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136B1 - Duct Support - Google Patents
Duct Suppo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9136B1 KR100619136B1 KR1020050032874A KR20050032874A KR100619136B1 KR 100619136 B1 KR100619136 B1 KR 100619136B1 KR 1020050032874 A KR1020050032874 A KR 1020050032874A KR 20050032874 A KR20050032874 A KR 20050032874A KR 100619136 B1 KR100619136 B1 KR 1006191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member
- duct
- fixing piece
- fixed
- pie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425 standard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선용 덕트 또는 전등용 덕트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행거 클램프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행거 클램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된 연결편이 구비된 제1 연결부재; 및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된 연결편이 구비된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의 연결편 사이에 앵글이나 형강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인바, 배선용 또는 조명등용 덕트를 직접 천장에 고정할 수 없는 상태에서 이미 설치된 구조물에 덕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support device, wherein in a hanger clamp for supporting and fixing a wiring duct or a light duc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anger clamp and bent from the fixing piece. A first connection member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ece;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in a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nnecting piece that is bent from the fixing piece, the connecting piec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n angle or a section steel is inserted and fixed in between, so that the duct for wiring or lighting can not be directly fixed to the ceiling so that the duc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n already installed structure.
덕트, 배선, 형강, 연결부재, 관통공, 장공 Duct, wiring, section steel, connecting member, through hole, long hol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조명등이 구비된 배선관체를 천장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iring pipe body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lamp is fixed to a ceil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덕트 지지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ct support devic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덕트 지지장치를 앵글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ct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angle.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덕트 지지장치를 앵글에 결합된 상태에서 덕트를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ct is coupled to the duct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angle.
도 6은 도 5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FIG.
도 7은 도 5의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of FIG. 5.
도 8은 도 6의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of FIG. 6.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덕트 지지장치를 앵글에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ct support device coupled to the ang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10 is a side view of FIG. 9.
도 11은 본 발명의 덕트 지지장치를 앵글 및 덕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ngle and the duct is coupled to the duct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덕트 지지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duct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 20: 연결부재 11, 21: 고정편10, 20: connecting
12, 22: 연결편 13, 14a, 14b, 23, 24a, 24b: 관통공12, 22: connecting
30: 행거 클램프 31, 41, 42: 통공30:
32a, 32b: 돌출부 33: 결합돌기32a, 32b: protrusion 33: engaging projection
40: 고정판 50, 51, 52a, 52b, 53a, 53b, 54a, 54b: 체결수단40:
60, 80: 앵글 70: 덕트60, 80: Angle 70: Duct
본 발명은 덕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선용 덕트 또는 전등용 덕트 등을 천장에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덕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ct support device for fixing and supporting a wiring duct or a light duct to the ceiling.
종래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통신을 위한 케이블이나 전선 등의 배선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배선의 안전을 도모하고, 배선의 유지 및 보수의 편의성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 및 재질의 덕트가 이용된다.Conventionally, ducts of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are used for the safety of the wirings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wirings by preventing the wires such as cables or wires for supplying electricity or communica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이러한 덕트는 용도에 따라 건축물의 바닥 위나 아래 또는 천장의 표면이나 내부 또는 벽체의 표면이나 내부에 각각 설치 또는 매설된다.These ducts are installed or buried, respectively, on or under the floor of the building, on the surface or inside of the ceiling, or on the surface or inside of the walls.
특히 건축물의 천장에 전선의 배선이나 조명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덕트의 경우에는 천장에 별도의 고정수단이나 거치수단을 장착한 후에 덕트가 고정되거나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uct used to install the wiring or lighting of the wires i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the duct is fixed or supported after mounting a separate fixing means or mounting means on the ceiling.
