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917B1 - Door lock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Door lock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0917B1 KR100620917B1 KR1020050071238A KR20050071238A KR100620917B1 KR 100620917 B1 KR100620917 B1 KR 100620917B1 KR 1020050071238 A KR1020050071238 A KR 1020050071238A KR 20050071238 A KR20050071238 A KR 20050071238A KR 100620917 B1 KR100620917 B1 KR 1006209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lock
- portable terminal
- password
- access point
- state chan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어락과 연결된 AP(Access Point)와 무선으로 암호화 통신을 하여 상기 AP로 비밀번호를 송신하고 AP로부터 도어락 제어 허가를 받으면 상기 도어락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도어락의 상태변경 요구를 입력받으면 상기 AP로 상기 도어락의 상태변경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a password to the AP by encrypted communication wirelessly with an access point (AP) connected to the door lock and receives the door lock control permission from the AP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by receiving a state change request of the door lock and receiving a state change request of the door lock.
무선통신, 도어락, 휴대용 단말기, AP(Access Point) Wireless communication, door lock, portable terminal, access poin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무선 랜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door lock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LAN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도어락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 portable terminal in a door lock system constru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도어락 시스템에서 AP(Access Point)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및,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access point (AP) in a door lock system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락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the door lock in the door lock system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랜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AP(Access Point)와 암호화 통신하여 상기 AP와 연결된 도어락을 제어하는 도어락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system for controlling a door lock connected to the AP by encrypting communication with an access point (AP) us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LA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도어락 시스템(door lock system)은 개인이나 단체의 정보 및 재산의 보호 또는 안전 등의 이유로 개발되고 발전되어 왔다. 도어락 시스템의 개발 방향은 주로 보안을 높이는 방향과 키의 휴대성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 왔다.Door lock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or securing the information and property of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door lock system has been mainly developed with a focus on increasing security and portability of keys.
도어락 시스템으로는 기계장치로 구성된 물리적인 도어락 시스템과,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도어락 시스템이 있으며, 키의 종류에도 가장 일반적이면서 고전적인 키부터, 자석키, 카드키 등이 있고, 키가 따로 필요없는 도어락 시스템으로 번호로 키를 대신하는 도어락 시스템, 지문이나 홍체를 인식하는 인식형 도어락 시스템 등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으로 인해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휴대용 단말기를 키로 이용하는 도어락 시스템이 있다.The door lock system includes a physical door lock system composed of mechanical devices and a door lock system including electronic devices. The most common and classic types of keys include magnetic keys, card keys, and the like. The door lock system includes a door lock system that replaces keys with numbers, and a recognition door lock system that recognizes fingerprints or irises. In addition, there is a door lock system that uses a portable terminal as a key due to the spread of portable terminals.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특히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필수품이 되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voice call and information exchange has become a necessity.
휴대용 단말기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뿐 아니라 단순한 전화 통화 또는 일정 관리 등의 목적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이미지 촬영하거나, 위성 방송의 시청, 게임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등 그 활용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또한 최근 많은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 또는 무선 랜을 장착하여 주변전자제품을 무선으로 통신하여 제어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In the early days of portable terminals, it was recognized that they could be simply carried and wirelessly talked.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portable terminals are not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calling, but also for the purpose of simple phone calls or schedule management. Increasingly, applications such as watching satellite broadcasts, playing game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messages are increasing. In addition, many portable terminals have recently been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or a wireless LAN to control and receive services by wirelessly communicating peripheral electronic products.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은 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한 도어 락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과,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와 도어락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과, 적외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와 도어락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이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한 도어락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은 기지국을 통해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기지국이 도어락 장치로 인증 결과를 제공하여 잠금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으로 정보의 이동경로가 많아 정보가 누출되는 보안상 취약점이 있으며 도어락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크며 비용이 높아 일반 가정이나 자동차와 같은 곳에 적용하기 어렵고, 블루투스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은 통신 가능 거리가 약 10~20m까지로 근거리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a door lock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door lock system using a door lock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Bluetooth module and a door lock system using a door lock, and a door lock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a door lock capable of infrared communication. However, the method has some problems. The door lock system using the door lock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is a system that performs the authentication process through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provides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door lock device to drive the lock device.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general homes or automobiles because the composition of door lock device is complicated, bulky and expensive, and door lock system using Bluetooth and infrared communication can be applied at short distances with a communication distance of about 10 ~ 20m. .
