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8462B1 - 겔화제및겔조성물 - Google Patents

겔화제및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462B1
KR100618462B1 KR1019980710544A KR19980710544A KR100618462B1 KR 100618462 B1 KR100618462 B1 KR 100618462B1 KR 1019980710544 A KR1019980710544 A KR 1019980710544A KR 19980710544 A KR19980710544 A KR 19980710544A KR 100618462 B1 KR100618462 B1 KR 10061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gelling agent
acid
clay miner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2128A (ko
Inventor
후미아키 마츠자키
도시오 야나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to KR101998071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46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2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46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수팽윤성 점토광물과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겔화제 또는 유화제, 및 이를 사용한 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범위한 유분에 첨가혼합하더라도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를 사용한 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은, 예를들면, 화장품, 의약부외품등의 기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상기 유화조성물에, 자외선방어제분말을 배합한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 되는 일을 방지하는 화장재료는, 살갗에의 밀착성이 좋고, 내수성에 우수하고, 땀 또는 바다나 풀에서의 활동에 동반하는 물과의 접촉에 의해서도, 자외선방어제 분말에 의한 흰색의 두드러짐이 없는 우수한 사용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흰색의 두드러짐을 마음에 두지 않고, 필요량의 자외선 방어제 분말을 배합할 수 있으므로, 특히 높은 자외선방어효과를 기대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Description

겔화제 및 겔조성물{GELLING AGENT AND GEL COMPOSITIONS}
(1) 본 발명은 겔화제 및 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의약부외품 등의 용도에 있어서, 광범한 유분에 첨가혼합함으로써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유성겔을 생성할 수 있는 겔화제 및 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 본 발명은 유화제 및 유화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광범한 유분에 첨가혼합함으로써, 유중수형(이하, W/O형 이라고도함)에 유화할 수 있는 유화제, 및 이를 사용한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유화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3) 본 발명은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일을 방지하는 화장재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수성에 우수하고, 물과 접촉하였을 경우에 자외선 방어제 분말의 흰색이 두드러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에 관한 것이다.
(1) 종래, 유팽윤성 겔화제로서는, 수팽윤성점토광물(이하, 단순히 점토광물이라함)의 층간에 개재하는 물이나 교환성 양이온을 4차 암모늄염형 유기양이온으로 양이온교환하여 얻어지는 유기변성점토광물에 특정의 비이온활성제를 혼합처리하는 것으로 사용성이 양호한 겔이 조제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유기변성점토광물을 비이온활성제에 대신하여 복합지질로 처리한 겔화제를 사용하는 겔화방법도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겔화제를 사용한 겔화방법에서는, 사용하는 유분의 차이에 의하여 얻어지는 겔의 구조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안정성이나 사용성이 양호한 겔을 얻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유분에 맞추어서 그때마다 비이온 활성제나 복합 지질의 종류를 선별할 필요가 있었다.
또, 충분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겔은, 도포시의「퍼짐」이 나쁘고 사용성에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자등은, 상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팽윤성 점토광물을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지방산으로 혼합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겔화제가 광범한 유분에 대하여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유성겔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수팽윤성점토광물을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고급알코올로 혼합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겔화제가 광범한 유분에 대하여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유성겔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광범한 유분에 첨가혼합하더라도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유성겔을 생성할 수 있는 겔화제 및 이를 사용한 겔조성물을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종래, W/O형 유화조성물을 얻는데는 유화제로서 HLB치가 1∼12의 친유성계면 활성제, 예를들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등의 다가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가 사용되고 있었다.
또, 광범한 유분을 안정하게 유화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일본특개소 61-129033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같이 유기변성점토 광물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유화제조성물이나, 유화가 어려운 실리콘오일을 안정하게 유화하는 유화제 조성물로서 일본특개소 61-212321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같은 유기변성 점토광물과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의 조합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유화제에서는, 안정성이나 사용성이 양호한 유화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유분에 맞추어서 그때마다 유화제의 종류를 선별할 필요가 있었다.
또, 다량의 극성유를 유화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량의 유화제가 필요하게 되고, 다량의 유화제의 사용은 유화조성물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나쁘게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자등은, 상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팽윤성 점토광물을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지방산으로 혼합처리함으로서 얻어지는 유화제가, 광범한 유분에 대하여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유화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더욱더, 수팽윤성점토광물을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고급알코올로 혼합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유화제가 광범한 유분에 대하여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유화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광범한 유분에 첨가혼합하더라도,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W/O형 유화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는 유화제 및 이를 사용한 W/O형 유화조성물을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3) 유중수형유화조성물(이하, W/O형 유화조성물 이라함)은, 기제로서 내수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일을 방지하는 화장재료에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W/O형 유화조성물은 온도안정성, 사용성에 우수한 계가 얻기 어렵다라는 결점이 있고, 이 결점을 개량한 기술로서, 수팽윤성 점토광물을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기변성점토광물로 유화한 W/O형 유화제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일본특개소 61-114721호 공보, 일본특개소 61-129033호 공보, 일본특개소 61-212321호 공보).
