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7812B1 -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812B1
KR100617812B1 KR1020050014725A KR20050014725A KR100617812B1 KR 100617812 B1 KR100617812 B1 KR 100617812B1 KR 1020050014725 A KR1020050014725 A KR 1020050014725A KR 20050014725 A KR20050014725 A KR 20050014725A KR 100617812 B1 KR100617812 B1 KR 10061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gps unit
handoff
base st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621A (ko
Inventor
권도헌
이기태
조병덕
감두열
오동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812B1/ko
Priority to EP06003532A priority patent/EP1694090A1/en
Priority to US11/359,687 priority patent/US20060240833A1/en
Priority to CNA2006100576543A priority patent/CN1826002A/zh
Publication of KR2006009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rotating lift valves, e.g. to diminish w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location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10/00Arrangements solving specific problems in relation with valve gears
    • F01L2810/02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는 GPS부와, 상기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GPS부를 인에이블시켜 자신의 위치를 산출한 후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GPS, 인에이블

Description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FF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FOR}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이동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시의 이동 단말과 기지국간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시의 이동 단말과 기지국간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이 기지국과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도 1에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동 단말(40)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들은 기지국(20,30)에 의해 수신되고, 종종 이동 교환국(MSC)(10)으로 중계(relay)된다. 그러면 이동 교환국(10)은 신호를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STN) 또는 다른 이동 단말(mobile station)로 라우팅한다. 각 기지국(20,30)은 이동 단말이 통신할 수 있는 범위인 '셀(cell)'을 커버 (cover)한다. 셀은 제한된 지역적인(geographic) 영역을 커버하고 이동 교환 센터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에 대해 호(call)들을 라우팅한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 영역은 여러개의 셀들로 나뉜다. 이동 단말이 제1 셀(50)로부터 제2 셀(52)로 이동할 때 예컨대, 제1 셀(50)과 제2 셀(52)의 경계 영역(54)에 있을 때 핸드오프는 제2 셀(52)과 관련되는 새로운 시스템 자원을 할당하도록 수행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종래의 핸드오프 방식은 이동 단말(40)이 수신한 기지국 신호들의 세기를 이용한다. 기지국(20)은 이동 단말(40)이 전송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핸드오프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동 단말(40)은 수신한 인근 기지국(3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신호 세기(Ec/Io)가 소정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기지국(20)에게 핸드오프를 요청한다. 또는 이동 단말(40)은 현재 서비스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특정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에도 기지국(20)에게 핸드오프를 요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핸드오프는 이동 단말이 수신한 기지국 신호들의 세기만을 기준으로 하여 핸드오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이로 인해 기지국은 이동 단말이 실제로 핸드오프가 필요한 위치에 있는지를 알 수 없다. 또는 이동 단말이 핸드오프가 필요한 시점에서 핸드오프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종래의 핸드오프 방식에서, 실제로는 핸드오프가 필요없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순간적으로 채널상황이 변화하여 특정 기지국 신호가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는 경우에도, 이동 단말이 불필요하게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횟수가 잦아질 수가 있다. 또한 핸드오프 지역에 있는 이동 단말이 복수개의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는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호 세기의 변화에 따라 자주 기지국의 파일롯 신호를 ADD 시키거나 DROP시킬 수 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과 기지국간에 불필요한 프로세싱을 많이 유발시키는 요인 및 이동 단말들 간의 간섭(Interference)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라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은 GPS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위치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은 이동 단말의 위치가 핸드오프의 위치에 있는 지를 모니터링하고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그런데, 이동 단말은 자신의 위치를 기지국으로 보고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자신이 구비한 GPS부를 인에이블하여야 했다. 그러므로 이동 단말은 계속적으로 위 치 정보를 제공할 GPS 위성을 서치해야 하며 또,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여야 했다. 이와 같이 GPS부를 계속적으로 인에이블하여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은 이동 단말에게 많은 부하를 걸리게 하며 또한 그에 따른 전력 소모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정말로 필요한 위치에서 핸드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 GPS부를 핸드오프 필요 여부에 따라 인에이블시키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는 GPS부와, 상기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GPS부를 인에이블시켜 자신의 위치를 산출한 후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은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GPS부를 인에이블시켜 자신의 위치를 산출한 후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은 GPS부 인에이블 주기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GPS부를 인에이블시켜 자신의 위치를 산출한 후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및 이동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은 빌딩들(140) 및 땅위의 방해물(150)에 의해 둘러 쌓여있다. 