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20238B1 -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238B1
KR100620238B1 KR1020030039479A KR20030039479A KR100620238B1 KR 100620238 B1 KR100620238 B1 KR 100620238B1 KR 1020030039479 A KR1020030039479 A KR 1020030039479A KR 20030039479 A KR20030039479 A KR 20030039479A KR 100620238 B1 KR100620238 B1 KR 10062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data
roa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257A (ko
Inventor
김진범
이희백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03003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238B1/ko
Priority to PCT/KR2003/002222 priority patent/WO2004112413A1/en
Priority to AU2003273091A priority patent/AU2003273091A1/en
Priority to JP2005500791A priority patent/JP2006527838A/ja
Publication of KR20040110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2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01C21/3889Transmission of selected map data, e.g. depending on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85Transmission of map data to client devices; Reception of map data by client devices
    • G01C21/3896Transmission of map data from central datab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 G01C21/3867Geometry of map features, e.g. shape points, polygons or for simplified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풀 맵(Full Map)의 서브 셋(SubSet)으로 구성되는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은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심플 맵 데이터(Simple Map Data)를 수신하는 단계,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도로 중에서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제1 도로와 연관된 제1 도로 데이터, 및 상기 제1 도로 상의 노드(node)와 상기 제1 도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타 노드를 연결하는 제2 도로와 연관된 제2 도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이고, 상기 노드는 도로 상의 교차점 또는 도로 상의 막다른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도로 데이터 및 주기 데이터만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인 심플 맵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기까지의 시간 역시 단축된다.
지도 데이터, 심플 맵 데이터, 풀 맵 데이터, 맵 매칭, 전송 시간, 회전 지점.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Supplying Map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For Enabl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내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도로 데이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맵 매칭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도로에 대응하는 제1 도로 데이터 및 제2 도로에 대응하는 제2 도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한 지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 등을 구성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10 :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
811 : 지도 데이터베이스
812 : 사용자 수신부
813 : 지도 데이터 선택부
814 : 사용자 송신부
830 : 이동 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풀 맵(Full Map)의 서브 셋(SubSet)으로 구성되는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은 인공 위성을 이용하여 차량 등 운송 장치(vehicle)의 주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자동 항법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지구상에 떠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지구 상에는 다수의 GPS 위성이 떠 있는데, 운송 장치는 지구상의 어느 지역에 있던지 3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3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렇게 계산된 자신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주행 정보를 상기 차량 등의 운송 장치에 제공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기존에는 항공기나 선박 등 대형 이동체의 위치 계산과 항법에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자동차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운송 장치의 현재의 위치 정보, 운송 장치의 현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운송 장치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지도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운송 장치의 현재 위치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때 지도를 이용하면 훨씬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현재 위치 등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지도 정보가 함께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지도 정보는 CD 롬 또는 DVD 롬과 같은 저장 매체를 통하여 제공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는 필요 시마다 CD 롬 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판독하여 이를 소정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지도 정보를 갱신하여야 하는 경우, CD 롬 등의 저장 매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추후 업데이트 시 매우 불편하였다. 즉, 사용자는 상기 지도 정보를 포함한 CD 롬의 제공자로부터 계속하여 추가로 CD 롬을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 및 시간적 부담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지도 정보 제공자가 변경되는 지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한 CD 롬 등을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변경된 지도 정보(예를 들어, 도로, 건물 등이 새로 생기거나 없어진 경우)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었다. 마찬가지 이유로, 기존의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경로를 탐색하여 사용자에게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경로 정보에 지도 정보 상의 변경 사항이 반영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위 텔레메틱스(tele-matics)라고 불리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르면, 이동 전화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텔레메틱스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음성을 이용하여 길을 안내하거나, 자신의 차량에 교통 사고가 났을 경우 GPS 위성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사고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고, 가장 가까이 위치한 119 구조대나 병원 등에 상기 정보를 전달해 줌으로써 구난 활동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 전화 등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있어서는, 이동 전화의 메모리 크기로 인한 제한 때문에 지도 정보를 이동 전화에 저장하여 둘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차량의 위치 정보, 주행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지도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종래기술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 통신망을 이용하여 지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도로 등 지도 정보의 변경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주행 정보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주행 중 가장 최근에 업데이트 된 주행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지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와 송수신 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된다.