또, 이 기술을 사용한 W/O형 유화조성물에 자외선 방어제로서 산화티탄이나 산화아연을 배합한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일을 방지하는 화장재료, 또한, 자외선 방어제분말의 도포색을 두드러지지 않게 하는 기술로서, 소수화 방추상 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기술(일본 특개평7-258055호 공보)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외선 방어제 분말을 배합한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일을 방지하는 화장재료는, 땀이나 바다, 풀(pool)에서의 활동에 동반하는 물과의 접촉에 의하여, 자외선 방어제분말이 희게 떠오른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등은, 상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상기 유기변성점토광물을 사용한 W/O형 햇볕에 타서 검게 되는일을 방지하는 화장재료에 있어서, 물과 접촉하였을 경우의 흰색이 두드러지지 않는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일을 방지하는 화장재료를 얻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종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을 배합하면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내수성에 우수하고, 물과 접촉하였을 경우에 자외선 방어제 분말의 흰색이 두드러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일을 방지하는 화장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1) 즉, 본 발명은, 수팽윤성점토광물과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지방산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 점토광물 100g에 대하여, 60∼140밀리당량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겔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상온액체의 지방산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 점토광물 100g에 대하여, 1∼500g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겔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겔화제와 유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팽윤성 점토광물과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고급알코올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 점토광물 100g에 대하여, 60∼140밀리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겔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상온액체의 고급알코올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 점토광물 100g에 대하여 1∼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겔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겔화제와 유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2) 즉, 본 발명은, 수팽윤성 점토광물과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 액체의 지방산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 점토광물 100g에 대하여, 60∼140밀리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유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상온액체의 지방산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 점토광물 100g에 대하여, 1∼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유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유화제와 유분과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팽윤성점토광물과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고급알코올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점토광물 100g에 대하여, 60∼140밀리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유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상온 액체의 고급알코올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점토광물 100g에 대하여, 1∼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유화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유화제와 유분과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3) 즉, 본 발명은, 상기의 유화조성물이, 또한 자외선 방어제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일을 방지하는 화장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건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겔화제, 겔조성물, 유화제, 유화조성물]
본 발명에 사용하는 수팽윤성 점토광물은, 3층구조를 갖는 콜로이드성 함수규산알루미늄의 일종으로, 하기 일반식
(X, Y)2-3(Si, Al)4O10(OH)2Z1/3·nH2O
단, X = Al, Fe(III), Mn(III), Cr(III)
Y = Mg, Fe(II), Ni, Zn, Li, Mn(II)
Z = K, Na, 1/2Ca, 1/2Mg
로 표시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몬모릴나이트, 사포나이트 및 헥토라이트 등의 천연 또는 합성(이경우, 식중의 (OH)기가 불소로 치환된것)의 몬모릴나이트군(시판품에서는 비검, 구니피아, 라포나이트등이 있음) 및 나트륨 실리릭 마이카나 나트륨 또는 리튬 테니오라이트의 이름으로 알려지는 합성운모(시판품에서는 다이모나이트: 토피공업(주) 등이 있다)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일반식
(식중 R1은 탄소수 10∼22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 R2는 메틸기 또는 탄소수 10∼22의 알킬기, R3과 R4는 탄소수 1∼3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 알킬기, X는 할로겐원자 또는 메틸술페이트 잔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들면,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미리스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아라킬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미리스틸디메틸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디메틸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디메틸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아라킬디메틸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디메틸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미리스틸디에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세틸디에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디에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아라킬디에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디에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디에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디메틸세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디메틸베헤닐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메틸에틸세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메틸에틸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디베헤닐디히드록시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상당하는 프로미드 등, 또한, 디팔미틸프로필에틸암모늄메틸술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임해서는, 이들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임의로 선택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온 액체의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올레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에이코사 펜타엔산, 도코사 헥사엔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임해서는 이들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임의로 선택된다.
또,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상온 액체의 고급알코올로서는,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카놀, 데실테트라데카놀, 호호바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발명의 실시에 임해서는 이들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임의로 선택된다.
본 발명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는, 상기의 필수성분을 단순히 혼합함으로써 제조할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물, 아세톤 혹은 저급알코올 등의 저 비등점 용제중에서 점토광물과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활성제와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을 분산교반처리하든가, 또는, 미리 점토광물과 제4차 암모늄 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저비등점 용매중에서 처리하여 양이온 변성점토광물(이하, 유기변성점토광물 이라고도 함)을 얻은후, 상온 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로 혼합처리하고, 뒤이어 저비등점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비등점용제를 제거하지 않고 겔화제 또는 유화제로서 제공하는것도 가능하다.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이 점토광물의 층간에 들어감으로써, 점토광물의 층간은 넓어진 상태로 되므로 X선 회절로 장면(長面)간격을 측정함으로써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의 흡착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중의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점토광물 100g에 대하여, 60∼140밀리당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겔화제 또는 유화제중의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 함유량은, 점토광물 100g에 대하여, 1∼500g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400g이다.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 함유량이 1g 미만에서는 점토광물의 층간이 충분히 넓어지지 않고 겔화능력이 불충분하게 되고, 500g을 초과하면, 겔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겔화제는, 광범위의 유분중에서 첨가할 수가 있고, 점토광물을 이용한 종래의 겔화제에 비교하여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유성겔조성물을 생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유화제는, 광범위의 유분과 물에 첨가하여 W/O형으로 유화할수가 있고, 점토광물을 이용한 종래의 유화제에 비교하여,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유화조성물을 생성할수가 있다.
본 발명의 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에 사용하는 유분은, 화장재료, 의약품 등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분을 전부 사용할 수가 있고, 그 범위도 극성유로부터 비극성유까지 폭넓게 사용할수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분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액체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동백기름, 터틀유, 마카데미아낫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기름, 노른자유, 참기름, 퍼시크유, 밀배아유, 사잔카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홍화기름,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비자나무유, 쌀겨기름, 지나오동나무유, 일본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린등을 들 수 있다.