이와 같이 종래에 배선용 또는 조명등용 덕트를 천장에 설치하는 구조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23258호는 도 1에서와 같이, 천장(1)에 행거로드(2)가 고정되고, 행거로드(2)에 행거 클램프(3)가 구비되며, 행거 클램프(3)는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4)가 배선관체(5)의 고정용 홈(6)에 결합되어 행거 클램프 고정판(7) 아래에 고정 및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선관체(5)에는 안정기(8) 및 형광 램프(9) 등이 구비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s a structure for installing wiring or lighting ducts on the ceiling,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423258 has a hanger rod 2 fixed to the
상기 종래기술은 배선관체(5)를 건축물의 천장(1)에 직접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천장(1)에 행거로드(2) 및 행거 클램프(3) 등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천장(1)에 행거로드(2)를 박거나 천장(1)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행거로드(2)를 고정시켜야 한다.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for directly fixing the wiring pipe 5 to the ceiling (1) of the building, the hanger rod (2) and hanger clamp (3), etc. should be provided on the ceiling (1). And hanger rod (2) in the ceiling (1) or when hanging concrete to the ceiling (1) hanger rod (2) should be fix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 건축물의 천장에 형강 빔이 설치된 상태 또는 이미 배선관체가 설치된 경우 등과 같이 천장에 행거로드를 고정할 수 없는 부적합한 경우가 있었다. 특히 공장이나 기계실 또는 그리드(grid)망 등이 천장에 설치된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case where the hanger rod cannot be fixed to the ceiling, such as a state in which a beam beam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building or a wiring pipe is already installed. This is especially true when factories, machine rooms or grid network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형강 빔이나 배선용 덕트 또는 조명용 덕트가 설치된 천장에 또 다른 배선용 덕트나 조명용 덕트를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는 덕트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duct support device capable of fixing and supporting another wiring duct or lighting duct to the ceiling in which the various types of beam beams, wiring ducts or lighting ducts are installed. .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선용 덕트 또는 전등용 덕트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행거 클램프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anger clamp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wiring duct or light duct,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행거 클램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된 연결편이 구비된 제1 연결부재; 및A first connect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and having a fixing piec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hanger clamp, and a connecting piece bent from the fixing piece; And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된 연결편이 구비된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여,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includes a fixing piec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nnecting piece bent from the fixing piece.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제2 연결부재의 연결편 사이에 앵글이나 형강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덕트 지지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ct support device is provided so that an angle or a section steel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connecting piec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배선용 덕트의 단위 모듈별 규격화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tandardization method for each unit module of the wiring duct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덕트를 고정 및 지지하는 행거 클램프를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물, 예를 들어, 'ㄷ'자 형태의 형강 빔에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덕트 지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hanger clamp for fixing and supporting a duct is applied to a structure installed on a ceiling, for example, a 'b' shaped beam, and FIG.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duct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서는 행거 클램프(30)에 배선용 또는 조명용 덕트 등을 결합하여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더욱이 이미 설치된 구조물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ㄱ'자 형태로 절곡된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서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가 각각 행거 클램프(30)의 상단에 포개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device for supporting the
상기 절곡된 상태의 제1 연결부재(10)는 복수의 관통공(13)(14a)(14b)이 형성된 고정편(11)과, 고정편(11)으로부터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절곡된 연결편(12)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편(11)에 형성된 관통공(13)(14a)(14b)은 원형(또는 장공)의 형상으로 중앙 및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편(11)의 관통공, 즉 중앙의 제1 관통공(13)은 원형(또는 장공)이고, 측면의 제2 및 제3 관통공(14a)(14b)은 원형(또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통공(13)은 행거 클램프(3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31)과 체결수단(50)(51)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특히 제1 관통공(13)이 장공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행거 클램프(30)와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The