그런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유선 통신망에 비해 느린 것이 일반적이고,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는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며, 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저하된 때 상기 지도 데이터를 전송 받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이러한 경우에 대한 특별한 대비책 없이 유선 통신망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기존의 지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고 있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도로 데이터 및 주기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인 심플 맵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소정의 회전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만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에서의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입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상의 적절한 위치로 매칭함으로써 사용자에게 GPF 수신기 또는 지도 데이터 상의 오차를 수정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 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심플 맵 데이터(Simple Map Data)를 수신하는 단계,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도로 중에서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제1 도로와 연관된 제1 도로 데이터, 및 상기 제1 도로 상의 노드(node)와 상기 제1 도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타 노드를 연결하는 제2 도로와 연관된 제2 도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이고, 상기 노드는 도로 상의 교차점 또는 도로 상의 막다른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핑(mapping)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존재하는 도로로의 정사영을 수행하여 제1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후보 위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후보 위치 중에서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제2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후보 위치 중에서 상기 거리가 최소인 후보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2 후보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로 매칭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풀 맵 데이터(Full Map Data) 및 하나 이상의 심플 맵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지도 데이터의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지도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풀 맵 데이터는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상기 지도 데이터는 선형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폴리곤 데이터를 포함함),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경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데이터는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와 연관된 선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도 데이터의 선택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풀 맵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심플 맵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지도 데이터의 요청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수신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지도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풀 맵 데이터는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상기 지도 데이터는 선형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폴리곤 데이터를 포함함),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경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데이터는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와 연관된 선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진행 방향을 입력 받기 위한 위치 데이터 수신부, 상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진행 방향 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회전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부,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회전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 수신부, 판단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 측의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며, 도 1은 상기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내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부호(110)은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를, 도면 부호(130)은 통신망(120)을 통하여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10)에 접속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표시한다.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10)은 이동 통신 단말기(230)에 소정의 지도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30)에 내장되는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도시하지 않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계(201)에서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10)로부터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심플 맵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도로 데이터 중에서 상기 경로에 해당하는 도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이고, 상기 도로 데이터는 제1 도로와 연관된 제1 도로 데이터, 및 상기 제1 도로 상의 노드(node)와 상기 제1 도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타 노드를 연결하는 제2 도로와 연관된 제2 도로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노드는 도로 상의 교차점 또는 도로 상의 막다른 지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은 별도의 지도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심플 맵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경로 탐색, 맵 매칭은 물론 이동 통신 단 말기(130) 상에서의 디스플레이까지 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10)은 경로 탐색이 가능한 수치 지도 데이터로서 심플 맵 데이터를 유지하고, 소정의 경로에 해당하는 심플 맵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상기 도로 데이터는 지도 상에서 도로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이며,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은 도로 데이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로 데이터는 노드(Node), 링크(Link) 및 보간점(Interpolation Points)을 포함한다. N1으로 표시한 바와 같은 검은 색 점은 노드를, L1, L2 및 L3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노드 사이를 연결하는 선은 링크를 의미한다. 상기 노드는 도로들이 교차하는 교차점 또는 도로 상의 막다른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링크는 상기 노드 사이의 도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보간점은 곡선으로 이루어진 도로에서 상기 도로가 통과하는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로서, 통상 도로의 곡률이 클수록 도로를 표시하기 위해 더 많은 수의 보간점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로에 대응하는 도로 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도로 데이터는 정의될 수 있다. 각 도로는 상기 도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지도 데이터는 고속 도로, 국도, 지방 도로, 주택가 도로 등 대부분의 도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반해, 심플 맵 데이터는 상기 도로 데이터 중에서 소정의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 데이터만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구별된다.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계(202)에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를 입력 받고, 단계(203 내지 208)에서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한다. GPS 수신기로부터 입력 받은 '현재 위치'를 소정의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하기 전에, GPS 수신기에서 입력된 현재 위치 상의 오차, 지도 데이터 자체의 오차 등으로 인한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맵 매칭(Map Matching)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4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GPS 수신기로부터 입력 받은 현재 위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그대로 매핑하면 사용자가 자동차를 이용하여 주행 중임에도 영풍 빌딩의 위치에 표시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현재 위치를 수정하여 사용자가 주행 중인 도로에 표시되도록 수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맵 매칭이라고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은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상기 현재 위치를 맵 매칭한다.