기지국(20) 및 이동 단말(40)은 여러 GPS 위성들(90,92,94,96)을 갖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환경에 배치된다. 이러한 GPS 환경들은 잘 알려진 것들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에서 벗어남이 없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형적인 GPS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GPS 수신기가 그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4개의 위성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단지 3 개의 GPS 위성들 및 이동 단말(40)에서 서빙 기지국(20)으로의 라운드 트립 (round trip) 지연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4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2개의 GPS 위성들, 라운드 트립 지연 및 서빙 기지국(20)의 알려진 위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4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40)은 자신의 위치를 기지국(20)에게 보고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40)은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GPS부(이하 도 2에 설명)를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인에이블한다. 그러므로, 이동 단말(40)은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핸드오프 조건(handoff condition)이 발생하는 지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에서 핸드오프 조건에 대해 설명하면, 이동 단말(40)은 서빙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 파일럿 신호의 세기 즉 Ec/Io가 소정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하는 지를 모니터링 한다. 이는 일반적인 핸드오프 조건이다. 또, 이동 단말(40)은 현재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대 잡음비(SNR) 등을 이용하여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40)은 RSSI, 신호대 잡음비(SNR) 등에 대한 기준값을 설정하고 RSSI, 신호대 잡음비(SNR) 등의 현재값과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핸드오프 조건이 당업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는 어떠한 핸드오프 조건도 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40)은 주기적으로 GPS부를 인에이블한다. 예컨대, 특정 지역이 위성을 서치(searching)하기 힘든 장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40)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위성을 서치하기 힘든 환경은 도심이나 실내(indoor) 환경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한다. 이때 이동 단말(40)은 자신이 현재 위치한 지역에 관한 정보에 따라 주기적으로 GPS부를 인에이블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40)은 GPS부의 인에이블 주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40)은 자신의 위치 산출을 위한 소정의 일정 주기가 도래하는 지를 판단함으로써 GPS부를 인에이블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40)은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GPS부를 인에이블하여 자신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를 기지국(20)에게 전송한다. 기지국(20)은 이동 단말(40)의 위치를 이용하여 핸드오프의 필요성을 판단한다. 그리고 기지국(20)은 현재의 이동 단말(40)의 위치가 핸드오프가 필요한 위치인 것으로 판단하면 핸드오프 프로세스를 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핸드오프를 행하지 않고 현재의 통신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4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40)은 RF부(110), 베이스밴드 처리부(120), 제어부(130), GPS부(140),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먼저, GPS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위성(90,92,94,96)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GPS부를 인에이블시킨다. 또,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GPS부 인에이블 주기에 따라 GPS부를 인에이블시킨다.
제어부(130)는 GPS부(140)를 인에이블시킨 후 적어도 하나의 위성으로부터 GPS부(140)를 통해 GPS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30)는 GPS부(140)로부터 GPS 신호를 제공받으면 이 GPS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산출한 후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 제어부(130)는 제어부(130)와 연동하여 핸드오프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이동 단말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그리고 RF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20)과 RF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RF부(110)는 수신 RF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20)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IF 신호 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20)는 제어부(130)와 RF부(110)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A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3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IF 신호로 변환하여 RF부(110)에 인가하며, RF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 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0)에 인가한다. 메모리(150)는 이동 단말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핸드오프시의 이동 단말과 기지국간의 메시지 흐름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시의 이동 단말과 기지국간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40)은 단계 310에서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이동 단말(40)은 단계 310에서 핸드오프 조건(handoff condition)이 발생하는 지를 모니터링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핸드오프 조건은 예컨대 서빙 기지국(20)으로부터 수신한 파일럿 신호의 세기 즉 Ec/Io가 소정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하는 것이다. 또, 예컨대 핸드오프 조건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신호대 잡음비(SNR) 등의 현재값이 기준값에 대해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다.