한편, 제2 연결부재(20)는 상기 제1 연결부재(10)의 고정편(11)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편(21)과, 상기 고정편(21)으로부터 소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절곡된 연결편(22)이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제2 연결부재(20)는 상기 제1 연결부재(10)의 상단에 포개져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연결부재(10)와 유사한 형상이다. 제2 연결부재(20)의 고정편(21)에 형성된 관통공(23)(24a)(24b)은 장공(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중앙 및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편(21)의 관통공 (23)(24a)(24b), 즉 중앙의 제1 관통공(23)은 장공(또는 원형)의 형상이고, 측면의 제2 및 제3 관통공(24a)(24b)은 장공(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통공(23)은 제1 연결부재(10)의 제1 관통공(13) 및 행거 클램프(3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31)과 체결수단(50)(51)으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특히 제1 관통공(23)이 장공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1 연결부재(10)의 제1 관통공(13)과 행거 클램프(30)와의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necting
더욱이 상기 제1 연결부재(10)의 제1 관통공(13)과 제2 연결부재(20)의 제1 관통공(23)은 원형이거나 장공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제1 연결부재(10)와 제2 연결부재(20)가 행거 클램프(30)에 고정되거나 행거 클램프(30)로부터 좌우로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의 관통공이 모두 원형 또는 장공으로 형성되거나,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의 관통공 중에서 어느 하나가 원형 또는 장공으로 형성되어 행거 클램프(30)에서 좌우로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first through
그리고 제1 연결부재(10)의 고정편(11)에 형성된 제2 및 제3 관통공(14a)(14b)과, 제2 연결부재(20)의 고정편(21)에 형성된 제2 및 제3 관통공(24a)(24b)은 제1 연결부재(10)와 제2 연결부재(20)를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하여 원형 또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1 연결부재(10)와 제2 연결부재(20)가 이미 거리 조절이 확정된 길이로 제작을 하는 경우에는 체결수단으로서 리벳(55a)(55b)(도 12참조)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는 제1 연결부 재(10)의 고정편(11)에 형성된 제2 및 제3 관통공(14a)(14b)과, 제2 연결부재(20)의 고정편(21)에 형성된 제2 및 제3 관통공(24a)(24b)을 원형으로 형성하여 리벳(55a)(55b) 등으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지정된 두께의 앵글이나 형강에 견고하게 고정 및 결합될 뿐만 아니라, 현장 작업에서의 작업량을 절감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재(10)와 제2 연결부재(20)를 미리 리벳(55a)(55b) 등으로 고정 및 결합시킨 상태에서 행거 클램프(30)의 통공(31)을 통하여 각 연결부재(10)(20)의 제1 관통공(13)(23)을 통하여 체결수단(50)(51)으로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econd and third through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지지장치는 행거 클램프(30)의 상단에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를 적재한 후에 볼트(50) 및 너트(51)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행거 클램프(30)에 형성된 통공(31)과 제1 연결부재(10)의 제1 관통공(13), 그리고 제2 연결부재(20)의 제1 관통공(23)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제1 연결부재(10)의 연결편(12)과 제2 연결부재(20)의 연결편(22)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는 천장으로부터 고정된 앵글(또는 형강)(60)이 삽입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및 제3 관통공(14a)(14b)(24a)(24b)에는 체결수단으로 볼트(52a)(52b), 와셔(53a)(53b) 및 너트(54a)(54b)를 각각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체결수단(50)(51) 및 (52a)(52b)(53a)(53b)(54a)(54b)의 체결은 연결편(12)(22) 사이에 앵글(60)이 삽입된 상태에서 간격 조절이 이루어진 후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uc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astened by a
이미 정해진 크기의 앵글(60)일 경우에는 제1 연결부재(10)의 고정편(11) 및 제2 연결부재(20)의 고정편(21)에 각각 형성된 제1 관통공(13)(23)이 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직접 체결수단(50)(51)을 체결하여 고정하지만, 정해진 크기의 앵글(60)이 아닌 경우에는 각 고정편(11)(21)에 형성된 제1 관통공(13)(23)은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여 체결수단(50)(51)을 체결하기 전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the case of the
한편, 상기 행거 클램프(30)에는 양측에 통공(42)이 형성된 고정판(40)이 삽입되고, 고정판(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32a)(32b)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행거 클램프(30)를 배선용 또는 조명등용 덕트(70)에 고정할 수 있는 결합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도 4 내지 도 8에서, 배선용 또는 조명등용 덕트(70)를 천장에 고정할 수 없는 상태, 즉 앵글(또는 형강)이 천장에 설치된 경우에 천장에 덕트(70)를 직접 결합하지 않고 앵글(60)에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를 이용하여 연결 및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FIGS. 4 to 8, when the
도 4는 행거 클램프(30)에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가 체결수단(50)(51)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의 연결편(12)(22) 사이에 앵글(60)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4 shows the
도 5 및 도 7은 상기 도 4에서 앵글(60)에 지지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행거 클램프(30)에 덕트(70)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로서 행거 클램프(30) 및 연결부재(10)(20) 사이에 각각 앵글(60)과 덕트(7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5 and 7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지지장치로서, 다른 실시예로 도 9 내지 도 11은 'L'형 앵글(또는 형강)에 지지장치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urthermore, as a duc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Figures 9 to 11 is to allow the support device to be supported on the 'L' angle (or shaped steel).