도 5를 이용하여 단계(203 내지 208)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제1 도로에 대응하는 제1 도로 데이터 및 상기 제2 도로에 대응하는 제2 도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한 간략화된 지도이다. 상기 두꺼운 도로는 상기 경로에 해당하는 상기 제1 도로를 표시하고, 그 외의 도로는 상기 제2 도로를 표시한다. 도면 부호(501)로 표시한 하얀색 원들은 상술한 노드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면 부호(502)는 기준 위치를, 도면 부호(503a 내지 503c)로 표시한 회색 원들은 제1 후보 위치를 의미한다.
단계(203)에서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입력 받은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핑(mapping)한 위치를 기준 위치(502)로 결정하고, 단계(204)에서 기준 위치(501)에서 소정의 거리(l5) 내에 존재하는 도로로의 정사영을 수행하여 제1 후보 위치(503a, 503b 및 503c)를 결정한다. 맵 매칭은 GPS 수신기에서의 오차(1999년 이전에는 상기 오차는 반경 100m 정도였으나 그 이후 상기 GPS 수신기에서 수신하는 전파에 고의적으로 실려 보내지는 노이즈의 일종인 SA(Selective Avaliablity)를 제거하여 현재는 상기 오차가 반경 수십미터 정도임) 는 200m 이내의 오차 범위를 가지며,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DGPS(Differential GPS)의 경우에도 5m 이내의 오차 범위를 갖는다), 소정의 도로에 대응하는 도로 데이터 상의 오차(특히 곡선으로 이루어진 도로에서 상기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등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기준 위치와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자동차가 주행 중인 도로에 대응하는 도로 데이터 상의 거리가 일정한 거리 이상 떨어져 있다고 생각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소정의 거리(l5) 내에 존재하는 도로로만 정사영을 수행한다.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계(205)에서 기준 위치(502)로부터 제1 후보 위치(503a)까지의 거리 d1, 기준 위치(502)로부터 제1 후보 위치(503b)까지의 거리 d2, 및 기준 위치(502)로부터 제1 후보 위치(503c)까지의 거리 d3를 산출하고, 단계(206)에서 제1 후보 위치(503a 내지 503c) 중에서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제2 후보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206)은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진행 방향 또는 속도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제1 후보 위치(503a 내지 503c), 중에서 상기 진행 방향 또는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위치를 상기 제2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있어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입력 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진행 방향이 '북쪽' 인 경우에는 제1 후보 위치(503a 내지 503c) 중에서 제1 후보 위치(503a)를 제2 후보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진행 방향이 '북북동'인 경우에는 제1 후보 위치(503b)를 제2 후보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속도가 80km/h이고, 제1 후보 위치(503c)를 포함하는 도로가 주택가의 1차선 도로인 경우에는 상식적으로 주택가 도로에서 80km/h로 자동차가 주행하는 것은 발생하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제1 후보 위치(503c)를 제외한 제1 후보 위치(503a 및 503b) 중에서 제2 후보 위치를 결정한다.
그런데,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진행 방향 및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후보 위치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상기 입력된 진행 방향이 '서쪽'으로 입력되었으나, 제1 후보 위치(503a 내지 503c) 중에는 상기 진행 방향에 해당하는 제1 후보 위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등이다. 이는 GPS 수신기가 전원이 입력되어 초기화 상태에서 입력한 데이터가 부정확한 경우 등으로 인해 발생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행 방향 및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위치 중에서 상기 제2 후보 위치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를 더 입력 받고, 상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새로운 제1 후보 위치를 선정 한다.
또한,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에서의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진행 방향 또는 속도를 더 입력 받고, 상기 새로 입력된 진행 방향 또는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제1 후보 위치 중에서 상기 제2 후보 위치를 결정한다.
즉, 상기 진행 방향 또는 속도로 상기 제2 후보 위치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진행 방향 또는 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고, 다음 번에 입력되는 진행 방향 또는 속도를 이용하여 정확한 매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계(207)에서 결정된 제2 후보 위치 중에서 상기 거리(d1, d2 및 d3)가 최소인 후보 위치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d1 = 5m, d2 = 5.5m, d3 = 6m이고 상기 진행 방향 및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2 후보 위치가 제1 후보 위치(503a)와 제1 후보 위치(503b)인 경우에는 상기 거리가 5m로 최소인 제1 후보 위치(503a)를 선택한다.