이동 단말(40)은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단계 320으로 진행하여 GPS부(140)를 인에이블하여 자신의 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은 단계 330에서 산출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20)에게 전송한다.
기지국(20)은 단계 340에서 이동 단말(4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의 필요성을 판단한다. 즉, 기지국(20)은 현재의 이동 단말(40)이 핸드오프가 필요한 위치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기지국(20)은 단계350에서 이동 단말(40)의 핸드오프가 요구되면 단계 360으로 진행한다. 기지국(20)은 단계 360에서 단말(40)과 연동하여 핸드오프 프로세스를 행한다. 기지국(20)은 단계 350에서 이동 단말(40)의 핸드오프가 요구되지 않으면 단계 370으로 진행하여 현재의 통신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시의 이동 단말과 기지국간의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단계 220 내지 단계 270은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단계 320 내지 단계 370은 유사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40)은 GPS부(140)의 인에이블 주기가 도래했는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40)은 자신이 현재 위치한 지역에 관한 정보에 따라 주기적으로 GPS부를 인에이블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지역이 위성을 서치(searching)하기 힘든 장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면 이동 단말(40)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정확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동 단말(40)은 자신의 위치 산출을 위한 소정의 일정 주기 즉, GSP부(140)의 인에이블 주기가 도래하는 지를 판단함으로써 GPS부를 인에이블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GSP부 인에이블 주기가 도래하였으면 이동 단말(40)은 단계 220으로 진행하여 GPS부(140)를 인에이블하여 자신의 위치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은 단계 230에서 산출한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20)에게 전송한다.
기지국(20)은 단계 240에서 이동 단말(4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의 필요성을 판단한다.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기지국(20)은 단계250에서 이동 단말(40)의 핸드오프가 요구되면 단계 260으로 진행한다. 기지국(0)은 단계 260에서 단말(40)과 연동하여 핸드오프 프로세스를 행한다. 기지국(20)은 단계 250에서 이동 단말(40)의 핸드오프가 요구되지 않으면 단계 270으로 진행하여 현재의 통신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은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GPS부 인에이블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와 같이 제한된 경우에만 GPS부를 인에이블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GPS부를 항상 인에이블할 필요성이 제거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에 따라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 단말의 GPS부를 항상 인에이블할 필요성이 제거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 또는 이동 단말의 부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는 GPS부와,
    상기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GPS부를 인에이블시켜 자신의 위치를 산출한 후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일럿 신호의 세기 즉 Ec/Io가 소정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핸드오프 조건의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및 신호대 잡음비(SNR)중 어느 하나와 그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핸드오프 조건의 발생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는 GPS부와,
    상기 GPS부의 인에이블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GPS부 인에이블 주기에 따라 GPS부를 인에이블시켜 자신의 위치를 산출한 후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GSP 신호를 제공하는 위성을 서치(searching)하기 힘든 장소를 많이 포함하는 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GPS부를 주기적으로 인에이블 할 것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6.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는 GPS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조건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핸드오프 조건의 발생시 상기 GPS부를 인에이블시켜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일럿 신호의 세기 즉 Ec/Io가 소정 임계값 미만으로 감소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핸드오프 조건의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및 신호대 잡음비(SNR)중 어느 하나와 그 기준값을 비교함으로써 핸드오프 조건의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적어도 하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는 GPS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에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GPS부의 인에이블 주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GPS부 인에이블 주기가 도래하면, 상기 GPS부를 인에이블시켜 자신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자신의 위치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SP 신호를 제공하는 위성을 서치(searching)하기 힘든 장소를 많이 포함하는 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GPS부를 주기적으로 인에이블 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14725A 2005-02-22 2005-02-2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및 그 방법 KR10061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725A KR100617812B1 (ko) 2005-02-22 2005-02-2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및 그 방법
EP06003532A EP1694090A1 (en) 2005-02-22 2006-02-21 Mobile station for performing handoff using posi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of
US11/359,687 US20060240833A1 (en) 2005-02-22 2006-02-22 Mobile station for performing handoff using posi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NA2006100576543A CN1826002A (zh) 2005-02-22 2006-02-22 使用位置信息执行切换的移动站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725A KR100617812B1 (ko) 2005-02-22 2005-02-2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621A KR20060093621A (ko) 2006-08-25
KR100617812B1 true KR100617812B1 (ko) 2006-08-28