고체유지로서는,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납류로서는, 밀랍, 캉델라랍, 면랍, 카우나우바랍, 베이베리랍, 백랍, 고래랍, 몬탄랍, 쌀겨랍, 라놀린, 케이폭랍,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라놀린, 사탕수수랍,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라우르산헥실, 환원라놀린, 호호바랍, 경질라놀린, 셀락랍,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POE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라놀린알코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유동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란, 와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고급지방산으로서는, 예를들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베헤닌)산, 12-히드록시 스테아르산, 운데실렌산, 톨루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알코올로서는, 예를들면,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합성에스테르유로서는,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트산 미리스틸,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아세트산라놀린,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실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말산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실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실산펜탄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지방산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오일,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아세트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아디프산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 도데실 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 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미리스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바스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 2-에틸헥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아밀, 시트르산 트리에틸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유로서는, 예를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등의 쇄상 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폴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등의 환상 폴리실록산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들중 1종 또는 2종이상이 임의로 선택된다.
본 발명의 겔조성물 전량중의 유분의 배합량은 20∼95중량%, 바람직하게는 30∼80중량%이다. 배합량이 20중량% 미만에서는, 사용성이 양호한 유성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고, 95중량%를 초과하면 시간 경과시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유화조성물 전량중의 유분의 배합량은 임의이지만, 통상, 유화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20∼80중량%가 알맞다. 또, 물의 배합량은 임의이지만, 통상, 유화조성물 전량에 대하여 20∼80중량%가 알맞다. 또한, 유분과 물을 유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유화제의 배합량은, 유분 및 물의 배합량에 상응하여 안정한 유화조성물이 얻어지도록 적당히 결정된다.
또, 본 발명의 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에는, 상기 필수성분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을 정도로,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재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보습제, 자외선흡수제, 방부제, 향료, 안료, 약제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의 제조법은, 본 발명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와 유분(및 물) 또는 유분(과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직접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혼합은, 수(手)교반과 같은 약한 혼합력으로 행할 수 있지만, 디스퍼, 호모지나이저, 롤러, TK밀, 후버마러, 니더, 볼밀 등의 범용의 혼합기를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희석등을 행하지않고 화장재료나 의약부외품등의 목적으로 하는 유성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을 직접적으로 얻으려고 하는 경우는, 디스퍼, 호모지나이저 등의 혼합기를, 또, 필요시에 적당히 희석하여, 목적으로 하는 유성겔 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을 얻는 저장가능한 고점도의 유성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을 얻으려고 하는 경우에는, 롤러등의 강한 혼합력을 갖는 혼합기를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발명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는, 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그의 구성성분인 수팽윤성 점토광물,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온 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의 각각을, 유분(과 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중에 따로따로 첨가하여 혼합하여도 좋고, 유분(과 물) 및 기타의 성분과 함께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미리 수팽윤성점토광물과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처리하여 얻어지는 유기변성점토광물과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을, 유분(과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첨가하여 혼합하든가, 혹은 유분(과 물) 및 기타의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본발명의 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를 사용한 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은, 우수한 안정성 및 사용성을 가지므로, 예를들면 화장품, 의약부외품등의 분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
본 발명의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는, 상기의 유화조성물이, 더욱더 자외선방어제분말을 함유시킴으로써, 내수성에 우수하고, 물과 접촉하였을 경우에, 자외선방어제분말의 흰색이 두드러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자외선 방어제분말은, 예를들면,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티탄,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아연, 산화철, 미립자산화철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자외선 방어제분말은 필요에 따라 표면에 유지를 흡착시키거나, 수산기등의 관능기를 이용하여, 에스테르화나 에테르화를 일으켜, 분말을 친유적으로 하는 유(오일)처리법, 지방산의 아연염이나 마그네슘염을 사용하는 금속비누처리법, 디메틸폴리실록산 또는 메틸수소폴리실록산을 사용하는 실리콘처리법,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불소화합물로 처리하는 불소처리법등의 표면처리에 의하여 소수성분말로서 유분에 분산배합할수도 있다.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중의 자외선 방어제분말의 배합량은, 통상 1∼50중량%이고, 1중량% 미만에서는 자외선방어효과가 부족하고, 50중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분말의 응집등이 생겨 사용성이 뒤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는, 수팽윤성 점토광물을, 제4차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 및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로 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유기변성점토광물을 유화제로서 미리 조정하여 두고 유분을 혼합한 유상과, 친수성의 자외선 방어제 분말을 분산한 수상을 첨가하고,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유화처리하여 얻어진다. 친유성의 자외선 방어제분말을 사용하는 경우는 유상에 분말을 분산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화제로서 미리 조정하는것 없이 수팽윤성점토광물, 제4차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 자외선방어제분말을, 각각 처방중의 수상 또는 유상중에 배합하여 유화할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 유분을 배합한 유상에 자외선 방어제분말을 분산혼합하고, 다음에 수팽윤성 점토광물을 분산혼합한 수상을 첨가하고 혼합교반함으로써, 목적의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를 제조할수가 있다.
또한, 미리, 수팽윤성점토광물을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계면활성제로 처리한 유기변성점토광물을 조정하여두고, 유기변성점토광물,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 자외선방어제분말을, 각각 처방중의 수상 또는 유상중에 배합하여 유화할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온액체의 지방산 또는 고급알코올, 유분을 배합한 유상에, 이미 수팽윤성점토광물을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처리제의 유기변성점토광물과 자외선방어제분말을 분산혼합하고, 다음에 수상을 첨가하고 혼합교반함으로써, 목적의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화장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자외선흡수제를 적당히 배합할수가 있다. 자외선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아미노 벤조산(이하, PABA라 약칭함), PABA 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N,N-디프로폭시 PABA에틸에스테르, N,N-디에톡시 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에틸에스테르, N,N-디메틸 PABA부틸에스테르, N,N-디메틸PABA 에틸에스테르등의 벤조산계 자외선흡수제: 호모멘틸-N-아세틸 안트라닐레이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흡수제; 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등의 계피산계 자외선흡수제; 2,4-디히드록시 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실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3-(4'-메틸 벤질리덴)-d,ℓ-캄퍼, 3-벤지리덴-d,ℓ-캄퍼, 유로카닌산, 유로카닌산에틸에스테르, 2-페닐-5-메틸벤조키사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라딘,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3-디메틸-2-노르보르니리덴)-3-펜탄-2-온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본발명의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화장재료에 배합되는 성분, 예를들면, 나일론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디비닐벤젠공중합체, 폴리에틸렌분말, 다공성비닐계폴리머,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분말등의 수지분말이나 소수화처리수지분말; 보습제; 증점제; 저급알코올; 다가알코올; 무코다당류;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pH조정제; 소염제; 비타민, 아미노산, 호르몬등의 약제; 생약; 수렴제; 안료; 분산제; 향료등을 적당히 배합할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배합량은 특히 지정이 없는 한 중량%로 표시한다.
