면에 개구부(111)를 형성시키고 그 개구부(111) 내부 테두리를 돌출되도록 걸림턱(113)을 형성시키면서 타측 단부에는 결합홈(114)을 형성시켜 밀착부재(150)를 내입시키며 외주연 양측으로 경첩(160)과 걸림고리(112)를 각각 결합시킨 상커버(110)와, 상기 상커버(110)의 경첩(16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외주연에는 걸림고리(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쇠(123)를 결합하여 상커버(110)의 개폐를 단속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부에는 장식물(10)을 안착할 수 있도록 다단의 안착부(121)를 형성시킨 하커버(120)와, 상기 상커버(110)의 걸림턱(113)에 밀착되게 내부에 수납되어 상커버(110)의 개구부(111)를 막고 후면으로 상커버(110)에 접착되는 받침부(140)에 의해 고정되는 투명창(130)으로 구성한다.The opening 111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상기 케이스(100)의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shape of the
또한, 하커버(120)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안착부(121)를 다단으로 형성시키되 그 상하부의 좌,우측을 각각 대칭으로 돌출시켜 안착부(121)의 제일 상 하부에 중심부와 안착부(121)의 중간 부분에 장식물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나아가, 안착부(121)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다양한 빛을 조사시킬 수 있는 조명(124)등을 설치하여 장식물(10)의 시선 집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더불어, 상커버(110)와 하커버(120)는 사출성형으로 제작하되 하커버(120)의 중량을 줄이면서 강도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커버(120)를 동일한 두께로 사출한 다음 보강리브(122)를 방사형으로 일체로 형성시켜 하커버(120)의 중량을 줄이면서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하커버(120)의 후면 상부 중심에는 걸이공(125)을 형성시켜 장식물 케이스(100)를 벽면에 걸 경우 벽면에 고정된 못이나 나사를 통하여 벽면에 걸어둘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책상이나 탁상등에 장식물 케이스(100)를 올려 놓을 경우에는 장식물 케이스(100)의 외형과 동일한 홈을 갖는 받침대(170)에 장식물 케이스(100)를 안착시켜 벽면 또는 책상에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장식물 케이스(100)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forming a
이러한, 본 발명의 케이스(100)는 상커버(110)와 하커버(120)가 경첩(160)을 통해 한개 조로 결합시켜 장식물을 케이스(100) 내부에 수납하거나 이미 케이스(100) 내부에 수납하여 장식된 디스플레이의 공간배치 변화를 주기 위하여 상커버(110)를 하커버(120)에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또한, 상커버(110)의 걸림고리(112)를 회전시켜 하커버(120)의 걸림쇠(123)측에 관통되게 결합시킴으로써 상커버(110) 및 하커버(120)의 개페를 선택적으로 단속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나아가. 하커버(120)의 안착부(121)는 상,하방향에 다단으로 형성시켜 단수 및 복수개의 장식물(10)을 수납할 수 있는 동시에 배치공간을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Furthermore. The
이러한 장식물 케이스(100)는 투명창(130)을 통하여 외부에서도 하커버(120)의 안착부(121)에 배치된 단수 및 다수개의 장식물(10)을 용이하게 외부에서 확인 및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조명등(124)에 의해 장식물(10)의 이미지 컵셉에 따라 그에 맞는 다양한 색상을 은은하게 빛을 장식물(10)에 조사하여 장식물(10)의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켜 줌으로서 디스플레이의 효율성을 높이고 장식물(10)에서 감상자의 시선이 집중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Such a
또한, 케이스(100) 몸체(110)의 형상은 원형으로 국한 시키지 않고 다각형으로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구매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물 케이스는 각종 문서나 그림 및 일정크기를 갖는 장식물을 내부에 수납하되 외부에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에 개폐가 가능한 커버를 설치하여 내용물의 교체를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ecora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various documents, pictures and decorations having a certain size therein, but installs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case so that the contents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to easily and easily replace the contents.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또한, 장식물 케이스 내부에 안치되는 장식물의 공간배치를 자유롭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식물의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o improve the advertising effect of the decoration by allowing the display of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decoration placed inside the decoration case freely.
더불어, 장식물을 수납한 케이스를 사용용도에 따라 벽이나 책상등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장소적용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wall or desk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ase containing the decora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lace application space.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7498A KR100622072B1 (en) | 2004-05-25 | 2004-05-25 | Ornament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37498A KR100622072B1 (en) | 2004-05-25 | 2004-05-25 | Ornament ca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2418A KR20050112418A (en) | 2005-11-30 |
KR100622072B1 true KR100622072B1 (en) | 2006-09-08 |
Family
ID=3728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37498A KR100622072B1 (en) | 2004-05-25 | 2004-05-25 | Ornament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207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023Y1 (en) | 2008-10-31 | 2010-08-31 | 주식회사 제일조명 | Lighting case |
-
2004
- 2004-05-25 KR KR1020040037498A patent/KR10062207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023Y1 (en) | 2008-10-31 | 2010-08-31 | 주식회사 제일조명 | Lighting ca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12418A (en) | 2005-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551546S1 (en) | Food service container | |
USD862176S1 (en) | Container for kimchi | |
US5346125A (en) | Designer mailboxes with removable decorative side panels | |
US7000760B2 (en) | Jewelry box with a viewer | |
US6884081B1 (en) | Jewelry display and storage box with removable jewelry holding members and magnetic closure and magnetic stacking arrangement | |
KR100622072B1 (en) | Ornament case | |
USD503748S1 (en) | Sign support | |
US6709339B1 (en) | Quick exchange infinity mirro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 |
KR100620127B1 (en) | Ornament case | |
USD503749S1 (en) | Sign support base | |
KR101213536B1 (en) | Frame | |
KR200354286Y1 (en) | Ornament case | |
US20060169692A1 (en) | Frame lid and container assembly with frame lid | |
JP5329507B2 (en) | Small altar | |
KR101519605B1 (en) | A lighting lamp for decoration | |
JP7125584B2 (en) | Decorative case using lighting equipment and its function | |
JP3179704U (en) | Frame back cover | |
US11910944B2 (en) | Decorative mezuzah casing | |
JP3095602U (en) | Simple portable Buddhist altar | |
KR20110003819U (en) | Medal plate | |
KR200297717Y1 (en) | Custody case for decorations | |
KR101062445B1 (en) | Wall Mount Accessories | |
CA2976666A1 (en) | Ornamental structure for cremains container | |
KR200415930Y1 (en) | Acrylic box combined frame | |
JP3123040U (en) | Picture frame with storage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