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007B1 - Camera Flash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Camera Flash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1007B1 KR100621007B1 KR1020040011131A KR20040011131A KR100621007B1 KR 100621007 B1 KR100621007 B1 KR 100621007B1 KR 1020040011131 A KR1020040011131 A KR 1020040011131A KR 20040011131 A KR20040011131 A KR 20040011131A KR 100621007 B1 KR100621007 B1 KR 1006210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sh
- brightness
- unit
- photographing
-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의 촬영을 위한 플래쉬 밝기를 자동 및 수동 조정하는 것으로,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물을 촬영하고 전기적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촬영부; 촬영부를 제어하여 촬영하고, 플래쉬의 밝기를 펄스폭 변조로 단계별 조절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접속되고 촬영되는 사물 주변의 단계별 밝기를 자동감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제어부에 접속되고 촬영과 플래쉬 밝기를 제어하는 명령을 수동입력하는 키보드부;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충전된 전류를 일시에 출력하는 충전펌프부; 충전펌프부와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방전하므로 빛을 방출하는 플래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로 사물을 촬영하는 경우에 플래쉬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촬영과정; 상기 플래쉬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제어하는 플래쉬과정; 상기 자동이나 수동제어로 플래쉬의 동작을 선택하고 펄스폭 변조에 의하여 단계별 설정된 밝기로 촬영하는 동작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플래쉬의 전류 소모량을 줄이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며, 플래쉬의 열 발생을 줄이고,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and manually adjust the flash brightness for the shooting of the multimedia portable terminal, the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by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 as an electrical video signal;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photographing unit to photograph and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flash by pulse width modulation step by step; A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automatically detecting brightness of each stage around the photographed object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 keyboard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manually inputting a command to control photographing and flash brightness; A charge pump unit which outputs the current charged by the pulse width modulation discharg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at one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ash which emits light because it is connected to the charge pump unit and discharges the applied current, and further comprising: a photographing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flash when photographing an object with a portable terminal; A flash process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brightness or manually controlling the flash when the flash is determined to be used; Selecting the operation of the flash by the automatic or manual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operation process of shooting at the set brightness by the step-by-step pulse width modulation,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flash, extending the life of the battery, generating heat of the flash It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and extending the life.
Description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플래쉬 제어장치 기능 구성도,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flash control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정장치 기능 구성도, 2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camera flash brightness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terminal,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정방법 순서도. Figure 3 is a flow chart of the camera flash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terminal.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항 부호 설명 ** **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촬영부 110 : 제어부 120 : 센서부100: recording unit 110: control unit 120: sensor unit
130 : 키보드부 140 : 충전펌프부 150 : 플래쉬130: keyboard portion 140: charge pump unit 150: flash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촬영을 위한 플래쉬 밝기 조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펄스 폭이나 펄스 주기로 제어하여 방전제어신호로 사용하므로, 플래쉬의 밝기를 조정하고 수명을 연장하며 전류를 작게 소모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lash brightness adjustment for camera photography of a multimedia portab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since it is used as a discharge control signal by controlling the pulse width or the pulse perio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flash, to extend the life and to consume a small current It relates to a camera flash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a terminal.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 등록된 것으로, 다수 기지국(BS: BASE STATION)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 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기지국(BS)과 무선접속하여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교환국(MSC)의 스위칭(SWITCHING)과 제어(CONTROL)에 의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휴대단말기(MS)를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상대방과 즉시 통신하는 장점이 있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A mobile terminal (MS) is registe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ves freely in a service area formed by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BS) while wirelessly connecting with the base station (BS). Connected to the switching center (MSC: MOBILE SWITCHING CENTER), by means of switching (SWITCHING) and control (CONTROL) of the mobile switching station (MSC) anytime and anywhere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sired party anytime and anywhere, the individual MS (Mobile Terminal) It is a high-tec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has the advantage of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party while carrying and moving directly.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은, 초기 또는 제1 세대에서는 음성급 신호를 이용하는 통신방식으로부터, 다음의 제2 세대에서는 문자, 기호, 숫자, 그래픽 이미지 등을 이용하는 문자메시지 데이터 통신방식으로 발전하고, 현재의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급 신호와 메시지 신호에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급 통신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The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above-mentioned portable terminal is a text message data communication method using text, symbols, numbers, graphic images, etc. in a second generation, from a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voice level signal in an initial or first generation. The current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eveloping into a multimedia communication method including a video signal in an audio signal and a message signal.
