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0651B1 -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651B1
KR100620651B1 KR1020000034599A KR20000034599A KR100620651B1 KR 100620651 B1 KR100620651 B1 KR 100620651B1 KR 1020000034599 A KR1020000034599 A KR 1020000034599A KR 20000034599 A KR20000034599 A KR 20000034599A KR 100620651 B1 KR100620651 B1 KR 100620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fine pattern
photosensitive film
development proc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292A (ko
Inventor
고차원
복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0003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651B1/ko
Priority to US09/886,463 priority patent/US6599844B2/en
Publication of KR2002000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6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0Treatment after imagewise removal, e.g. bak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0Treatment after imagewise removal, e.g. baking
    • G03F7/405Treatment with inorganic or organometallic reagents after imagewise remov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막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건식현상공정을 2차에 걸쳐 실시하되, 마지막 단계의 건식현상공정을 불소분위기가스와 O2혼합가스로 실시하여 감광막패턴의 표면이 소수성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후속공정시 반도체기판을 대기 중으로 노출시키는 경우 감광막패턴에 수분이 응집되어 감광막패턴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그로 인하여 0.10㎛ 이하의 미세패턴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해상도 및 초점심도를 향상시켜 증가시켜 소자의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fin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을 나타내는 사진.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감광막패턴의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피식각층 20a : 감광막
20b : 감광막패턴 30 : 실릴레이션된 부분
40 : SiOx막 50 : 보호막
60 : 노광마스크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막패 턴을 형성하기 위한 건식 식각 공정 시 감광막패턴이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장치의 초고집적화 추세는 미세패턴 형성 기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특히 감광막패턴의 형성공정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또한,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할수록 캐패시터의 형성공정과 리소그래피의 기술은 고집적 메모리소자 실현의 관건이 되었다.
더구나, 반도체 소자가 기가(Giga)급 이상으로 초고집적화된 메모리 소자에는 저장전극 하부의 박막을 제조하기 위한 감광막 마스크의 형성 시 후속공정을 고려해야 한다.
감광막패턴의 쓰러짐 현상은 크게 두 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그 첫 번째는 감광막패턴과 반도체기판 간의 접착력(adhesion)이 약하여 감광막패턴이 반도체기판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peeling)이고, 두 번째는 감광막패턴 자체가 물리적으로 단단하지 못하여 패턴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감광막패턴의 쓰러짐 현상은 반도체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질수록 더욱 증가된다. 이는 감광막패턴의 종횡비(aspect ratio)가 커질수록 감광막패턴 간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습식 현상 공정(wet development process)은 먼저 현상액을 이용하여 감광막을 처리하고, 초순수(deionized water)로 세척한 다음, 웨이퍼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스핀 드라이(spin dry)방법으로 건조시키는 단계로 진행되는데, 상기 건조공정이 시작되는 순간에 감광막패턴의 쓰러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광막패턴의 쓰러짐 현상은 패턴 간에 채워져 있던 초순수가 스핀 드라이 공정이 시작되면서 갑자기 증발하는 순간에 패턴과 패턴 사이의 간격의 중심부 쪽으로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며, 그 결과 감광막패턴 중에서 인력을 견디지 못한 경우 쓰러지게 된다.
그리고, 감광막패턴 사이에 간격이 중심부 쪽으로 거리와 압력의 크기는 초순수의 표면장력과 감광막패턴의 종횡비에 비례하고, 감광막패턴 사이에서 초순순의 표면에 형성되는 곡면의 반지름에 반비례한다.
건식 현상 공정은 습식 현상 공정에 비하여 감광막패턴의 쓰러짐 현상 측면에서 유리하다. 왜냐하면, 습식 현상 공정에서 감광막패턴의 쓰러짐이 발생되는 종횡비에서도 건식 현상 공정에서는 감광막패턴의 쓰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종횡비가 높아짐에 따라서 건식 현상 공정에서도 감광막패턴의 쓰러짐 현상이 발견되었다.