[실시예 1]
이소스테아르산 10g과 에탄올 100ml를 혼합한 용액에 유기변성점토광물인 벤톤 38(몬모릴로나이트 100g을 100밀리당량의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로 처리한 유기변성점토광물인 미국 내셔날 레드사제) 100g을 라보호모지나이저로 충분히 분산 혼합하였다. 뒤이어, 증발기로 에탄올을 제거한후, 건조하여 목적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를 얻었다. 이소스테아르산의 흡착은 X선 회절로부터 평가하였다.
[실시예 2]
이소스테아르산 50g과 에탄올 100ml를 혼합한 용액에 유기변성점토광물인 벤톤 38(몬모릴로나이트 100g을 100밀리당량의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크롤라이드로 처리한 유기변성점토광물인 미국 내셔날 레드사제) 100g을 라보호모지나이저로 충분히 분산 혼합하였다. 뒤이어, 증발기로 에탄올을 제거한후, 건조하여 목적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를 얻었다. 이소스테아르산의 흡착은 X선 회절로부터 평가하였다.
[실시예 3]
이소스테아르산 200g과 에탄올 100ml를 혼합한 용액에 유기변성점토광물인 벤톤 38(몬모릴로나이트 100g을 100밀리당량의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크롤라이드로 처리한 유기변성점토광물인 미국 내셔날 레드사제) 100g을 라보호모지나이저로 충분히 분산 혼합하였다. 뒤이어, 증발기로 에탄올을 제거한후, 건조하여 목적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를 얻었다. 이소스테아르산의 흡착은 X선 회절로부터 평가하였다.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본발명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와 유기변성점토광물인 벤톤 38에 대하여, X선회절에 의한 층간격치를 「표 1」에 나타낸다.
(단위: 옹스트롬)
벤톤38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X선회절에 의한 층간격치 26.5 32.5 40.3 45.0
「표 1」로부터, 유기변성점토광물(벤톤 38)은 이소스테아르산으로 처리함으로써, 또, 처리량의 증가와 동시에 층간격이 넓어짐을 알 수 있고, 이는 지방산의 결합에 의하여 생긴다고 고려된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이소스테아르산 대신에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을 사용한것 이외에는 완전히 동일하게하여 겔화제 또는 유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 있어서, 이소스테아르산 대신에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을 사용한것 이외에는 완전히 동일하게하여 겔화제 또는 유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3에 있어서, 이소스테아르산 대신에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을 사용한것 이외에는 완전히 동일하게하여 겔화제 또는 유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4∼6에서 얻어진 본발명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와 유기변성점토광물인 벤톤 38에 대하여, X선회절에 의한 층간격치를 「표 2」에 나타낸다.
(단위: 옹스트롬)
벤톤38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X선회절에 의한 층간격치 26.5 29.0 39.7 44.1
「표 2」로부터, 유기변성점토광물(벤톤 38)은 이소스테아릴 알코올로 처리함으로써, 또, 처리량의 증가와 함께 층간격이 넓어짐을 알 수 있고, 이는 고급알코올의 결합에 의하여 생긴다고 고려된다.
(1) 겔조성물의 실시예
[실시예 7]
실시예 2에서 얻은 겔화제 10부를 유동파라핀 9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하여 유성겔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2에서 얻은 겔화제 20부를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8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하여 유성겔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2에서 얻은 겔화제 20부를 디올레산 에틸렌 글리콜 POE(12) 10부 및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7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하여 유성겔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벤톤 38 10부를 유동파라핀 9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하여 유성겔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벤톤 38 20부를 트리 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8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하여 유성겔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3]
벤톤 38 20부를 디올레산에틸렌글리콜 POE(12) 10부 및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7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하여 유성겔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7,8 및 9에서 얻은 유성겔 조성물과 비교예 1,2 및 3에서 얻은 유성겔 조성물을, 50℃에서 2주간 방치하고, 그의 안정성을 이하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여 「표 3」에 나타낸다. 또 전문패널 10명에 의하여, 그의 사용성을 이하의 평가기준으로 관능 평가하고 「표 3」에 나타낸다.
[안정성 평가기준]
◎: 분리가 전혀 인정되지 않는다.
△: 유분의 분리가 인정된다.
×: 현저한 유분의 분리가 인정된다.