상기 멀티미디어급 통신방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영상신호를 촬영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으로, 영상신호는 정지영상신호와 동영상신호가 있으나, 통신에 사용하는 경우는 동영상을 사용하고, 통신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 카메라와 같이 정지영상을 촬영하여 기록저장하는데 주로 사용하며, 향후 기술 발전에 의하여 통신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동영상을 촬영하여 기록저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metho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take a video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other party. The video signal includes a still image signal and a video signal, but when the communication is used, the video is used and the communication is not used. It is mainly used to record and record still image like general camera, and it is judged to record and record moving image even if it is not used for communication by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상기와 같이 멀티미디어(MULTIMEDIA)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경우, 주변환경이 어두우면 플래쉬를 사용하여 필요한 광량을 공급하고 있으나, 상기 촬영환경에 의하여 필요한 광량에 차이가 있으므로, 플래쉬(FLASH)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휴대단말기(MS)에도 필요한 광량조절을 위하여 플래쉬를 장착한다. In the case of capturing a video signal using a MULTIMEDIA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i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dark, the required amount of light is supplied using a flash, but the amount of light required by the shooting environment is different, so the flash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output from the), and also equipped with a flash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required for the mobile terminal (MS).
따라서, 휴대단말기(MS)에 장착되는 플래쉬(FLASH)의 광량조절 기술의 개발 필요가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light amount control technology of the flash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MS.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camera flash control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플래쉬 제어장치 기능 구성도 이다. Attached to explain the prior art, Figure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flash control device of a conventional terminal.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플래쉬 제어장치는, 휴대단말기 전체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10)에 의하여 플래쉬(30)의 발광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신호(H)를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flash control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signal (H)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or discharge of the
상기 플래쉬(30)는 소정의 전압이 필요한 동시에 한꺼번에 많은 량의 전류를 소모하므로, 충전펌프(CHARGE PUMP)부(20)를 필요로 하고, 상기 충전펌프부(20)는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H)에 의하여 충전된 전류를 출력한다. Since the
즉,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제어신호(H)는 일정한 주기(DURATION)를 갖는 것으로, 상기 충전펌프부(20)의 인에이블(EN: ENABLE) 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충전펌프부(20)는 인에이블(EN) 단자에 방전제어신호(H)가 인가되면, 출력단자와 입력단자(OUT)에 접지단자(IN)에 연결된 플래쉬(30)에 충전된 전압과 전류를 순간적으로 방전(DISCHARGE)시킨다.That is, the discharge control signal H output from the
상기와 같이 충전펌프부로부터 순간적으로 방전되는 전류를 인가받는 플래쉬(30)는 강렬한 백색계통의 빛을 발생하는 것으로, WHITE FLASH LED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펌프부(2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에 의하여 발광하는 밝기가 결정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제어신호를 입력한 충전펌프부(20)는 충전된 전류를 상기 화이트 엘이디(WHITE LED)로 이루어지는 플래쉬(30)에 출력하므로, 발광하고,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제어신호(H)는 일정한 펄스폭(DURATION)으로 출력되므로, 상기 플래쉬(30)의 밝기는 항상 일정하다. The
그러나, 촬영되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변경할 필요가 있으나,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제어신호(H)의 펄스폭(DURATION)이 항상 일정하므로 플래쉬 밝기를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flash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be photographed, but the pulse width DURATION of the discharge control signal H output from the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 플래쉬에 공급되는 전류를 펄스폭 변조(PDM 또는 PWM)와 펄스 주기로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주변환경에 적합한 단계별 밝기로 조정하는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current supplied to the flash of the multimedia mobile terminal for capturing the video signal by pulse width modulation (PDM or PWM) and pulse period, in particular the camera flash device and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to adjust the brightness in steps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물을 촬영하고 전기적 영상신호로 출력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여 촬영하고, 플래쉬의 밝기를 펄스폭 변조로 단계별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촬영되는 사물 주변의 단계별 밝기를 자동감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촬영과 