상기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은 보안의 문제점 혹은 거리상의 제약을 가지고 있어서 취약한 보안문제와 근거리의 제약이 보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As described above, a door lock system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problem of security or a limitation of distance, and therefore, a door lock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eak security problem and a limitation of a short distance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controlled using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랜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락과 연결된 AP(Access Point)와 통신하여 도어락을 락 또는 언락으로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to lock or unlock by communicating with an access point (AP) connected to the door lock us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LA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랜 프로토콜의 암호화 방법을 이용하여 보안 을 하는 무선 랜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lock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LAN having security using an encryption method of the wireless LAN protocol.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는 AP(Access Point)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암호화 통신을 하는 무선랜 통신부, 상기 암호화 통신을 위한 AP정보와 도어락의 제어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도어락과 통신을 하여 상기 도어락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도어락의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연결부 및, 상기 무선랜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하여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정당한 비밀번호이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도어락의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도어락의 상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어락의 상태변화를 요청하는 도어락 상태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락으로 상기 상태변경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는 AP(Access Point)를 제공한다.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AP (Access Point) for communica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to control the door lock,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P information for the encrypted communication and Memory for storing the password for the control authentication of the door lock,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door lock to receive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and transmits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and the password by connecting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LAN communication unit If it is a valid password compared to the password stored in the memory and confirms the state of the door lock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unit and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state change of the door lock from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 request door lock status change signal Open the door lock to communicate with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transmit the state change signal provides an (Access Point) AP which controls the door lock.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AP(Access Point)와 연결된 도어락에 있어서, AP(Access Point)와 연결하여 도어락의 상태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도어락의 상태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상태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도어락을 잠그거나 개방 하거나 폐쇄하는 구 동부를 포함하는 AP(Access Point)와 연결된 도어락을 제공한다.Anothe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door lock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AP), the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o the access point (AP) to transmi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and receive the state change signal of the door lock; It provides a door lock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AP) including a hole for locking, opening or closing the door lock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nnection.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운영방법의 있어서, 도어락과 연결된 AP(Access Point)를 검색하여 암호화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과정, 상기 AP와 연결하면,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AP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송신한 비밀번호와 상기 AP에 저장된 비밀번호의 일치여부를 상기 AP에서 확인하여 상기 송신한 비밀번호가 정당한 비밀번호인지 상기 AP로부터 판단받아 상기 송신한 비밀번호가 정당한 비밀번호가 아니면 상기 AP로부터 오류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한 비밀번호가 정당한 비밀번호이면 AP로부터 상기 도어락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도어락의 상기 상태정보에 따라 상태변경 요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도어락의 상기 상태변경 요구가 확인되면, 상기 AP로 락 혹은 언락의 상태변경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운영방법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door lock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connecting an encrypted wireless communication by searching for an access point (AP) connected to a door lock;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password to the AP and confirming whether the transmitted password matches the password stored in the AP, determining whether the