즉 천장에 고정된 앵글(또는 형강)의 크기 또는 폭이 좁아 제1 연결부재(10) 및 제2 연결부재(20) 사이가 좁아져야 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다.That is, the size or width of the angle (or section steel) fixed to the ceiling is to be applied when the narrow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따라서 제1 연결부재(10)의 고정편(11)의 길이가 제2 연결부재(20)의 고정편(2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경우이다.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fixing
이러한 경우에도 천장에 이미 다른 종류의 앵글(또는 형강)(80)이 배치되어 설치된 경우로서, 제1 연결부재(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20)의 고정편(21)이 해당하는 앵글(70)의 너비만큼 확보된 상태이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10)의 연결편(12)으로부터 제2 연결부재(20)의 연결편(22) 사이의 공간 확보를 위하여 제2 연결부재(20)의 고정편(21)에 형성된 제1 관통공(23)은 장공 또는 원형이거나 고정편(21)의 길이가 다소 짧아야 한다.In this case, an angle (or section steel) 80 of a different type is already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the fixing
이와 같이 앵글(또는 형강)(80)이 천장에 고정 및 설치된 경우에 있어서, 앵글(80)의 크기가 정해져 있는 상태라면 제1 연결부재(10) 고정편(11)의 제1 관통공(13) 또는 제2 연결부재(20) 고정편(21)의 제1 관통공(13)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하는 제1 관통공(13)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각 연결편(12)(22) 사이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angle (or section steel) 80 is fixed and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first through
도 10은 제1 연결부재(10)와 제2 연결부재(20)의 연결편(11)(21) 사이에 앵글(8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고, 도 11은 행거 클램프(30)에 덕트(70)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지지장치의 연결부재 사이에 앵글(80)이 결합 및 고정되는 상태이다.FIG. 10 is an
도 12는 행거 클램프(30)의 상단에 통공(31)을 통하여 체결수단(50)(51)으로 고정되는 제1 연결부재(10)와, 제1 연결부재(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재(20)의 각 고정편(11)(21)에 형성된 관통공(13)(14a)(14b)(23)(24a)(24b)이 원형인 경우에 관통공(14a)(14b) 및 (24a)(24b)에는 리벳(55a)(55b)으로 미리 고정시킨 후에 체결수단(50)(51) 및 (52a)(52b)(53a)(53b)(54a)(54b)으로 각각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덕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앵글의 크기가 정해진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좋다.FIG. 12 illustrates a first connecting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배선용 또는 조명등용 덕트(70)를 행거 클램프(30)로 직접 연결하여 고정할 수 없는 경우에 천장에 설치된 덕트, 형강 또는 빔이나 그리드 등에 연결하여 배선용 또는 조명등용 덕트(7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행거 클램프(30)의 상단에 복수의 연결부재(10)(20)를 결합하되, 연결부재의 연결편(12)(22) 사이에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편(11)(21)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성하거나 고정편(11)(21)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3)(14a)(14b)(23)(24a)(24b)을 원형 또는 장공의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 지지장치는 천장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형강이나 덕트 등에 배선용 또는 조명등용 덕트를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행거 클램프의 상단에 복수의 연결부재를 결합한 것으로, 연결부재의 고정편에 장공을 형성하여 연결부재의 연결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연결부재의 고정편 길이를 달리하여 연결편 사이에 결합 및 연결되는 형강이나 덕트 등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배선용 또는 조명등용 덕트를 천장이 아닌 일반 구조물에 용이하게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덕트 설치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uct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on the upper end of the hanger clamp so as to support by connecting the duct for wiring or lighting, etc. already installed on the ceiling or duct steel, By forming a long hole in the fixing piece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connecting pieces of the connecting member or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fixing piec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securely secure the section steel or ducts that are coupled and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ng pieces, for wiring or lighting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and support the duct to the general structure, not the ceiling,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duct installation work.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2874A KR100619136B1 (en) | 2005-04-20 | 2005-04-20 | Duct Suppo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2874A KR100619136B1 (en) | 2005-04-20 | 2005-04-20 | Duct Suppor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19136B1 true KR100619136B1 (en) | 2006-08-31 |
Family
ID=3762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28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9136B1 (en) | 2005-04-20 | 2005-04-20 | Duct Suppo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9136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343Y1 (en) | 2007-09-06 | 2010-04-05 |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 Combination structure of raceway and luminaire |