단계(208)에서 상기 선택된 제2 후보 위치가 상기 심플 맵 데이터로 매칭된 위치로 결정되고,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계(209)에서 상기 매칭된 위치가 결정된 심플 맵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표시 수단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은 선형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폴리곤 데이터를 전부 포함하는 풀 맵 데이터가 아니라,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와 연관된 선형 데이터(특히 상기 제1 도로 및 상기 제2 도로에 대한 도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심플 맵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30)에 제공함으로써,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10)와 이동 통신 단말기(130) 사이의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시간이 감소하고, 지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 때부터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기까지의 지연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계(209)에서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포함되는 도로 데이터 중에서 상기 제1 도로 데이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도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클리핑(clipping)) 표시한다. 이는 상기 제1 도로 데이터로부터 상기 소정 거리(예를 들어, 500m) 이상 떨어져 있는 도로는 사용자가 이용, 또는 참조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필요성이 적은 데이터의 처리 및 표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클리핑은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10)에서 수행되어 클리핑된 심플 맵 데이터가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심플 맵 데이터를 수신한 지도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어 표시 수단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상기 제1 도로 데이터 및 상기 제2 도로 데이터 외의 제N 도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N 도로 데이터는 제2 도로 데이터와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제(N-1) 도로 상의 노드와 상기 제(N-1) 도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타 노드를 연결하는 제N 도로와 연관된 도로 데이터이며, 상기 제2 도로 데이터로부터 연속적으로 확장 가능한 개념이다.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경로 중에서 소정의 구간에 대해서는 다른 구간에 대해서보다 더 자세한 도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소정의 구간은 경로 중에서 도로가 복잡하게 되어 있는 곳 등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사용자에게 보다 상세한 도로 데이터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때에는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소정의 구간에 대해서는 더 높은 차수의 도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 외의 구간에는 낮은 차수의 도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수단에 소정의 구간(a)에 대해서는 제1 및 제2 도로 데이터가 표시되고, 소정의 구간(b)에 대해서는 제1, 제2, 제3 및 제4 도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처리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도 사용자에게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구간에 대해서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심플 맵 데이터가 상기 제1 도로 데이터 및 상기 제2 도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의하면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와 연관된 도로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이다. 즉, 탐색된 경로 상의 도로망과 주요 주기 데이터만을 가지고 지도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도로 데이터에 해당하는 도로 데이터만을 전송 받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 전송량이 더욱 감소되고 상기 지연 시간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도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심플 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도로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심플 맵에 비해 경로 이탈 판정이 더욱 용 이하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를 제1 도로 데이터로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도로 데이터로도 매칭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가 경로에 대응하는 제1 도로와 연관된 제1 도로 데이터가 아닌 상기 제2 도로 데이터로 매칭되는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30)가 (즉, 사용자가 주행하는 자동차가) 상기 경로를 이탈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제2 도로 데이터로 매칭된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30)가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보고 상기 사용자에게 경로 이탈 사실을 제공하는 등 소정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심플 맵이 상기 제1 도로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매핑된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도로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를 경로의 이탈이라고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거리 이상 경로를 이탈하여 주행하고 나서야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경로 이탈 사실을 판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은 도 1에서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 측의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에서 수행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지 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계(601)에서 소정의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풀 맵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심플 맵 데이터를 유지한다. 상기 풀 맵 데이터는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지도 데이터는 선형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및 폴리곤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경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데이터는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와 연관된 선형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소정의 경로에 대응하는 제1 도로와 연관된 제1 도로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제1 심플 맵 데이터일 수도 있고, 상기 제1 도로 데이터 외에 상기 제1 도로 상의 노드와 상기 제1 도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타 노드를 연결하는 제2 도로에 대응하는 제2 도로 데이터도 포함하는 제2 심플 맵 데이터일 수도 있다. 또한,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 도로 상의 노드와 상기 제2 도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타 노드를 연결하는 제3 도로에 대응하는 제3 도로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제3 심플 맵 데이터 등과 같이 확장하여, 제N 도로 데이터도 포함하는 제N 심플 맵 데이터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1 내지 제N 심플 맵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의 심플 맵 데이터를 유지한다. 도로 데이터 측면에서만 기재되었지만,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도로 데이터 외의 주기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계(602)에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지도 데이터의 요청을 입력 받는다.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선택된 지 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송신한다.