또한, 상기 건식 현상 공정에서는 감광막패턴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보다는 주로 감광막패턴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식 현상 공정에서는 건식 현상 공정이 진행된 후에 대기 중으로 웨이퍼가 노출될 때에 대기 중의 수분이 감광막패턴의 표면에 응집되고, 이로 인하여 감광막패턴이 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c 는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을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도 1a 및 도 1b 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감광막패턴이 고정되지 못하여 구부러지거나 부러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c 는 반도체 기판과 감광막패턴 사이의 접착력이 단단치 못하여 감광막패턴이 상기 반도체 기판에 무너진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습식현상공정으로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것보다 건식현상공정으로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경우가 감광막패턴의 쓰러짐 현상에 대하여 유리하지만, 건식현상공정시 웨이퍼를 대기 중으로 노출시키는 경우 대기중의 수분이 감광막패턴의 응집되는 것도 감광막패턴을 구부러뜨리는 문제점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식현상공정으로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건식현상공정을 2단계에 걸쳐 실시하되, 마지막 단계에서 불소분위기의 가스 및 O2가스의 혼합가스로 건식현상하여 감광막패턴의 표면에 소수성을 갖는 보호막을 형성하여 웨이퍼를 대기 중으로 노출시킬 때 대기 중의 수분이 감광막패턴의 표면에 응집되는 것을 방지하여 감광막패턴의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상부에 피식각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피식각층의 표면을 HMDS(hexamethyldisilazane)용액으로 기상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피식각층 상부에 실릴레이션용 감광막을 도포하고, 소프트베이크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감광막 내의 용제를 증발시키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을 패턴으로 예정되는 부분을 노출시키는 노광마스크를 사용하여 노광시키는 공정과,
상기 노광된 감광막을 프리 실릴레이션 베이크한 후 실릴레이션 에이젼트를 이용하여 상기 감광막의 노광된 부분을 실릴레이션시키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을 O2플라즈마를 이용하여 1차 건식현상공정을 실시한 후, 불소분위기가스와 산소가스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2차 건식현상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감강막패턴의 표면에 소수성을 갖도록 보호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반도체기판(도시안됨) 상부에 피식각층(10)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피식각층(10)의 표면을 에이치.엠.디.에스(hexamethyldisilazane 이하, HMDS)으로 기상처리하여 후속공정으로 형성될 감광막과의 접착력을 증진시킨다.
그 다음, 상기 피식각층(10) 상부에 실릴레이션용 감광막(20a)을 2000 ∼ 12000Å 두께로 도포한다.
다음, 소프트베이크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실릴레이션용 감광막(20a) 내의 용제를 증발시킨다. 상기 소프트베이크공정은 80 ∼ 250℃의 온도에서 10 ∼ 300초간 실시하되, 바람직하게는 120℃의 온도에서 90초간 실시한다.
다음, 상기 실릴레이션용 감광막(20a)을 패턴으로 예정되는 부분을 노출시키는 노광마스크(60)를 이용하여 노광시킨다. 이때, 상기 노광공정은 I-라인, KrF, ArF, 157㎚, EUV, X-선 및 E-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하나의 노광기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다음, 상기 노광된 실릴레이션용 감광막(20a)을 프리 실릴레이션 베이크(pre silylation bake)하되, 상기 프리 실릴레이션 베이크공정은 70 ∼ 200℃의 온도에서 60 ∼ 350초간 실시한다.
그 다음, 실릴레이션 에이젼트(silylation agent)를 이용하여 상기 실릴레이션용 감광막(20a)의 노광된 부분을 실릴레이션시킨다. 이때, 상기 실릴레이공정은 120℃의 온도에서 210초간 실시하고, 상기 실릴레이션 에이젼트는 TMDS (1,1,3,3-tetramethyl disilazane), TMSDMA (n,n-dimethylamine-trimethylsilane), TMSDEA (n,n-diethylaminotrimethyl-amine), B[DMA]DS (bis(dimethylamino)dimthylsilane) 및 B[DMA]MS (bis(dimethylamino)methylsila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하나가 사용된다.
다음, 건식현상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패턴(20b)을 형성하되, 2차에 걸친 건식현상공정을 실시하되, 상기 건식현상공정은 Lam TCP 9400SE 장비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먼저, O2 또는 SO2/O2 혼합가스로 상기 실릴레이션용 감광막(20a)을 1차 건식현상한다. 이때, 상기 1차 건식현상공정은 -50 ∼ 10℃의 온도 및 1 ∼ 50mtorr의 압력 하에서 50 ∼ 2000W의 상부전극 파워, 10 ∼ 500W의 하부전극 파워 및 10 ∼ 150W의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실시한다.
상기 1차 건식현상공정을 실시한 후 전 공정에서 실릴레이션된 부분(30)이 실리콘산화막(40)으로 된다.