플래쉬 밝기를 제어하는 명령을 수동입력하는 키보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충전된 전류를 일시에 출력하는 충전펌프부와; 상기 충전펌프부와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방전하므로 빛을 방출하는 플래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object by the control signal and output as an electrical image signal;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photographing unit to photograph and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flash by pulse width modulation step by step; A sensor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automatically detects brightness of each stage around the photographed object and outpu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 keyboard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manually inputting a command to control photographing and flash brightness; A charge pump unit which outputs a current charged by the pulse width modulation discharg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at one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comprises a flash to emit light because it discharges the current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charge pump.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사물을 촬영하는 경우에 플래쉬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촬영과정과; 상기 플래쉬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제어하는 플래쉬과정과; 상기 자동이나 수동제어로 선택된 플래쉬를 펄스폭 변조로 제어하고 설정된 단계별 밝기에 의하여 촬영하는 동작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hotographing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use a flash when photographing an object with a mobile termi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lash is to be used, a flash process of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ling the brightness; It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operation process of controlling the flash selected by the automatic or manual control by the pulse width modulation and shooting by the set step brightnes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 및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camera flash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정장치 기능 구성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정방법 순서도 이다. It is attach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camera flash brightness adjustment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of the camera flash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장치는, 촬영된 사물에 대응하는 전기적 영상신호를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촬영하고 출력하는 촬영부(100)와, Referring to FIG. 2, the camera flash apparatu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상기 촬영부(100)를 제어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동시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플래쉬(FLASH)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키보드부(130)로부터 플래쉬 밝기를 자동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 서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해당 방전제어신호를 펄스폭 제어 또는 펄스주기 변경제어에 의하여 출력하고, 상기 키보드부(130)로부터 플래쉬 밝기를 직접 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방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0)와, By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되고 촬영되는 사물의 주변 밝기를 자동감지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120)와, A
상기 제어부(110)에 접속되고 촬영제어명령과 플래쉬 밝기 제어신호를 수동입력하는 키보드부(130)와, A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충전된 전류를 일시에 출력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소정 용량 충전하여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는 충전펌프부(140)와, Discharge the current applied by the discharg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상기 충전펌프부(140)와 접속되어 인가되는 전류를 방전하므로 빛을 방출하는 화이트 엘이디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전압과 전류가 인가되면 일시에 백색 빛을 출력하는 플래쉬(15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The discharge pump is connected to th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camera flash brightness control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시시디(CCD) 또는 시모스(CMOS)로 이루어지는 촬영부(100)가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사물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촬영부(100)는 주변환경의 밝기에 의하여 영상신호 촬영이 잘 되거나 또는 잘 되지 못하므로, 필요한 조명을 비추어야 하며, 상 기 조명을 플래쉬(150)로부터 발생된다. The portable terminal MS outputs an image signal photographing an object by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상기 플래쉬(150)는 화이트 엘이디(WHITE LED)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일정한 전압과 많은 전류를 일시에 소모하고, 상기와 같은 플래쉬(15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서는 충전펌프부(140)가 휴대단말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충전하며 일정하게 펌프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방전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므로, 상기 플래쉬(150)가 동작한다. The