즉,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경로 탐색이 가능한 수치 지도 데이터인 심플 맵 데이터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고, 그 중에서 상기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심플 맵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130)에서의 맵 매칭 및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단계(603)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30)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한다.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계(604)에서 측정 결과 얻어진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를 선택하고, 단계(605)에서 상기 선택된 지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서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저장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상기 풀 맵 데이터의 서브 셋이기 때문에 그 데이터의 크기가 상기 풀 맵 데이터의 크기보다 적다. 또한, 상기 제N 심플 맵 데이터보다는 제(N-1) 심플 맵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어 있는 풀 맵 데이터 또는 하나 이상의 심플 맵 데이터 중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적당한 데이터 크기를 갖는 지도 데이터를 선택하여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지도 데이터를 요청하여 전송 받기까지의 지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단순히 단계(602)에서 지도 데이터의 요청은 물론, 지도 데이터의 선택도 더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지도 데이터를 단계(605)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30)는 단계(606)에서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이 전송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계(607)에서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현재 위치를 입력 받는다.
이동 통신 단말기(130)는 단계(608)에서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로 매칭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30)의 표시 수단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매칭하는 방법은,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수신된 지도 데이터에 매핑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존재하는 도로로의 정사영을 수행하여 제1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후보 위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후보 위치 중에서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제2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후보 위치 중에서 상기 거리가 최소인 후보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후보 위치를 상기 수신된 지도 데이터로 매칭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후보 위치 중에서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제2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행 방향 또는 속도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후보 중에서 상기 진행 방향 또는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1 후보 위치를 제2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매칭 과정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심플 맵 데이터로 매칭하는 과정(단계(203 내지 208)에 대응함)과 그 원리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810)은 지도 데이터베이스(811), 사용자 수신부(812), 지도 데이터 선택부(813) 및 사용자 송신부(814)를 포함하며, 소정의 지도 데이터를 통신망(820)을 통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830)로 제공한다.
지도 데이터베이스(811)는 풀 맵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심플 맵 데이터를 유지한다.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수신부(812)는 이동 통신 단말기(830)로부터 통신망(820)을 통해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지도 데이터의 요청을 입력 받는다. 상기 요청의 입력에 응답하여 지도 선택부(813)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지도 데이터베이스(811)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데이터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810)은 이동 통신 단말기(830)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속도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지도 선택부(813)는 상기 측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데이터를 선택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심플 맵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은 사용자 송신부(814)에서의 지도 데이터의 전송 시간 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수신부(812)는 상기 지도 데이터의 요청 외에 상기 지도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데이터를 더 입력 받고, 지도 선택부(813)는 상기 선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데이터를 선택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830)의 사용자는 더 빠른 지도 데이터의 수신(심플 맵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과 더 자세한 지도 정보의 제공(풀 맵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 중 하나를 사용자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송신부(814)는 상기 선택된 지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83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830)는 지도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다. 특히,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풀 맵 데이터 뿐만 아니라, 상기 풀 맵 데이터보다 데이터 크기가 적은 심플 맵 데이터를 유지하고,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택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지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910)은 지도 데이터 수신부(931), 위치 수신부(932), 맵 매칭 부(933) 및 표시 수단(934)를 포함한다.
지도 데이터 수신부(931)는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910)으로부터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심플 맵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심플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경로를 특정하기 위한 입력을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910)로 송신할 수 있다.
위치 수신부(932)는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입력 받고, 맵 매칭부(933)는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한다. 상기 매칭된 심플 맵 데이터는 표시 수단(934)에 의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심플 맵 데이터 및 상기 매칭 과정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데이터 크기가 적은 심플 맵 데이터를 풀 맵 데이터의 경우보다 빨리 수신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로 매칭함으로써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지도 데이터 상의 적절한 위치에 표현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1030)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1030)은 위치 데이터 수신부(1031), 위치 판단부(1032), 지도 데이터 수신부(1033), 표시 수단(1034) 및 사용자 송신부(1035)를 포함한다.
위치 데이터 수신부(1031)는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진행 방향을 입력 받는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판단부(1032)는 상기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진행 방향(북쪽) 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회전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d11)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11에서 도면 부호(1101)은 지도 데이터 상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도면 부호(1102)는 주기 데이터를 표시하고, 도면 부호(d11)은 상기 소정의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회전 지점은 도로 중에서 사용자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분(교차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 도로 등)을 의미한다.