다음, 상기 2차 건식현상공정은 C2F6/O2 또는 CF4/O2 의 불소분위기가스를 이용하여 실시하되, 상기 2차 건식현상공정은 -50 ∼ 10℃의 온도 및 1 ∼ 5-mtorr의 압력 하에서 50 ∼ 2000W의 상부전극 파워, 10 ∼ 500W의 하부전극 파워 및 10 ∼ 150W의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3 ∼ 7초간 실시한다.
상기 2차 건식현상공정을 실시한 후 감광막패턴(20b)의 표면에 보호막(5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50)은 소수성의 산화막(SiOx)으로 후속공정에서 반도체기판을 대기 중으로 노출시키는 경우 상기 감광막패턴(20b)의 표면에 수분이 응집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감광막패턴의 사진으로서, 감광막패턴이 구부러지거나 쓰러짐 없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감광막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건식현상공정을 2차에 걸쳐 실시하되, 마지막 단계의 건식현상공정을 불소분위기가스와 O2혼 합가스로 실시하여 감광막패턴의 표면이 소수성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후속공정시 반도체기판을 대기 중으로 노출시키는 경우 감광막패턴에 수분이 응집되어 감광막패턴이 구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그로 인하여 0.10㎛ 이하의 미세패턴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해상도 및 초점심도를 증가시켜 소자의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반도체 기판 상부에 피식각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피식각층의 표면을 HMDS(hexamethyldisilazane)용액으로 기상 처리하는 공정과,
    상기 피식각층 상부에 실릴레이션용 감광막을 도포하고, 소프트베이크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감광막 내의 용제를 증발시키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을 패턴으로 예정되는 부분을 노출시키는 노광마스크를 사용하여 노광시키는 공정과,
    상기 노광된 감광막을 프리 실릴레이션 베이크한 후 실릴레이션 에이젼트를 이용하여 상기 감광막의 노광된 부분을 실릴레이션시키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을 O2플라즈마를 이용하여 1차 건식현상공정을 실시한 후, 불소분위기가스와 산소가스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2차 건식현상공정을 실시하여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감강막패턴의 표면에 소수성을 갖도록 보호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베이크공정은 80 ∼ 250℃의 온도에서 10 ∼ 300초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막은 2000 ∼ 12000Å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공정은 I-라인, KrF, ArF, 157㎚, EUV, X-선 및 E-빔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하나의 노광기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릴레이션 에이젼트는 TMDS (1,1,3,3-tetramethyl disilazane), TMSDMA (n,n-dimethylamine-trimethylsilane), TMSDEA (n,n-diethylaminotrimethyl-amine), B[DMA]DS (bis(dimethylamino)dimthylsilane) 및 B[DMA]MS (bis(dimethylamino)methylsilan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실릴레이션 베이크공정은 70 ∼ 200℃의 온도에서 60 ∼ 350초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식현상공정은 O2 또는 SO2/O2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식현상공정은 -50 ∼ 10℃의 온도 및 1 ∼ 5-mtorr의 압력 하에서 50 ∼ 2000W의 상부전극 파워, 10 ∼ 500W의 하부전극 파워 및 10 ∼ 150W의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건식현상공정은 C2F6/O2 또는 CF4/O2 의 불소분위기가스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건식현상공정은 -50 ∼ 10℃의 온도 및 1 ∼ 5-mtorr의 압력 하에서 50 ∼ 2000W의 상부전극 파워, 10 ∼ 500W의 하부전극 파워 및 10 ∼ 150W의 바이어스를 인가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KR1020000034599A 2000-06-22 2000-06-22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20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599A KR100620651B1 (ko) 2000-06-22 2000-06-22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US09/886,463 US6599844B2 (en) 2000-06-22 2001-06-22 Method and forming fine patterns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assivation lay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599A KR100620651B1 (ko) 2000-06-22 2000-06-22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292A KR20020000292A (ko) 2002-01-05
KR100620651B1 true KR100620651B1 (ko) 2006-09-13

Family

ID=1967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5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0651B1 (ko) 2000-06-22 2000-06-22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99844B2 (ko)
KR (1) KR100620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091B1 (ko) * 2002-03-26 2004-01-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미세패턴 형성 방법
US6780708B1 (en) 2003-03-05 2004-08-24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forming core and periphery gates including two critical masking steps to form a hard mask in a core region that includes a critical dimension less than achievable at a resolution limit of lithography
WO2006058125A2 (en) 2004-11-23 2006-06-01 S. C. Johnson & Son, Inc. Device and methods of providing air purification in combination with cleaning of surfaces
JP4237184B2 (ja) * 2005-03-31 2009-03-11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852851B2 (en) 2006-07-10 2014-10-07 Micron Technology, Inc. Pitch reduction technology using alternating spacer depositions during the forma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systems including same
US7989307B2 (en) 2008-05-05 2011-08-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isolated active areas, trenches, and conductive lines in semiconductor structures and semiconductor structures including the same