transmitted password is a valid password, and if the transmitted password is not a valid password; Receiving an error message from the AP and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from the AP if the transmitted password is a valid password, checking whether to request a state change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and When the state change request is confirmed, lock or unlock to the AP. It provides a door lock system operating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 state change signal of th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AP(Access Point)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요청에 따라 암호화 무선통신을 연결하는 과정,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한 비밀번호와 상기 AP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정당한 비밀번호인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수신한 비밀번호가 정당한 비밀번호가 아니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오류 메시지를 송신하고, 정당 한 비밀번호가 이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연결된 도어락의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도어락의 상태정보를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도어락의 상기 상태정보 송신 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상태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도어락으로 상태변경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AP(Access Point)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door lock system using an access point (AP),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encrypted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request with the portable terminal, when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Receiving a password from the portable terminal, comparing the received password with a password stored in the AP and confirming whether it is a valid valid password, and if the received password is not a valid password, transmitting an error message to the portable terminal. Check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f the password is valid, and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and receiving the state change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after transmit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to the door lock. Send status change signal Provides a method of operation of the door lock system using (Access Point) AP that contains the procedur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도어락과 연결한 AP(Access Point)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도어락을 제어하는 무선랜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아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LAN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by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n access point (AP) connected to the door lock,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한 무선 랜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oor lock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LAN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락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100), AP(Access Point)(120) 및 도어락(140)으로 구성하며,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01), 표시부(102), 키패드(103), 메모리부(104), 통신부(105), 안테나(106), 코덱(107), 마이크(108) 스피커(109) 및, 무선랜(110)을 포함하고, AP(Access Point)(120)는 제어부(121), 무선랜 통신부(122), 메모리(123) 및, 연결부(124)를 포함하고, 도어락(140)은 연결부(141) 및 구동부(14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oor loc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휴대용 단말기(100)의 제어부(101)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무선랜(110)을 이용하여 AP(Access Point)(120)와 연결하여 암호화 통신을 하고, 도어락(140)을 제어할 수 있는 정당한 사용자인지 인증을 받기위해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AP(120)로 송신하고, AP(120)로부터 도어락(140)의 현재 상태를 수신하여 도어락(140)을 락 혹은 언락으로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1)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휴대용 단말기(100)의 표시부(102)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또는 인디케이터), 제한된 숫자와 문자들,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102)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휴대용 단말기(100)의 키패드(key pad)(103)는 0∼9의 숫자키들과, 메뉴키(menu), 취소키(지움), 확인키, 통화키(TALK), 종료키(END), 인터넷 접속키, 네비게이션 키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1)로 제공한다.The
휴대용 단말기(100)의 메모리(104)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저장용 데이터(전화번호, SMS 메시지, 화상 데이터 등)를 저장한다.The
휴대용 단말기(100)의 통신부(105)는 수신할 때는 안테나(106)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송신할 때는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고 주파수 상승시켜 안테나(106)를 통해 송신한다. 또한 수신하는 파일롯 채널을 통해 기지국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When receiving, the
휴대용 단말기(100)의 상기 제어부(101)에 연결된 오디오 코덱(CODEC : Coder-Decoder)(107)과, 코덱(107)에 접속된 마이크(108) 및 스피커(109)는 음성 통화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코덱(107)은 제어부(101)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09)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316)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1)로 제공한다.An audio codec (Coder-Decoder) 107 connected to the
