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9965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965B1
KR100619965B1 KR1020040101809A KR20040101809A KR100619965B1 KR 100619965 B1 KR100619965 B1 KR 100619965B1 KR 1020040101809 A KR1020040101809 A KR 1020040101809A KR 20040101809 A KR20040101809 A KR 20040101809A KR 100619965 B1 KR100619965 B1 KR 100619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short
specific
terminal
specific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2833A (ko
Inventor
김종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965B1/ko
Priority to CNB2005100803576A priority patent/CN100456844C/zh
Publication of KR20060062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의 동보전송 절차를 단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동보전송용 단문 메시지의 본문 작성 시 선두 부분에 모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특정 심볼로 구분하여 삽입한 후 특정 쇼트 코드로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에 전송하는 제1과정과;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에서 단문 메시지 수신 시 수신된 번호가 쇼트코드로 판명되면, 상기 특정 심볼로 구분된 모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전화번호를 제외한 단문메시지의 본문을 저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추출된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저장된 단문 메시지의 본문을 해당 수신자측으로 전송하는 제3과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MESSAG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의 전송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단문문자 메시지의 동보전송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의 동보전송 절차를 단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메시지 동보전송시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에 메시지를 한번만 전송하는 것으로 그들간의 동보전송이 가능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폰의 보급률이 급속히 증가되어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은 휴대폰은 고유의 음성통화 서비스는 물 론, 단문메시지(SMS), 멀티미디어메시지(MMS) 등의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라 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전송 절차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에 전송하고, 그 SMSC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SMS 표준에는 동보 전송에 대한 별다른 정의가 없는 관계로 인하여, 제조업체들은 자체적으로 표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SMS 전송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종래 기술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동보전송 처리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A 단말기는 단문 메시지를 동보전송하는 송신측 단말기이고, B-H 단말기는 그 단문 메시지를 전송받는 수신측 단말기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① A 단말기에서 동보전송 대상의 수신측 단말기(B-H)의 전화번호를 사용자
로부터 입력받는다.
② A 단말기에서 SMS 표준에 따라 수신측 단말기를 B 단말기로 설정하여
해당 단문 메시지를 연계된 SMSC에 전송한다.
③ 상기 SMSC는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를 B 단말기에 전송한다.
④ A 단말기에서 B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이 완료된다.
⑤ A 단말기에서 SMS 표준에 따라 수신측 단말기를 C 단말기로 설정하여
해당 단문 메시지를 연계된 SMSC에 전송한다.
⑥ 상기 SMSC는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를 C 단말기에 전송한다.
⑦ A 단말기에서 C 단말기에 대한 메시지 전송이 완료된다.
⑧ 나머지 단말기(D-H)를 대상으로 상기 ⑤-⑦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에 있어서는 송신측 단말기에서 SMSC에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SMSC가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를 해당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수신측 단말기 수만큼 반복 수행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만큼 망 점유시간 및 동보전송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문메시지 동보전송시 수신자 수에 관계없이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에 단문메시지를 한번만 전송하는 것으로 그들간의 동보전송 동작이 완료되도록 하는 동보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은, 동보전송용 단문 메시지의 본문을 작성할 때 선두 부분에 모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특정 심볼로 구분하여 삽입한 후 특정 쇼트 코드로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에 전송하는 제1과정과;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에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번호가 쇼트코드인지 확인하여 쇼트 코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통상의 단문 메시지 처리 절차에 따라 처리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전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수신된 번호가 쇼트코드로 판명되면, 단문 메시지의 본문에서 상기 특정 심볼로 구분된 모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전화번호를 제외한 단문메시지의 본문을 저장하는 제3과정과; 상기 추출된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저장된 단문 메시지의 본문을 해당 수신자측으로 전송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동보전송 처리과정을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동보전송을 위해서는 단말기와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SMSC)간에 다음과 같은 정의가 필요하다.
먼저, 동보전송을 위해 특정 쇼트 코드(short code)가 필요하다. 여기서, 쇼트 코드란 SMSC에 동보전송을 목적으로 할당된 특정 번호(예: 2424,8282,…)를 의미한다.
단말기와 SMSC 간에 상기 특정 쇼트코드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동보전송 메시지이며, SMSC에서 이를 인식하기 위한 규칙이 필요하다.
단말기와 SMSC 간에 메시지의 본문에 삽입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엔코딩하고 디코딩하는 규칙의 정의가 필요한다.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단문메시지의 본문에 삽입하는 방법으로써, 여러 수신자의 전화번호 선두에 특정 심볼(예: #,*,…)을 삽입하고, 각 수신자 전화번호의 사이에 상기 특정 심볼과 다른 심볼(예: 빈칸)을 삽입하여 SMSC로 하여금 동보전송용 수신자 전화번호를 각각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SMSC는 상기 특정 쇼트 코드로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에 대해서 동보 전송의 스킴(scheme)을 적용한다.
상기 SMSC는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본문에서 약속된 특정 심볼로 시작하고 구분자(빈칸, 심볼)로 구분되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모두 추출하여 저장하고, 단문 메시지 본문 중 해당 부분(수신자 전화번호)을 삭제하고 나머지 부분을 저장한다.