상기 제어부(110)가 출력하는 방전제어신호는, 상기 센서부(120)가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 주변의 밝기를 자동 측정하여 출력하는 해당 제어명령 신호에 의하여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키보드부로부터 수동입력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 중, 하의 해당 제어명령 신호에 의하여 결정된다. The discharge control signal output by the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결정된 플래쉬(150)의 밝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펄스폭(PULSE WIDTH)을 제어하거나 또는 펄스의 발생주기를 제어하는 방전제어신호를 상기 충전펌프부(140)에 출력하므로, 상기 플래쉬(150)의 밝기를 제어한다. The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제어신호의 펄스폭 또는 펄스 발생주기에 의하여 상기 플래쉬(150)로부터 출력되는 밝기가 변하는 것으로, 즉, 펄스의 폭이 넓거나 펄스의 발생주기가 빠른 경우에 플래쉬가 밝은 빛을 출력하고, 펄스의 폭이 좁거나 펄스의 발생주기가 늦은 경우에 플래쉬(150)가 밝지 않은 빛을 출력한다. The brightness output from the
또한, 상기 플래쉬가 동일한 밝기를 출력하여도 펄스신호에 의하여 단속적으 로 전류를 인가 받으므로, 적은 전류 소모로 동일한 밝기를 출력하고, 플래쉬의 수명을 연장하며, 열의 발생이 줄어들고,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의 수명이 길어지는 등의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flash outputs the same brightness, the current is intermittently applied by the pulse signal, thereby outputting the same brightness with less current consumption, extending the life of the flash, reducing heat generation, and supplying current.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longer battery life.
이하,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절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camera flash brightness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휴대단말기(MS)로 사물을 촬영하는 경우에 플래쉬(FLASH)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로 사물을 촬영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휴대단말기(MS)로 사물을 촬영하는 경우는 플래쉬(FLASH)를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촬영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o use the flash when photographing the object with the mobile terminal MS, and determining whether to photograph the object with the portable terminal (S100); When photographing an object with the mobile terminal MS in the process (S100), the photographing process consisting of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flash (FLASH);
상기 과정에서 플래쉬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플래쉬 밝기 선택을 수동으로 할 것인지 자동으로 할 것인지 판단하는 확인과정(S120);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판단하여 수동으로 하는 경우는 키보드부(130)로부터 입력되는 강, 중, 약의 선택명령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선택 설정하는 과정(S130);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판단하여 자동으로 하는 경우는 센서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플래쉬의 밝기를 자동으로 설정(S140)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플래쉬과정과,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lash is used in the above process,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manually controlling the brightness,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manually or automatically select the flash brightness of the mobile terminal (S120); In the case of determining manually in the checking process (S120), the step of selecting and setting the brightness of the flash accor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of the strong, medium and weak input from the keyboard unit 130 (S130); In the case of determining automatically in the checking process (S120), the flash process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setting the brightness of the flash (S14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밝기로 제어된 플래쉬의 동작과 함께 촬영하는 동작과정(S150)과, An operation process of photographing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flash controlled to the brightness set in the process (S150);
상기 촬영과정에서 플래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S110)는 자연광을 이용하여 촬영하는 일반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When not using the flash in the photographing process (S110) is a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general process (S160) to shoot using natural light.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쉬 밝기 조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 camera flash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영상신호를 촬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휴대단말기로 사물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S100), 밝은 조명을 이용하여 사물을 명확하게 촬영하는 플래쉬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한다(S110). When the object is to be photographed by the multimedi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apturing the video signal (S100), it is determined whether to use a flash to clearly photograph the object using bright lighting (S110).