휴대용 단말기(100)의 무선 랜(Wireless Lan)(110)은 제어부(101)의 제어를 받아 AP(Access Point)(120)와 연결하여 암호화 통신을 하며, 도어락(140)의 제어를 위한 인증절차에 필요한 비밀번호를 송신하고, 비밀번호 오류신호 및 도어락(140)의 상태 정보를 AP(120)로부터 수신하고, 도어락(140)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AP(120)로 송신한다.The
AP(Access Point)(120)의 제어부(121)는 AP(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무선랜 통신부(122) 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하여 암호화 통신을 하여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메모리(123)에 저장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여 정당한 비밀번호인지 확인하고, 정당한 비밀번호이면 도어락(140)의 현재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도어락(140)의 상태정보를 휴대용 단말기(110)로 송신하고,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도어락(140)을 락 혹은 언락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AP(120)의 연결부(124)를 통해 도어락(140)의 연결부(141)로 송신하여 도어락(140)을 제어한다.The
AP(120)의 무선랜 통신부(122)는 제어부(121)의 제어를 받아 휴대용 단말기(100)의 무선 랜(110)과 연결하여 암호화 통신하여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현재 도어락(140)의 상태정보를 송신하고, 도어락(140) 제어신호를 수신한다.The wireless
AP(120)의 메모리(123)는 AP(120)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접근 보안을 위한 맥 어드레스(MAC Address), AP(120)의 명칭을 나타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s) 및 도어락의 접근이 정당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비밀번호를 저장한다.The
AP(120)의 연결부(124)는 도어락(140)의 연결부(141)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도어락(140)의 락 혹은 언락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락 혹은 언락으로 구동부(14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The
도어락(140)의 연결부(141)는 AP(120)의 연결부(124)와 유선으로 연결하여 AP(120)의 제어부(121)의 제어를 받아 도어락(140)의 락 혹은 언락의 상태 정보를 송신하고, 락 혹은 언락으로 구동부(14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The
도어락(140)의 구동부(142)는 연결부(141)을 통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장치를 락 혹은 언락 상태로 변경한다.The driving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운영 흐름을 아래에서 도 2 내지 도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flow of the door lock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wireless L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도어락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 portable terminal in a door lock system constru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0단계에서 도어락 제어모드 명령을 입력받으면, 202단계에서 도어락과 연결된 AP(Access Point)를 검색하여 선택하고 연결하면, 204단계에서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206단계에서 AP로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송신한다.When the door lock control mode command is input in
208단계에서 AP로부터 상기 206단계에서 송신한 비밀번호와 AP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여부를 비교하여 정당성 여부를 판단받고, 정당하지 않은 비밀번호이면 210단계에서 AP로부터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204단계로 돌아가 다시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정당한 비밀번호이면 212단계에서 AP로부터 도어락 상태정보를 수신한다.In
도어락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에 214단계에서 도어락의 상태변경 요구를 요청받으면 216단계에서 AP로 락 혹은 언락의 상태변경 신호를 송신한다.After receiving the door lock state information, in
상기 202단계에서 AP와의 연결은 IEEE 802.11b 표준의 통신규약을 따르며 통신은 IEEE 802.11b 표준에서 정의한 WEP(Wired Equivalent Privacy)을 이용한 암호화 통신으로 연결한다.In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도어락 시스템에서 AP(Access Point)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access point (AP) in a door lock system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0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연결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302단계에서 IEEE 802.11b 표준의 통신규약에 따라 무선랜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하며 통신은 IEEE 802.11b 표준에서 정의한 WEP(Wired Equivalent Privacy)을 이용한 암호화 통신으로 연결한다.When the connection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하면, 304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306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비밀번호가 AP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일치하는 정당한 비밀번호가 아니면, 308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로 오류 메시지를 송신하고 302단계로 돌아가 다시 비밀번호 수신을 한다.When connect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in
상기 304단계에서 비밀번호 확인결과 일치하는 정당한 비밀번호이면, 308단계에서 AP와 연결된 도어락의 상태가 락인지 언락인지를 확인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도어락의 현재 상태정보를 송신한다.In
도어락의 상태정보를 송신한 후에 312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도어락의 상태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314단계에서 도어락으로 락 혹은 언락의 상태변경 신호를 송신한다.When the door lock state chang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도어락 시스템에서 도어락의 제 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the door lock in the door lock system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0단계에서 AP로부터 락 혹은 언락의 상태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402단계에서 수신한 상대변경 신호가 락으로 상태변경 신호인지 확인하여, 락으로 상태변경 신호이면 404단계에서 도어락의 잠금장치인 구동부를 구동하여 도어를 폐쇄하고, 수신한 상태변경 신호가 락으로 상태변경 신호가 아니면 즉 언락 상태변경 신호이면 406단계에서 도어락의 잠금장치인 구동부를 구동하여 도어를 개방한다.If the state change signal of the lock or unlock is received from the AP i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본 발명은 도어락과 연결된 AP(Access Point)와 무선으로 암호화 통신을 하여 상기 AP로 비밀번호를 송신하고 AP로부터 도어락 제어 허가를 받으면 상기 도어락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도어락의 상태변경 요구를 입력받으면 상기 