이후, 상기 SMSC는 상기 추출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문 메시지의 동보전송 처리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키패드 상의 문자입력 키를 조작하여 동보전송용 단문 메시지의 본문을 작성하게 되는데, 그 본문의 선두 부분에 모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기록하되, 그 전화번호의 처음 부분과 끝 부분에는 특정 심볼(예: #)을 기록하고, 하나의 전화번호와 다음 전화번호의 사이는 특정 심볼이나 빈 칸으로 구분한다.(S1,S2)
이와 같이 단문 메시지의 본문에 모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특정 심볼로 구분하여 삽입하는 이유는, 동보 전송을 실시할 때 수신자 수에 관계없이 송신측 단말기와 SMSC 간에 단 한번의 송신으로 송신 동작이 완료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 #023891097 023546789 09388337 039393888 0978900000#
이후, 상기 단문 메시지의 작성이 종료되면, 그 단문 메시지를 일반적인 송신 절차에 따라 SMSC에 전송한다. 단, 수신번호를 미리 약속된 특정 쇼트 코드(예: 2424)로 한다.(S3)
상기 SMSC에서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신번호가 상기 쇼트 코드인지 확인하여 쇼트 코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통상의 단문 메시지 처리절차에 따라 처리하여 해당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한다.(S5,S6)
하지만, 상기 확인 결과 수신번호가 상기 쇼트코드로 판명되면, 단문 메시지의 본문에서 상기 특정 심볼로 구분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특정 심볼(#) 위치를 시작 위치로 판단하여 빈칸이나 다른 특정 심볼(예: *)로 구분되는 모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을 시작할 때의 특정 심볼(#)이 다시 검출되면 전화번호 추출동작을 종료한다.(S7)
이때, 상기 단문 메시지의 본문 중에서 상기 상기 특정 심볼(#)로 구분된 수신자 전화번호 부분을 삭제하고 나머지 부분을 저장한다.(S8)
이후, SMSC는 상기 추출되어 저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그 전화번호로 상기 저장된 단문 메시지의 본문을 전송한다.(S9)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 동보전송시 수신자 수에 관계없이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 서비스센터에 단문메시지를 한번만 전송하는 것으로 그들간의 전송동작이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망 점유시간 및 동보전송시간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동보전송용 단문 메시지의 본문 작성 시 선두 부분에 모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특정 심볼로 구분하여 삽입한 후 특정 쇼트 코드로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에 전송하는 제1과정과;
    단문메시지서비스 센터에서 단문 메시지 수신 시 수신된 번호가 쇼트코드로 판명되면, 상기 특정 심볼로 구분된 모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전화번호를 제외한 단문메시지의 본문을 저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추출된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상기 저장된 단문 메시지의 본문을 해당 수신자측으로 전송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과정은 여러 수신자의 전화번호 선두에 특정 심볼을 삽입하고, 각 수신자 전화번호의 사이에 상기 다른 특정 심볼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특정 심볼 및 다른 특정 심볼은 #, *,빈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쇼트 코드는 특정 번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특정 번호는 "2424" 또는 "82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수신된 번호가 쇼트코드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 통상의 단문 메시지 처리 절차에 따라 처리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KR1020040101809A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KR100619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809A KR100619965B1 (ko)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CNB2005100803576A CN100456844C (zh) 2004-12-06 2005-07-04 移动通信终端的短消息同步传输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809A KR100619965B1 (ko)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833A KR20060062833A (ko) 2006-06-12
KR100619965B1 true KR100619965B1 (ko) 2006-09-08

Family

ID=3715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809A KR100619965B1 (ko)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19965B1 (ko)
CN (1) CN10045684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6856C (zh) * 2006-10-25 2009-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短信群发的方法及短信中心
KR100850911B1 (ko) 2007-01-19 2008-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1471B1 (en) * 1998-11-02 2001-10-09 Openwave System Inc. Online churn reduction and loyalty system
US20030045311A1 (en) * 2001-08-30 2003-03-06 Tapani Larikka Message transfer from a source device via a mobile terminal device to a third device and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erminal devices
CN1208976C (zh) * 2002-04-15 2005-06-29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短消息点到多点群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6844C (zh) 2009-01-28
CN1893685A (zh) 2007-01-10
KR20060062833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10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EP300741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apted to display call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1306119B1 (ko) 휴대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WO2007078054A1 (en) Interactive message service system and its method
CN101521866A (zh) 一种呼叫转移方法及装置
CN101217701B (zh) 显示呼叫者识别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CN104378482B (zh) 移动终端通讯录更新方法和系统
CN104427469A (zh) 一种基于双音多频的定位信息收发方法和装置
KR1006199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보전송 방법
CN101795325A (zh) 号码输入的方法及终端
KR100846923B1 (ko) 문자메시지 전송 및 회신 방법
CN107147672A (zh) 一种语音识别的验证方法
CN106559588B (zh) 一种文本信息上传的方法及装置
KR100474301B1 (ko) 음성과 문자를 이용한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054833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내역 확인 방법
KR20090007932A (ko) 단문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는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890941B (zh) 一种通过csbk信令实现反向消息的方法
CN101340637A (zh) 一种短信群发的方法及移动终端
KR10061980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자 상태 확인 방법
CN107148062A (zh) 一种双卡切换方法及装置
KR100584406B1 (ko) 통신단말기의 원격제어방법
KR10072703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evrc 보코더의 패킷을 이용한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285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메시지 송신 방법
KR100651028B1 (ko) 비밀속성을 가진 단문 메시지의 발송 및 수신확인방법
KR1006182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