KR100958887B1 (en) | 2008-07-31 | 2010-05-20 |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 Luminaire |
KR101031822B1 (en) | 2010-08-20 | 2011-04-29 | 탑라이트 주식회사 | Wire duct clamp |
KR101282571B1 (en) * | 2012-12-12 | 2013-07-04 | (주)성진하이텍 | Fixing apparatus of lighting |
KR20180061707A (en) * | 2016-11-30 | 2018-06-08 | (주)엘이디세이버 | Support device for race way |
KR102340005B1 (en) * | 2021-06-21 | 2021-12-15 | 김종석 | Bracket for lighting rail |
US11313579B1 (en) * | 2020-11-17 | 2022-04-26 | Duro Dyne Corporation | Hanger for supporting an air handler |
CN115164396A (en) * | 2022-07-19 | 2022-10-11 | 广东申安建设科技有限公司 | Laboratory air duct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22514U (en) | 1978-07-31 | 1980-02-13 | ||
JPS62149217U (en) | 1986-03-12 | 1987-09-21 | ||
JPH10210635A (en) | 1997-01-27 | 1998-08-07 | Mitsubishi Cable Ind Ltd | Retaining structure of longer flexible waveguide |
JPH10280695A (en) | 1997-03-31 | 1998-10-20 |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 Swing stop fitting for pipe bracket |
KR19990022560U (en) * | 1999-03-19 | 1999-07-05 | 석창환 | Channel for distributing wires |
-
2005
- 2005-04-20 KR KR1020050032874A patent/KR1006191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22514U (en) | 1978-07-31 | 1980-02-13 | ||
JPS62149217U (en) | 1986-03-12 | 1987-09-21 | ||
JPH10210635A (en) | 1997-01-27 | 1998-08-07 | Mitsubishi Cable Ind Ltd | Retaining structure of longer flexible waveguide |
JPH10280695A (en) | 1997-03-31 | 1998-10-20 | Burest Kogyo Kenkyusho Co Ltd | Swing stop fitting for pipe bracket |
KR19990022560U (en) * | 1999-03-19 | 1999-07-05 | 석창환 | Channel for distributing wires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8343Y1 (en) | 2007-09-06 | 2010-04-05 |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 Combination structure of raceway and luminaire |
KR100958887B1 (en) | 2008-07-31 | 2010-05-20 | 태원전기산업 주식회사 | Luminaire |
KR101031822B1 (en) | 2010-08-20 | 2011-04-29 | 탑라이트 주식회사 | Wire duct clamp |
KR101282571B1 (en) * | 2012-12-12 | 2013-07-04 | (주)성진하이텍 | Fixing apparatus of lighting |
KR20180061707A (en) * | 2016-11-30 | 2018-06-08 | (주)엘이디세이버 | Support device for race way |
KR101931809B1 (en) | 2016-11-30 | 2019-03-20 | (주)엘이디세이버 | Support device for race way |
US11313579B1 (en) * | 2020-11-17 | 2022-04-26 | Duro Dyne Corporation | Hanger for supporting an air handler |
KR102340005B1 (en) * | 2021-06-21 | 2021-12-15 | 김종석 | Bracket for lighting rail |
CN115164396A (en) * | 2022-07-19 | 2022-10-11 | 广东申安建设科技有限公司 | Laboratory air duct installa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17058B2 (en) |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mounting rails | |
JP7190159B2 (en) | Support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 |
KR100619136B1 (en) | Duct Support | |
KR100903018B1 (en) | Steel modular ceiling structure | |
KR101703982B1 (en) | Assembly ceiling structure | |
US2665147A (en) | Wire distributing floor structure | |
KR20180066345A (en) | Module Dual Ceiling System | |
US20110048759A1 (en) | Mounting assembly for electrical fixture | |
JP6782144B2 (en) | Field edge fixing member, suspended ceil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uspended ceiling structure | |
JP5376580B2 (en) | Ceiling foundation structure | |
KR100597709B1 (en) | Fixture Fixture for Underground Parking Lot | |
KR200474889Y1 (en) | Illumination installation equipped in high ceiling with convenient and safe lamp replacement and management | |
KR20170016628A (en) | Ceiling structure of building constructed by the prefabrication method | |
KR102488206B1 (en) | Fixing Device for Power Cable Tray | |
JP2005030167A (en) | Ceiling structure | |
JPH06240810A (en) | Holding metal fixture for ceiling panel | |
KR102465739B1 (en) | Tumbler switch comprising electircal wiring branch function | |
JP7202849B2 (en) | Mounting structure for unit room | |
RU2799859C1 (en) | Carrier profile of hidden type linear slot diffuser, replaceable profiles for it and device of linear slot diffuser | |
JP2006070561A (en) | Supporter for ceiling installation apparatus and supporting method using it | |
JP2010196333A (en) | Hanging frame for bathroom | |
KR200220028Y1 (en) | The fluorescence fixed equipment which is ceiling filling-up type | |
KR101063630B1 (en) | Ceiling finish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ceiling panel and frame member | |
KR101282571B1 (en) | Fixing apparatus of lighting | |
KR200195021Y1 (en) | Exhausting duct sleeve and installationing structure of exhausting duct slee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