[사용성 평가 기준]
◎: 10명중 8명이상이 퍼짐이 좋고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 10명중 6명이상 8명 미만이 퍼짐이 좋고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 10명중 4명이상 6명 미만이 퍼짐이 좋고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 10명중 4명 미만이 퍼짐이 좋고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7 8 9 1 2 3
안정성 ◎ ◎ ◎ △ × ×
사용성 ◎ ◎ ◎ △ ○ ○
「표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겔화제는 비극성유계 혹은 극성유계 어느것에 있어서도 온도안정성 및 사용성에 우수한 유성겔 조성물을 생성할 수가 있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어느경우도 안정한 유성겔 조성물은 얻을 수 없고, 사용성에 대하여도 실시예에 비해 뒤떨어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겔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겔조성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0: 선스크린]
비검(미국 반더빌트사제 수팽윤성 점토광물) 2.0중량%
벤질디메틸 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1.0
이소스테아르산 1.0
유동파라핀 나머지
와셀린 10.0
데카메틸 시클로 펜타실록산 20.0
소수화산화티탄 10.0
옥틸 메톡시 신남산 5.0
향료 적당량
(제법)
비검을 에탄올에 분산하고, 벤질디메틸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가하여, 50℃로 가온후, 디스퍼로 분산한다. 그후, 충분히 건조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유기변성점토광물을 얻었다. 다음에 나머지 성분을 유기변성점토광물에 가하여 가압력 15kg/cm의 롤러로 2회 연합(練合; 골고루 섞이도록 개다)하여, 본발명의 겔조성물인 선스크린을 얻었다. 얻어진 선스크린은 온도안정성이 양호하고, 퍼짐이 좋고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11: 유성연고]
유기변성점토광물(벤톤 38) 5.0중량%
올레산 5.0
유동파라핀 나머지
와셀린 5.0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5.0
글리세린 2.0
약제 적당량
(제법)
올레산, 유동파라핀, 와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글리세린을 70℃로 균일 용해하고, 이에 벤톤 38을 디스퍼 교반하에 첨가하고, 본 발명의 겔조성물인 유성연고를 얻었다. 얻어진 유성연고는 온도 안정성이 양호하고, 퍼짐이 좋고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12: 선스크린]
비검(미국 반더빌트사제 수팽윤성점토광물) 2.0중량%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1.0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2.0
이소파라핀 나머지
와셀린 10.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소수화산화티탄 10.0
옥틸메톡시신남산 5.0
향료 적당량
(제법)
비검을 에탄올에 분산하고,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를 가하여, 50℃로 가온후, 디스퍼로 분산한다. 그후, 충분히 건조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유기변성점토광물을 얻었다. 다음에, 나머지 성분을 유기변성점토광물에 가하여, 가압력 15kg/cm의 롤러로 2회 연합하여 본발명의 겔조성물인 선스크린을 얻었다. 얻어진 선스크린은 온도안정성이 양호하고, 퍼짐이 좋고,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13: 유성연고]
유기변성점토광물(벤톤 38) 5.0중량%
옥틸도데칸올 5.0
유동파라핀 나머지
와셀린 5.0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5.0
글리세린 2.0
약제 적당량
(제법)
옥틸도데칸올, 유동파라핀, 와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글리세린을 70℃로 균일 용해하고, 이에 벤톤 38을 디스퍼 교반하에 첨가하고, 본 발명의 겔조성물인 유성연고를 얻었다. 얻어진 유성연고는 온도 안정성이 양호하고, 퍼짐이 좋고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 있었다.
(2) 유화 조성물의 실시예
[실시예 14]
실시예 2에서 얻은 유화제1부를 유동파라핀 3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한후, 여기에 정제수 69부를 가하여, 더욱 디스퍼 혼합하는 것으로 유화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2에서 얻은 유화제 2부를 트리 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한후, 여기에 정제수 78부를 가하여 더욱 디스퍼 혼합하는 것으로 유화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6]
실시예 2에서 얻은 유화제 2부를 메틸페닐실록산 2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한후, 여기에 정제수 78부를 가하여 더욱 디스퍼 혼합하는 것으로 유화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4]
벤톤 38 2부, 폴리옥시 알킬렌 변성오르가노 폴리실록산 1부를 유동파라핀 3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한후, 여기에 정제수 67부를 가하여 더욱 디스퍼 혼합하는 것으로 유화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5]
벤톤 38 2부, 글리세롤 이소스테아레이트 1부를 메틸페닐실록산 2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한 후, 여기에 정제수 77부를 가하여, 더욱 디스퍼 혼합하는 것으로 유화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6]
벤톤 38 2부, 글리세롤 이소스테아레이트 1부를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한후, 여기에 정제수 77부를 가하여 더욱 디스퍼 혼합하는 것으로 유화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7]
벤톤 38 2부, 글리세롤 이소스테아레이트 5부를 트리 2-에틸 헥산산 글리세롤 20부와 함께 디스퍼로 분산, 혼합한 후, 여기에 정제수 73부를 가하여, 더욱 디스퍼 혼합하는 것으로 유화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4,15 및 16에서 얻은 유화조성물과 비교예 5,6,7 및 8에서 얻은 유화 조성물을, 50℃에서 2주간 방치하고, 그의 안정성을 이하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여 「표 4」에 나타낸다. 또 전문패널 10명에 의하여, 그 사용성을 이하의 평가기준으로 관능 평가하고 「표 4」에 나타낸다.
[안정성 평가기준]
◎: 분리가 전혀 인정되지 않는다.
△: 유분의 분리가 인정된다.
×: 현저한 유분의 분리가 인정된다.