지도 데이터 수신부(1033)는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010)로부터 상기 회전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표시 수단(1034)는 판단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회전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d11)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회전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표시한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지점이 십자로인 경우에는 표시 수단(1034)은 지도 데이터 중에서 상기 십자로에 대응하는 도로 데이터 및 상기 십자로 주위의 주기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소정의 회전 지점에 도달하기까지는 보통 직진 도로를 주행하게 되므로, 직진 도로를 주행하는 동안에는 상기 직진 도로와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할 필요성이 적으나, 회전 지점에서는 상기 회전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참조하여 주행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진행 방향 상에 위치하는 회전 지점 부근에서만 상기 회전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지도 데이터 수신부(1033)는 상기 회전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만을 수신하면 충분하고 그 외의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1030)에 따르면,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010)와의 데이터 전송량이 감소하여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010)은 물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1030)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 수신부(1033)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소정의 거리(d11)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데이터 수신부(1031)는 상기 회전 지점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한번에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입력된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지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1030)은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010)에 소정의 경로에 해당하는 지도 데이터의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송신부(1035)를 더 포함하고, 지도 데이터 수신부(1033)는 상기 경로 중 존재하는 회전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 데이터 수신부(103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상기 회전 지점으로 부터 소정의 거리(d11)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경로 중 존재하는 회전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1010)과의 데이터 송수신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 등을 구성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1200)은 램(RAM: Random Access Memory)(1002)과 롬(ROM: Read Only Memory)(1203)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1)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1)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1203)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램(1202)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램(1202) 및 롬(1203)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1204)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1201)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1204)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1206)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1)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 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205)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20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07)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도로 데이터 및 주기 데이터만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인 심플 맵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하기까지의 시간 역시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소정의 회전 지점과 연관된 지도 데이터만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상기 데이터 제공 서버에서의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입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상의 적절한 위치로 매칭함으로써 사용자에게 GPF 수신기 또는 지도 데이터 상의 오차를 수정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6)

  1.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도로 데이터 중에서 소정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와 연관된 도로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인 심플 맵 데이터(Simple Map Data)를 수신하는 단계;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matching)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핑(mapping)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존재하는 도로로의 정사영을 수행하여 제1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후보 위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행 방향 또는 속도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후보 중에서 상기 진행 방향 또는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1 후보 위치를 제2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후보 위치 중에서 상기 거리가 최소인 제2 후보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2 후보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로 매칭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2.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심플 맵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플 맵 데이터는 도로 데이터 중에서 상기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이고, 상기 도로 데이터는 제1 도로와 연관된 제1 도로 데이터, 및 상기 제1 도로 상의 노드(node)와 상기 제1 도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타 노드를 연결하는 제2 도로와 연관된 제2 도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드는 도로 상의 교차점 또는 도로 상의 막다른 지점이며,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핑(mapping)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존재하는 도로로의 정사영을 수행하여 제1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후보 위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행 방향 또는 속도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후보 중에서 상기 진행 방향 또는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1 후보 위치를 제2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후보 위치 중에서 상기 거리가 최소인 제2 후보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2 후보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로 매칭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도로 데이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상기 도로 데이터만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지도 데이터베이스에 풀 맵 데이터 및 하나 이상의 심플 맵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경로와 연관된 지도 데이터의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풀 맵 데이터 및 상기 심플 맵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지도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지도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선택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수신된 지도 데이터에 매핑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존재하는 도로로의 정사영을 수행하여 제1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후보 위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행 방향 또는 속도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후보 중에서 상기 진행 방향 또는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1 후보 위치를 제2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후보 위치 중에서 상기 거리가 최소인 제2 후보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2 후보 위치를 상기 수신된 지도 데이터로 매칭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삭제