US10151981B2 (en) * 2008-05-22 2018-12-1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structures supported by semiconductor substrates
US8409457B2 (en) * 2008-08-29 2013-04-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a photoresist-comprising pattern on a substrate
US8039399B2 (en) * 2008-10-09 2011-10-1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patterns utilizing lithography and spacers
US8247302B2 (en) 2008-12-04 2012-08-2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substrates
US8273634B2 (en) 2008-12-04 2012-09-2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substrates
US8796155B2 (en) 2008-12-04 2014-08-0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substrates
US8268543B2 (en) 2009-03-23 2012-09-1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patterns on substrates
US9330934B2 (en) 2009-05-18 2016-05-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patterns on substrates
US8774970B2 (en) 2009-06-11 2014-07-08 S.C. Johnson & Son, Inc. Trainable multi-mode floor cleaning device
US20110129991A1 (en) * 2009-12-02 2011-06-02 Kyle Armstrong Methods Of Patterning Materials, And Methods Of Forming Memory Cells
US8518788B2 (en) 2010-08-11 2013-08-2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US8455341B2 (en) 2010-09-02 2013-06-0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features of integrated circuitry
US8575032B2 (en) 2011-05-05 2013-11-0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a pattern on a substrate
US9076680B2 (en) 2011-10-18 2015-07-07 Micron Technology, Inc. Integrated circuitry, methods of forming capacitors, and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ry comprising an array of capacitors and circuitry peripheral to the array
US9177794B2 (en) 2012-01-13 2015-11-03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patterning substrates
US8629048B1 (en) 2012-07-06 2014-01-14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a pattern on a substrate
CN108022874B (zh) * 2016-10-31 2021-02-09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KR20240165480A (ko) 2018-12-20 2024-11-22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레지스트들의 건식 현상
TWI869221B (zh) 2019-06-26 2025-01-01 美商蘭姆研究公司 利用鹵化物化學品的光阻顯影
CN116705595A (zh) 2020-01-15 2023-09-05 朗姆研究公司 用于光刻胶粘附和剂量减少的底层
KR102601038B1 (ko) 2020-07-07 2023-11-09 램 리써치 코포레이션 방사선 포토레지스트 패터닝을 패터닝하기 위한 통합된 건식 프로세스
WO2022103764A1 (en) * 2020-11-13 2022-05-19 Lam Research Corporation Process tool for dry removal of photoresis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82395D1 (de) * 1986-03-27 1991-12-12 Ib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eitenstrukturen.
US5362606A (en) * 1989-10-18 1994-11-0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ositive resist pattern formation through focused ion beam exposure and surface barrier silylation
US6100014A (en) * 1998-11-24 2000-08-08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of forming an opening in a dielectric layer through a photoresist layer with silylated sidewall spa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292A (ko) 2002-01-05
US20020006585A1 (en) 2002-01-17
US6599844B2 (en) 200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0651B1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US6514672B2 (en) Dry development process for a bi-layer resist system
CN106226998B (zh) 光刻方法
US66604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a photoresist layer with reduced pattern collapse
JP2009218556A (ja) リソグラフィ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2004179254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922516A (en) Bi-layer silylation process
KR100415091B1 (ko) 미세패턴 형성 방법
KR20020000951A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제조방법
JP2674589B2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2000315684A (ja) エッチング方法
KR20090070686A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JP201015681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60012630B1 (ko)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JP2008066467A (ja) パターン形成方法
JPH0684787A (ja) 多層レジストのパターン形成方法
JP2932462B1 (ja) 半導体製造の表面パターニング方法
JP3660280B2 (ja) 微細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CN113539794B (zh) 半导体结构及其制备方法
KR19980084124A (ko)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JP200436348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9980050143A (ko) 반도체 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60054681A (ko) 포토레지스트 패턴 및 박막 패턴 형성방법
KR10057005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04279570A (ja) 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6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