[사용성 평가 기준]
◎: 10명중 8명이상이 퍼짐이 좋고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 10명중 6명이상 8명 미만이 퍼짐이 좋고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 10명중 4명이상 6명 미만이 퍼짐이 좋고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 10명중 4명 미만이 퍼짐이 좋고 사용성이 양호하다고 회답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4 15 16 4 5 6 7
안정성 ◎ ◎ ◎ × × △ ◎
사용성 ○ ◎ ◎ △ ○ ○ ×
「표 4」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유화제 조성물은 비극성유계 혹은 극성유계 어느것에 있어서도 온도안정성 및 사용성에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조제할 수가 있다. 한편, 비교예 5,6,7에서는 안정한 유화조성물은 얻을 수 없고, 또, 안정성이 양호한 유화조성물이 얻어진 비교예 8에서는 사용성에 있어서 실시예에 비해 뒤떨어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유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유화조성물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실시예 17: 미백용 크림]
비검(미국 반더빌트사제 수팽윤성 점토광물) 2.0중량%
벤질디메틸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1.0
이소스테아르산 1.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5.0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시드 1.0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 1.0
시트르산 0.05
시트르산나트륨 0.5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5.0
파라히드록시 벤조산 메틸 0.1
향료 0.05
정제수 나머지
(제법)
비검을 에탄올에 분산하고,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를 가하여, 50℃로 가온후, 디스퍼로 분산한다. 그후, 충분히 건조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유기변성점토광물을 얻었다. 다음에, 이소스테아르산을 유기변성점토광물에 가하여, 가압력 15kg/cm의 롤러로 2회 연합하여 본발명의 유화제를 얻었다. 얻어진 유화제에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을 가하여 유상을 조제하고, 여기에 나머지의 수상을 디스퍼 호모지나이저 교반하에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미백용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18: 핸드크림]
유기변성점토광물(벤톤 38) 1.0중량%
올레산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와셀린 2.0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1.0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 5.0
글리세린 10.0
약제 적당량
파라히드록시벤조산에틸 0.1
향료 0.05
정제수 나머지
(제법)
올레산,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와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를 80℃에서 균일용해하고, 여기에 벤톤 38을 디스퍼 교반하에 첨가하고, 유상을 조제한후, 나머지 수상을 디스퍼호모지나이저 교반하에 서서히 첨가하는 것으로 핸드크림을 얻었다. 얻어진 핸드크림은 온도안정성이 양호하고, 퍼짐이 좋고,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19: 선스크린]
유기변성점토광물(벤톤 38) 2.0중량%
에탄올 5.0
이소스테아르산 2.0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10.0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0
숙신산 디옥틸 10.0
데카메틸 시클로펜타실록산 10.0
글리세린 10.0
약제 적당량
파라히드록시 벤조산에틸 0.25
향료 0.05
정제수 나머지
(제법)
벤톤 38을 에탄올에 분산하고, 더욱 이소스테아르산을 가하여, 가압력 15kg/cm의 롤러로 2회 연합하여 본 발명의 유화제를 얻었다. 얻어진 유화제에 옥틸메톡시 신나메이트, 4-tert-부틸-4'-메톡시 디벤조일 메탄, 숙신산디옥틸, 데카메틸시클로 펜타실록산을 가하여 유상을 조제하고, 여기에 나머지의 수상을 디스퍼 호모지나이저 교반하에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선스크린을 얻었다. 얻어진 선스크린은 온도안정성이 양호하고, 퍼짐이 좋고,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있고, 높은 선스크린 효과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20 : 미백용 크림]
비검(미국 반더빌트사제 수팽윤성 점토광물) 2.0중량%
벤질디메틸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1.0
이소스테아릴알코올 1.0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5.0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시드 1.0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 1.0
시트르산 0.05
시트르산나트륨 0.5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5.0
파라히드록시 벤조산 메틸 0.1
향료 0.05
정제수 나머지
(제법)
비검을 에탄올에 분산하고, 벤질디메틸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를 가하여, 50℃로 가온후, 디스퍼로 분산한다. 그후, 충분히 건조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유기변성점토광물을 얻었다. 다음에 이소스테아릴 알코올을 유기변성점토광물에 가하여, 가압력 15kg/cm의 롤러로 2회 연합하여 본 발명의 유화제를 얻었다. 얻어진 유화제에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을 가하여 유상을 조제하고, 여기에 나머지의 수상을 디스퍼호모지나이저 교반하에 서서히 첨가하는 것으로 미백용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21: 핸드크림]
유기변성점토광물(벤톤 38) 1.0중량%
올레일알코올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와셀린 2.0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1.0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 5.0
글리세린 10.0
약제 적당량
파라히드록시벤조산에틸 0.1
향료 0.05
정제수 나머지
(제법)
올레일알코올,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와셀린,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를 80℃에서 균일용해하고, 여기에 벤톤 38을 디스퍼 교반하에 첨가하고, 유상을 조제한후, 나머지 수상을 디스퍼호모지나이저 교반하에 서서히 첨가하는 것으로 핸드크림을 얻었다. 얻어진 핸드크림은 온도안정성이 양호하고, 퍼짐이 좋고,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 있었다.
[실시예 22: 선스크린]
유기변성점토광물(벤톤 38) 2.0중량%
에탄올 5.0
옥틸도데칸올 1.0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10.0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0
숙신산 디옥틸 10.0
데카메틸 시클로펜타실록산 10.0
글리세린 10.0
약제 적당량
파라히드록시 벤조산에틸 0.25
향료 0.05
정제수 나머지
(제법)
벤톤 38을 에탄올에 분산하고, 또한 옥틸도데칸올을 가하여, 가압력 15kg/cm의 롤러로 2회 연합하여 본 발명의 유화제를 얻었다. 얻어진 유화제에 옥틸메톡시 신나메이트, 4-tert-부틸-4'-메톡시 디벤조일 메탄, 숙신산디옥틸, 데카메틸시클로 펜타실록산을 가하여 유상을 조제하고, 여기에 나머지의 수상을 디스퍼 호모지나이저 교반하에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선스크린을 얻었다. 얻어진 선스크린은 온도안정성이 양호하고, 퍼짐이 좋고, 우수한 사용성을 갖고 있고, 높은 선스크린 효과를 갖고 있었다.