AP로 상기 도어락의 상태변경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도어락을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암호화 통신으로 보안을 개선하고 무선 랜을 통해 거리제약을 개선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 하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AP (Access Point) connected to the door lock wirelessly transmits a password to the AP and receives the door lock control permission from the AP and receive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lock and receives a request to change the state of the door lo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door lock by transmitting a state change signal of the door lock to an AP, and improving security by encryption communication and improving distance constraint through a wireless LAN. I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who controls the door lock.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1238A KR100620917B1 (en) | 2005-08-04 | 2005-08-04 | Door lock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71238A KR100620917B1 (en) | 2005-08-04 | 2005-08-04 | Door lock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20917B1 true KR100620917B1 (en) | 2006-09-07 |
Family
ID=3762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712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0917B1 (en) | 2005-08-04 | 2005-08-04 | Door lock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0917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4349B1 (en) | 2006-10-11 | 2007-10-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portable device |
KR100799837B1 (en) | 2006-11-16 | 2008-01-31 | 삼성전기주식회사 |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US8264322B2 (en) | 1999-03-12 | 2012-09-11 | Stanley Security Solutions, Inc. | Wireless security control system |
KR101315940B1 (en) * | 2013-06-10 | 2013-10-08 | 주식회사 세경테크 | Door lock system using smartphone |
KR101376514B1 (en) | 2012-06-25 | 2014-03-21 | 현대로템 주식회사 | Smart key system and railway car installed the system |
-
2005
- 2005-08-04 KR KR1020050071238A patent/KR10062091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64322B2 (en) | 1999-03-12 | 2012-09-11 | Stanley Security Solutions, Inc. | Wireless security control system |
US8665064B1 (en) | 1999-03-12 | 2014-03-04 | Stanley Security Solutions, Inc. | Wireless security control system |
KR100764349B1 (en) | 2006-10-11 | 2007-10-08 | 삼성전기주식회사 |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a portable device |
KR100799837B1 (en) | 2006-11-16 | 2008-01-31 | 삼성전기주식회사 | Digital Door Lock Control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KR101376514B1 (en) | 2012-06-25 | 2014-03-21 | 현대로템 주식회사 | Smart key system and railway car installed the system |
KR101315940B1 (en) * | 2013-06-10 | 2013-10-08 | 주식회사 세경테크 | Door lock system using smartph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I101584B (en) | Check your mobile subscriber ID | |
JP2007523283A (en) | Authorization method | |
KR100748034B1 (en) | Bluetooth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
KR20040068342A (en) | Access control system | |
KR101392571B1 (en) | Near Field Communication Interface Control | |
KR100620917B1 (en) | Door lock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 |
JP2007281861A (en) | Terminal authentic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device | |
KR100724413B1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8048129A (en) |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mobil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program | |
JP4372062B2 (en) |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 |
JP4581230B2 (en) |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070080652A (en) | Door 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759168B1 (en) |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safety key gener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
KR20070005956A (en) | Portable terminal with Bluetooth module and Bluetooth connection method thereof | |
JP2005210422A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provided with automatic control function, and base station device | |
JP2002300637A (en) | Lock control system | |
KR100638025B1 (en) | Unlocking system | |
JP200254267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mobile radiotelephone for monitoring and / or control applications | |
JP3543746B2 (en) |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radio device | |
KR100757211B1 (en) | Method for providing a lock device authentication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WO2008035408A1 (en) | Data moving method | |
KR10074557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lti-electronic key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H0730677A (en) | Door lock control system using wireless telephone | |
KR100447328B1 (en) | Authent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locker and method thereof | |
KR100854396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with voice authentication data gener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