Family

ID=3616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725A KR100617812B1 (ko) 2005-02-22 2005-02-2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 단말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240833A1 (ko)
EP (1) EP1694090A1 (ko)
KR (1) KR100617812B1 (ko)
CN (1) CN18260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0064B2 (en) 2005-03-22 2008-11-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deriving seed position of a subscriber station in support of unassisted GPS-type position determin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947802B1 (en) * 2007-01-22 2014-07-3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GmbH & Co. KG Operating network entiti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169946B2 (en) 2007-03-30 2012-05-01 Livetv, Llc Aircraft communications system with hard handoff and associated methods
CN101242327B (zh) * 2008-01-28 2010-06-16 凌阳多媒体股份有限公司 以位置为基础进行信号切换的无线网络通讯系统及方法
CN101252731B (zh) * 2008-04-11 2012-05-23 天津华永无线科技有限公司 基于混合定位方式的移动社交网络构建系统
US8700049B2 (en) * 2008-04-18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or method for reducing initial position uncertainty in SPS operation
WO2012154100A1 (en) * 2011-05-12 2012-11-1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in base stations, base stations,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02883387B (zh) * 2012-09-27 2015-03-18 大连环宇移动科技有限公司 基于精确定位信息辅助的基站切换方法
CN105263171B (zh) * 2015-10-10 2019-06-04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接入点自动请求与配置处理方法及系统
CN113391337A (zh) * 2020-03-12 2021-09-14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搬运设备定位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987A (en) * 1998-02-27 2000-06-13 Ericsson Inc. Stand alon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method with high sensitivity
US6141570A (en) * 1998-08-26 2000-10-31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serving battery energy in a wireless telephone with an integral global positioning system
CA2316440A1 (en) 1999-08-31 2001-02-28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performing handoffs using location information for a wireless unit
US6970708B1 (en) 2000-02-05 2005-11-29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hannel monitoring in a cellular system
US6853840B2 (en) * 2001-03-02 2005-02-08 Csi Wireless Ll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nd disabling devices based on RSSI analysis
US6662107B2 (en) * 2001-10-30 2003-12-09 Sirf Technology, Inc. Calibrated real time clock for acquisition of GPS signals during low power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40833A1 (en) 2006-10-26
CN1826002A (zh) 2006-08-30
EP1694090A1 (en) 2006-08-23
KR20060093621A (ko) 200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331B2 (en)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control method, radio communications method and base station control program
KR100709933B1 (ko) 무선통신장치에서의 커버리지 에지의 검출용 시스템 및 방법
JP5051470B2 (ja) 携帯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2550092B (zh) 用于减少定位测量期间干扰的方法和设备
CN102823227B (zh) 移动终端和移动终端的控制方法
JP5006436B2 (ja) セルラ・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監視を改善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1694090A1 (en) Mobile station for performing handoff using posi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of
WO2001061373A1 (en) Handoff between external and internal positioning systems
US8688130B2 (en) Mobile station, base station, and area shaping method performed by specified base station
JPH11346380A (ja) 位置決めシステムによって支援されたセルラ―無線電話機をハンドオフ及びドロップオフする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0301807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基地局の運用制御方法及び移動基地局
US5884176A (en) Fast handover by preassigning neighboring candidate cells
CN106412985B (zh) 移动终端小区切换控制方法及装置
CN113615245A (zh) 切换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719731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handoff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030528B1 (en) Method of making downlink operational measur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220269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及び切替制御方法
JP200830099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31891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위치정보를 이용한 핸드오프 방법
KR20100135503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장치
US20170118733A1 (en)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4391654A1 (en)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to a user equipment using an access network of or associat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er equipment, system 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verage database or coverage information entity or functionality,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2003289563A (ja) 移動端末
KR20070002532A (ko) Gps를 이용한 이동단말의 핸드오프 방법 및 그 이동단말
JP2005268973A (ja) 衛星通信システム、衛星通信端末、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602