(3)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의 실시예
[실시예 23: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
(1) 데카메틸시클로 펜타실록산 25.0중량%
(2) 유동파라핀 5.0
(3) 이소스테아르산 1.0
(4)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6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0
(6) 파라벤 적당량
(7) 향료 적당량
(8) 소수화방추형산화티탄 10.0
(9) 이온교환수 나머지
(10)글리세린 10.0
(11)스멕톤 1.0
제법
(1)∼(7)을 70℃로 가열하고, 미리 유상을 조제하여 둔다. 다음에 (8)을 가하여, 디스퍼로 분산혼합한다. (9)∼(11)을 70℃로 분산 혼합한 다음 유상에 디스퍼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하여,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교반, 냉각하여 목적의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것을 방지하는 크림을 얻었다.
[비교예 8: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
실시예 23에 있어서, 이소스테아르산 대신에 폴리옥시알킬렌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23과 같은 제법으로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
(1) 데카메틸시클로 펜타실록산 20.0중량%
(2) 유동파라핀 10.0
(3) 데실테트라데칸올 2.0
(4)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6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0
(6) 에탄올 2.0
(7) 파라벤 적당량
(8) 향료 적당량
(9) 소수화 산화티탄 5.0
(10) 소수화 산화아연 5.0
(11) 이온교환수 나머지
(12)글리세린 5.0
(13)스멕톤 1.0
제법
(1)∼(8)을 70℃로 가열하고, 미리 유상을 조제하여 둔다. 다음에 (9),(10)을 가하여, 디스퍼로 분산혼합한다. (11)∼(13)을 70℃로 분산 혼합한 다음 유상 디스퍼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하여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교반, 냉각하여 목적의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25: 크림상 파운데이션]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30.0중량%
(2) 유동파라핀 10.0
(3) 올레산 0.1
(4) 벤질디메틸 디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0.05
(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8.0
(6) 파라벤 적당량
(7) 향료 적당량
(8) 소수화산화티탄 5.0
(9) 소수화산화아연 5.0
(10) 활석 20.0
(11) 착색안료 적당량
(12) 이온교환수 나머지
(13) 글리세린 5.0
(14) 스멕톤 0.2
제법
(1)∼(7)을 70℃로 가열하고, 미리 유상을 제조하여둔다. 다음에 (8)로부터 (11)을 가하여 디스퍼로 분산혼합한다. (12)∼(14)를 70℃에서 분산혼합한후 유상에 디스퍼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하여,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교반, 냉각하여 목적의 크림상의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실시예 26 :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
(1) 유동파라핀 20.0중량%
(2) 트리옥탄산 글리세릴 5.0
(3) 이소스테아르산 2.0
(4) 디스테아릴 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05
(5) 옥틸메톡시 신나메이트 5.0
(6)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0
(7) 파라벤 적당량
(8) 향료 적당량
(9) 소수화 산화티탄 1.0
(10) 이온교환수 나머지
(11) 1,3-부틸렌 글리콜 5.0
(12) 비검 0.5
제법
(1)∼(8)을 70℃로 가열하고, 미리 유상을 조제하여둔다. 다음에 (9)를 가하여 디스퍼로 분산혼합한다. (10)∼(12)를 70℃에서 분산혼합한후 유상에 디스퍼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하여,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교반, 냉각하여 목적의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을 얻었다.
[실시예 27: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
(1) 데카메틸시클로 펜타실록산 28.0중량%
(2)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5.0
(3) 옥틸메톡시 신나메이트 10.0
(4)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0.5
(5) 파라벤 적당량
(6) 향료 적당량
(7) 벤톤 38 2.0
(8) 소수화방추형산화티탄 20.0
(9) 소수화산화아연 3.0
(10)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5.0
(11) 이온교환수 나머지
(12) 1,3 부틸렌글리콜 5.0
제법
(1)∼(6)을 70℃로 가열하고, 미리 유상을 조제하여 둔다. 다음에 (7)∼(9)를 가하여, 디스퍼로 분산혼합한다. (10)∼(12)를 70℃에서 분산혼합한 다음 유상에 디스퍼로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하여,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교반, 냉각하여 목적의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을 얻었다. 또한, 소수화방추형산화티탄은 미립자 산화티탄 100-T(제국화공사제)를 사용하였다. 또, 벤톤 38이란 몬모릴로나이트 100g을 100m당량의 디스테아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로 처리한 유기변성점토 광물이다(미국내셔널 레드사제).
[비교예 9 :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
실시예 27에 있어서,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대신에 폴리옥시알킬렌변성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을 사용하고, 또한, 소수화방추형 산화티탄대신에 평균입경 0.03∼0.04미크론, 직경과 단경의 평균비율 1.3인 소수화산화티탄을 사용하여, 실시예 27과 같은 제법으로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림을 제조하였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어진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에 대하여, 흰색의 두드러지기 어려움에 대하여 이하의 시험을 행하고, 그 효과를 「표 5」에 평가하였다.
(1) 흰색의 두드러짐 시험
평가전문패널 20명의 앞팔내측부(5×10cm)에 샘플(실시예 1∼5, 비교예 1∼2)을 도포하고, 30분간 방치후, 흰색의 두드러지는 상태를 평가하였다. (2) 수세후의 흰색의 두드러짐 시험.
(1)에서, 흰색의 두드러지는 상태를 평가한후, 10분간 흐르는 물(30℃)로 도포부를 수세하고, 흰색의 두드러지는 상태를 평가하였다.
(1),(2)에 있어서 시험결과는 어느것이나 하기에 표시하는 평가기준에 따랐다.