  13.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지도 데이터 제공 서버로부터 도로 데이터 중에서 소정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와 연관된 도로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인 심플 맵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 수신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입력 받기 위한 위치 수신부;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하는 맵 매칭부; 및
    상기 매칭된 심플 맵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맵 매칭부는,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핑한 위치를 기준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에서 소정의 거리 내에 존재하는 도로로의 정사영을 수행하여 제1 후보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후보 위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행 방향 또는 속도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제1 후보 중에서 상기 진행 방향 또는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된 제1 후보 위치를 제2 후보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후보 위치 중에서 상기 거리가 최소인 제2 후보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2 후보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로 매칭된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상기 심플 맵 데이터에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30039479A 2003-06-18 2003-06-1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Expired - Lifetime KR100620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479A KR100620238B1 (ko) 2003-06-18 2003-06-1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PCT/KR2003/002222 WO2004112413A1 (en) 2003-06-18 2003-10-22 Method for supplying map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for enabling the method
AU2003273091A AU2003273091A1 (en) 2003-06-18 2003-10-22 Method for supplying map dat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for enabling the method
JP2005500791A JP2006527838A (ja) 2003-06-18 2003-10-22 移動通信端末機を用いた地図データ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479A KR100620238B1 (ko) 2003-06-18 2003-06-1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257A KR20040110257A (ko) 2004-12-31
KR100620238B1 true KR100620238B1 (ko) 2006-09-13

Family

ID=3355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479A Expired - Lifetime KR100620238B1 (ko) 2003-06-18 2003-06-18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527838A (ko)
KR (1) KR100620238B1 (ko)
AU (1) AU2003273091A1 (ko)
WO (1) WO2004112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476B1 (ko) * 2005-04-14 2007-01-19 대원지리정보(주) 3차원 지리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GB2440958A (en) * 2006-08-15 2008-02-20 Tomtom Bv Method of correcting map data for use in navigation systems
US8463543B2 (en) 2010-02-05 2013-06-11 Apple Inc. Schematic maps
CN107063273B (zh) * 2011-05-19 2021-05-25 Sk 普兰尼特有限公司 实时地图数据更新系统和方法
CN103903433B (zh) * 2012-12-27 2016-09-14 南京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道路交通状态的实时动态判别方法及装置
KR101493817B1 (ko) * 2013-06-14 2015-03-02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맵매칭 방법
CN109612474B (zh) * 2018-12-26 2022-02-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地图道路匹配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18538064B (zh) * 2024-07-25 2024-09-24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人工智能的无人机通信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9002B2 (ja) * 1991-04-30 1998-05-2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ナビゲータの車両位置検出装置
KR100376895B1 (ko) * 1996-09-20 2003-03-19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장치
JP2000213952A (ja) * 1999-01-27 2000-08-04 Nec Mobile Commun Ltd 移動通信におけるナビゲ―ション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054484B2 (ja) * 1999-06-30 2008-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用地図情報表示システム
JP4068774B2 (ja) * 1999-11-26 2008-03-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用地図情報表示システム
JP3475142B2 (ja) * 2000-03-01 2003-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データ送信装置、地図データ送信方法、及び、地図データ送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636723B2 (ja) * 2001-04-12 2011-02-23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036012B2 (ja) * 2001-04-26 2008-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を行うクライアント端末、同クライアント端末と通信を行うサーバ、経路案内方法及び経路一致判定方法
JP2002340573A (ja) * 2001-05-21 2002-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経路誘導装置
JP2002365071A (ja) * 2001-06-12 2002-12-18 Fujitsu Ten Ltd 地図情報配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257A (ko) 2004-12-31
WO2004112413A1 (en) 2004-12-23
JP2006527838A (ja) 2006-12-07
AU2003273091A1 (en) 200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9242B2 (en) Navigation lane guidance
US11168989B2 (en) Supervised point map matcher
EP2270764B1 (en) Route guidance server, navigation apparatus, route guidance system, and route guidance method
US5982301A (en) Navigation apparatus
US7339496B2 (en) Geographic data transmitting method, information deliver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terminal
US201003124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using routing data created by remote navigation server
EP0664007B1 (en) Vehicle navigation system
CN104812654A (zh) 将交通对象的位置信息动态地提供给计算装置
JP407690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0175135B1 (ko) 내비게이션장치
KR1006202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도 데이터 제공 방법 및시스템
US20130345963A1 (en) Combined offboard and onboar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149467A1 (en) Map drawing method, map drawing system, navigation apparatus and input/output apparatus
WO2019171705A1 (ja) 経路情報送信方法、経路情報送信システム、車載端末
JP201115839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誘導経路探索方法
KR100612038B1 (ko) 경로 탐색 방법 및 시스템
KR100475279B1 (ko) 네비게이션 용 지도 표시 방법 및 장치
US11486717B1 (en) Generating navigation instructions based on digital map context
KR20120079241A (ko) 차량 항법 시스템, 이를 위한 경로 재탐색 방법 및 경로 안내 방법
JP3975998B2 (ja) 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装置
KR1005746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JP6578233B2 (ja) 検索システム、検索方法、検索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7520686A (ja) マップマッチング強制離脱命令によって経路再探索を可能にするナビゲーション用地図表示方法および地図表示システム
CN115384553A (zh) 一种车道轨迹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8131287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0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628

Appeal identifier: 2006101004423

Request date: 20060525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6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12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62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121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