상기 판단(S110)에서 플래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자연광을 이용하여 사물을 촬영하고(S160), 상기 판단(S110)에서 플래쉬를 사용하여 좀더 명확한 사물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는, 플래쉬(150)의 빛 밝기 조정을 자동으로 제어할 것인지 수동으로 제어할 것인지 판단한다(S120). When the flash is not used in the determination (S110), the photographing of the object is performed by using natural light (S160). When the clearing of the object is desired by using the flash in the determination (S110), the flash of the
상기 판단(S120)에서 플래쉬(150)의 빛 밝기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키보드부(130)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어명령에 의하여 강, 중, 약 의 밝기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되어 입력되는 제어명령을 입력한 제어부는 해당 펄스폭의 또는 펄스 주기의 방전제어신호를 상기 충전펌프부에 출력한다(S130). When the brightness of the
또한, 상기 판단(S120)에서 플래쉬(150)의 빛 밝기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120)로부터 주변환경의 밝기를 측정하여 인가되는 해당 제어명령신호를 입력한 상기 제어부(110)는 출력하는 방전제어신호의 펄스폭 또는 펄스 주기를 제어하여 상기 충전펌프부에 출력한다(S140). In addition, when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light brightness of the
상기와 같이 충전펌프부(140)에 인가되는 펄스폭 또는 펄스의 주기가 결정된 상태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상기 키보드부(130)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에 인가되면, 상기 충전펌프부(140)는 플래쉬(150)에 해당 전류를 흘리므로 빛 을 발생하고, 상기 촬영부(100)는 상기 플래쉬가 발생하는 빛에 의하여 명료한 사물을 촬영하고 해당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110)에 출력한다(S150). When the control signal to be photographed in the state that the pulse width or the period of the pulse applied to the
즉,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의 주변 밝기를 수동으로 정하거나 자동으로 센싱하여 플래쉬(150)의 밝기를 조정하며, 상기 밝기 조정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신호의 폭 또는 주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That is, the brightness of the
따라서, 전류를 항상 소모하지 않고 펄스가 입력되는 동안만 전류를 소모하므로, 전류의 소모가 작으며 휴대단말기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고, 플래쉬(150)는 항상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펄스가 입력되는 동안만 동작하므로 수명(LIFE TIME)이 길어지며 열 발생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since the current is consumed only while the pulse is inputted, the current consumption is small and prolongs the life of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휴대단말기는, 주변환경의 밝기 단계를 자동으로 측정하거나 수동으로 결정하고, 플래쉬의 밝기 단계를 펄스폭 변조로 제어하므로 전원소모를 줄이고 명료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utomatically measures or manually determines the brightness level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ontrols the brightness level of the flash by pulse width modulation,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and enabling clear photography. It works.
또한, 상기 플래쉬에 인가하는 전류를 펄스폭 변조 형태로 인가하므로, 전류의 소모량을 줄이고,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urrent applied to the flash is applied in the form of pulse width modulation,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in use to reduce the current consumption and extend the life of the battery.
또한, 상기 플래쉬가 펄스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므로, 열 발생이 작고, 단속 동작으로 수명이 길어지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lash is operated by the pulse signal,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in use that the heat generation is small, the life is long by the intermittent opera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1131A KR100621007B1 (en) | 2004-02-19 | 2004-02-19 | Camera Flash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Device |
CNB2004100784176A CN100456123C (en) | 2004-02-19 | 2004-09-10 |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brightness of camera flash light of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1131A KR100621007B1 (en) | 2004-02-19 | 2004-02-19 | Camera Flash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633A KR20050082633A (en) | 2005-08-24 |
KR100621007B1 true KR100621007B1 (en) | 2006-09-08 |
Family
ID=3500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113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1007B1 (en) | 2004-02-19 | 2004-02-19 | Camera Flash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1007B1 (en) |
CN (1) | CN100456123C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66533B2 (en) | 2014-02-12 | 2017-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lash device, and imaging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106853B (en) * | 2007-08-01 | 2010-11-03 | 周耀波 | A control method for charging circuit of shooting lamp |
CN101414095B (en) * | 2007-10-19 | 2011-07-06 | 上海遥薇(集团)有限公司 | Control method of video camera synchronous LED flash light compensation |
CN102238325A (en) * | 2010-04-30 | 2011-11-09 | 安鹏科技股份有限公司 | Digital imaging device and related object detection system |
CN102761699A (en) * | 2011-04-28 | 2012-10-31 | 泰沂科技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synchronously projecting lamplight when image is captured by photographic device |