(평가기준)
20명중 16명 이상이 두드러짐이 없다고 평가하였다: ◎
20명중 12명 이상이 두드러짐이 없다고 평가하였다: ○
20명중 6명 이상이 두드러짐이 없다고 평가하였다: △
20명중 6명 미만이 두드러짐이 없다고 평가하였다: ×
실시예 비교예
23 24 25 26 27 8 9
(1) 흰색의 두드러짐 시험 ○ ○ ○ ◎ ◎ ○ △
(2) 수세후의 흰색의 두드러짐 시험 ○ ○ ○ ◎ ◎ × ×
「표 5」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발명의 실시예는, 수세후의 흰색이 두드러지지 않는 우수한,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 임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범위한 유분에 첨가혼합하더라도, 안정성, 안전성, 사용성에 우수한 유성겔 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는 겔화제 또는 유화제, 및 이를 사용한 겔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발명의 겔화제 또는 유화제를 사용한 겔 조성물 또는 유화조성물은, 예를들면, 화장품, 의약부외품 등의 기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살갗에의 밀착성이 좋고, 내수성에 우수하고, 땀 또는 바다나 풀에서의 활동에 동반하는 물과의 접촉에 의해서도, 살갗에 도포한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가 희게 떠오르는 일이 없는 우수한 사용성을 갖는 피부가 햇볕에 타서 검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화장재료를 제공할 수가 있다. 따라서, 흰색의 두드러짐을 마음에 둘 필요없이, 필요량의 자외선방어제 분말을 배합할 수 있으므로 특히 높은 자외선 방어효과를 기대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Claims (6)

  1. 3층구조를 갖는 콜로이드성 함수 규산 알루미늄의 일종으로 하기 일반식
    (X, Y)2-3(Si, Al)4O10(OH)2Z1/3·nH2O
    단, X = Al, Fe(III), Mn(III), Cr(III)
    Y = Mg, Fe(II), Ni, Zn, Li, Mn(II)
    Z = K, Na, 1/2Ca, 1/2Mg 으로 나타내어지는 수팽윤성 점토광물과
    하기의 일반식
    (식중 R1은 탄소수 10∼22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 R2는 메틸기 또는 탄소수 10∼22의 알킬기, R3과 R4는 탄소수 1∼3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 알킬기, X는 할로겐원자 또는 메틸술페이트 잔기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내어지는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지방산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화제로서, 상기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 점토광물 100g에 대해서 60~140 밀리당량이고, 상기 상온액체의 지방산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점토광물 100g에 대해서 1~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화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액체의 지방산이 이소스테아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화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겔화제와 유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조성물로서, 상기 유분은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린,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파라핀, 와셀린, 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 스테아르산,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올레산오일,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데카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조성물.
  4. 3층구조를 갖는 콜로이드성 함수 규산 알루미늄의 일종으로 하기 일반식
    (X, Y)2-3(Si, Al)4O10(OH)2Z1/3·nH2O
    단, X = Al, Fe(III), Mn(III), Cr(III)
    Y = Mg, Fe(II), Ni, Zn, Li, Mn(II)
    Z = K, Na, 1/2Ca, 1/2Mg으로 표시되어지는 수팽윤성점토광물과
    하기 일반식
    (식중 R1은 탄소수 10∼22의 알킬기 또는 벤질기, R2는 메틸기 또는 탄소수 10∼22의 알킬기, R3과 R4는 탄소수 1∼3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 알킬기, X는 할로겐원자 또는 메틸술페이트 잔기를 나타낸다.)으로 표시되어지는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온액체의 고급 알코올을 혼합해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화제로서, 상기 4차 암모늄염형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점토광물 100g에 대해서, 60~140밀리당량이고, 상기 상온액체의 고급 알코올의 혼합량이 상기 수팽윤성점토광물 100g에 대해서, 1~5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화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온액체의 고급 알코올이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화제.
  6. 제 4항 또는 제 5항의 겔화제와 유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조성물로서, 상기 유분은 트리글리세린, 트리옥탄산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린,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파라핀, 와셀린, 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 스테아르산,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트리-2-에틸헥실산글리세린, 올레산오일,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및 데카메틸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조성물.
KR1019980710544A 1997-05-30 1998-05-28 겔화제및겔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61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544A KR100618462B1 (ko) 1997-05-30 1998-05-28 겔화제및겔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57809 1997-05-30
KR1019980710544A KR100618462B1 (ko) 1997-05-30 1998-05-28 겔화제및겔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128A KR20000022128A (ko) 2000-04-25
KR100618462B1 true KR100618462B1 (ko) 2006-11-30

Family

ID=4175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5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8462B1 (ko) 1997-05-30 1998-05-28 겔화제및겔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89B1 (ko) * 2018-01-29 2020-02-07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128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2117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72327B1 (ko) 피부 외용용 유중수 에멀션 제제
KR100472671B1 (ko) 자외선흡수성조성물
EP3087970B1 (en) Water-in-oil emulsified sunscreen cosmetic
JP4284147B2 (ja) 化粧料原料用紫外線防御製剤及び当該製剤を含有する化粧料の製造方法
WO2017131217A1 (ja) リップル相含有組成物、αゲル形成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組成物およびαゲル組成物
DE602005001478T2 (de) Oel-in-Wasser emulgierte Zusammensetzung
US6585986B2 (en) Gelling agent and gel compositions
JP3614511B2 (ja) 日焼け止め用水中油型乳化化粧料
AU737316B2 (en) Gelling agent and gel compositions
JP3417649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102757341B1 (ko) α겔 형성용 조성물 및 α겔 조성물
KR100618462B1 (ko) 겔화제및겔조성물
JPH0748228A (ja) 口紅組成物
JP4010647B2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4039542B2 (ja) O/w/o型複合エマルジョン
JPH1045532A (ja) マッサージ化粧料
JP4017254B2 (ja) 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7278553B2 (ja) ルテインのブルーライトカット能増強剤および、化粧品組成物
JPH09235218A (ja) 化粧料
JP6355296B2 (ja) 皮膚外用剤組成物
JP2023152863A (ja) 皮膚化粧料用組成物
JP2023048020A (ja) W/o型乳化化粧料又は外用剤
JPH08259429A (ja) 油性粉末化粧料
JP2001220315A (ja) 化粧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5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