CN103957363A (en) * | 2014-05-16 | 2014-07-30 |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 Flash camera shooting method and camera shooting device |
CN104950555B (en) * | 2015-06-12 | 2018-11-09 | 联想(北京)有限公司 | A kind of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JP6827694B2 (en) * | 2016-01-27 | 2021-02-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Light emission control device, its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image pickup device |
CN106211460B (en) * | 2016-07-28 | 2018-05-11 |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 With the adjustable flash lamp circuit of brightness and its driving method, mobile terminal |
CN108429888B (en) * | 2018-04-28 | 2020-02-1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filling light |
CN109618077A (en) * | 2018-11-27 | 2019-04-12 | 新野旭润光电科技有限公司 | The optical imaging lens of carrying electronic devices |
CN111766291A (en) * | 2020-07-08 | 2020-10-13 | 浙江富春江环保科技研究有限公司 | Flash lamp control method in dioxin online monitor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88553B2 (en) * | 2000-07-25 | 2009-07-0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Camera strobe device |
JP2003084344A (en) * | 2001-09-14 | 2003-03-19 | Casio Comput Co Ltd | Flash device, camera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color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flash device |
JP2003174587A (en) * | 2001-12-07 | 2003-06-20 | Seiko Precision Inc | Image pickup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
JP4040358B2 (en) * | 2002-03-15 | 2008-01-30 | シャープ株式会社 | Mobile phone with shooting function |
US20030180037A1 (en) * | 2002-03-21 | 2003-09-25 | Mathew Sommers | LED flash device for camera |
JP2004056713A (en) * | 2002-07-24 | 2004-02-19 | Sharp Corp | Portable device with photographing unit and exposure adjustment device |
JP2005150774A (en) * | 2002-12-27 | 2005-06-09 | Casio Comput Co Ltd | Illumination device and imaging device |
-
2004
- 2004-02-19 KR KR1020040011131A patent/KR10062100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9-10 CN CNB2004100784176A patent/CN100456123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66533B2 (en) | 2014-02-12 | 2017-09-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lash device, and imag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2633A (en) | 2005-08-24 |
CN1658059A (en) | 2005-08-24 |
CN100456123C (en) | 2009-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21007B1 (en) | Camera Flash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Mobile Device | |
JP2004312742A (en) | Brightness control device of mobile terminal display and its method | |
JP2005310571A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function | |
CN102246507A (en) | System and method to estimate autoexposure control and auto white balance | |
JP4015654B2 (en) | LED controller for camera flash | |
JP2010102208A (en) | Auxiliary light source device for photography | |
JP3934603B2 (en) | Backlight control method and method for mobile phone with camera, and program thereof | |
KR100588190B1 (en) | Flash brightness control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124243B1 (en) | Digital camera for portable equipment | |
US20220187684A1 (en) | External light source for mobile devices | |
JP2007108192A (en) | Auxiliary power supply for high current | |
JP4662332B2 (en) | Camera photographed image color correction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 |
JP2006148272A (en) | Electronic camera | |
KR100664247B1 (en) | Flash LED operating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 |
KR100655968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utomatic shooting mode and method thereof | |
JP2005094219A (en) |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 |
KR200421266Y1 (en) | Light emitting device for adjustable light level | |
KR20060014843A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lash brightness control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
KR20060028841A (en) |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flash power saving function and its power saving method | |
JP4389673B2 (en) | Imaging device | |
JP2004328068A (en) | Imaging apparatus and portable telephone | |
KR20050103106A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lightness automatically | |
JP2005109805A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60063331A (en) | Brightn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amera shooting in a mobile terminal | |
JP2021085975A (en) | Light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8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83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